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기 부정적인 댓글이신 분들, 부동산에 대해서 집중 공부 1년 정도 하셨다면, 그 원리에 입각한 반론을 제기하시길. 저도 사실 이런 상승장에 하락을 예견하신다구? 하며 반신반의했는데 부동산 투자에 있어서 금리 영향이 커보이지만 사실상 그것보다 더 큰 것이 사람들의 심리 라고 생각합니다. 작년 불상승장에서 보셨듯이, 폭등이나 폭락은 ‘비이성적’ 입니다. 그래서 소장님이 자꾸 심리 얘기만 하시는 겁니다. 그리고 전망은 어디까지나 전망으로만 받아들이시길. 시장 예측은 그 누구도 확언할 수 없습니다. 그만큼 사람들의 마음의 동요가 어디로 튈지 모르고, 정부의 정책들도 어떨지 그 누구도 100% 모르니까요. 이런 의견도 있구나 참고하시면 될듯요~~ (중간 댓글 중에, 이렇게 비판이 많을 걸 보니, 정말 하락하겠군, 이라는 댓글에 매우 동감합니다. 시장은 항상 대중의 의견과 다르게 가는 편이니.) 이렇게 좋은 전문가 분들의 의견을 객관적으로 잘 들읍시다! ^.^
2009년도에 하락장인지도 모르고 지방에 작은 아파트를 샀었는데 그때 딱 전세가랑 매매가랑 비슷해서 그냥 대출 받아서 사버렸어요.. 그때 금리 5~6프로 였는데 힘들게 월급에서 이자 내면서 4년 정도 가지고 있다보니 처음 샀던 가격보다 50프로 올랐더라구요. 이분 말씀이 맞는게 하락장이라고 다 떨어지는 것도 아닌거 같아요.
미국은 10년마다 2500만명 정도씩 꾸준히 인구가 증가했고 앞으로도 그러할 것이라 예상됩니다 10년마다 서울수도권 규모의 주택을 꾸준하게 공급해야하고 조금이라도 공급이 부족해지면 집값이 폭등하게되죠. 호주, 캐나다 또한 10년마다 300~400만명 정도씩 인구가 증가합니다. 미국과 마찬가지로 신규 주택을 꾸준히 공급해야합니다.
반면 한국은 이제 인구감소 들어갔고 2030년 이후부터는 10년마다 300~500만씩 인구가 줄어듭니다. 매 10년마다 부산 인천 하나씩 사라지게 됩니다. 수십년간 꾸준히요
이번 하락기 접어든다면 2030년 즈음에 상승싸이클인데 이때는 수도권 대량공급 예정되어있지요. 근데 이때는 인구 급감기 가구 감소기와 맞물립니다.
혼인건수를 보면 과거 수십년간 혼인 30~40만건으로 아파트 입주건수와 거의 비슷했는데 최근에는 혼인이 반토막 났습니다. 혼인건수 작년 19만 올해 17만 예상되고 조만간 15만건 이하로 내려가겠죠. 입주가 30~40만호면 혼인 신규수요 제외하고 나머지 20만호 정도는 구축에서 이동해와야 합니다. 그럼 구축은 세입자 구하기 힘들어지고 전세값 내려갈수도 있습니다.
특히나 2030년 전후 수도권 대량 입주 예상되어있는데 그땐 혼인이 더욱 줄어들 것이고 전세값 집값 동반하락도 가능합니다.
