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 너무 잘 들었습니다. 불과 며칠전에 어떤 커뮤니티에 제가 몇살에 어디 대학 졸 전공 경력 얘기하면서 이직 물어봤었는데 ㅋㅋㅋ 충격받았어요. 왜냐면!! 난 평생을 내 가치관이 남들과는 달라 남들과는 다른 인생을 살거야 했던 주의인데.. 난 남들과 전혀 다르지 않았다는 걸 깨닫게 됐기 때문이에요.. 다시 생각의 큰 프레임을 바꿔보려 합니다! 감사합니다.
송길영 님의 "그냥 하지 말라"는 책을 읽고 바로 유투브를 시작했습니다. 말씀 하신대로 저는 우리가 어떻게 다른 사람의 삶을 보다듬을 것인가를 고민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커뮤니티가 중요하다고 생각하는데요. 제가 일하고 있는 곳에서 커뮤니티케어에 대한 고민을 굉장히 하시고 실행하기 위해 노력 중입니다. 새로운 형태의 포용이 더 행복한 삶을 만드는 일을 하고 싶습니다. 그래서 저는 제가 내 집마련도 못하는 주제에 커뮤니티를 위해 1억을 모으고 있습니다. 가끔은 이래도 되나 답답하지만 저는 제 일을 살아가고 제 삶에 주도권을 가지고 나의 속도로 살아가고 있으니 자부심을 갖겠습니다. 다행히도 제가 하는 일은 인간다움, 인간이 할 수 있는 일 같거든요. 제가 앞으로 어떻게 1억을 모을지 많이 응원해 주시길 부탁 드립니다. 좌충우돌하고 어떻게 또 유투브로 담고 딜리버리할까 고민이 많은데요. 외주도 하나도 안 주고 아무튼 열심히 하고 있습니다. 영상편집도 죽어도 싫었는데 막상하니 되네요. 열심히 근육을 키우겠습니다!
강의해주신분도 이렇게 유튜에 올려주신분들도 모두 감사합니다 덕분에 더 깨어있어야겠어요 요즘시대는 정신 바짝 차려야할 시대인것 같습니다. 전염병과 전쟁이 난무하는 시대.. 안다고 생각했지만 알아도 당하고 모르는게 너무 많은 시대에요.. 요즘 아이들은 우리 옛날처럼 빨리 어른이 되고 싶어라고 말하기 보다는 지금 어린이로 남고 싶어한다고 합니다 아이들도 이런데 어른들은 더욱 미래가 불안하니 과거로 돌아가고 싶고 아직 과거속에서 살고 있는 분들도 계시죠 소나기가 내리는 오늘 우중충한 날씨처럼 슬프고도 건조한 봄에 단비가 내려서 감사한 하루 입니다
16:20 실제로 RPA 직접 개발하고 구축하는 일을 하고 있는데 정말 엄청난 efficiency 예요, 사람이 하는 단순 반복작업들을 로봇에게 데이터주면 24시간동안 적은 비용으로 일합니다.. 냉정하지만 정확도나 시간측면에서 사람보다 효율이 높아요. 업무의 변화가 직접적으로 느껴지는 요즘이에요 정말 공감
자꾸 잘못을 나 즉 지금 청년들로 몰아가는데... 나이를 가장 먼저 말하는건 지금 한국 사회가 그걸 강요하니까인데 뭔.... 그나마 학연 지연 혈연 가장 덜보는 공무원조차 면접때 나이많은 지원자 기피하고 이미 사기업은 중고경력이라는 경력신입을 선호하는 사회를 만들어 놓고... 나이를 먼저 말하는게 고정관념이고 이상함? 뭐 혼자힘으로 살아? 난 20대이고 대기업다니고 있지만 지금 집값부터해서 연금포함 40,50,60대들 정말이기적임 그걸 청년탓하면서 돈버는것도 mz세대라며 몰아가는것도 출산율 0명대를 청년탓하는것도... 그런 한국사회를 만든 사람들은 아무잘못없음? 지금 한국이 나이랑 경력을 안보는 사회임?
