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국 대출 본인이 얼마나 받아서 살고있는가? 이자여력이 얼마인가?를 확인하면됨 윤이 당선되고 주택자금 열어준다고 좋아들 하는데 돈이야 줄순있겄지만 절때 이자를 낮춰주진않을꺼임 지금 기준금리 1.25에 1금융권 주담대 신용 900대 가시면 대충 3%중후반인데 대충 800대미만이면 4-5%대로보임 이번달 미국 금리 한번 더올려 0.5왔고 최소 2%이상 올해말 예상되는 상황에 전경련같은데서 그래도 금리차로인한 국내타격은 적어서 역전금리가되도(미국금리가 높아도) 버틸수있다하며 종나 기가막힌 개소린하던데
안 그래도 코로나로 변동성이 커진상태에서 전쟁으로 금값,원자재,비료곡물 등등 수많은 경제 카테고리 지표들이 널뛰기 시작하는데 어떤 미친 쩐주가 아시아시장에 눈돌릴 여력이 있겠어 거기에 기축통화국에서 금리올려준다는데 있던돈도 빼서 미국 국채나 안전자산으로 눈돌리지 않것어? 결국 한은은 최소 0.5-1%는 리스크 비용지불은 필수인데 문제는 내년에 변동성이 더커진 무언가 터지면 이건 더벌어짐 자 올해말 기준으로 위에 말한 내용정리해 계산해보면 미국 기준금리 2.25 한국 기준금리 3.25 현재 기준금리 1.25 현재 주담대금리 4.25 연말 예상 주담대 금리 6.25(매우 러프하게잡아도) 10억에 5억 4.25 원리금균등시 245만 10억에 5억 6.25 원리금균등시 307만 집값만 300이상 박는 상황이 되는데 애하나 키우면 식구 생활비에 이것저것 나가면 못해도 200이상 그럼 월500인데 연봉 7000이상 아니면 답안서고 좀까딱해서 내년 8%가면 8000도 위험해지는거지 더 골때리는건 신용좋은 정상대출 루트로 적은건데 만약에 어떤방법이든 시기로 영끌 비슷허게 저 대출액이나 이율보다 높은데 연봉은 낮다 그러면 잘생각해봐 월 400이 나갈수도 있어 그럼 허리띠졸라매는게 아니라 던질수밖에없겠지 그다음은 뻔한거라 이야기 안해도 알꺼고
결론은 이미 100% 완납 내 아파트다 쭉사시면 되고 대출비중하고 담보되는 금액 다시확인해서 고정금리나 미래수입 잘따져서 현명하게 이자처리 하길 바래 만약 지금도 종내 이자내기도 허덕이는 분들은 진심 처분하시길 연체이자가 문제가아니라 진짜 동영상에서 말하듯 집값이 떨구기라도 한다면 담보액이하로 내려간 대출액 청구들어오면 눈앞이 캄캄해
이 분 말에 동의하든 안하든 현재 부동산에 거품이 너무 낀 건 맞고 옛날 가격만큼은 아니더라도 어느정도 빠지긴 할 시점이 오고 있는 건 부정할 수 없는 듯…부동산 싸이클에서 하락점은 무시하고 상승하는 부분만 강조하며 영끌집만세 외치며 조언하는 사람들은 좀 너무하지않나.. 하락장때 버티는게 얼마나 힘든 건데. 심지어 꼭지에서 샀다가 하락장이면… 그리고 영끌해서 부동산으로 재산 불리자! 식의 유투버들은 대부분 부동산 시장을 어지럽히는 투기꾼에 가까워보이고… 투기목적이 아닌 정말 내가 살 집을 최적의 시기에 구매하고 싶은 사람이라면 이렇게 폭 넓게 다양한 시각에서 보는 건 정말 필요한 것 같다..ㅜ
요즘 이현철 소장님 말씀 듣고 고민이 아주 많아졌습니다. 지금까지 부동산 시장에 대한 부정적인 생각으로 끝까지 무주택자로 버티다가 유니시티 매매가 아닌 전세로 들어가 살면서 사실 엄청 후회를 했었거든요. 근데 이번에 창원 대상공원아파트 분양을 받으려고 고민중인데 소장님 설명 듣고 난 이후로 정말 고민이 많습니다. 2030년까지 꿋꿋하게 버티는게 맞을지요? 소장님께서 보신다면 정말 객관적인 조언 듣고 싶습니다ㅜ
집은 정말 너무 쉬우면서도 간단한 자산임. 주식은 손절이란게 가능하지만, 집은 필수소비재 이기 때문에, 본인이 산 가격보다 떨어지면 그냥 내가 들어가 살자 라는 심리가 더 작용하지 절대 손해보고 팔지는 않는게 집임. 당장 이 댓글을 보는 너님이 생각을 해보셈 만약 너님 집값보다 50% 폭락한다면 과연 팔것인가? 이건 인간의 본능이며 그냥 너무 쉬운 문제임. 역사적으로도 증명됨.