5~7년 반토막이 나을지 20년 반토막이 나을지는 일본을 보면 알수있습니다 5년 이내에 대하락이 나올 경우에는 마지막 70만 인구 세대인 90년대생들이 30대중반에 접어들면서 주거안정과 함꼐 출산율 반등등 여러가지를 기대해 볼수 있지만 20년간 서서히 연착륙 한다면 다들 집값 빠진다면서 언제 도대체 빠지냐 이러다가 15년 20년 지나서야 집값이 거의 오르지 않고 약간 빠진것을 느낄 거고 20년전과 물가상승률을 비교했을떄 사실상 반토막이라 는것을 꺠닫고 나서 이 나라에 출산율도 더 바닥이고 일본의 사토리세대같은 세대들이 30~50대가 되어 나라의 기둥이 무너진 것을 지켜보며 전 세대가 패배감에 젖은 걸 볼 수도 있습니다 집값이 빠지지 않아 젊은 세대들이 쉽게벌고 쉽게쓰며 가정을 이룰 생각은 당연히 하지않고 현재도 출생아수가 26만인데 앞으로 20년간 이 출생아수를 넘어서지 않는다면 아마 세계최고령화 국가가 될수도 있고 현재의 일본보다 더 활력이 없는 그런 나라가 될수있습니다
솔직히 지금 상승한다고 말씀하시는 분들... 아기곰님, 이상우님, 얼음공장님, 부읽남님 등등은 부동산 상승기 하락기를 다 경험한 분들인지 애매하고(최소 15년~20년) 아기곰님은 하락때는 말씀이 아예 없었고... 이현철님은 그래도 길게 본인의 소리를 내신 분이라 조금더 신뢰가 가네요... 그래도 집값을 누가 정확히 알겠어요 다들 참고로만 하시길...판단은 본인이
진짜 중요한 이야기가 나왔네요 우리나라는 지금의 전세는 없어지거나 법 개정이 이루어져야 합니다 다만 전세 사는걸 목표로 하는 사람도 많고 전세를 없애는거에 반감이 많아서 대부분 이런 중요한 문제에는 침묵합니다 전세를 완전히 없앨수는 없지만 공시가 대비 몇%이상 보증금을 받지 못하게 하는 규정이나, 전세를 할때 소유권에 대한 지분율을 따지게 한다던지 하는 법이 있지 않으면 다시 돈이 풀리고 경제가 2018~2020년처럼 온다면 집값 상승은 또다시 옵니다
그나마 다주택자에 대한 보유세등으로 임시방편은 하겠지만 이미 이번상승은 기재부장관이 계속 반대를 하다 골든타임을 놓쳐버렸고 너무 늦어버렸죠 그리고 이 불편한 법은 개정되어서 정상적인 법이 되도록 하는게 맞다고 봅니다
1가구 2주택 이상자에 대한 양도세 폐지가 집을 매수하라는 신호로 봅니다. 실거주 요건도 폐지 등등이 뉴스에 나오면 집 살 생각입니다. 결국 밋장 다 풀 때가 살 시기인데 막상 풀어도 대다수 사람들이 돈이 없을 겁니다. 저금리로는 이제 가기 힘들거든요. 결국 부자들의 잔칫상이 되겠군요.
국민소득 수준에 맞지도 않게 집값 너무 많이 올랐으니 거품 빠지는게 당연한거다 코로나로 경제폭망인데 무슨수로 집값이 안떨어져 아직도 주식 줍줍 계속 사라고 말하는 증권사놈들말만 들어서 쳐물린 개미들 만큼 한심하네 그래 달콤한말만 해줄게 집값 평생 우상향 하니까 평생 들고있어라
이현철 소장님 제가 부산 사상구 주례동 반도보라매머드타운에 살고 있는데 이번에 집을 매도 하게 되어서 이번주 금요일날 계약하기로 했습니다. 매도금액 17200만원(가계약금 200만원) 오르는거 같아 팔지말고 400돌려줄까 이사갈까 고민입니다.집은 아직 못 구했습니다. 한번 살펴 봐주실수 있나요?조언 부탁드립니다.
My 190
2022년 4월 01일 13:21주식이든 부동산이든 사이클이 있는건데, 어느 한 방향만 외치는 소위 전문가들은 신뢰가 가지 않는데, 소장님은 부동산 분야에서 거의 유일하게 상승/하락을 시기에 따라 적절히 분석해서 말씀해주시네요.
마음편한 삼성전자 184
2022년 3월 29일 18:08이분은 정말 깔수가 없음 2009년 강연당시 집 앞으로 5년은 사지마라! 2016년~17년 집사라고 주구장창 이제는 집사지말라고 주구장창... 이번에는 오히려 이전에 비해 더 맞추기 쉬운 상황. 금리까지 빅스텝 예고되어 있으니...
sunny sun 170
2022년 3월 30일 15:14제 오랜경험상 부동산 지금은 투기시장이맞아요. 다주택자규제를 왜해야하는지 아셔야합니다. 주거용 구매가 아닌거예요. 과열에 한몫하는게 요새 유투버들과 언론들임.
