나와 뇌를 분리하자 -> 메타인지 뇌는 프로세싱 되기 까지는 시간이 걸린다. 저전력 설계가 되어있다. -> 급하게 빠른 결정보다는 시간을 주면 나은 아이디어가 나온다. 어떻게 남을 성공 시킬 수 있을까를 고민하라. 뇌는 본능적으로 이기적이다. 이기적인 뇌가 이타적으로 되는것이 아니라 ‘나’ 라는 개념이 확장 되는것이다. 나를 확장하면 확장된 대상에 대해서 이타적일수 있게 된다. 네 이웃을 네 몸과같이 생각하면 사랑할수 있게 된다. -> 더 나은 시너지 발생 (집단지성)
뇌가 스트레스 받았는지 알아보는 방법 -> 2가지 1.공격적 2.도망가고싶거나
스트레스 저항성이 있는사람은 공격성이나 도망이 안나타난다. -> 우리민족은 역사적으로 스트레스를 안받은 적이 없다. 스트레스 내성이 높은 민족. 그렇다고 스트레스를 안받는것이 아니다.
뇌과학을 이해 하면 좀더 도움이 된다. 뇌가 만들어낸 세상과 실제 세상과 다름을 인지 하자. 나와 뇌를 분리하자.
우리뇌에 더 높은 차원의 목표를 보여주자.
젊은 친구들이 빠져 있는 착각? 보완 했으면 하는것은 요즘 친구들은 의사결정할때 많은 데이터로 한다. 다만 모든사람이 알고 있는 데이터로 결정을 한다. 즉 보상이 적다. 똑똑함의 역설.
차원 높은 나만의 전략을 생각 해야한다. 남이 좋다는걸 쫒아가는것 보단 내가 꾸준히 전문성을 가지고 깊이 할것을 찾아라.
신사임당님 영상은 역시 최고👍 김대수 교수님 1부, 2부 영상 잘 들었습니다! 마지막에 말씀하신 부분이 와닿았는데요, 29:58 "저도 짧은 인생을 살았지만, 한 분야를 깊이 하다 보면 기회가 오더라고요. 기회를 자꾸 만들라고 하는데, 사회적이나 시대적인 상황의 변화로 만들기는 어렵고, 내가 꾸준히 무언가를 깊이 하다 보면 기회가 옵니다."
이 말씀에서, 알쓸신잡의 한 장면이 생각났어요! 김영하 작가님이 해주신, 다른분 말씀 인용해주신거에요!
스티븐 킹이 이런 말을 했대요.
"뮤즈를 기다리지 말라. 대신 뮤즈가 몇 시까지 오면 되는지 알려줘라."
뮤즈란, 작가들이 말하는 영감을 뜻합니다 !
이 말의 의미는, 영감이 언제 올까? 기다리기보다는 일정한 시간에 맞춰서 매일 글을 쓰라는 겁니다!
