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수빈 아나운서님께서, ENTP로서의 탐구력과 체계화 능력을 사용하여, 성공한 사람들 혹은 운을 개척한 사람들, 부를 이룬 사람들에 대한 공통점들에 대해, 아나운서로서 사회적, 경제적으로 성공한 분들을 만나면서 쌓은 경험을 근거로, 중요한 말씀을 많이 해주신듯 합니다. 워낙 솔직하신 성격이라, 학벌이나 돈에 대해 가감없이 현실적으로 얘기를 해주셔서 몇몇 분들은 거칠다고 느끼실 수 있지만, 특히 어제보다 내일 더 삶이 나아지시길 원하고 발전하고픈 분들이라면 공감하고 곱씹어볼만 어드바이스를 많이 해주신거 같습니다. 저도 S대를 나왔지만 학벌이라는게 안정성을 주고 리스크를 피하게 해주는 장점이 있습니다. 다만, 누구나 성공하는 것도 아니고, 성공에 있어서 학벌이 점점 중요해지지 않는 사회가 되어가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결과가 매우 좋았던 동기들을 보면, 대다수가 선택하지 않은, 리스크가 커보이지만 새로운 필드(자기관심 혹은 확신에 기반해서)에 도전을 한 사람들이 결과가 매우 좋습니다. 매우 희소한 선택을 해야하기에 성실함과 두려움을 뛰어넘는 용기도 필요합니다. 화생공을 전공했지만 스타트업에 뛰어든 오늘의 집 대표님 같은 분들이 그런 사례 같습니다. 다만, 여기 나온 얘기들처럼 그런 성공이 가정적인 성공이나 행복에 비례하지는 않는듯 합니다. 나이가 조금 들고 보니, 확률적으로 사람이나 사고에 의한 혹은 건강에 의한 불운을 맞이하는 경우도 종종 목격하는 것 같습니다. 인생의 행복과 비례하지 않으니 조수빈 아나운서님의 학벌만을 부러워 하실 필요는 없는 것 같습니다. 다만, 유튜브라는 새로운 영역에서 학벌없이도 신기원을 열어가시는 김작가님이나, 공중파 9시 뉴스의 타이틀에 얽매이지 않으시고, 본인의 성격을 숨기거나 포장하기 보다, 자연스럽게 드러내시면서, 미술, 자기계발, 투자, 귀인과의 만남 등을 통해 계속 도전하시는 조수빈님의, “성실함과 통찰력, 재능”은 너무 부럽고 배우고 싶습니다. 그냥 주어지는게 아니라는 생각이 들기에 소중한 탈렌트라고 생각합니다. 두분 자주자주 만나 얘기 들려주시면 좋겠습니다.
진솔한 대담 감사드리며 느낀점 몇자 적습니다. 시험을 잘보는 사람도 있고 노래를 잘 하는 사람, 만드는 것을 잘 하는 사람, 남 웃기기를 잘하는 사람 등 서로의 달란트가 모두 다른데, 우리의 초중고등학교 교육이 시험을 잘보는 dna가 우수한 사람에게 유리한 환경이기에 학벌사회가 되는 것 같습니다. 따라서 모든 학생들이 저마다의 소질을 계발하고 거기에서 행복을 찾도록 우리 사회가 변화해야 모두가 사회적 리스크가 적은 사람들이 될 것이라고 행복한 사회가 될 거라 생각합니다. 그러므로 대학의 서열화를 조장하는 지금의 교육적 환경은 대부분의 학생들의 자존감을 상실하게 하며, 사회가 사람들을 등급으로 나누는 사회가 되므로 앞으로의 교육은 모든학생들이 행복하고 지속가능한 능력을 갖도록 교육혁신이 절실히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김작가님 게스트중에 가장 기억에 남는 분입니다 엄마로서 직장인으로서 그리고 자신만을 위한 나로 살아가기가 매번 시간이 부족하다고 느끼고 모든걸 다 해나가는건 내 욕심인가 좌절했었는데 곰곰이 생각해본결과 주어진 시간안에 집중하고 그시간을 충실히 보내는것만이 가장 시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한다는 것임을 느꼈습니다 오늘 콘텐츠 보고 느낀점이 많습니다 자녀 교육방법이라던지 너무 주옥같은 말씀이었어요 요즘 투자에 관심을 가지면서 정확히 10년전의 저를 돌아보고 경제관념에 무지했던 제 자신이 너무 안타까웠습니다 저를 객관화 해보니 좋은 직장 그만둔 것도 도피성이었음을 인정하게되었습니다 10년 후에는 적어도 지난 후회를 반복하는 일은 없어야겠다 느꼈습니다 가끔 힘들때 영상 다시 보려고 저장해놨어요 이런 강의를 무료라는게 놀랍네요 감사합니다 ❤️
수빈님 말씀 공감합니다. 가정은 돈도 학벌도 물론 중요하겠지만 사랑과 신의와 가족간의 단결이 더 중요한거 같아요.울 둘째두 서울대다니지만 본인의 노력도 물론있었겠지만 가족모두의 바람과 협조가 없음 요즘은 서울대들어가기 힘듭니다.본인이 잘나 들어간줄알더니 군대도 다녀오더니 좀 겸손해졌다할까! 하지만 역시 다르긴하더라구요. 하지만 살아가는데 도움이 많이 되겠지만 필수조건은 아니란걸, 그세계서도 서로 경쟁하며 실패와 좌절을 경험하면서 커가는거 같아요.어려서부터 남달라 조심스럽게 키웠어요. 사람과의 관계가 중요하다는걸. 나중에 더 크면 알겠죠. 무슨의미인줄. 조수빈 아나운서처럼 잘 커줌 좋것네요. 잘봤읍니다.