남수진 156
2022년 3월 29일 20:26최고의 집값 예언가 이십니다
건강하시고 계속 귀중한 정보주세요
감사합니다
H L 151
2022년 3월 29일 17:55김작가 티비에서는 여러가지관점을 골고루 다루어주어서 좋습니다. 관점에 균형이 잡힐수있게 해줘요. 잘봤습니다 감사합니다.
뚜기 131
2022년 4월 01일 10:35제가볼땐
부동산 폭등은 전세 제도나 금리등 환경요인도 있지만
투기꾼들을 이용한 유투버 부동산카페등 암암리에 존재하는 세력 집합소들의 역할이 가장 크다고 봅니다
Bella 119
2022년 3월 30일 00:46원리부터 정책까지 진짜 속시원하게 들었습니다. 이때까지 부동산 관련 교수 소장.님들 많이 봤지만 제일 알잘딱센하게 설명해주셔서 너무 재밌게 듣고있어요!
라플라스 114
2022년 3월 29일 20:48집값 떨어지는 시기에는 양도세를 없앨정도의 세제 혜택이 나올수 있다는 말에 공감합니다.
앞으로 4년후 집값이 떨어지면 양도세는 폐지 될수도 있다고 봅니다.
홍영식 96
2022년 3월 30일 08:58실력있는 분이 이런 분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차후의 등락은 차치하고라도 상승과 하락을 분석을 논리가 흠잡을 부분이 없어 보입니다.
향후 부동산 매매를 생각할 때 많은 도움이 되는 영상입니다.
좋은 영상을 제작하느라 수고 많으셨습니다.
감사합니다.
찐또바기 TV - 매주 같이하는 재테크, 투자습관 91
2022년 4월 02일 11:02부동산 전문가중에서 이현철 소장님의 분석은 정말 큰 도움이 됩니다. 고맙습니다!!
김석 79
2022년 3월 29일 18:15지금은 아파트값이 서서히 하양안정화가 되어가고 있는 시기입니다
전세가격을 잘 살펴보아야 합니다
감사합니다 🤢
도으니 78
2022년 3월 29일 19:50궁금했던 현상들을 속시원하게 설명해주시네요 감사합니다
21 hello 78
2022년 3월 29일 17:54여기 부정적인 댓글이신 분들, 부동산에 대해서 집중 공부 1년 정도 하셨다면, 그 원리에 입각한 반론을 제기하시길.
저도 사실 이런 상승장에 하락을 예견하신다구? 하며 반신반의했는데
부동산 투자에 있어서 금리 영향이 커보이지만 사실상 그것보다 더 큰 것이 사람들의 심리 라고 생각합니다.
작년 불상승장에서 보셨듯이, 폭등이나 폭락은 ‘비이성적’ 입니다. 그래서 소장님이 자꾸 심리 얘기만 하시는 겁니다.
그리고 전망은 어디까지나 전망으로만 받아들이시길. 시장 예측은 그 누구도 확언할 수 없습니다. 그만큼 사람들의 마음의 동요가 어디로 튈지 모르고, 정부의 정책들도 어떨지 그 누구도 100% 모르니까요.
이런 의견도 있구나 참고하시면 될듯요~~
(중간 댓글 중에, 이렇게 비판이 많을 걸 보니, 정말 하락하겠군, 이라는 댓글에 매우 동감합니다. 시장은 항상 대중의 의견과 다르게 가는 편이니.) 이렇게 좋은 전문가 분들의 의견을 객관적으로 잘 들읍시다! ^.^
감사합니답 77
2022년 3월 29일 18:06김현철 소장님은 항상 맞지요
3년전에 소장님의 폭등책보고 서울집 두채 사서 돈 많이 벌었어요
SiyulJung2012 74
2022년 4월 06일 13:342009년도에 하락장인지도 모르고 지방에 작은 아파트를 샀었는데 그때 딱 전세가랑 매매가랑 비슷해서 그냥 대출 받아서 사버렸어요.. 그때 금리 5~6프로 였는데 힘들게 월급에서 이자 내면서 4년 정도 가지고 있다보니 처음 샀던 가격보다 50프로 올랐더라구요. 이분 말씀이 맞는게 하락장이라고 다 떨어지는 것도 아닌거 같아요.