지금은 부동산 상승 꼭지점. 부자들은 현금 보유중. 떨어지는거 보고 사려고. 그러나 돈 없는 사람들은 갈팡질팡. 떨어질거라 봄. 근데 얼마나 언제까지 떨어질지 모르는거지. 자기가 가지고 있는 자산과 소득을 잘고려해서 지역 찜 해놓고 그쪽 부동산 자주 방문해서 소식 받다가 이정도면 살 수 있는 금액이다 싶으면 구매를 하는게. 거기거 떨어지든 올라가든 실거주 목적이라면 크게 상관없으니까. 부동산으로 부를 늘릴 목적으로 무주택자들이 갈팡질팡 하다가는 또 놓치고 후회...
동부에서 살다가 이번 여름에 켈리포니아 남부로 리로케이션 하는데 집을 사야할지 렌트를 해야할지 정말 고민되는 상황이에요. 학군 좋은 동네로 이사가고 싶은데 렌트로 나온 집들이 거의 없고 매물은 많이 나왔는데 모기지 레잇이 너무 급격히 올라가서 구매하기 부담스럽네요. 이번주에만 모기지 레잇이 1%올랐더라구요. 렌트로 집이 가끔 나와도 세시간 만에 계약이 끝나더라구요.
미국 기준금리 올린답니다. 올해말까지 3프로까지‥더 갈수도 있다고 파월이 그랬습니다. 기준 금리가 3프로면 시중금리는 6ㅡ7프로‥‥ 이건 기축통화국 미국 얘기구요. 우리나라는 8프로ㅡ9프로?? 은행에 돈 넣어도 재미 좀 보는 금리네요. 영끌하신 분들 힘든 금리구요. 보통 집값은 버티다버티다 수직하락하긴 하더군요. 당분간 버티기 들어 가겠지요. 대출 완화한다고 했으니까요. 하지만 윤석열 당선자가 공급도 늘린다니 향후 집값이야 불보듯 뻔한 얘기네요. 부동산만 보고 있으면 장기적으론 돈벌기 쉽지 않은 세상입니다. 환율ㆍ금ㆍ은시세ㆍ기준금리 등 기본적인 몇가지는 그래도 좀 알아야 ‥‥
@야쓰-v3g 421
2022년 3월 28일 20:59객관적인 분석 너무 감사합니다
댓글보고 찾아보니 이미 22년까지 오르고 하락한다고 1년전 영상에서도 봤습니다
부동산 사이클을 이해하는데 많은 도움을 받았습니다
무조건 오른다는 뜬구름잡는 얘기보단 훨씬 좋습니다
@booshickang7663 399
2022년 3월 28일 23:31이해관계의 중심인 일반 매스컴과는 다른 올바른 정보,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
@김정숙-q8d 396
2022년 3월 28일 20:43주식이든
부동산이든 유동성 이 좌우
금리가 더 오르면
하락세 맞는거 같아요
좋은 정보 고맙습니다
@emily3417 269
2022년 3월 28일 20:58이 영상을 2-3년 후에 다시 보고 싶어요!!!!
@victorpark1004 256
2022년 3월 29일 14:34사실 급등장뒤에 조심해서 나쁠건 없죠. 이참에 채무관리도하면서 총알도 준비해두다가 비겁한 돈의 지점이오면 싸게 잡는 것도 좋다고 봅니다.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kerny920 256
2022년 3월 28일 21:201주택자지만 분석이 이해하기 쉽고 합리적이네요
@수연낙명 243
2022년 3월 29일 03:432006년 두배오른 아파트를 2009년부터 떨어지는거 버티다 2013년 최저가격에 반토막내고 팔고 다시는 부동산 하지않는다고 청약통장까지 해지했지... 역사는 되풀이되고.. 실수는 되풀이 된다.
김유미 201
2022년 3월 29일 09:53우리나라는 분양시장이 주는 영향 무시못하는거 같아요. 괜찮을거라 생각했는데 아파트값 하락때 생각보다 마음이 많이 힘들어요.
@hm5930 198
2022년 3월 28일 20:39맞는 말씀임. 사려고 하는 사람에게는 정말 좋은정보임 팔려고 하는 사람에게는 너무 듣기싫은 얘기겠지만
@무한자유-p1q 169
2022년 3월 28일 20:21하락장을 안겪어 보면 모른다 40ㅡ50프로 내려서 7년씩 간다 견딜수 있을거 같지
바닥에서 팔게된다.
부동산은 오른쪽 어깨가 없어
@제이-y4y 159
2022년 4월 03일 11:05와~~ 이분 부동산 시장내용들은
주린이에게도 너무 쉽게 잘 이해가가요..
머릿속에 그래프가 그려지면서,
무슨말씀주시는지 포인트가 귀에 쏙쏙 들어옵니다..
최고네요👍
지금 시기에 꼭 필요한 내용들인것같아
가족들한테도 전송해줘야겠어요..