뮤즈 = 기회 글을 쓰는 것 = 내가 전문성을 가질 수 있는 일에 매일 일정한 시간을 쏟는 것
다른 사람에게 기회를 주고 잘 되게 만들자. 예시) 플랫폼, 남을 위해 자신을 희생하는 영웅 나의 개념을 확장시키기 - 나의 친구, 가족, 이웃, 사람을 나로 확장시키기 - 나를 확장하면 확장한 대상을 위해 이타적인 행동이 가능 - 개별적인 뇌가 집단지성이 되어 시너지 효과, 발전적인 효과를 내게됨. - 뇌가 만들어낸 세상에 지배받지않고 다른 세상과 미래에 희망갖고 몰입하기 (뇌에서 호기심을 만들어내고 발전시키기) - 아이들에게 넓은 세상을 만나도록 경험시키고 보여주기 - 밀레니엄 세대가 고치면 좋은점 : 모든 사람이 갖고있는 데이터를 바탕으로 전략 세우지 말기 (의사결정에 있어서 보편화된 빅데이터를 바탕으로 하기보다는 높은 차원의 나만의 전략세우기) - 차별화된 최적 전략 갖추기
역시 과학과 철학은 맞닿아 있네요. 요즘 nft 다...메타버스다...온통 어려운 얘기 나만 도태되는것 같은...불안감이 항상 있었는데 교수님의 말씀에 조금 안정이 되네요. "내가 기회를 만드는것은 어렵다. 내가 꾸준히 전문성을 가지고 깊이 오래하다보면 기회가 온다"이 말씀 깊은 울림이 있었고 제가 하는일에 확신을 가지고 더 몰입할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 영상을 만들어주신 신사임당님 교수님 감사합니다
왜 우리는 인생역전이 가능한가를 설명해주시는 분이 나타나셨네요🤔 메타인지와 복잡계를 아시는 교수님 안티프래질 개념(스트레스이후 성장개념)이 나와서 깜짝 놀랐습니다. 의식과 무의식 그리고 뇌과학이 연결되어있다는 막연함만 가지고 있었는데 이렇게 풀어 설명해주시니 소름입니다.
아무리 똑똑한 사람도.. 자기 인생을 알 수 없죠. 세상은 사람이 알고 있는 것만으로 생각한 예상대로 안됩니다. 그게 당연하고요.. 빅데이터대로 행동하는 것은.. 그나마 실패가 적은 전략을 따라가려는 거라 생각하고요. 그 외의 차원에서 전략을 짜려면 도박같아지겠죠. 운에 맞겨야하는.. 그래서 인생은 운도 있어야 하나 봅니다.
9:43 일본 유학시 선로에 빠진 사람을 구하고 본인이 희생된 고 이수현씨. 저도 이 부분이 해결되지 않았어요. 어떻게 그런 행동이 가능한지 성품으로 용감함이 발현이 된것인지 궁금했습니다. 이번 강의를 통해서 어느정도 해결이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나를 규정하는 아바타가 신경회로가 있는데 이에 가소성이 있어서 축소와 확장으로 가능한 일. 나를 확장하면 확장한 대상을 위해서 나와 같이 생각할수 있다.’ 서로를 서로에게 확장할 수 있는 프로그램: 밥먹는것, 작은 프로젝트로 하나로 협업하여 성취를 이루는 경험으로 시너지, 집단지성의 이득을 나누면 확장가능하다.
@OTARMUSIC 241
2022년 3월 09일 17:54나와 뇌를 분리하자 -> 메타인지
뇌는 프로세싱 되기 까지는 시간이 걸린다. 저전력 설계가 되어있다. -> 급하게 빠른 결정보다는 시간을 주면 나은 아이디어가 나온다.
어떻게 남을 성공 시킬 수 있을까를 고민하라.
뇌는 본능적으로 이기적이다.
이기적인 뇌가 이타적으로 되는것이 아니라 ‘나’ 라는 개념이 확장 되는것이다.
나를 확장하면 확장된 대상에 대해서 이타적일수 있게 된다.
네 이웃을 네 몸과같이 생각하면 사랑할수 있게 된다. -> 더 나은 시너지 발생 (집단지성)
뇌가 스트레스 받았는지 알아보는 방법 -> 2가지 1.공격적 2.도망가고싶거나
스트레스 저항성이 있는사람은 공격성이나 도망이 안나타난다. -> 우리민족은 역사적으로 스트레스를 안받은 적이 없다. 스트레스 내성이 높은 민족.
그렇다고 스트레스를 안받는것이 아니다.
뇌과학을 이해 하면 좀더 도움이 된다. 뇌가 만들어낸 세상과 실제 세상과 다름을 인지 하자.
나와 뇌를 분리하자.
우리뇌에 더 높은 차원의 목표를 보여주자.
젊은 친구들이 빠져 있는 착각?