정선배의 재테크 인수인계 72
2022년 3월 31일 07:48공포라는 단어가 굉장히 맘에 와닿네요
시장을 객관적으로 바라보시는 이현철 소장님 덕에
오늘도 한 가지 배워갑니다
j Kimi 70
2022년 3월 29일 19:59부동산 심리를 정말 잘보시는것 같아요!
쿠쿠 62
2022년 3월 29일 19:35이분은 생각보다 싸이클 맞추는확률이 무지성 상승론자 폭락론자 보다 높습니다
참고 할만함
대신임장 60
2022년 3월 30일 12:51전세가율이 높고 전세가가 높아지는 지역을 주목
많은 도움되었습니다. 감사드립니다.
조던 뻐터슨 57
2022년 4월 02일 04:19전세제도가 없는 영국, 미국 등 수많은 나라에서도 최근 몇년간 집값이 올랐는데요(사실상 전세계). 다른 나라에서의 집값 상승 이유 또한 분석해봐야 우리나라에서는 전세때문에 집값이 올랐다라는 주장에 설득력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김작가 TV 51
2022년 3월 29일 17:19📌 김작가의 신규 유튜브 채널 <리치> 오픈, 놀러오세요:)
👉 https://youtu.be/EOezM8iV9nU
🌟 『이현철 소장_4부작 영상』 바로 보러 가기
👉 1부. https://www.youtube.com/watch?v=JkBHg22Bn8c&t=14s
👉 2부. https://www.youtube.com/watch?v=VNxDAtCZU-I&t=1s
👉 3부. https://www.youtube.com/watch?v=FocmmcQ9DxM
👉 4부. https://www.youtube.com/watch?v=dT_DEW7wj9o
손호문 49
2022년 3월 29일 18:58소장님의 식견에 오늘도 한수배웁니다 매매가 대비 전세가율참고 전세가 좋은곳에 투자자가 몰리는 이유가 있었군요
mirjjang jeon 40
2022년 3월 29일 22:50책폈다가 집중 안되서 유투브 열었더니… 책 저자가..나오시네요. 순간 책 신뢰도 급상승
황아들셋 35
2022년 3월 30일 19:28이현철 소장님
믿음이 가요
많은 사람들 오른다고
했는데 ~~
저도 소장님께 한표
애들 서울 있어 집이 없어
걱정 했는데 이제
좀 안심이 되네요
현금 잘 모아야 겠어요
매수 신호 올때까지요
나이 60이 넘으니
대충 감이 오네요
짱GD 34
2022년 3월 29일 19:56정확한..데이터에 의한 수요 예측 및 인간심리 전문가
김프로 32
2022년 3월 30일 00:18와!! 이현철 소장님 논리의 빈틈이 없네!!
이우지사 32
2022년 3월 29일 18:46이현철소장님 감사합니다
이현주 30
2022년 3월 30일 11:57부동산 전문가중에 최고인듯
lucky girl 2025 30
2022년 4월 05일 12:39이분은 부동산 예측의 쪽집게 여태까지 다맞추셨어요!!!존경합니다!
Yana Lee 29
2022년 3월 29일 20:28얼음공장님이랑 이현철 소장님 같이 나오셔서 토론하심 재미있을 것 같네요..
두분 의견이 넘 다르시니 어느 분이 더 반론을 잘 하실지 궁금해집니다^^
rockQhc 28
2022년 3월 29일 20:024부 빨리 보고싶어요TT
고맙습니다 소장님~
101 ONE 28
2022년 3월 29일 19:52솔직히 너무 오름 ㅠㅠㅠㅠ 제발 떨어져라 😭
NGCOSMOS 27
2022년 3월 29일 20:58이제 미국 호주 캐나다 같은 영미권 국가들과 한국은 부동산 가는 길이 달라질거라 봅니다
미국은 10년마다 2500만명 정도씩 꾸준히 인구가 증가했고 앞으로도 그러할 것이라 예상됩니다
10년마다 서울수도권 규모의 주택을 꾸준하게 공급해야하고 조금이라도 공급이 부족해지면 집값이 폭등하게되죠.
호주, 캐나다 또한 10년마다 300~400만명 정도씩 인구가 증가합니다. 미국과 마찬가지로 신규 주택을 꾸준히 공급해야합니다.
반면 한국은 이제 인구감소 들어갔고 2030년 이후부터는 10년마다 300~500만씩 인구가 줄어듭니다.