'성숙한 공존'은 절대 불가능하다고 생각합니다. '성소수자' 상징하는 레인보우 플래그가 해당 장표의 썸네일로 들어가있어서 쓰는 개인적인 의견입니다만, 여전히 성소수자 혐오가 팽배한 한국사회에서 진정한 의미의 상호공존, 성숙한 공존이 가능할까요? 성소수자도 본인들과 마찬가지로 이 나라의 국민이고, 납세자고, 국방의 의무를 다하는 사람인데 이를 인지하지 않고 그저 '추방해야 되는 이들', '죽여야 하는 이들', '치료받아야 하는 이들'이라고 낙인 찍는 사람들이 절대다수입니다. 이런 성소수자 혐오는 글로벌 스탠더드와도 전혀 맞지 않고요. 그래서 전 한국 사회의 여러 공동체가 성숙한 공존을 하는 건 불가능에 가깝다고 생각합니다. 뭐 성소수자 커뮤니티를 제외하고 봐도 이미 불가능에 가깝죠.
@김영희-c3r 26
2022년 3월 18일 14:16고정관념을 탈피하고 현재의 나와 가능성에 대한 희망을 주는 강의 너무 감사합니다.^^
@hyeryunpark5170 22
2022년 3월 18일 09:38나이얘기를 하는게 어딜가든 나이부터 물어보거든요. 실제로 능력과 무관하게 나이로 기회 제한이 많아서 그런게 아닌가 싶어요. 차별 맞습니다.
[Dani] 다니의 마을 21
2022년 3월 18일 10:13강의 너무 잘 들었습니다. 불과 며칠전에 어떤 커뮤니티에 제가 몇살에 어디 대학 졸 전공 경력 얘기하면서 이직 물어봤었는데 ㅋㅋㅋ 충격받았어요. 왜냐면!! 난 평생을 내 가치관이 남들과는 달라 남들과는 다른 인생을 살거야 했던 주의인데.. 난 남들과 전혀 다르지 않았다는 걸 깨닫게 됐기 때문이에요.. 다시 생각의 큰 프레임을 바꿔보려 합니다! 감사합니다.
@루루루루루스 18
2022년 3월 18일 09:15송길영 님의 "그냥 하지 말라"는 책을 읽고 바로 유투브를 시작했습니다.
말씀 하신대로 저는 우리가 어떻게 다른 사람의 삶을 보다듬을 것인가를 고민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커뮤니티가 중요하다고 생각하는데요. 제가 일하고 있는 곳에서 커뮤니티케어에 대한 고민을 굉장히 하시고 실행하기 위해 노력 중입니다.
새로운 형태의 포용이 더 행복한 삶을 만드는 일을 하고 싶습니다.
그래서 저는 제가 내 집마련도 못하는 주제에 커뮤니티를 위해 1억을 모으고 있습니다. 가끔은 이래도 되나 답답하지만 저는 제 일을 살아가고 제 삶에 주도권을 가지고 나의 속도로 살아가고 있으니 자부심을 갖겠습니다.
다행히도 제가 하는 일은 인간다움, 인간이 할 수 있는 일 같거든요.
제가 앞으로 어떻게 1억을 모을지 많이 응원해 주시길 부탁 드립니다. 좌충우돌하고 어떻게 또 유투브로 담고 딜리버리할까 고민이 많은데요. 외주도 하나도 안 주고 아무튼 열심히 하고 있습니다. 영상편집도 죽어도 싫었는데 막상하니 되네요. 열심히 근육을 키우겠습니다!
@최수현-m6r 17
2022년 3월 18일 15:21와.. 송길영 박사님 8년 전 대학원 초청강의 때 뵙고 강의가 너무 좋아서 열심히 메모하며 들었었는데.. 역시 오늘 영상도 한마디 한마디가 주옥같습니다. 송길영 박사님, 영상 제작해주신 분들 모두 감사드립니다!
@돈크레이지 16
2022년 3월 18일 10:34송길영 박사님 영상은 무조건 다 봅니다~ 흥미있고 트랜드를 알아가는 재미가 넘 크거든요!!! 영상 감사합니다~
@까망메리앤 12
2022년 3월 18일 08:27슬프다. 이게 지금 한국의 속살인데...정책에 반영해주세요.
kiki koko 10
2022년 3월 22일 13:42정책 같은 걸 만들 때도 청년층하고 몇살까지 이렇게가 아니라 나이 상관없이 실업자, 창업자, 신혼부부, 학생 등으로 몇살에 학생이건 취준생이건 실업자건 동일한 지원과 기회를 주었으면 합니다.