보완 했으면 하는것은 요즘 친구들은 의사결정할때 많은 데이터로 한다. 다만 모든사람이 알고 있는 데이터로 결정을 한다. 즉 보상이 적다. 똑똑함의 역설.
차원 높은 나만의 전략을 생각 해야한다.
남이 좋다는걸 쫒아가는것 보단 내가 꾸준히 전문성을 가지고 깊이 할것을 찾아라.
@littlehabit 177
2022년 3월 09일 20:17신사임당님 영상은 역시 최고👍
김대수 교수님 1부, 2부 영상 잘 들었습니다!
마지막에 말씀하신 부분이 와닿았는데요,
29:58
"저도 짧은 인생을 살았지만, 한 분야를 깊이 하다 보면 기회가 오더라고요.
기회를 자꾸 만들라고 하는데, 사회적이나 시대적인 상황의 변화로 만들기는 어렵고, 내가 꾸준히 무언가를 깊이 하다 보면
기회가 옵니다."
이 말씀에서, 알쓸신잡의 한 장면이 생각났어요! 김영하 작가님이 해주신, 다른분 말씀 인용해주신거에요!
스티븐 킹이 이런 말을 했대요.
"뮤즈를 기다리지 말라. 대신 뮤즈가 몇 시까지 오면 되는지 알려줘라."
뮤즈란, 작가들이 말하는 영감을 뜻합니다 !
이 말의 의미는, 영감이 언제 올까? 기다리기보다는 일정한 시간에 맞춰서 매일 글을 쓰라는 겁니다!
뮤즈 = 기회
글을 쓰는 것 = 내가 전문성을 가질 수 있는 일에 매일 일정한 시간을 쏟는 것
이라고 바꿔서 말할 수 있을 것 같아요!
마지막에 김대수 교수님이 하신 말씀이랑 일맥상통해요 !
오늘도 감사합니다🙏💕
@낭만고양이-w5k 118
2022년 3월 09일 21:39ㅋㅋㅋ 아 우리아이가 뇌건강을 위해서 공부를 안하고 있는거구나
@eum108 45
2022년 3월 09일 22:23남을 성공시킬수있도록 도와주는 서비스, 제품을 만들자.
다른 사람에게 기회를 주고 잘 되게 만들자.
예시) 플랫폼, 남을 위해 자신을 희생하는 영웅
나의 개념을 확장시키기
- 나의 친구, 가족, 이웃, 사람을 나로 확장시키기
- 나를 확장하면 확장한 대상을 위해 이타적인 행동이 가능
- 개별적인 뇌가 집단지성이 되어 시너지 효과, 발전적인 효과를 내게됨.
- 뇌가 만들어낸 세상에 지배받지않고
다른 세상과 미래에 희망갖고 몰입하기
(뇌에서 호기심을 만들어내고 발전시키기)
- 아이들에게 넓은 세상을 만나도록 경험시키고 보여주기
- 밀레니엄 세대가 고치면 좋은점 : 모든 사람이 갖고있는 데이터를 바탕으로 전략 세우지 말기
(의사결정에 있어서 보편화된 빅데이터를 바탕으로 하기보다는 높은 차원의 나만의 전략세우기) - 차별화된 최적 전략 갖추기
@dreamsewinglab 44
2022년 3월 13일 17:30역시 과학과 철학은 맞닿아 있네요. 요즘 nft 다...메타버스다...온통 어려운 얘기 나만 도태되는것 같은...불안감이 항상 있었는데 교수님의 말씀에 조금 안정이 되네요. "내가 기회를 만드는것은 어렵다. 내가 꾸준히 전문성을 가지고 깊이 오래하다보면 기회가 온다"이 말씀 깊은 울림이 있었고 제가 하는일에 확신을 가지고 더 몰입할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 영상을 만들어주신 신사임당님 교수님 감사합니다
@sung-jinchoi3948 30
2022년 3월 10일 07:35왜 우리는 인생역전이 가능한가를 설명해주시는 분이 나타나셨네요🤔
메타인지와 복잡계를 아시는 교수님
안티프래질 개념(스트레스이후 성장개념)이 나와서 깜짝 놀랐습니다. 의식과 무의식 그리고 뇌과학이 연결되어있다는 막연함만 가지고 있었는데 이렇게 풀어 설명해주시니 소름입니다.