@정진짜-u5s 153
2022년 3월 29일 17:12개인적으로 집샀는데 집값떨어져서 싸우는거보다 집안샀는데 올라서 왜 그때 사라고했는데 말렸냐고 싸우는게 더많긴함 ㅠ 실거주하면 떨어지든 올라가든 이자 감당되는 자기 현재 수준에 맞는 아파트 사면 상관없음
Y Jin 144
2022년 3월 29일 14:28대출없이 샀어도 사자마자 4년간 40%이상 하락하는데 세상 모든일에 자신감을 잃었었지요. 지금은 회복 됐지만 인생 최대의 실수였지요. 그대신 작년에 딸이 집 사려는걸 이소장님 영상과 경험으로 적극 말렸었지요.
@010pnu 130
2022년 3월 28일 23:52부동산의 가장 큰 리스크는 집값 하락이 아니라 안팔리는 겁니다. - 얼음공장 -
@user-ze4wt5cb1q 129
2022년 3월 31일 09:50와..
제가 예전 그 하락기 고통을 겪고
그 트라우마로 이번 상승기를 놓쳤네요.
이제 다음 상승기를 노려야겠어요.
곽옥용 106
2022년 3월 28일 23:50많은 부동산전문가들의 얘기를 들어
봤지만 이현철 소장님의 말씀이
신뢰가 갑니다!
@즐건인생-o3b 86
2022년 3월 30일 17:56주식이든, 부동산이든 모든 재화는 저렴할때 적극 매수해야 나중에 후회하지 않음!
현 집값은 모든 정황상 상투권 가격대이고, 금리인상시기라서 무조건 향후 몇년간은 관망이 최선~~
@호호호호-m9h 86
2022년 3월 28일 21:26좋은정보 감사합니다.👍👍👍
@김허버트 86
2022년 3월 29일 02:13구구절절 맞는 말씀입니다. 정말 정확한 시각이예요~ 현장에 있어야 알 수 있는 찐전문가!! 긴 상승장에서 반짝 돈번 부동산전문가들과는 차원이 다릅니다~! 이미 빠져나갈 사람들은 다 나갔더라고요^^
@min-sf6fc 86
2022년 3월 29일 11:22주식시장 1년도 못 견디는데 부동산 7년을 견딜 수 있다. 자신하기 어렵죠. 거기다 대부분 부동산은 빚투고 주식은 그래도 현금으로 소액하는 경우가 많으니 더 그러함.
열정과끈기 85
2022년 3월 28일 22:05소장님 객관적으로
얘기해주셔서 많은공부가
됩니다~
감사합니다^^
@권영순-q2h 85
2022년 3월 28일 21:48정말 정말 감사합니다!
집값이 좀 떨어져서 집 좀 살 수가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큰 집으로 사서 이사 가는 게 소망입니다!♡^^
BPS 84
2022년 3월 29일 08:14이현철 소장님의 의견을 존중하시는 분이 많이 계셨으면 좋겠습니다.
그래야 집값 하락을 기대하시는 분에게는 많은 심적 위안을 가져다주고, 상승을 기대하는 분들은 수익 극대화를 가져다 줄수 있습니다. 즉, 둘다 이익이죠! ㅎㅎ
@김홍정-s7r 79
2022년 3월 30일 12:12명확하게 말씀 해 주셔서
이해가 쉽구 귀에 쏙쏙들어 옵니다~^^
Evan Evan 78
2022년 4월 05일 23:06이 영상을..
지금 집사라고 하는 제 친구 한테..
3년~5년안에 이 영상이 떡상하길 바라며
추천하고싶네요
jacob Yang 76
2022년 3월 29일 00:05정확한 정보와 분석에 감사의 말씀을 올려드립니다.
sj 73
2022년 3월 28일 23:12이현철 소장님 대단. 일관성있는 부동산.저도 부동산업을 했던 사람으로서 맞는 말임. 국토부장관 감입니다.
안뉴플 67
2022년 3월 28일 22:13소장님 말씀에 정말 공감이 갑니다
좀더 기다려 보겠습니다
다 뽑아버려 62
2022년 4월 25일 11:00집값거품이 어찌나 심한지 하루빨리 안정을 찾았으면 좋겠습니다
Sumeru 54
2022년 3월 29일 17:21신뢰만땅 이현철 소장님
@윤슬-d1x 48
2022년 3월 30일 16:37저는 타이밍 올때까지 기다리려고 준비 단디 하고 있습니다
투기꾼들과 달리 현실이 잘 반영된 말씀 잘 들었습니다
김김호수 47
2022년 4월 13일 20:09현실적인 얘기를 들려주셔서 이해가 됩니다
@리치미 46
2022년 3월 29일 07:44촬영일자를 표시 해 주시는 김작가 tv 좋네요~^^
@lucky_tv 45
2022년 3월 28일 20:02📌 김작가의 신규 유튜브 채널 <리치> 오픈, 놀러오세요:)
👉 https://youtu.be/EOezM8iV9nU
🌟 『이현철 소장_4부작 영상』 바로 보러 가기
👉 1부. https://www.youtube.com/watch?v=JkBHg22Bn8c&t=14s
👉 2부. https://www.youtube.com/watch?v=VNxDAtCZU-I&t=1s
👉 3부. https://www.youtube.com/watch?v=FocmmcQ9DxM
👉 4부. https://www.youtube.com/watch?v=dT_DEW7wj9o
moddy 44
2022년 3월 29일 01:54여기서 소장님을 뵈니까 더 반갑네요ㅎ
영상 잘봤습니다 소장님~
Julia Lau 44
2022년 3월 29일 20:07지금 너무 고민중인데 희망과 기쁨을 주시네요.
