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인슈타인 덕분에 시간은 좀 많이 걸렸지만 시간은 존재하지않고 영원과 순간이 겹쳐져있는 걸 확실하게 받아들이게 되어서
그 이전에 매일같이 시간에 쫓기는 듯한 목표설정과 조급함이 많이 사라졌어요...
조 디스펜자는 이걸 영원한 공간속에서 시간을 경험하는 삶(뉴튼적 세계관)에서 영원한 시간속에서 공간을 경험하는 삶(양자적 세계관)으로 전환한다..고 표현하더라구요.
뉴튼적 세계관은 사회에 있는 룰을 내 삶의 모든 기준으로 받아들여 살기때문에 집단적 단체적 룰에 개성을 희생?시키는게 많아지죠..자본주의던 사회주의던 또 그 밑에깔린 윤리(철학이나 종교)가 개인의 자유를 상호 배려의 행동이 되어 방종이 되지않도록 조절하는 장치를 갖게되구요..이게 없으면 사회가 국가 세계가 유지가 안되니까.ㅇ.ㅇ
그리고 많은 사람들이 그안에서 싸우죠.. 제한된 프레임과 지식으로 여기서의 승패가 사회모습을 결정하고 그 모습이 또 나를 제약하고..
개인의 삶의선택이 사회에 영향을 미친다는 믿음이 덧셈으로 이해되는 한도내에서는 왠지 사회문제를 모른척하면 배운걸 실천못하는 죄의식?같은게 생기기도 하고...
자꾸 뭐가 되어야할거같은 압박감 그게 안되면 인정못받구 인정못받으면 살 가치가 없는것으로 처럼 느껴지는..
이런 기존의 모든 프레임과 패러다임을 깨고나니 이렇게 편할수가..ㅡ.ㅡ..
그렇다고 그동안 고통?스러웠던 시간들이 나빴던것만은 아니었다는 생각도 들어요
그 고통?만큼 자유가 전보다 2배로 확장된 느낌..
영원한 시간속에서 내가 원하는 공간을 선택하는 삶이라면 어떤 삶도 감사하지않을 이유는 없으니까요..
어제 밤에 애니메이션 귀멸의칼날 이란걸 보다 잠들었는데..스토리가 슬픈내용이라 계속 눈물은 나왔지만 전처럼 가슴이 내려앉는 느낌은 들지않더라구요...대신에 내앞에 나타난 모든 스토리도 그안에 사랑으로 이루어져있음을 담담하게 받아들이는 부분이 생겼어요..
프레임은 규정화 시키는 것인데 세상에 정해진것이 있을까. 사각형의 프레임으로는 삼각형을 찍어낼수 없으며 오히려 고정된 프레임을 지니고 산다면 그자신은 프레임이라는 감옥에서 사는것과 같을수 있다. 빨대로 세상을 본다면 세상은 빨대라는 프레임에 묶이게 된다. 마음에서 본다면 과연 프레임이 존재한다고 말할수 있을까? 프레임도 마음이 만들어낸 수많은 허상중에 하나인데 프레임을 통한 허상을 사실로 받아들이는것은 아닐까???. 프레임으로 무엇을 판단하는게 아니라 프레임을 벗어나서 있는그대로를 볼수만 있다면 그것이 진실이 아닐까?
@parkpark2830 15
2022년 3월 25일 10:48전 양자역학과 일반상대성이론(중력이론)이
제 인생을 완전히 바꾼거같아요
양자역학이 반야심경과 닮은거같다는 것으로
마음공부 시크릿 시작했었어요
아인슈타인 덕분에 시간은 좀 많이 걸렸지만
시간은 존재하지않고 영원과 순간이 겹쳐져있는
걸 확실하게 받아들이게 되어서
그 이전에 매일같이 시간에 쫓기는 듯한 목표설정과 조급함이 많이 사라졌어요...
조 디스펜자는 이걸
영원한 공간속에서 시간을 경험하는 삶(뉴튼적 세계관)에서
영원한 시간속에서 공간을 경험하는 삶(양자적 세계관)으로 전환한다..고 표현하더라구요.
뉴튼적 세계관은 사회에 있는 룰을 내 삶의 모든 기준으로 받아들여 살기때문에 집단적 단체적 룰에 개성을 희생?시키는게 많아지죠..자본주의던 사회주의던 또 그 밑에깔린 윤리(철학이나 종교)가 개인의 자유를 상호 배려의 행동이 되어 방종이 되지않도록 조절하는 장치를 갖게되구요..이게 없으면 사회가 국가 세계가 유지가 안되니까.ㅇ.ㅇ
그리고 많은 사람들이 그안에서 싸우죠..
제한된 프레임과 지식으로
여기서의 승패가 사회모습을 결정하고
그 모습이 또 나를 제약하고..
개인의 삶의선택이 사회에 영향을 미친다는 믿음이 덧셈으로 이해되는 한도내에서는
왠지 사회문제를 모른척하면 배운걸 실천못하는 죄의식?같은게 생기기도 하고...
자꾸 뭐가 되어야할거같은 압박감 그게 안되면
인정못받구 인정못받으면 살 가치가 없는것으로 처럼 느껴지는..
이런 기존의 모든 프레임과 패러다임을 깨고나니
이렇게 편할수가..ㅡ.ㅡ..
그렇다고 그동안 고통?스러웠던 시간들이
나빴던것만은 아니었다는 생각도 들어요
그 고통?만큼 자유가 전보다 2배로 확장된 느낌..