@kindteacherjane7912 30
2022년 3월 09일 19:02뇌과학에 대해 재미있고 이해하기 쉽게 설명해주셔서 많은 도움이 되었어요.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littlehabit 26
2022년 3월 09일 17:041:03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교수님 : 나와 뇌를 분리해보자
신사임당님 : 그럼 죽죠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아 너무 재밌어요😆
@충이충이-v3u 26
2022년 3월 09일 17:42‘이기적인 뇌를 이타적으로 바꾸는게 아니라 확장 시키는 것이다.’라는 말이 확 와닿네요.
저도 진짜 일을 같이 하다가 상대가 너무 저를 힘들게 하면 마음속으로
‘아..저 사람도 누군가의 귀한집 딸이고 아들인데, 먹고 살려고 노력하는 구나..’
연상하면 많이 나아지더라구요.
@ispace822 26
2022년 3월 11일 19:35"나를 확장해간다."
저는 이부분이 참 공감이 갔습니다.
진정한 성공이자 성장이라고 생각합니다.
충이충이 21
2022년 3월 09일 17:47‘스트레스 저항성’이라는 새로운 단어 배워가네요.
신입사원때마다 스트레스를 잘 받는지 못느끼다가 밥을 잘 못먹어서 병원가면 항상 스트레스성 위염이하는 경우가 많은데 뇌과학 너무 재밌네요.
마지막에 말씀해주신 ‘최적 전략’을 모두가 알고 있으면 경쟁성이 없다… 와 뼈 때리네요..ㅋㅋㅋ
@djdiej806 19
2022년 3월 09일 18:04교수님 멋지십니다 ㅎㅎ 이해 잘되도록 설명해주셔서 감사합니다
@littlehabit 17
2022년 3월 09일 17:42스트레스를 받았다는 증거 2가지
: 공격적이 되거나, 도망가고 싶은 기분이 든다.
아하ㅏㅏ...
스트레스 잘 받는 사람으로서 공감되었습니다.
스트레스가 배쪽에서 나오기도 한다니!!!!
처음 알았어요!!!!
스트레스 저항성이 있으면 안 그래 보이기도 한다.
전두엽에서 이성적으로.. 가족 생각하고 그러느라 버티고 있는 것 ..👪
겉으로 정상으로 보인다고 해서,
괜찮은 것은 아니다.
@ahhhh1019_ 16
2022년 3월 10일 17:35정말 유익한 영상이었습니다 요즘 회사 스트레스가 너무 심해서 눈이며 목이며 몸 내부며 온갖 병이 한번에 오고 진짜 힘들었는데.. 희망이 생겼습니다 감사합니다 교수님! 이런 인터뷰를 해주신 신사임당님!
@루루루루루스 13
2022년 3월 09일 21:44와 너무 좋은 말씀 감사해요. 남을 성공시키려고 1억을 모으는데요. 여러 고민이 많습니다. 개척자로서 제가 좋아하는 일을 꾸준히 하겠습니다. 저에게 용기를 주셔서 감사합니다.
@신선빈-q4l 12
2022년 3월 09일 21:20과학이야기인데 이상하게도 마음의 힘듦을 극복하고 가요 ㅋㅋㅋㅋ 감사해요!
o oo 10
2022년 3월 11일 11:48플랫폼이 수수료 빼먹는 도둑이아니라 남을 성공시키는걸로 돈 번다는 말이 너무 좋네요
@rarazzang5199 9
2022년 3월 09일 21:09불교에서 말하는 알아차림 수련 .싸띠 같은 느낌입니다. 뇌가 분리되는 느낌 ㅎ 메타인지와 관련있군요.ㅎ 감사합니다.~^^ 도움이 됩니다~~
@NOGOSANStay 9
2022년 3월 09일 23:53신사임당님 항상 퀄리티있는 콘텐츠 전해주셔서 감사합니다.