믿고 행동합니다!!
제발 맞말이길
김수정 42
2022년 4월 07일 15:24구구절절이 옳은말씀입니다
하락기를겪은저로서는
생지옥이 따로없었습니다
죽기직전까지버티던사람들이 결국은싸게내어놓고 그게값이형성되고 생각보다엄청공포스럽습니다
Investor Lee 40
2022년 3월 28일 23:08김도윤 작가님 날개가 없다 그래서 뛰는 거다 잘 읽었습니다 작가님의 열정을 보면 뭘해도 성공할수 밖에 없을거 같아요 저도 비슷한 열정을 가지고 있습니다 나중에 성공하고 뵈요 ㅎㅎ
고고씽임 39
2022년 3월 28일 23:09말씀하시는 내용이 논리적인듯 합니다. 부동산 관련 내용 보면서 스토리가 있다 라는 느낌은 처음 받는듯 하네요
@hyeokjun2216 33
2022년 3월 30일 14:08지금도 금리 7% 나온다하죠 내년이면 8~9% 예상합니다
우선 영끌 갭투자 다주택자 물량이 내년부터 쏟아진다 생각하면 됩니다. 이자부담이 지금의 2배가 되는데 이걸 버틸수 있으면 영끌을 안했겠죠
다주택 갭투자는 더심하죠 이건 전세 살고있으신분들도 조심해야되죠
그리고 2~3년지나면 주담보 고정금리 3~5년 받으신분들이 변동으로 바뀌는 시점이 옵니다
2~3% 내시던분들이 갑자기 이자부담이 3~4배 되어 버립니다 이때도 못버티는분들 물량 쏟아져 내립니다
잘 생각하고 투자하시기 바랍니다
하늘YUN 33
2022년 3월 31일 21:08와~대박 이현철 소장님 말씀에 공감합니다.
지성감천 32
2022년 3월 30일 15:00소장님 생각에 매우 동의합니다
저도 비슷한 견해를 가지고 있었습니다
김작가님 채널에서 고점 신호를 잘 주시기는 합니다 ㅎ 잘봤습니다 ~
@anthonyyoo1600 31
2022년 3월 29일 02:22결국 대출 본인이 얼마나 받아서 살고있는가?
이자여력이 얼마인가?를 확인하면됨
윤이 당선되고 주택자금 열어준다고 좋아들 하는데 돈이야 줄순있겄지만 절때 이자를 낮춰주진않을꺼임 지금 기준금리 1.25에 1금융권 주담대 신용 900대 가시면 대충 3%중후반인데
대충 800대미만이면 4-5%대로보임
이번달 미국 금리 한번 더올려 0.5왔고 최소 2%이상 올해말 예상되는 상황에 전경련같은데서 그래도 금리차로인한 국내타격은 적어서 역전금리가되도(미국금리가 높아도) 버틸수있다하며 종나 기가막힌 개소린하던데
안 그래도 코로나로 변동성이 커진상태에서 전쟁으로 금값,원자재,비료곡물 등등 수많은 경제 카테고리 지표들이 널뛰기 시작하는데 어떤 미친 쩐주가 아시아시장에 눈돌릴 여력이 있겠어 거기에 기축통화국에서 금리올려준다는데 있던돈도 빼서 미국 국채나 안전자산으로 눈돌리지 않것어?
결국 한은은 최소 0.5-1%는 리스크 비용지불은
필수인데 문제는 내년에 변동성이 더커진 무언가 터지면 이건 더벌어짐
자 올해말 기준으로 위에 말한 내용정리해 계산해보면
미국 기준금리 2.25
한국 기준금리 3.25
현재 기준금리 1.25
현재 주담대금리 4.25
연말 예상 주담대 금리 6.25(매우 러프하게잡아도)
10억에 5억 4.25 원리금균등시 245만
10억에 5억 6.25 원리금균등시 307만
집값만 300이상 박는 상황이 되는데
애하나 키우면 식구 생활비에 이것저것 나가면 못해도 200이상 그럼 월500인데 연봉 7000이상
아니면 답안서고 좀까딱해서 내년 8%가면 8000도 위험해지는거지
더 골때리는건 신용좋은 정상대출 루트로 적은건데 만약에 어떤방법이든 시기로 영끌 비슷허게 저 대출액이나 이율보다 높은데 연봉은 낮다 그러면 잘생각해봐 월 400이 나갈수도 있어
그럼 허리띠졸라매는게 아니라 던질수밖에없겠지
그다음은 뻔한거라 이야기 안해도 알꺼고
결론은 이미 100% 완납 내 아파트다 쭉사시면 되고 대출비중하고 담보되는 금액 다시확인해서
고정금리나 미래수입 잘따져서 현명하게 이자처리 하길 바래
만약 지금도 종내 이자내기도 허덕이는 분들은 진심 처분하시길 연체이자가 문제가아니라
진짜 동영상에서 말하듯 집값이 떨구기라도 한다면 담보액이하로 내려간 대출액 청구들어오면 눈앞이 캄캄해
희망 31
2022년 3월 29일 08:47살면서 2번 하락기를 겪어봐서 너무나 잘알고 있습니다.