@green3.8 9
2022년 3월 18일 21:19요즘 힘들다는 생각을 많이하고 있는데 같이 풀어야 한다는 말씀 인상깊게 들었습니다. 오늘도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김미경 학장님, 직원분들 감사합니다. 🥰
@IVO-ds7hy 9
2022년 3월 18일 15:27나이주기별 그 키워드를 계속 선망하고...그 키워드 속에 들어가려는 노력은 계속될것같아요ㅠ 한국입시가 20년간 그대로이듯이...그리고 날이갈수록 갈등은 심화된걸 보면 희망이 없어요ㅠㅠㅠ
@goel7162 9
2022년 3월 18일 15:35항상 통찰력 있는 이야기 전달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edward9876 8
2022년 9월 04일 18:52박사님같이 똑똑하신 분들의 얘기를 듣다보면 참 공허해질때가 있어요 제 주변 세상밖은 모두 박사님과 반대되는 생각을 하는것같거든요
@yschoi5782 8
2022년 3월 18일 15:24강의해주신분도 이렇게 유튜에 올려주신분들도 모두 감사합니다 덕분에 더 깨어있어야겠어요 요즘시대는 정신 바짝 차려야할 시대인것 같습니다.
전염병과 전쟁이 난무하는 시대.. 안다고 생각했지만 알아도 당하고 모르는게 너무 많은 시대에요.. 요즘 아이들은 우리 옛날처럼 빨리 어른이 되고 싶어라고 말하기 보다는 지금 어린이로 남고 싶어한다고 합니다
아이들도 이런데 어른들은 더욱 미래가 불안하니 과거로 돌아가고 싶고 아직 과거속에서 살고 있는 분들도 계시죠
소나기가 내리는 오늘 우중충한 날씨처럼 슬프고도
건조한 봄에 단비가 내려서 감사한 하루 입니다
@Motiv_Energy 7
2022년 3월 18일 17:32아무 생각 없이 플레이 되고 있던 유튜브에서 정신이 번쩍 드는 말씀이 들리네요;;
변화에 적응하고 변하는 것! 일상이 성장이라는 말씀이 새롭게 와닿습니다
@배경숙-q2r 7
2022년 3월 19일 10:22정말로 속상해요
전문직인데. . 나이 부터
질문하는 사회가 문제 입니다
@gwang8735 5
2022년 3월 18일 08:39고맙습니다 당신의 모든 것이 메세지다 오늘의 흔적 메세지를 만들다 생각으로 감사합니다
@현미경-m4i 5
2022년 3월 19일 03:12당신의 모든것이 메세집니다! 감동입니다~
@jaemiri 5
2022년 3월 18일 18:29감사합니다 시험에 떨어지고 진로를 공부하는 과정에서 좋은지침이 된 것 같습니다 좋은 자양분으로 쓰겠습니다
@이인숙-e9j 5
2022년 3월 18일 08:52감사합니다
더 듣고
더 변화하고 싶어요
@소금돌이 5
2022년 3월 18일 18:02좋은 강의 잘듣고 갑니다…!
@LEE.SE. 4
2022년 3월 18일 12:49짱이당
@user-hy5ls1qw6r 4
2022년 9월 04일 11:36또래와 다른 루트를 밟으며 살아오니 나이는 잊고 그냥 제가 하고 싶은 것 하면서 삽니다 :) 평소 제가 생각했던 것을 명확히 말씀해주셔서 반가웠네요!
@행-l6x 4
2022년 3월 24일 17:2416:20
실제로 RPA 직접 개발하고 구축하는 일을 하고 있는데 정말 엄청난 efficiency 예요, 사람이 하는 단순 반복작업들을 로봇에게 데이터주면 24시간동안 적은 비용으로 일합니다.. 냉정하지만 정확도나 시간측면에서 사람보다 효율이 높아요. 업무의 변화가 직접적으로 느껴지는 요즘이에요 정말 공감
@amunoriter 4
2022년 3월 18일 16:23SF영화...같은 삶이라니.. 맞습니다. 각자가 다른 다양한 삶을 존중하는 사회가 되었으면 합니다. 미약하게 나마 1인으로 노력하겠습니다.
@raradira 3
2022년 8월 13일 06:37존경이란 단어가 어울리는 분
@joypre5064 3
2022년 3월 18일 13:25감사합니다
@dds_oh7075 3
2022년 3월 18일 09:48요즘엔 급여가아니라 자산으로 따지죠!
@dunkyears 3
2022년 7월 07일 23:32이런 얘기하는 사람들이 가장많이모여있는곳이 블라인드 커뮤니티 임. 모든걸 숫자로 얘기함. 몇살에 연봉이정도인데 망한인생 정답인생 나누고 저 비정상인가요? 정상인가요? 이럼
@TAB022O 3
2022년 8월 19일 21:44나이가 뭐 중요해 하지만 당장 주위를 둘러보면요..... 바꿔야하지만 바꿀수 없는게 현실이 아닐까...요
분명히 필요한 말이고 틀린말이 아닌데 현실성이 없기에..... 조금 씁쓸할 따름입니다....