저 같은 경우는 어쩌다 보니 대학교를 3군데 다녔었는데, 좋은 학교 나쁜 학교가 수업의 질 보다는 학생들의 마음 가짐에서 좀 차이가 났던 것 같아요. 소위말하는 좋은 학교 학생들은 장래에 대해서 목표치가 높고, 목표가 있고 선배들 노하우가 있기 때문에 더 집중해서 준비할 수 있는데, 좀 안알려진 학교 다니면 학생들 자체가 졸업해도 취직은 잘할까, 자기가 할 것이 있을까 걱정을 많이 했던 것 같아요. 목표가 명확하지 않으니까, 집중하기 힘들고 이것저것 손을 데거나, 아예 학교 그만두고 다른 일 알아보기도 하고요. 그래서 대학교들 보면 리더십 교육을 중시하는 곳이 있습니다. 리더십 키워나가면 자연스럽게 미래를 생각하면서 공부하게 되니까요. 공부가 좋아서 박사까지할 것 아니라면, 대학생 때는 책 한권 읽는 것보다 그런 인생 교육이 더 중요하다고 봅니다. 유익한 인터뷰 감사합니다.
학벌이 뭐가 중요하나? 삶을 대하는 자세가 중요하지. 그리고 계명대가 서울대의 반대의 극에 있는 학교도 아니라 나름 의식이 뚜렷한 학생들이 많이 있더라. 김작가도 그 중의 한명. 젊은이들아~절대 학벌로 스스로의 한계를두거나 자신을 평가하지마라. 세상은 정말 다양한 사람들이 다양한 일을하고 있어서 본인의 의지에 따라 삶이 결정된다
ㅋㅋㅋ 조수빈 아나운서야 워낙 유명하고 레전드지...자녀분들 잘 가르치고 계시네 ㅋㅋㅋ 루틴 정말 중요하죠...자녀분들이 공부 욕심은 엄마 닮아서 잘하겠네...울 아들 대학 학교 선배라 달리 보이시네 자녀들 키워보니 셩격들이 커가면서 결국은 공부욕심. 미래 욕심이 승부하더라고 또한 다른 부모와 몇마디 담소 나누다 보면 자녀교육에 관한 결과지가 대략 85% 답 나오지 ...재밌게 봤어요...김작가님도 입지전적 응원합니다
성공과 실패의 핵심요인은 행운임. 틀림없음! 선택은 여러분 몫입니다. 일개 아나운서에 불과한 조수빈 따위가 말하는 길을 갈지, 아니면 수십억명에게 영향을 끼친 역사상 가장 영향력 짱!짱!짱!이신 위대하시고 거대하신 사상가 3등 안에는 무조건 들만한 마르크스 같은 천재님이 말씀하신 길을 갈지, 어느쪽을 선택하든 건투를 빕니다만....