주변에 돈벌었다고 착각하는 인간들 참 많지요..
하락기에는 집값을 아무리 내려도 안팔립니다..!!
@아이리스-r1d 30
2022년 3월 29일 20:28원자제값이 올라가고 땅값 이올라가고~ 분양가가 점점 올라가는데... 폭락이온다..... 개인생각이지만... 폭락까지는 아닐거같습니다..
박태준 26
2022년 4월 13일 00:07감사한 영상인데... 의식주가 돈발이가 되니.. 가난한 사람이 피를 보지 않나 생각 듭니다...
어찌됐든 약자에게 안전장치가 되는 법 제도가 있는 나라가 되었으면 하네요
이채영 24
2022년 4월 06일 13:05전세값이 너무 올라 생애 첫주택 으로 신축 아파트 분양 고민중 이였는데, 결정에 정말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넘넘 감사해요.
@personnel1511 21
2022년 4월 29일 10:38이 분 말에 동의하든 안하든 현재 부동산에 거품이 너무 낀 건 맞고 옛날 가격만큼은 아니더라도 어느정도 빠지긴 할 시점이 오고 있는 건 부정할 수 없는 듯…부동산 싸이클에서 하락점은 무시하고 상승하는 부분만 강조하며 영끌집만세 외치며 조언하는 사람들은 좀 너무하지않나.. 하락장때 버티는게 얼마나 힘든 건데. 심지어 꼭지에서 샀다가 하락장이면… 그리고 영끌해서 부동산으로 재산 불리자! 식의 유투버들은 대부분 부동산 시장을 어지럽히는 투기꾼에 가까워보이고… 투기목적이 아닌 정말 내가 살 집을 최적의 시기에 구매하고 싶은 사람이라면 이렇게 폭 넓게 다양한 시각에서 보는 건 정말 필요한 것 같다..ㅜ
부자되는채널:KIND TEACHER JANE 20
2022년 4월 06일 15:58부동산은 지역마다 다르게 볼 필요가 있습니다..부자되고 도움되는 좋은 말씀 감사해요:)
@들꽃-v7q 19
2022년 4월 04일 04:56더이상 집값 폭락보다는ᆢ양극화현상이 뚜렸해질것 같아요ㆍ인기중심지는 하락할수록 매수할 사람들이 많을거구요ㆍ비인기지역은 하락이 올수밖에 없다고 생각합니다 ㆍ
@송민우-v9w 19
2022년 4월 04일 02:36집값이 하락하니까 실거주도 사지마라 ? .. 이건 상황에따라 어디 주택이냐에 따라 다를듯한데 입지좋은곳 , 모두가살고싶어하는 신축은 하락기에도 방어가됩니다
@zorba- 19
2022년 3월 28일 23:20떨어져도 살 수 있는 사람은 정해져있음 ㅋㅋ 그냥 내가 없으니 배아파서 떨어지길 기원 할 뿐... 어차피 널널한 사람들은 이래나 저래나 상관없음 ㅋㅋ
@swingandfitness 17
2022년 3월 29일 07:54우리나라 부동산 수요공급 우리나라 정책보다 미국,중국 경기 영향 많이 받음
송민호 15
2022년 4월 20일 07:02혹시 아파트청약 생에첫특별공급 같은 특수한 경우도 해당이 될까요?
@davidkim7393 13
2022년 3월 28일 22:13올해 말 이 영상 다시 보겠습니다
LYL 12
2022년 4월 21일 23:28현실적으로 잘 알려주시네요.
@im_not_health_chang 11
2023년 2월 13일 15:22현재 영상이 나온지 10개월 뒤... 이사람은 전설이 되었다
@이창일-o2q 11
2022년 3월 31일 01:1248년동안 여지것 집500만원 이라도
올라간다 봅니다.
영끌한분들이 어려울뿐이지
영끌하지 않는이상 집값은 올라간다고 봅니다.