자기자신을브랜딩하라 퍼스널브랜딩 라던가 마인드뭐시기 이런분들이 조금 걱정되는부분은 이런것입니다
정작 돈을버는 방법과 수단은 어디에도 없죠(나의 유료강의를 들으면 있어요 라고 함) 그런데 월천 년1억을 법니다 라고 하죠......
예전에 한 모 개그맨? 예능인? 이 취업박람회등 각종 강연또는 tv프로에서 취준생 또는 인생의 힘든시기를 지나는 분들이 모인자리에서 강연하며 조언 한다고 했던말이 기억나네요
아무것도 안하고 있어도 됩니다 그대로 나를 받아주고 사랑해주면 됩니다 그래도 멋지지 않습니까?
이런소리를 싸지르고 다녔죠....
아프니깐청춘이다 노오력을 해라 열정페이 라면서 비판하는사람들에게 묻고 싶은건 본인도 그만큼 해보고 말하는건지 궁금합니다....
성공을 한사람들은 정말 우리가 생각지도 못한 노오력을 그게 성공할지도 모르는 상황에서 해왔다는것을 말하고 싶습니다... (ex 김연아선수 가수아이유등)
고정관념에 척도에 많은 자신의 자물쇠를 달고 사는 한국 사람들의 스트레스를 저역시도 모르는건 아닙니다
그러나 해야할나이 할수있는나이는 분명히 있습니다.....
그것을 착각하지 말았으면 좋겠습니다....
ps 저분이 버핏정도재산을 갖고 회사를 만들어 나이 상관없이 역량으로만 사람을 뽑습니다 라고 했으면 좀더 현실성이 있겠지요
@kdshero 3
2022년 9월 15일 09:09요즘 유행하는 말을 인용하자면, 사회 속 우리 스스로를 가스라이팅 하고 있는게 아닐까요? 왜 자신만의 스스로 추구하는 가치를 인정하지 못하고 남들 눈치만 보고 살아야 하는지.
@Leighton-z7b 3
2022년 8월 16일 01:53차가워 보이는 교수님의 강의가 위로가 될 줄 몰랐어요
@fofounni 2
2022년 3월 19일 13:59💚💚💚💚
@산천리외계인 2
2022년 9월 18일 14:18자꾸 잘못을 나 즉 지금 청년들로 몰아가는데... 나이를 가장 먼저 말하는건 지금 한국 사회가 그걸 강요하니까인데 뭔.... 그나마 학연 지연 혈연 가장 덜보는 공무원조차 면접때 나이많은 지원자 기피하고 이미 사기업은 중고경력이라는 경력신입을 선호하는 사회를 만들어 놓고... 나이를 먼저 말하는게 고정관념이고 이상함? 뭐 혼자힘으로 살아? 난 20대이고 대기업다니고 있지만 지금 집값부터해서 연금포함 40,50,60대들 정말이기적임 그걸 청년탓하면서 돈버는것도 mz세대라며 몰아가는것도 출산율 0명대를 청년탓하는것도... 그런 한국사회를 만든 사람들은 아무잘못없음? 지금 한국이 나이랑 경력을 안보는 사회임?
@K-self-fulfillingprophecy 2
2022년 3월 26일 12:01송길영박사님, 김누리교수님의 교육관, 대학입시에 대한 관점에 관심을 가져주세요. 그분이 주장하시는 절반이라도 현실화될때 박사님의 그 소중한 견해가 현실괴 이상의 괴리를 채우고 빛을 발하리라 생각합니다.
kangminwoo 2
2022년 3월 18일 11:03'성숙한 공존'은 절대 불가능하다고 생각합니다. '성소수자' 상징하는 레인보우 플래그가 해당 장표의 썸네일로 들어가있어서 쓰는 개인적인 의견입니다만, 여전히 성소수자 혐오가 팽배한 한국사회에서 진정한 의미의 상호공존, 성숙한 공존이 가능할까요? 성소수자도 본인들과 마찬가지로 이 나라의 국민이고, 납세자고, 국방의 의무를 다하는 사람인데 이를 인지하지 않고 그저 '추방해야 되는 이들', '죽여야 하는 이들', '치료받아야 하는 이들'이라고 낙인 찍는 사람들이 절대다수입니다. 이런 성소수자 혐오는 글로벌 스탠더드와도 전혀 맞지 않고요. 그래서 전 한국 사회의 여러 공동체가 성숙한 공존을 하는 건 불가능에 가깝다고 생각합니다. 뭐 성소수자 커뮤니티를 제외하고 봐도 이미 불가능에 가깝죠.