승자와 패자의 타고난 재능차라는 건 크지 않음.(적어도 운적요소에 비하면 그 차는 조족지혈!) 그래서 성공한 사람의 인생철학이라고 한들 실패한 사람의 인생철학보다 특별히 나을게 없지. 아니! 오히려 실패한 사람들의 인생철학이 훨씬 수준이 높을 수 있어. 즉, 철학의 내부논리구조가 훨씬 탄탄하고 합리적일 수 있지. 승자는 굳이 말로서 자신의 성공을 합리화할 필요성이 사실 없거든. 게다가 승자는 교만해지기 쉬워 인생철학도 내부논리가 엉성할 수 있음. 그러다보니 대다수의 장삼이사들은 승자의 논리보다 패자의 논리에 더 혹하기 쉬움. 패자의 인생철학 내부논리는 탄탄하기도 하거니와 (사람들에게 내보일 성공적 결과물이 없는 걸 말로서 극복하려하니 얼마나 머리를 썼겠냐고!!), 대부분의 인간이란 게으르기 마련이고 패배에 대한 두려움으로 도전을 꺼려하는 상황에서 자신의 나약함에 대한 변명을 끝내주게 해주니 얼마나 고맙겠냐고ㅎㅎ... 그렇게 장삼이사들은 인생 끝날때까지 패자의 논리에 허우적거리다 도전한번 제대로 해보지 못하고 허물어져 가는게지. 성공의 철학을 따른다고해서 성공하는 건 결코 아님! 허나 한가지만큼은 단언할 수 있음. 패자의 논리를 공부하다보면 결코 인생에 진정한 꿀맛을 볼 일은 없을거야. 뜻이 있다고 꼭 길이 있는 것은 아니지만, 있는 길도 뜻이 없다면 보이지 않는 법이거든. 만날천날 세상 탓 남 탓만 하는 인간들의 논리(게다가 장삼이사 따위와는 비교도 안될만큼 세계적인 사상가들이 구축해놓은 천재적 논리!), 그런 논리에 빠져사는데 어떻게 다른 길이 보이겠어?
노력과 성실 이게 핵심인듯 왠만해선 평생 이 기질을 극복 못하는 듯 그리고 이게 부모로부터 내림되는 것도 큼. 삶을 대하는 자세, 내 삶을 만들어 가는 태도는 타고난 기질과 부모로부터의 환경인듯. 운이 좋아 부모아닌 선생님이나 주변 타인이 동기가 되기도 하는데 그래서 사회적 역할도 중요한듯 그리고 지능은 발현되는 분야가 다른듯 분야별로 요구되는 지능. 아이키울 떄 가장 고민되는 건 구독자 2백만 김작가님 부모님은 아이를 앉혀놓고 조수빈 아나우서님이 자녀에게 하는 그런 일을 하시지 않았을 것 같은데. 조수빈님 말씀처럼 리스크를 줄이기 위해 부모주도적으로 무언가를 해주어야하는지 아니면 자율성을 최대한 보장해주고 사랑과 남한테 피해를 주면 안되는 사회적 규범를 가르쳐 주는 정도만 하면 되는 것인지 그게 고민
@부자마인드.뱅뱅 32
2022년 3월 11일 20:22조수빈 아나운서님께서, ENTP로서의 탐구력과 체계화 능력을 사용하여, 성공한 사람들 혹은 운을 개척한 사람들, 부를 이룬 사람들에 대한 공통점들에 대해, 아나운서로서 사회적, 경제적으로 성공한 분들을 만나면서 쌓은 경험을 근거로, 중요한 말씀을 많이 해주신듯 합니다. 워낙 솔직하신 성격이라, 학벌이나 돈에 대해 가감없이 현실적으로 얘기를 해주셔서 몇몇 분들은 거칠다고 느끼실 수 있지만, 특히 어제보다 내일 더 삶이 나아지시길 원하고 발전하고픈 분들이라면 공감하고 곱씹어볼만 어드바이스를 많이 해주신거 같습니다. 저도 S대를 나왔지만 학벌이라는게 안정성을 주고 리스크를 피하게 해주는 장점이 있습니다. 다만, 누구나 성공하는 것도 아니고, 성공에 있어서 학벌이 점점 중요해지지 않는 사회가 되어가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결과가 매우 좋았던 동기들을 보면, 대다수가 선택하지 않은, 리스크가 커보이지만 새로운 필드(자기관심 혹은 확신에 기반해서)에 도전을 한 사람들이 결과가 매우 좋습니다. 매우 희소한 선택을 해야하기에 성실함과 두려움을 뛰어넘는 용기도 필요합니다. 화생공을 전공했지만 스타트업에 뛰어든 오늘의 집 대표님 같은 분들이 그런 사례 같습니다.
다만, 여기 나온 얘기들처럼 그런 성공이 가정적인 성공이나 행복에 비례하지는 않는듯 합니다. 나이가 조금 들고 보니, 확률적으로 사람이나 사고에 의한 혹은 건강에 의한 불운을 맞이하는 경우도 종종 목격하는 것 같습니다. 인생의 행복과 비례하지 않으니 조수빈 아나운서님의 학벌만을 부러워 하실 필요는 없는 것 같습니다.