정현 유 11
2022년 4월 10일 09:05투자의 책임은 본인에게 있습니다
@아싸가오리-z3k 10
2022년 4월 09일 10:29집없는사람들은
제발저런말 참고만하시고 믿지마세요
단군이래 집값이
장기간 떨어져서
회복못한기간은
없잖아요
적당히 참고만하세요
맹신하지는마시고요
호로록입니다 10
2022년 3월 28일 20:09비관론자는 절대로 부자가 될 수없다
전서희 10
2022년 3월 28일 20:03ㅋㅋㅋ저영상믿고 또 누군가는 안사다가 나중에 가격오르면 또 멀뚱멀뚱 처다보며 나라탓만하겟지 무주택자가 집삿는데 가격떨어졋다?그럼 그냥살면되지ㅋㅋ평생집값이 하락하겟냐
이석준 10
2022년 4월 11일 00:10요즘 이현철 소장님 말씀 듣고 고민이 아주 많아졌습니다.
지금까지 부동산 시장에 대한 부정적인 생각으로 끝까지 무주택자로 버티다가
유니시티 매매가 아닌 전세로 들어가 살면서
사실 엄청 후회를 했었거든요.
근데 이번에 창원 대상공원아파트 분양을 받으려고 고민중인데
소장님 설명 듣고 난 이후로 정말 고민이 많습니다.
2030년까지 꿋꿋하게 버티는게 맞을지요?
소장님께서 보신다면 정말 객관적인 조언 듣고 싶습니다ㅜ
로이 10
2022년 4월 27일 00:25정보 감사합니당^^참고해서 잘 준비해야겠어요
mo m 10
2022년 4월 09일 14:59좋은 정보와 말씀에 감사드립니다 🌻🌻
@98대장 8
2022년 4월 08일 10:3530%만 맞고 70%는 엉뚱한 소리. 1주택자에게도 집을 팔아라? 그건 신의 영역입니다. 1주택자는 홀딩해야지
@user-uy5vx9mt7f 8
2022년 3월 30일 00:412006-8년도 때 대형이 더 떨어졌었어요 시행사들이 마지막에 대형을 많이 짙는 바람에요
지금부터 얼마나 대형을 많을지을지 봐야하고 지역마다 다 틀려서 ~~~
MEIHUA XU 7
2022년 4월 10일 09:00이현철소장님 조언 너무나도 기대가 되네요~ 믿고 꼭 그날까지 기대해볼게요~ 감사합니다 🙏
예술은즐겁다 /엠비주얼스쿨 7
2022년 4월 25일 18:04이 분 최고예요.
박상수 6
2022년 8월 13일 14:26구구절절 맞은 소리하시는 이현철 소장님을 1년 전에만 만났어도 진짜 진짜 좋았으련만ㅠㅠ
Investor Lee 6
2022년 3월 28일 20:11이분의 근거가 빈약해보입니다 내년에 집값 폭락은 오지 않습니다
SK Y 6
2022년 3월 28일 20:11김작가 정신이 있나??? 차라리 라이트하우스를 불러서 방송을 하지..저런걸 부동산 전문가라고..
@김권호-s8j 6
2022년 4월 04일 18:58금리가 5프로7프로 하는데 이자 감당할수 있는 용기있는자가 있어야 집값이 오르지
우주정복 6
2022년 3월 28일 20:05폭락이 와도 살수있는가격 안옵니다
치키니 5
2022년 3월 28일 20:08이 영상 보고 또 10년 전세 살아갈 무주택자분들.. 10년뒤엔 살 수 있을것같죠? 안타깝네요
퍼즈갓 5
2022년 3월 28일 20:06일반인들이 다들 비관적으로 안떨어진다는 여론이 강하니 떨어질때가 된거같음 ㅇㅇ..
SI L 5
2022년 4월 08일 21:39이분은 진심 믿음가는 분
신장개업 5
2022년 3월 28일 20:02절대 폭락 안올껄요!
@jadiche247 5
2022년 4월 04일 13:41팬데믹 바로 직후 어떤 유튜버가 한말이.. 앞으로 집값은 계속 하락할거라고 본인도 그렇게 될거라고 생각했음.. 팬대믹 이후 집값은 거의 15% 인상 판단은 본인이....!!
@ws._.예콩이 5
2022년 7월 10일 21:30이번년도에 매매 알아볼려고 했는데ㅠ
전세나, 월세 살다 내년에 매매 해야겠네요.
제발 아파트 거품 가격이 빠졌으면 좋겠네요.
@amicogen대강 5
2022년 4월 03일 09:17대출 없이는 사도 되나 대출이 있다면 신중할 필요가 있죠.
@jjoonlee63 4
2022년 3월 29일 17:51내 생각에 사지 않는게 맞긴한데?,,제 경험으로 집값은 별로 떨어지지 않아요. 단지 돈 값어치가 떨어질 뿐.
응고 4
2022년 5월 06일 18:55좋은정보 감사합니다
코타나코사지cotana corsages 4
2022년 6월 01일 20:35인상도 좋으시고 말씀도 쏙쏙 들어오게 하시네요 ^^감사합니다
@효도유튜브 4
2022년 10월 08일 21:35이현철님 이광수님이 딱 두 사람뿐이없었음. 지금에 하락에 와서야 나머지는 전문가라면서 숟가락얻기.