영원한 시간속에서 내가 원하는 공간을 선택하는
삶이라면
어떤 삶도 감사하지않을 이유는 없으니까요..
어제 밤에 애니메이션 귀멸의칼날 이란걸 보다 잠들었는데..스토리가 슬픈내용이라 계속 눈물은 나왔지만 전처럼 가슴이 내려앉는 느낌은 들지않더라구요...대신에 내앞에 나타난 모든 스토리도 그안에
사랑으로 이루어져있음을 담담하게 받아들이는 부분이 생겼어요..
이 자유가 영원하길 기도합니다
감사합니다~~~~!
@pleia777 6
2022년 3월 25일 15:27프레임을 만들지 않으시려 애쓰던 써니즈 님이 기억나네요
"프레임을 갖지 않아야 한다...도 프레임인가?" 라며 갑자기 살짝 현타를 느끼시던 모습도...ㅎㅎ
프레임, 믿음체계도 모든 것처럼 부정적이게도 긍정적이게도 쓰일 수 있다 생각해요
즉, 나를 제한시키기도 하고 자유를 주기도 하죠
내 믿음과 프레임은 높은 담이 될 수도, 열고 다른 세계로 나가게 하는 문이 될 수도 있어요
사회 전체의 프레임을 바꾸면, 각종 제도와 사회구조가 변하죠
믿음,프레임은 바로 우리의 개인적,집단적 현실을 창조하게하는 뼈대이자 기본 구조, 청사진이니까요
"세상을 있는 그대로 본다" 이거....저는 환상이라 생각 돼요
우리의 감각기관 조차도 실재 있는 그대로를 보여주지 않고, 각자의 필터를 통해 보게하니까요
가장 가까운 상태는 "평가,판단 없이 바라본다"라고 할 수 있을 거 같네요
"프레임을 가지면 있는 그대로를 보지 못한다" 이것 역시 믿음이자 프레임이고, 이 안에는 "현실에는... 있는 그대로,즉 절대적인 것이 있고, 프레임을 가지면 나는 그것을 놓칠 수 있다"라는 두려움이 깔린 건 아닌지...
"비행기를 잘 못 타면 다른 목적지로 갈 수도 있고 사고가 날 수도 있기에 걸어가겠다"라고 하는 건 비행기와 자신의 판단에 대한 부정적인 측면만을 봤을 때 가질 수 있는 생각같습니다
@찬유-s6m 6
2022년 3월 25일 21:35유학이나 해외취업을 해보면 완전히 다른 프레임을 분명히 경험하기때문에 그런것들을 얻어가기위해 노력해야겠다는 생각이들었어요! 지금 유학을거쳐 외국근무중이라 그렇게 받아들이게되네요
@God_Sub 5
2022년 3월 25일 08:43저는 원효대사의 해골물 이야기로 프레임을 깨달았는데 이 책도 너무나 좋은 것 같습니다 ㅎㅎ
@미연-c2t 4
2022년 3월 25일 14:28저희 부부는 서로에게 무차별적 팩폭을 날리는데 자기의 프레임을 확인하는데 꽤 도움이 되요^^ 팩폭이 상처가 안되는 관계라면 이것도 괜찮아요.
@sarangyun4547 3
2022년 3월 25일 11:27마지막 써니즈님이 정리해주시는 멘트 너무 공감되요 감사합니다^^
@어설픈사슴 3
2022년 3월 25일 13:16저는 최근에 책을 읽은 적이 없어요..
이렇게 핵심부분을 요약해서 전달받으면 훨씬 시간절약되고 압축되서 알게되는 느낌입니다.
오늘도 감사합니다. 써니즈님..
@불멍달멍 3
2022년 3월 25일 08:09쓰님의 본질찾기 놀이ㅋㅋ(현웃터졌..)
같이 놀아요~저두 오늘부터
본질찾기 놀이 해볼래요~
오랜만에 인사드려요^^
감사합니다 사랑합니다 💜 😘 💕
@꼬투리-j2w 3
2022년 3월 25일 10:13프레임은 규정화 시키는 것인데 세상에 정해진것이
있을까.
사각형의 프레임으로는 삼각형을
찍어낼수 없으며 오히려 고정된 프레임을 지니고 산다면 그자신은
프레임이라는 감옥에서 사는것과 같을수 있다.
빨대로 세상을 본다면 세상은 빨대라는 프레임에 묶이게 된다.
마음에서 본다면 과연 프레임이 존재한다고 말할수 있을까?
프레임도 마음이 만들어낸 수많은
허상중에 하나인데 프레임을 통한 허상을 사실로 받아들이는것은 아닐까???.
프레임으로 무엇을 판단하는게 아니라 프레임을 벗어나서
있는그대로를 볼수만 있다면 그것이 진실이 아닐까?
@rishiforest 2
2022년 3월 25일 09:01감사합니다♡
@하보남-w2e 2
2022년 3월 25일 07:48감사합니다~👏👏
@이현유-b6k 2
2022년 3월 25일 11:01어렵네요.. 그래도 감사합니다.
@yong-seokchoi2318 1
2022년 3월 26일 07:53좋은 유튜브를 찾았네요
구독하고 갑니다
@나루배 1
2022년 3월 25일 10:04좋은 책은 읽어야 맛이지요. 책 사서 봐야겠습니다.
@청산-p8l 1
2022년 3월 25일 07:25감사합니다..!!!
유용한 정보입니다.
@반야-g2q 1
2022년 3월 28일 17:21감사합니다 고맙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