다만, 유튜브라는 새로운 영역에서 학벌없이도 신기원을 열어가시는 김작가님이나, 공중파 9시 뉴스의 타이틀에 얽매이지 않으시고, 본인의 성격을 숨기거나 포장하기 보다, 자연스럽게 드러내시면서, 미술, 자기계발, 투자, 귀인과의 만남 등을 통해 계속 도전하시는 조수빈님의, “성실함과 통찰력, 재능”은 너무 부럽고 배우고 싶습니다. 그냥 주어지는게 아니라는 생각이 들기에 소중한 탈렌트라고 생각합니다. 두분 자주자주 만나 얘기 들려주시면 좋겠습니다.
@raphaelpic7885 32
2022년 3월 11일 23:14진솔한 대담 감사드리며 느낀점 몇자 적습니다.
시험을 잘보는 사람도 있고 노래를 잘 하는 사람, 만드는 것을 잘 하는 사람, 남 웃기기를 잘하는 사람 등 서로의 달란트가 모두 다른데, 우리의 초중고등학교 교육이 시험을 잘보는 dna가 우수한 사람에게 유리한 환경이기에 학벌사회가 되는 것 같습니다. 따라서 모든 학생들이 저마다의 소질을 계발하고 거기에서 행복을 찾도록 우리 사회가 변화해야 모두가 사회적 리스크가 적은 사람들이 될 것이라고 행복한 사회가 될 거라 생각합니다. 그러므로 대학의 서열화를 조장하는 지금의 교육적 환경은 대부분의 학생들의 자존감을 상실하게 하며, 사회가 사람들을 등급으로 나누는 사회가 되므로 앞으로의 교육은 모든학생들이 행복하고 지속가능한 능력을 갖도록 교육혁신이 절실히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Omosiroi 31
2022년 3월 11일 18:39성취감 진짜 중요합니다.
@하늘-t1u3q 28
2022년 4월 09일 23:09명문대학을 나왔다는건
노력에 대한 보상이라 생각해요.
삶에 있어 많은 리스크를 피할 수 있었다는 말이 맘에 담아집니다.
@jeeyounglim634 28
2022년 3월 11일 18:01조수빈 아니운서 팬 됏어요. '척'하지 않는 태도가 참 듣기 편하네요. 말하는거에 재능도 있으시지만...
@TV-qj1qo 25
2022년 3월 12일 08:15계명대졸업해 성공한 김작가가 훨씬 멋있다😍😍
@coconut1133 21
2022년 3월 12일 00:06경제의 여유와 학벌이랑은 아무관계가 없더군요
얼마나 시대의 흐름과 사람들의 심리를 꿰뚫는 지혜가 있냐 그리고 죽을듯한 노력 그게 갖춰지면 성공하더군요 근데 진정한 성공은 자신의 만족감이 중요함
@얌얌얌-f8j 20
2022년 3월 12일 10:31김작가님 게스트중에 가장 기억에 남는 분입니다
엄마로서 직장인으로서 그리고 자신만을 위한 나로 살아가기가 매번 시간이 부족하다고 느끼고 모든걸 다 해나가는건 내 욕심인가 좌절했었는데 곰곰이 생각해본결과 주어진 시간안에 집중하고 그시간을 충실히 보내는것만이 가장 시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한다는 것임을 느꼈습니다
오늘 콘텐츠 보고 느낀점이 많습니다
자녀 교육방법이라던지 너무 주옥같은 말씀이었어요 요즘 투자에 관심을 가지면서 정확히 10년전의 저를 돌아보고 경제관념에 무지했던 제 자신이 너무 안타까웠습니다 저를 객관화 해보니 좋은 직장 그만둔 것도 도피성이었음을 인정하게되었습니다
10년 후에는 적어도 지난 후회를 반복하는 일은 없어야겠다 느꼈습니다
가끔 힘들때 영상 다시 보려고 저장해놨어요
이런 강의를 무료라는게 놀랍네요
감사합니다 ❤️
@androlee5580 18
2022년 3월 12일 10:19김작가님 같은 대구인, 지방대 출신으로 멀리서 좋은 방송 잘 지켜보고 있습니다. 계속 좋은 방송 부탁드립니다~~~
@sny8000 16
2022년 3월 12일 16:10솔직하고 현실적이어서 좋다. 좋은 말은 누구나 할수 있다
@타이거-q2m 16
2022년 3월 12일 03:34공부 잘하고 열심히하고, 일 열심히 한 사람들이 잘사는것이 당연합니다.
학벌도 존경 받아 마땅합니다
@2024터닝포인트 15
2022년 3월 11일 17:34오호 짧은데 알차고 솔직하고 실용적이라 몰입해서 봤어요👍👍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Thanks-life 14
2022년 3월 12일 05:05조수빈 아나운서 님 가정의 행복이 우선 이다, (공감 합니다)
지혜가 뛰어 나신 분 이네요,
응원 합니다,
@LSH-e4f 12
2022년 3월 14일 16:54어린아이 엄마임에도 아이교육에 노하우 수준이 뛰어나신것 같아요. 좋은습관 들여주려는 성실한 엄마...아이들이 복 받았네요^^ 멋지세요 조수빈아나운서님!!^^
한커리 10
2022년 3월 12일 16:50루틴이 없는 사람이 루틴을 만들기는 쉽지 않다라는 말에 크게 공감합니다.