@포뮬러원 4
2022년 10월 16일 14:42지금 보니 완전 단호한 말씀이 다 맞는 말씀이었네요
@사과향기-d5j 4
2022년 5월 06일 00:36소장님은 현실을 잘 모르시네요
전세가 없으니 답답하죠
다들 팔려고 내놓으니
전세물량이 없습니다
@victorylee6351 4
2022년 5월 10일 21:10나도 강남에 집 있지만 떨어질것 같긴하다.너무 올랐고
전세계 상황이나 지표가 오를수 없는 구조다.
더 오른다면 비정상인건 다 알듯.
Bd 1525 3
2022년 3월 28일 20:20ㅋㅋㅋ... 밑에 댓글들은 초보 투기꾼들인가??
선수들은 다팔고 관심도 없는데 오른다고 뻥치는애가 아직도 있네.
클났구만. ㅋㅋㅋㅋㅋㅋ
wook674 3
2022년 3월 28일 20:15이런분 나오는거 보니 풀매수 시그널이군요....
freeman Park 3
2022년 3월 28일 20:08선대인2 네…
@빡상-l7t 3
2022년 5월 23일 07:17능력 있으면 사고 억지로 대출 끌어다가 살필요가 없는거지 투자는 리스크가 존재한다 하지만 투자를 하지 않으면 이미 돈을 잃고 있는것이다
motiv 3
2022년 5월 10일 23:30내년에는 소득 기준이 넘을 것 같아서, 올해 안에 생애최초 특별공급(1인가구) 청약을 최대한 넣어보려고 합니다..! 어차피 몇년 뒤에 완공되니 서울, 경기권으로 넣어보려고 하는데, 이런 경우에도 청약을 안 넣는게 나은지 궁금합니다.
5년 3
2022년 3월 28일 20:22지인 12채 가진분 6월을 못넘길것 같다고 하던데~~진짜 지옥오나봐요.
@kirijjang79 3
2022년 6월 20일 17:25무주택의 고통을 안다면 집사지마라, 집 팔아라. 이런말 못할텐데.
C.H. Yoo 3
2022년 8월 02일 22:11이 분 인정.....
월급쟁이형 2
2022년 3월 28일 20:15집은 정말 너무 쉬우면서도 간단한 자산임. 주식은 손절이란게 가능하지만, 집은 필수소비재 이기 때문에, 본인이 산 가격보다 떨어지면 그냥 내가 들어가 살자 라는 심리가 더 작용하지 절대 손해보고 팔지는 않는게 집임. 당장 이 댓글을 보는 너님이 생각을 해보셈 만약 너님 집값보다 50% 폭락한다면 과연 팔것인가? 이건 인간의 본능이며 그냥 너무 쉬운 문제임. 역사적으로도 증명됨.
@thanksy5011 2
2022년 7월 15일 22:15서울 강남 대형64 평 거주.
2003년 28억가더니
2013년 13억까지 떨어짐.
2017년 부터 다시 오르기 시작해서 2021년 40억. ...앞으로 8~9년은 하락해서 20억정도..
부동산 흐름은 보통 8~9년 지속되고 폭도 고점에서 45%정도 하락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스프링 2
2022년 3월 28일 20:09허허
어느 지역의 집값이 하락하는가요!
@바나나맛우유-e9n 2
2022년 6월 05일 00:01지금은 부동산 상승 꼭지점. 부자들은 현금 보유중. 떨어지는거 보고 사려고. 그러나 돈 없는 사람들은 갈팡질팡. 떨어질거라 봄. 근데 얼마나 언제까지 떨어질지 모르는거지. 자기가 가지고 있는 자산과 소득을 잘고려해서 지역 찜 해놓고 그쪽 부동산 자주 방문해서 소식 받다가 이정도면 살 수 있는 금액이다 싶으면 구매를 하는게. 거기거 떨어지든 올라가든 실거주 목적이라면 크게 상관없으니까. 부동산으로 부를 늘릴 목적으로 무주택자들이 갈팡질팡 하다가는 또 놓치고 후회...
리중딱 2
2022년 4월 30일 15:44전세,월세 응원합니다!
재테크 읽는 주슨생 2
2022년 3월 28일 20:25폭락하는 지역이 있고 그렇지 않은 지역이 있고, 사야할 지역이 있고, 사지 말아야할 지역이 있습니다😀
@조은희-l8k 2
2022년 12월 17일 23:00대단하십니다 감사합니다
이남재T61 2
2022년 3월 28일 20:21이분은 자기 집팔았나요? 팔았으면 이분말100%믿을께요
plenete 2
2022년 4월 25일 00:42좋은 조언 감사합니다
216P 1
2022년 3월 28일 20:24이분 영상 처음 접하면 하락론자라고 생각할수있는데
19 20 년도에 상승한다고 얘기하시던 분임
싸이클을 얘기하는데 하락이어쩌구 상승이 어쩌구 하는건 멍청한거지
Seung Yeol Lee 1
2022년 3월 28일 20:09집 값이 왜 안 떨어질까...
