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님 강의는 잘 봤습니다. 불황이 당장 오지는 않더라도 어떤 트리거에 의해 불황이 발생할 환경이 충족되어있다는 의견에는 어떤 생각인지 궁금하네요. 즉, 부채문제(연체율이 아닌 부채의 규모)가 문제가 불황으로 이어질 가능성 또는 미 대선이후 FED의 금리인상과 다시 자산축소 할 가능성 등에 의한 불황에 진입할 조건이 충족되었는지에 대한 강의도 들을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2008년 금융위기 당시 미국 부동산 시장이 무너지면서 시작된 것으로 알고있는데요. 당시 LTV를 100%를 초과해서도 대출이 나올만큼 대출이 활발했기 때문에, 부동산 거품이 발생했다고 알고있습니다. 그렇다라면 08년 이전까지 대출심사가 굉장히 완화된 상태라고 이해가 되는데, 왜 데이터는 08년 이전부터 대출심사가 까다로워졌다고 표시되는걸까요?
홍박사님 항상 잘 보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학부 공부중인 경제학부 대학생입니다. 하나만 질문 드려도 될까요? 단기금리가 장기금리를 상회할때 은행이 대출을 줄이는 이유는, 장기금리에서는 그 위험성과 유동성 문제에 비해서 금리가 낮기 때문인 것이고, 단기금리에서는 높은 금리란 하이리스크-하이리턴 대출자를 낳기 때문이라고 생각하면 적절한 것인가요?
@넓은바다-g1n 3
2020년 2월 24일 07:35홍박사님 이런 고급정보를 이리 쉽게 알려주시니 항상 감사드립니다
@주자왕파킹 1
2020년 2월 24일 07:14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미국 경제는 상당히 견고하군요.
@musesoul8622 1
2020년 2월 24일 08:04감사합니다 : )
코로나가 왔어도
미국경제는
아직 견고하다는 말씀
감사합니다 : -)
@SteveJobs_ 1
2020년 2월 25일 06:48코로나로 인한 폭락이 상상을 초월할 정도네요
시장 참여자들이 전부 경제전문가가 아니라 그런건지..
@odysseushero7403 1
2020년 2월 24일 08:30박사님 강의는 잘 봤습니다. 불황이 당장 오지는 않더라도 어떤 트리거에 의해 불황이 발생할 환경이 충족되어있다는 의견에는 어떤 생각인지 궁금하네요. 즉, 부채문제(연체율이 아닌 부채의 규모)가 문제가 불황으로 이어질 가능성 또는 미 대선이후 FED의 금리인상과 다시 자산축소 할 가능성 등에 의한 불황에 진입할 조건이 충족되었는지에 대한 강의도 들을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조민규369 1
2020년 2월 24일 11:10저서 돈의 역사도 그렇고 경제에 대해서 참 알기쉽게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jenicek6860
2020년 2월 24일 07:01좋은 강의 감사드립니다.. 좋아요 그리고 강의 듣기 시작...
@구청회-p7b
2020년 2월 28일 23:492008년 금융위기 당시 미국 부동산 시장이 무너지면서 시작된 것으로 알고있는데요. 당시 LTV를 100%를 초과해서도 대출이 나올만큼 대출이 활발했기 때문에, 부동산 거품이 발생했다고 알고있습니다. 그렇다라면 08년 이전까지 대출심사가 굉장히 완화된 상태라고 이해가 되는데, 왜 데이터는 08년 이전부터 대출심사가 까다로워졌다고 표시되는걸까요?
@종이비행기-s3j
2021년 1월 14일 01:16감사합니다
박정우
2020년 2월 24일 18:02좋은 말씀 고맙습니다. 건강하세요.
@박성진-f2s
2020년 6월 06일 21:05오우야... 지금 확인했더니 말씀하신대로 '코로나 바이러스가 전세계로 퍼져' 가 실현돼서 100퍼센트네요...
@rlatvdyd8411
2020년 2월 25일 06:03역쉬 박사님 감사합니다 ~^^
@fe_3956
2020년 2월 24일 08:58홍박사님 항상 잘 보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학부 공부중인 경제학부 대학생입니다. 하나만 질문 드려도 될까요?
단기금리가 장기금리를 상회할때 은행이 대출을 줄이는 이유는, 장기금리에서는 그 위험성과 유동성 문제에 비해서 금리가 낮기 때문인 것이고, 단기금리에서는 높은 금리란 하이리스크-하이리턴 대출자를 낳기 때문이라고 생각하면 적절한 것인가요?
@126gnuj
2020년 2월 24일 09:38♥
@tigerjj821
2020년 2월 24일 20:21감사합니다 박사님. 많은 것을 배우고 있습니다.
@라니아케아-v5o
2020년 2월 24일 22:48그래두 지표들이 고개를 들고 있다는 느낌은 드네요 잘 보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