@jolly_yoyo 10
2022년 3월 11일 19:3610대에 고도의 경쟁에서 이기고나면 그이후엔 오래오래 그 영광을 누리고
@나비-m9h 10
2022년 3월 11일 17:30노력의 댓가. . 학벌 .무시 못하지요.
@방이지-c9c 10
2022년 3월 11일 18:20작가님 대구에서 항상 응원하고 있습니다~~♡♡
@maekjin 9
2022년 3월 11일 23:29솔직하시고 또 현실적인 이야기를 해주시니까 안볼수가 없네요~ 2편도 넘 재밌어요 🥰
@lucky_tv 9
2022년 3월 11일 21:11🌟 『조수빈 아나운서_2부작 영상』 바로 보러 가기
👉 1부. https://www.youtube.com/watch?v=OO00nK6uhhk&t=1661s
👉 2부. https://www.youtube.com/watch?v=I6Sdy_CcyZc&t=1060s
📚 김작가 신간 『럭키』 도서 구매
👉 https://bit.ly/3mnVYDq
🌟 김작가 『자기계발 강좌』 클래스 101 보러 가기
👉 https://class101.page.link/authorkim_class
@별빛지기오공 8
2022년 3월 11일 22:11시간관리에 관한 한줄 포인인트
그 시간 집중!!
역쒸 김작가님의 진행력~♥︎
빛나네요
@피톤치드-h4u 8
2022년 3월 11일 17:25점점 더 멋지십니다~~
고맙습니다~^^
@원더우먼-t8q 7
2022년 3월 12일 09:20수빈님 말씀 공감합니다. 가정은 돈도 학벌도 물론 중요하겠지만 사랑과 신의와 가족간의 단결이 더 중요한거 같아요.울 둘째두 서울대다니지만 본인의 노력도 물론있었겠지만 가족모두의 바람과 협조가 없음 요즘은 서울대들어가기 힘듭니다.본인이 잘나 들어간줄알더니 군대도 다녀오더니 좀 겸손해졌다할까! 하지만 역시 다르긴하더라구요. 하지만 살아가는데 도움이 많이 되겠지만 필수조건은 아니란걸, 그세계서도 서로 경쟁하며 실패와 좌절을 경험하면서 커가는거 같아요.어려서부터 남달라 조심스럽게 키웠어요. 사람과의 관계가 중요하다는걸. 나중에 더 크면 알겠죠. 무슨의미인줄. 조수빈 아나운서처럼 잘 커줌 좋것네요. 잘봤읍니다.
@상-f2u 7
2022년 3월 11일 18:10이렇게 짧으면 안되는데요ㅠㅠ 2편이 정말 끝인가요?
@주왕-x5u 7
2022년 3월 12일 08:52아나운서님 말씀에 깊이가 있으시네요.
많이 배워갑니다..감사합니다!
JAEGU KA 7
2022년 3월 11일 18:30다 좋은데...
아나운서님이
"가르치다"와 "가리키다"를
잘못 쓰신건 좀.....그러네요...
Good Dr. 7
2022년 3월 12일 02:02" 엉덩이 붙이는 것을 습관화 하는것 "
쉽지않은 이 모습을 만들어 주는것이
부모의 역활이라 봅니다
@기차를타고-v3b 6
2022년 3월 12일 08:58저녁 뉴스를 오랫동안 진행했던
조수빈 아나운서 반갑고요
편안하기도 하고 당당한 토크 잘 들었어요^^
@VintageXO79 6
2022년 3월 24일 05:34저 같은 경우는 어쩌다 보니 대학교를 3군데 다녔었는데, 좋은 학교 나쁜 학교가 수업의 질 보다는 학생들의 마음 가짐에서 좀 차이가 났던 것 같아요. 소위말하는 좋은 학교 학생들은 장래에 대해서 목표치가 높고, 목표가 있고 선배들 노하우가 있기 때문에 더 집중해서 준비할 수 있는데, 좀 안알려진 학교 다니면 학생들 자체가 졸업해도 취직은 잘할까, 자기가 할 것이 있을까 걱정을 많이 했던 것 같아요. 목표가 명확하지 않으니까, 집중하기 힘들고 이것저것 손을 데거나, 아예 학교 그만두고 다른 일 알아보기도 하고요. 그래서 대학교들 보면 리더십 교육을 중시하는 곳이 있습니다. 리더십 키워나가면 자연스럽게 미래를 생각하면서 공부하게 되니까요. 공부가 좋아서 박사까지할 것 아니라면, 대학생 때는 책 한권 읽는 것보다 그런 인생 교육이 더 중요하다고 봅니다. 유익한 인터뷰 감사합니다.