60세 시대는 30년 부모, 본인 30년 하면 되는데
지금은 100세 시대 30년 부보, 본인 30년 2번 구매 해야함.
집은 영원한게 아니라 30~40년 수명이다.
박성민 1
2022년 3월 28일 20:24집값이 떨어지면 대출 7-80퍼해서 산 사람들의 경우 담보물건의 가치가 떨어짐으로 은행에서 상환 명령이 떨어져요 1-2억 한번에 상환못하면 집을 팔아야겠죠? 지금 무주택자들이 영끌하면 안되는 이유에요. 여유가된다면 사던말던 상관없죠 ㅎㅎ
정다운 1
2022년 3월 28일 20:14말도 안되는 소리하시네
mo m 1
2022년 4월 09일 14:37김작가님
반갑습니다 ^^
늘 수고많으십니다
행복한 주말 되십시오 💕
개발지역도 알켜주세요부산시의 부동산관련 1
2022년 3월 28일 20:18소장님 강의 잘들었습니다
작년에 소장님께서 맨처음 하락시기가온다고 하셨는데 지나고보니 딱 맞더라구요
하락세를 자세하게 설명해주셔서 감사합니다
민다 1
2022년 3월 28일 20:1610여년간하락을 외치가다 한번 아다리걸려서 맞으면 거봐 내가 하락한다했지?! 빌런에 3년을 당했음..
조순녀 1
2022년 4월 03일 02:04전세만기가 두달남아서 이사다니기 싫어서 어떻게 하나 집을사야하나 생각중입니다 대출받아야 하는데 잘들었습니다 감사합니다
닥터팩의 미국 이민 이야기
2022년 5월 07일 20:19동부에서 살다가 이번 여름에 켈리포니아 남부로 리로케이션 하는데 집을 사야할지 렌트를 해야할지 정말 고민되는 상황이에요. 학군 좋은 동네로 이사가고 싶은데 렌트로 나온 집들이 거의 없고 매물은 많이 나왔는데 모기지 레잇이 너무 급격히 올라가서 구매하기 부담스럽네요. 이번주에만 모기지 레잇이 1%올랐더라구요. 렌트로 집이 가끔 나와도 세시간 만에 계약이 끝나더라구요.
블루코너
2022년 3월 28일 20:25이 사람 전문가 맞음?? 1인세대가 대세라 소형은 앞으로도 계속 인기랍니다. 요즘 대가족 구성하면서 사는사람 있음??
프리시즌
2022년 3월 28일 20:15인플레이션 때문에 안떨어짐. 대출 풀기 시작했으니까 지금이라도 사라 두번사라!!!
조공
2022년 3월 28일 20:23이분 말씀은
여러번..아무리봐도
정확한 근거도 없는거 같다..
그냥..
앞으로 안봐야겠다
자유인
2022년 3월 28일 20:17미국 기준금리 올린답니다. 올해말까지 3프로까지‥더 갈수도 있다고 파월이 그랬습니다.
기준 금리가 3프로면 시중금리는 6ㅡ7프로‥‥ 이건 기축통화국 미국 얘기구요. 우리나라는 8프로ㅡ9프로??
은행에 돈 넣어도 재미 좀 보는 금리네요.
영끌하신 분들 힘든 금리구요.
보통 집값은 버티다버티다 수직하락하긴 하더군요.
당분간 버티기 들어 가겠지요.
대출 완화한다고 했으니까요.
하지만 윤석열 당선자가 공급도 늘린다니 향후 집값이야 불보듯 뻔한 얘기네요.
부동산만 보고 있으면 장기적으론 돈벌기 쉽지 않은 세상입니다.
환율ㆍ금ㆍ은시세ㆍ기준금리 등 기본적인 몇가지는 그래도 좀 알아야 ‥‥
황규현
2022년 3월 28일 20:23안타깝네요….
수박이
2022년 3월 28일 20:18폭락까지는 아니고
조정수준의 하락이 오겠지.,
어디까지나 외부요인 없다면, 윤석열이 국가정상화로 조정이 온다고 봐야함...
노동의 가치를 실현하고 죽어가는 나라를 살리기위해선 조정은 필수이고,
그렇다고 떡락시키면 경제위기오니 완만한 하락,조정이라 봐야겠죠.
김평화촌
2022년 3월 28일 20:25뭔독키소리야
이광원
2022년 3월 28일 20:26댓글보니 떡락이 맞는듯
유민선
2022년 3월 28일 20:22이사람 말 믿지 말고 매수 여력되면 사야 된다
Robin
2022년 3월 28일 20:12월급이 다들어가면 생활이안될정도라는게 기존에 이자가 2%일때 매수해서 6%로 변하면 생활이 안된다는거를 말하시는건지 6%시작을했을때도 생활이안될정도면 개인이 판단을 잘못한게아닌가
lee앞발
2022년 3월 28일 20:16김작가 맨붕 오겠네요
얼쑤 Ulssu
2022년 3월 28일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