@TV-gh2gg 9
2022년 3월 11일 12:48내 이웃을 내 몸과같이 사랑하라는 예수님의 말씀이 떠오르내요.
@copycat4725 8
2022년 3월 09일 18:55설명 너무 쉽게 잘하시네요~ 이해 쏙쏙!!
@jungs95 8
2022년 3월 09일 19:19아이들에게 넓은 대양을 보여줘라.
그러면 아이들이 큰 배를 만들 것이다.
쌩 떽 쥐베리
교수님 덕분에 좋은 내용 알게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Jay 8
2022년 3월 20일 22:04정말 재밌게봤습니다! 교수님이 말씀해주신 방법들도 새롭고 재미있었고, 교수님께서 mz세대를 따뜻하게 바라보고 조언해주셔서 좋았어요! 나만의 길을 찾아봐야겠다는 생각이 드네요. 좋은영상 감사합니다~
@kwanginback237 7
2022년 3월 22일 15:20진리다. 잠시 흔들렸던 깨달음을 바로 잡을 수 있도록 리마인드 시켜주시는 말씀입니다. 감사합니다.
JY 6
2022년 3월 09일 17:39유익하고 재미있습니다~~^^
@이미화-y5q 6
2022년 3월 21일 18:29뇌가 재구성 한 세상에서 나와 진짜 세상을 보라
너무나 멋진 말인것 같아요
@schoi3-k7k 5
2022년 3월 24일 14:28좋은 컨텐츠 만들어주신 신사임당님 그리고 김교수님 감사합니다.
@jhhan9939 5
2022년 4월 20일 08:08뇌과학 너무 재밌어요! 개인적으로는 윤리 철학보다 제 자신에 대해 이해하는데 훨씬 도움이 되는 것 같아요 :)
리치엘 5
2022년 3월 09일 19:58교수님 넘 잼있어요 감사합니다
신사임당님도 감사해요
김혜민 5
2022년 3월 09일 17:16유퀴즈나오셨던 교수님이시네요^^
@tv.7770 5
2022년 3월 28일 16:45우리의 뇌 🧠 는 공부하면 할수록
신비롭고 재밌는것 같아요. 👍
좋은 내용 쉽게 풀어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 행복한 하루 되세요
@이동주-y6b 5
2022년 3월 09일 22:49신사임당을 구독하기을 참 잘했다.
@장희정-s9j 5
2022년 3월 29일 13:30신사임당님..죄송한 부탁일수도 있는데요
개인적인 바람은
혹시 자막도 넣어 주실수 있을까요
피포링 4
2022년 3월 09일 17:02와!
habit little 4
2022년 3월 09일 17:092:39 AI 되셨엌ㅋㅋㅋㅋㅋㅋ
아. 지금. 내. 뇌에서. 분노가. 나오고. 있습니다.
@millimer6465 4
2022년 4월 06일 12:24신사임당님은 일단 목소리가 듣기에 편안라고, 게스트님을 빛나게 하면서도 그 분의 의견이나 심중.강의를 어떻게 이렇게 잘 이해하고 리액션도 잘하고 마무리도 훈훈하게 잘할까요? 언제나 본받고 싶은 분.
@쩡써니-c9g 4
2022년 3월 09일 18:26가만히 듣고 있다가 네비게이션에서 탁! 그렇구나 ..그랬었네
@신금빛 4
2022년 3월 13일 03:48아무리 똑똑한 사람도.. 자기 인생을 알 수 없죠. 세상은 사람이 알고 있는 것만으로 생각한 예상대로 안됩니다. 그게 당연하고요.. 빅데이터대로 행동하는 것은.. 그나마 실패가 적은 전략을 따라가려는 거라 생각하고요. 그 외의 차원에서 전략을 짜려면 도박같아지겠죠. 운에 맞겨야하는.. 그래서 인생은 운도 있어야 하나 봅니다.
