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전에 비해서 엔은 안전자산이라는 분위기는 아닌듯 합니다. 위력이 많이 약해지는듯 합니다. 이번 코로나 사태로 엔화가 안전자산으로 많은 강세가 있어야 하지만 예전만 못하니요. 일본의 해외자산이 많고 또 국가부채도 일본자국내에서 조달되었다 하지만 그래도 일본 국가부채 또한 1경5000조 쯤되고. 소비세 인상으로 내수도 아작나고 있고...수출경쟁력 또한 하락중이고 무역수지도 좋치는 못하고요. 요즘 이게 일본의 현실이기에 엔화의 안전자산의 매력이 떨어져가는듯 합니다.
인구의 상당부분은 열심히 일하면서도 안락을 별로 못느끼며 살았지만 겉보기에는 그런 운명에 꽤 만족했다. 런던 주민은 천연 자원을 이용해 부를 일구고 세계 곳곳에서 새로운 사업을 벌일 수 있었다. 그러면서 사업에서 얻은 결실을 누려도 전혀 아무런 문제가 없었다. 그러나 이 모든 것들 중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시민이 이런 상황을 정상적이고 확실하고 영원할 것으로 보았으며, 거기서 벗어나는 것은 엉뚱하고 수치스럽고 피해야 할 것으로 여겼다는 점이다. - 존 메이너드 케인즈, 평화의 경제적 결과 -
박사님 금은 최대 위기의 꼭대기에선 MDD를 낮춰주더라고요 백태스트같은거 해보면... 물론 박사님말씀대로 영상의 표의 등락폭만 만봐도 점점 예전만 못한게 보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미국국채와 주식 으로 아름다운 우상향에 금을 5%정도 포트에 넣는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늘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박사님. 혹시 금리인상기에 수혜를 받을 수 있는 자산에는 어떤게 있을지 여쭤봐도 될까요? 금리하락의 수혜를 직접 받는건 채권이 있는데 금리인상기에는 어떻게 대비를 해야할지 감이 안잡힙니다. 금리 인상기는 물가상승률이 높은 상태일테니 원자재나 부동산을 미리 가지고있었다면 인플레이션의 수혜는 봤을테지만, 직접적으로 금리인상이 수익인 자산은 마땅히 떠오르지가 않습니다. 고견 부탁드립니다!
@minuto3008 4
2020년 2월 25일 14:38이번 코로나19 시기에는 일본에서 확진자 증가세가 잡히지 않아서인지 엔화가 약세로 움직이던데요. 일본 내부에 독립적인 이슈가 발생하면 일반적인 경기불황기 엔화 강세를 기대할 수는 없는 것 같네요
@BruceLee-l3c 2
2020년 2월 25일 07:59박사님 감사합니다:
질문있습니다: 이번 코로나사테로 금값이 상승하는것은 어떤이유일까요? 저는 안전자산이라고 생각해서 오르는듯 하였는데...
@geangeun-jen 2
2020년 2월 25일 08:36예전에 비해서 엔은 안전자산이라는 분위기는 아닌듯 합니다. 위력이 많이 약해지는듯 합니다. 이번 코로나 사태로 엔화가 안전자산으로 많은 강세가 있어야 하지만 예전만 못하니요. 일본의 해외자산이 많고 또 국가부채도 일본자국내에서 조달되었다 하지만 그래도 일본 국가부채 또한 1경5000조 쯤되고. 소비세 인상으로 내수도 아작나고 있고...수출경쟁력 또한 하락중이고 무역수지도 좋치는 못하고요. 요즘 이게 일본의 현실이기에 엔화의 안전자산의 매력이 떨어져가는듯 합니다.
@밍콩-d7h 1
2020년 2월 25일 08:10그렇다면 실질금리가오르기는힘들다면 달러가오르는데한계가있는건가요? 장기간으로봤을때 실질금리가 오를수있는경우가있을까요?
@윤진건-m1g 1
2020년 2월 25일 08:22금값이 안전자산이 아니네요ㄷㄷ
@올리베티 1
2020년 2월 25일 08:17인구의 상당부분은 열심히 일하면서도 안락을 별로 못느끼며 살았지만 겉보기에는 그런 운명에 꽤 만족했다. 런던 주민은 천연 자원을 이용해 부를 일구고 세계 곳곳에서 새로운 사업을 벌일 수 있었다. 그러면서 사업에서 얻은 결실을 누려도 전혀 아무런 문제가 없었다. 그러나 이 모든 것들 중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시민이 이런 상황을 정상적이고 확실하고 영원할 것으로 보았으며, 거기서 벗어나는 것은 엉뚱하고 수치스럽고 피해야 할 것으로 여겼다는 점이다. - 존 메이너드 케인즈, 평화의 경제적 결과 -
@주자왕파킹
2020년 2월 25일 11:13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JJH-ew4cy
2020년 2월 25일 16:47반복되는 내용이지만 볼때마다 새롭게 다가옵니다 박사님과 김성일작가님 통해 자산배분 시현중이고 영상감사합니다
@재팬댁
2020년 3월 01일 23:19박사님^^
원으로 미국주식을 사는것보다 엔화로 미국주식을 사는것이 환율면에서 득이될가요?
@belleepoquela3271
2020년 2월 25일 15:18스위스 프랑도 안전 자산으로 평가되던데, 이건 유로존 위기 때에만 국한되는 걸까요?
@sungmunpark261
2020년 2월 25일 14:03지식과 정보의 나눔 고맙습니다
@파워린
2020년 2월 25일 07:28오늘 같은 시장에 정말 좋은 내용입니다^^ 이런 하락시에는 채권을 사야하는지요
@despairest
2020년 2월 25일 10:54박사님 금은 최대 위기의 꼭대기에선 MDD를 낮춰주더라고요 백태스트같은거 해보면... 물론 박사님말씀대로 영상의 표의 등락폭만 만봐도 점점 예전만 못한게 보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미국국채와 주식 으로 아름다운 우상향에 금을 5%정도 포트에 넣는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성공
2020년 2월 25일 16:55박사님~ 귀한방송 늘 잘보고 있어요^^
기초질문 드려요~~
달러표시 국채가 미국채권이 맞는지 궁금해요..
경제위기일때 보통 미국채권과 엔화가 강세였다고 보면 되는걸까요?
@kylechoi7433
2020년 2월 29일 15:33항상 좋은컨테츠 잘보고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위험을 대비해서 미국채에 투자하고있는데요 이 영상을 보니 엔화로 일본국채에 분산투자하면 어떨지 궁금해지네요
@kwc2213
2020년 2월 25일 19:28늘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박사님.
혹시 금리인상기에 수혜를 받을 수 있는 자산에는 어떤게 있을지 여쭤봐도 될까요? 금리하락의 수혜를 직접 받는건 채권이 있는데 금리인상기에는 어떻게 대비를 해야할지 감이 안잡힙니다. 금리 인상기는 물가상승률이 높은 상태일테니 원자재나 부동산을 미리 가지고있었다면 인플레이션의 수혜는 봤을테지만, 직접적으로 금리인상이 수익인 자산은 마땅히 떠오르지가 않습니다.
고견 부탁드립니다!
@VRt0yb0nnie
2020년 3월 10일 08:30박사님 감사합니다. 초보적인 질문이 있는데요.. 해외 순자산 보유로 보면 이제는 일본 보다 중국이 더 많을 것 같은데 위안화는 왜 안전자산이 아닌 것으로 봐야할까요?
@momharangharin9694
2021년 12월 26일 05:01ㅣ
@soosung6852
2020년 2월 25일 07:48박사님 늘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