@belly-iw9td 6
2022년 3월 12일 17:32성취감을 느낄 수 있다면 충분히 자신감이 생깁니다. 서울대 갈 수 있습니다. 수험생분들 화이팅하시고 저와 영상보고 화이팅 하겠습니다!!! 선택과 집중!!!
@deankim9996 5
2022년 3월 11일 18:39시간 가는 줄 모르고 다 봤네요.
@법학박사-c2g 5
2022년 3월 12일 04:39최고 동안 미인 조수빈 아나운서님 아름 답습니다
미사리케이알 5
2022년 3월 12일 13:58고졸이지만 행복합니다^^
@sumanjeong6323 5
2022년 3월 20일 21:25학벌이 뭐가 중요하나? 삶을 대하는 자세가 중요하지. 그리고 계명대가 서울대의 반대의 극에 있는 학교도 아니라 나름 의식이 뚜렷한 학생들이 많이 있더라. 김작가도 그 중의 한명. 젊은이들아~절대 학벌로 스스로의 한계를두거나 자신을 평가하지마라. 세상은 정말 다양한 사람들이 다양한 일을하고 있어서 본인의 의지에 따라 삶이 결정된다
@안녕장미 4
2022년 3월 15일 11:58수빈님 저랑 마인드가 비슷해요 너무 잼있게 보고 갑니다
@whshshssjs4053 4
2022년 3월 11일 19:00역시 👍 잘 들었습니다.
아침1도 - 부자와 빈자의 징검다리 4
2022년 3월 11일 17:31벌써 알 것 같네요 ㅎ
kbob Jo 4
2022년 3월 11일 17:02돈보다 1.시간 2.경험 3.인간관계
@City김상진 3
2022년 3월 12일 02:09오늘도 잘 보고갑니다^^
개인적으로 신사임당님 채널보단
김자가님 채널이 양질의 영상이 있어 보입니다 신사임당님 채널을 절대 폄하 하는것은 아닙니다
주식 및 펀드에 투자를 하고있어서 그런지
맘이 더 가네요.
@user_vsjfmexjancjrk 3
2023년 1월 06일 17:11두분 모두 공감능력이 뛰어나신 분이네요
개인적으로 공감능력이 높은 사람=배려심 많음 =타인에 대한 이해=높은 지능
이라고 생각합니다
말씀을 참 예쁘게 하십니다.
@곽보틀-n8m 3
2022년 3월 11일 19:25이야기 더 듣고 싶어요!! 🧡
kwang cheol kang 3
2022년 3월 11일 18:22샤 ~~~
hahaha hahaha 3
2022년 3월 11일 19:27예쁘다
김형민 3
2022년 3월 11일 20:30유익한시간 가수 이정현 나온줄알앗는데 자세히보니 모르는분이네요 조수빈아나운서 유명하지않아서가아니고 티비를안봐서모르는겁니다
민아 3
2022년 3월 11일 19:57Kbs좌편향
@이호야-q8y 3
2022년 3월 12일 07:48게스트 조수빈 아나운서님 방가워요.
김작가님도 고맙고요. 굳뜨
으으으으으으으으으 3
2022년 3월 27일 22:092시간자면서 공부했다니 ㄷㄷㄷ
@나니나니-x5w 3
2022년 3월 13일 02:04시간을 씀으로 얻어지는것에 포커스를 맞추다보면 성공에 가까워질것. 시간을 질적으로 잘쓰자
서사커플 - 서울대 사범대 커플 3
2022년 4월 09일 23:58솔직하고 현실적인 말씀들.. 공감되네요!!
Riverside 3
2022년 3월 11일 17:04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kbobjo 3
2022년 3월 12일 11:29조수빈 아나운서님 좋은 이야기 잘들었습니다 감사합니다.
심플맨 2
2022년 3월 23일 23:50최고의 인터뷰 감사합니다. 완벽 자체! 최고의 인터뷰이 + 최고의 인터뷰어.
바른길잡이 2
2022년 3월 11일 22:28어른들은 공감하지만 아이들은 공감하지 못하는.... 슬픈이야기.
윤민호 2
2022년 3월 11일 18:57결국 학벌은 일을 잘하던 못하던 평생 따라다닌다~
대깨문노답임 2
2022년 3월 11일 19:45자신감 자신감
신권재 2
2022년 3월 11일 17:35와~~~pen 입니다
@세로-w9z 2
2022년 3월 18일 22:57두분 좋은대화.