@날씨의온도 2
2022년 3월 18일 09:56좋은 이야기 감사합니다. 라이프사이클에 대해 좀더 생각해볼 수 있는 기회였습니다. 생애주기에 따른 미래를 대비하는 사람들이 더 많아지면 좋겠습니다.
@jj-gf1rz 2
2022년 9월 16일 21:45남한테 자기인생을 평가받는다는게 그것도 그냥 커뮤니티에서 진짜 기괴함
@이든-o1x 2
2022년 9월 21일 21:10한국 유교사상이 나이문화가 강해요 이게 사회에서도 나이에 따른 차별이 너무 많고 나이문화 때문에 실력 상관없이 나이로 뽑는게 많은거 같아요
성이름 2
2022년 3월 18일 15:09참 공부 많이 하셔서 행복하시겠네요 잘사십시요
@JaydenCho-ADE 2
2022년 9월 19일 11:35인생은 다 때가있습니다. 때를 놓치면 더 큰노력이 필요하죠. 안정감을 주는 언어로 내용은 틀린말은 아니지만 인간의 공통적인 흐름에는 다 이유가있습니다
@dodge90 1
2022년 10월 01일 15:27연봉 줄세워서 성공한인생, 실패한 인생 나누는것 자체가 실패한 사회다
충남공주시_조성준 1
2022년 8월 07일 11:31아저씨 강의 잘 들었습니다. 아저씨처럼 그렇게 말하면 한국에서는 "니가 인생경험이 부족해서그래. 사회경험좀 해라. 생각하는게 어리네"라고 이야기 듣습니다. ㅎㅎㅎ 제가 아저씨와 같은 이야기를 여러사람들과 토론해봤거든요 ㅎㅎ
@신짱-g5e 1
2022년 8월 15일 20:33돈이 인생의 전부는 아니지만 인생의 절반 이상은 돈이다.
@맹호부대-i8s 1
2022년 10월 04일 20:19유교사상 완전히 소각하지 않으면 절대 바뀔수가 없을듯 ㅠㅠ
-이카루스 1
2022년 8월 08일 16:19너무좋은 예기네요
@rabbitfoot526 1
2022년 5월 25일 11:44송 박사님 강의 듣고나면 마구 어질러진 방안을 정리하고 난 후의 개운함이 느껴져요.
@present1210 1
2022년 3월 20일 07:11공감가는 강의입니다~~~
감사합니다!
@18족 1
2022년 8월 16일 00:24정말 현실적인 데이타네여
압박받는 사회
다양한 기질 다양한 일자리
편견없는 사회가 언제올런지
@ksj261
2022년 8월 21일 09:27이게 왜 조회수가 고작 6만건 수준이지?..
@카스테라킴
2023년 3월 18일 09:31무료로 이런 보석같이 귀한 강의를 듣네요. 😊 제 메세지를 찾아 차곡차곡 모아 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진
2022년 4월 12일 19:57좋은정보 감사합니다
@changetheworld1471
2022년 3월 21일 12:36좋은 강의 잘 들었네요. 노력하겠습니다.
@매일영어-q9x
2022년 11월 01일 12:59변수가정말 많은세상이죠~
인사이트 크게 얻고 도움이됩니다.
이런명강의를 휴대폰으로 듣고 사고하는 세상이네요.
정말감사해요.
ky
2022년 3월 22일 01:59강의 잘 보았습니다 그런데 조금만 천천히 말씀 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통계에 대한 인식이 많이 바뀌었습니다.
@kk-ci6ug
2022년 8월 13일 10:48타인의 삶은 관찰하고 배우고 투영하여
나만의 교훈을 얻을 수 있군요
@Hyemusician
2023년 7월 08일 12:24모든 회사 사장님들이 이런 마인드면 얼마나 좋을까요
anna
2022년 3월 21일 14:47감사합니다
이하늘
2022년 3월 21일 00:09데이터 굿
@초이쿨
2022년 8월 25일 09:07아무래도 내 밑에 나이 많은 사람 들어오면 엄청 껄끄럽죠....
박경식
2022년 3월 18일 08:111빠
@duryhan8338
2022년 10월 10일 01:02많은 영감을 준 강의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