@penguin8471 4
2022년 3월 16일 18:21머리 좋은뎨~
뇌가일부러 쉬고 있다는 표현에
빵 떠짐~~~
@BirdBlk 3
2022년 3월 09일 18:35오늘 너무 좋은 시간이었습니다
h s 3
2022년 3월 14일 13:20유행따라 가는것이 아니라 내가 잘 하는 것을 깊이하면 언젠가 기회는 온다!
모두가 알고있는 지식으로 모두가 도전하면 분배되는 결과는 작다!
큰 영감을 주셨습니다 감사합니다!
habit little 3
2022년 3월 09일 17:4418:09
저 사람 전두엽을 응원해줘야겠다!
오 역시.. 굉장히 전두엽이 발달돼 있으신데요?!
아까 얘기해주셔서 ㅎㅎ
매우 훈훈합니다😊👍
coco florian 3
2022년 3월 09일 18:58재밌게 잘봤습니다 경제학 배울때 게임이론 슬쩍들었던거라 반갑네요ㅋㅋ
복댕이 이소형 3
2022년 3월 09일 18:04정보감사드립니다
@한희-v4u 3
2022년 3월 09일 20:44유퀴즈 나오셔서 알게되었어요~^^ 영상 정말 잘 봤습니다~ 감사합니다~^^
@wltjdwkd 3
2022년 3월 17일 08:50뇌타인지! 메타인지! 현실인지! 상황인지! 행동인지! 💡🙂👍🏻
@maekjin 2
2022년 3월 12일 23:25필요부분 정리 ✍
(메타인지-뇌와 정신을 분리해서 생각)
내가 화난것이 아니라 내 뇌가 전기적 신호와 작용으로 화난것이고 스트레스를 받으면 화내거나 도망•회피
왜 그럴까? 통찰해본다
인공지능기반 빅데이터보다 본인이 스스로 생각하고 결정해본다면 경쟁력 높아진다
왜?
남들이 전부 빅데이터를 활용하기 때문에 경쟁력이 없다
@포뇨-f5z 2
2022년 3월 22일 13:13나에 대한 확장.. 이웃을 내몸과 같이 생각하라
habit little 2
2022년 3월 09일 18:5422:05 아무나 생텍쥐페리 하는 것이 아니여~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넘나 재밌어요😆
한도희 2
2022년 3월 11일 10:41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덕분에-s5x 2
2022년 5월 23일 08:30아~~교수님~~ㅋㅋ
완전 팬이예요~
어려운 뇌이야기 늘 잼나게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우리아들은..뇌를 좋게하기위해..
공부를..안하는거다..일부러..안하는거다.