김작가님 대구 선배로서 좋은 학교입니다.
수빈씨 중년 맞구여. 서울대는 밸류에이션 있습니다.
수빈씨 현명하고 자랑할만 합니다. 아나운서로서 가치 있어요.
자부심 느끼세요. 근데 얼굴도 이뻐.
김작가님 좋은 학교나왔고 앰씨.진행 완벽합니다.
@doodoo1802 2
2022년 3월 19일 21:34김작가님의 질문들이 유익하네요. 각질문들이 다 궁금하던바입니다. 아이교육질문까지~해주는 센스.
@시간여행자-t9p 2
2022년 5월 13일 15:07ㅋㅋㅋ 조수빈 아나운서야 워낙 유명하고 레전드지...자녀분들 잘 가르치고 계시네 ㅋㅋㅋ 루틴 정말 중요하죠...자녀분들이 공부 욕심은 엄마 닮아서 잘하겠네...울 아들 대학 학교 선배라 달리 보이시네 자녀들 키워보니 셩격들이 커가면서 결국은 공부욕심. 미래 욕심이 승부하더라고 또한 다른 부모와 몇마디 담소 나누다 보면 자녀교육에 관한 결과지가 대략 85% 답 나오지 ...재밌게 봤어요...김작가님도 입지전적 응원합니다
@shiner4466 2
2022년 3월 30일 08:15서울대 출신 아나운서가 본인 아이들 공부 '가르키는' 이야기를 듣다보니..... 갑자기.... 나는 우리 애들을 어떻게 가르쳐야 하는지 고민이 된다...
@별빛류한우 2
2022년 8월 24일 15:24감사해요 ~*
잘 봤습니다.
민아 1
2022년 3월 11일 19:51감사합니다,
@ashleylee547 1
2023년 3월 05일 16:31띠용~좋은말씀감사합니다! 아기도 잘 교육하시네요ㅠ조수빈님 유튭 구독하러 갑니다 ㅎ
M E 1
2022년 3월 18일 17:15진짜 좋은 얘기 많이 나온 듯요. 감사합니다.
Angela Yang 1
2022년 3월 13일 02:46부동산이 투자의 대상이 안되는 나라가 되었으면 좋겠네요~
등대지기 1
2022년 3월 11일 19:17학연, 지연, 혈연 한국문화에서 없어지는 날이 올 수 있을까...
@구본국-h4j 1
2022년 5월 15일 07:55수빈씨 솔직함에 좋아요 😀 😄
@Gulden-s7c 1
2022년 3월 13일 20:22제가 나온 대학 좋은점 주변에 한의원 선배 원장이 많아..한약.공진단 저렴하게 구입하고.상담도 오래해준다는 점 ..요즘 나이들고 (오십견) 스트레스 받을때 덕을 보고 있네요~~ ^^
@jamesjung6650 1
2022년 3월 13일 10:14작은 성공과 성취가 모여 자존감이 높아지는거죠^^
다른것과 비교하는게 아닌 자기주도적인 삶
그게 삶을 지탱하는 자양분이 되는것 같습니다~
미스타완블리 1
2022년 3월 11일 17:01일뜰
@munzajomba 1
2023년 1월 13일 14:04아무리 부를 이루었다고해도 가정에 행복과 평화가 없다면 과연 성공한 삶일까요.
조아나운서님은 둘다 이루신거같네요.
좋은 이야기 잘들었습니다.
김노느 1
2022년 3월 11일 23:06김작가님 김단테님이랑 닮으셨어요~ 형제이신가요??
박노준
2022년 4월 17일 09:04조수빈님 사랑해요 ♥♥♥
행복since2005
2022년 3월 13일 09:06단 몇분시청으로 저보다 젊으신 분께 많이 배울수있었습니다 감사드려요
MS
2022년 3월 22일 13:29조수빈 아나운서는 지금까지 나오셨던 게스트랑은 가치관이 다른것 같네요..
가정이라는 테두리를 우선시 하는게 느껴지네요..아이들 교육법같은거 유트브로 소통하셔도 좋을것 같아요...^^
E S
2022년 3월 12일 02:56아니 본인들이 부자라고 하는데 세무조사 갑시다 신고 갑니다 제가 먼저
시선175
2022년 3월 11일 22:48신사임당님 고려대 신방과에요 ㅎㅎ
一妄一語
2022년 3월 12일 01:37성공과 실패의 핵심요인은 행운임. 틀림없음!