교수님덕분에 오늘도 아들의 깊은뜻을 알고갑니당~.ㅎㅎㅎ
토월(吐月) 2
2022년 3월 10일 14:02좋은영상 잘 시청합니다
감사합니다 ^^
이명 2
2022년 3월 09일 20:43정말 재미있게 잘들었습니다
강하합니디
NS 2
2022년 4월 09일 18:25교수님 마지막에 나만의 고유전략을 여유있게 찾으면 mz 의 미래가 밝다는 조언 넘 좋습니다 기성세대에 대한 반성과 본인의 솔직한 경험 나눠주시는 참 겸손하신 분이시네요! 몰입력 높은 신사임당 칭찬해요 ㅋㅋㅋ
nnn uuu 2
2022년 3월 10일 16:56우와.. ㅎ새로운 인식이네요
마지막이 핵심이네요 끝까지보세요ㅎ
@미세스리-n7w 2
2022년 3월 27일 17:19교수님 재미있는 시간이었어요
감사합니다^^
@yu-cw4xs 1
2022년 3월 24일 06:54나도 내 뇌가 만들어낸 고통스런 세상에서 살아왔던 건가 다시 봐야겠습니다
@YJYSYHY 1
2022년 4월 14일 13:06영상 감사합니다~ 유익하고 진심으로 두분 행복하고 재밌어보여요
아침1도 - 돈그릇 키우는 채널💴 1
2022년 3월 09일 17:17이해는 되네요 ㅎ
sungchang Bae 1
2022년 3월 23일 14:11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테북 1
2022년 3월 09일 17:43넘흐 재미있어요~
유푸로 1
2022년 3월 27일 04:33요새 뇌에 관심이 많았는데 흥미있게 들었습니다!. 감사합니다^^
@tklee2198 1
2022년 4월 23일 18:34교수님 너무 잘 들었습니다. 감사합니다
@존경하는맥아더장군님 1
2023년 5월 27일 11:53무조건 다른 사람을 따라가는 것이 아니라, 자기의 전문성을 키우는 것* 오늘의 포인트.
@JH-jc1qm 1
2022년 4월 12일 21:10깨달음....^^
머리속과 우주속 세계가 너무도 커서 서로 비슷하다고 샹각했습니다. 깨달음이라는 교수님의 말씀듣고... 심리와 과학이 이렇게 통한다는게 참 신기합니다^^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사라
2022년 4월 05일 03:52높은 목표를 보여주는 사람이 없었네..ㅠㅠ
Eunsae Lee
2022년 4월 06일 06:18유용한 영상입니다^^
경민
2022년 5월 14일 07:23박사님 말해주는거라 그런지 내용이 확실히 고급지네요 잘봤어요
@scoutfinch_2023
2022년 4월 06일 13:05기분이 좋아졌어요~! 유익하고 재밌는 내용 너무 감사합니다~!
@ssss-jm7fe
2022년 7월 29일 08:31어제 스트레스 만땅받고 밤새 끙끙거리다 이 유튜브보고 뇌와 나를 분리. 확장시킨다는 말씀이 너무 와닿습니다~감사합니다
@zxcvzxc
2023년 9월 02일 20:34평소 철학 심리 관심이 많았는데 교수님 설명 듣다보니 뇌과학이 더 재밌네요 조금 더 딱 떨어지는 명쾌한 분야라 그런가봐요
쏘머즈
2022년 3월 09일 18:58앗. 사임당님 헤어스타일 바뀌셨당^^
@santaya502
2023년 4월 18일 12:469:43
일본 유학시 선로에 빠진 사람을 구하고 본인이 희생된 고 이수현씨. 저도 이 부분이 해결되지 않았어요. 어떻게 그런 행동이 가능한지 성품으로 용감함이 발현이 된것인지 궁금했습니다. 이번 강의를 통해서 어느정도 해결이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나를 규정하는 아바타가 신경회로가 있는데 이에 가소성이 있어서 축소와 확장으로 가능한 일. 나를 확장하면 확장한 대상을 위해서 나와 같이 생각할수 있다.’ 서로를 서로에게 확장할 수 있는 프로그램: 밥먹는것, 작은 프로젝트로 하나로 협업하여 성취를 이루는 경험으로 시너지, 집단지성의 이득을 나누면 확장가능하다.
@잡초-w2n
2022년 10월 27일 03:51자신이 잘할 수 있는 거 하라는 말이 와닿네요
Jindol
2022년 3월 09일 18:27명상도 본질은 뇌과학 ㅇㅇ
@minimoonzahir
2022년 4월 03일 09:56인재선별기준 : 타인의 성공을 도울 수 있는 가? 라는 가치의 기준(이타성-'뇌'의 확장)
@최은주-n3z
2022년 4월 03일 00:28김대수교수님의 팬이 되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