선택은 여러분 몫입니다. 일개 아나운서에 불과한 조수빈 따위가 말하는 길을 갈지, 아니면 수십억명에게 영향을
끼친 역사상 가장 영향력 짱!짱!짱!이신 위대하시고 거대하신 사상가 3등 안에는 무조건 들만한 마르크스 같은
천재님이 말씀하신 길을 갈지, 어느쪽을 선택하든 건투를 빕니다만....
승자와 패자의 타고난 재능차라는 건 크지 않음.(적어도 운적요소에 비하면 그 차는 조족지혈!)
그래서 성공한 사람의 인생철학이라고 한들 실패한 사람의 인생철학보다 특별히 나을게 없지.
아니! 오히려 실패한 사람들의 인생철학이 훨씬 수준이 높을 수 있어. 즉, 철학의 내부논리구조가 훨씬
탄탄하고 합리적일 수 있지. 승자는 굳이 말로서 자신의 성공을 합리화할 필요성이 사실 없거든. 게다가
승자는 교만해지기 쉬워 인생철학도 내부논리가 엉성할 수 있음. 그러다보니 대다수의 장삼이사들은
승자의 논리보다 패자의 논리에 더 혹하기 쉬움. 패자의 인생철학 내부논리는 탄탄하기도 하거니와
(사람들에게 내보일 성공적 결과물이 없는 걸 말로서 극복하려하니 얼마나 머리를 썼겠냐고!!), 대부분의
인간이란 게으르기 마련이고 패배에 대한 두려움으로 도전을 꺼려하는 상황에서 자신의 나약함에 대한
변명을 끝내주게 해주니 얼마나 고맙겠냐고ㅎㅎ... 그렇게 장삼이사들은 인생 끝날때까지 패자의 논리에
허우적거리다 도전한번 제대로 해보지 못하고 허물어져 가는게지. 성공의 철학을 따른다고해서 성공하는
건 결코 아님! 허나 한가지만큼은 단언할 수 있음. 패자의 논리를 공부하다보면 결코 인생에 진정한 꿀맛을
볼 일은 없을거야. 뜻이 있다고 꼭 길이 있는 것은 아니지만, 있는 길도 뜻이 없다면 보이지 않는 법이거든.
만날천날 세상 탓 남 탓만 하는 인간들의 논리(게다가 장삼이사 따위와는 비교도 안될만큼 세계적인 사상가들이
구축해놓은 천재적 논리!), 그런 논리에 빠져사는데 어떻게 다른 길이 보이겠어?
김주현
2022년 3월 11일 22:56성공을 맛보는 경험....
@정지원-k3o
2024년 4월 07일 17:02조수빈 아나님 솔직토크 좋네요. 자녀교육도 정말 현실적으로 잘하시네요. 명문대 졸업생이 그냥 이루어지는게 아닌듯해요. 그리고 시간이 돈보다 중요하다는것을 언급해주셔서 공감해요. 순간의 역할에 집중해야 된다는것을 느낍니다. 조수빈 아나님 넘 토크 잘하시네요
@user-cw4yv2xh7e
2023년 1월 19일 12:07노력과 성실 이게 핵심인듯 왠만해선 평생 이 기질을 극복 못하는 듯 그리고 이게 부모로부터 내림되는 것도 큼. 삶을 대하는 자세, 내 삶을 만들어 가는 태도는 타고난 기질과 부모로부터의 환경인듯. 운이 좋아 부모아닌 선생님이나 주변 타인이 동기가 되기도 하는데 그래서 사회적 역할도 중요한듯 그리고 지능은 발현되는 분야가 다른듯 분야별로 요구되는 지능. 아이키울 떄 가장 고민되는 건 구독자 2백만 김작가님 부모님은 아이를 앉혀놓고 조수빈 아나우서님이 자녀에게 하는 그런 일을 하시지 않았을 것 같은데. 조수빈님 말씀처럼 리스크를 줄이기 위해 부모주도적으로 무언가를 해주어야하는지 아니면 자율성을 최대한 보장해주고 사랑과 남한테 피해를 주면 안되는 사회적 규범를 가르쳐 주는 정도만 하면 되는 것인지 그게 고민
돈키호테
2022년 4월 02일 19:08우리나라 엘리트 대접받고 최고의 인재로
인정받고 얼마나 좋아요 우리 조카도 동문
서울대 공대 재료공학과 졸업하고 대학원
화학반도체로 석사학위 받고 삼성전자에
1년전부터 스카웃되서 일 잘하고 있죠
Y별
2022년 3월 21일 10:16거침 없는 대화가
아나운서님의 삶이 치열했구나
느껴져요
앞으로도 화이팅~
멋지다고 얘기하고 싶네요
@billihilton4560
2022년 9월 28일 02:12She is a good role model to all of us, especially wom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