매 10년마다 부산 인천 하나씩 사라지게 됩니다. 수십년간 꾸준히요
이번 하락기 접어든다면 2030년 즈음에 상승싸이클인데 이때는 수도권 대량공급 예정되어있지요.
근데 이때는 인구 급감기 가구 감소기와 맞물립니다.
혼인건수를 보면 과거 수십년간 혼인 30~40만건으로 아파트 입주건수와 거의 비슷했는데 최근에는 혼인이 반토막 났습니다.
혼인건수 작년 19만 올해 17만 예상되고 조만간 15만건 이하로 내려가겠죠. 입주가 30~40만호면 혼인 신규수요 제외하고
나머지 20만호 정도는 구축에서 이동해와야 합니다. 그럼 구축은 세입자 구하기 힘들어지고 전세값 내려갈수도 있습니다.
특히나 2030년 전후 수도권 대량 입주 예상되어있는데 그땐 혼인이 더욱 줄어들 것이고
전세값 집값 동반하락도 가능합니다.
C30 26
2022년 3월 29일 21:57아무리 생각해도 전세대출을 없애야 할 것 같네요 ㅎㅎ 왜 해줬을까요....??
이명박정부 때 처음 생긴 법이고,
그 때 저는 전세 자체도 이미 빚인데, 그걸 또 대출을 왜 해주나 싶더라구요.
리먼브라더스 파생상품과 뭐가 다른지...
INDI 25
2022년 3월 29일 19:49참 유익하네요
신경섭 23
2022년 3월 29일 23:18전세라는제도가아파트시세형성에이렇게큰영향을끼치는줄미처몰랐네요!영상잘보고갑니다 ~^^
장영석 22
2022년 4월 02일 00:25보수 진보정부 가릴것없이 정책이 시장을 이기지못한다 동감
Hyeyoung Kang 22
2022년 3월 29일 17:052등~~~~이현철소장님 나오시는 방송은 무조건 봅니다~~
엔디야그 20
2022년 3월 30일 16:37소장님 말씀 믿음이 갑니다.
앙마민 20
2022년 3월 29일 18:51현금 모으고 있다가 다주택자 취득세 깍아줄때까지 기다려 보겠습니다
anonymous 19
2022년 4월 17일 14:58제가 지금까지 본 온, 오프라인 통틀어서 가장 솔직하고 진실된 말씀과 팩트만 말씀해 주시네요. 진짜. 이런분 보기 힘든데,,, 구독했습니다!
역지사지 19
2022년 3월 30일 06:31역시 교수님 👍
futurebong 17
2022년 3월 29일 19:12공감합니다. 버블의최정점에서 하락 변곡점. 리스크관리할시점으로 판단함.
생명나무 17
2022년 4월 02일 14:18최고잉다 진실성 을 느껴요
본인의 이익이 전혀없는 객관적인 부동산의 진실
박지훈 17
2022년 3월 29일 22:06가격하락은 있는데 사람들이 원하는 수준의 폭락은 없을것 같아요
passion 15
2022년 3월 29일 22:13하락장만외치는분하고는다르신분
폭등장도 정확히 예언하신분 이현철소장님감사합니다
Seogin Son 15
2022년 3월 29일 23:44전세가 밀어올린다는 말씀에 동감하기 어렵네요. 1990년대 후반 ~ 2007년도 사이에 집값이 폭등했던 시기는 어떻게 설명이 될까요? 당시에는 전세값 비율이 50% 수준이였던 걸로 알고 있습니다.
모아모아슈 14
2022년 3월 30일 00:23김작가님 짱. 참훌륭하십니다
2군홈런왕 14
2022년 3월 30일 15:56정책변경이나 외생변수만 없다면 얘기하신게 맞죠. 다만 정책변화가 워낙 시장 분석도 이해하시 쉽고 좋네요. 하락장의 상황을 잘 설명해 주시네요. 다만 하락장 진입을 막으려는 정책변화등 외생변수가 워낙 많을거라.
범사감사 14
2022년 4월 04일 06:21사물의 본질을 꿰뚫어보시는 현명하신분이네요. 존경합니다.
영일만빵선생 13
2022년 3월 29일 20:225~7년 반토막이 나을지 20년 반토막이 나을지는 일본을 보면 알수있습니다
5년 이내에 대하락이 나올 경우에는 마지막 70만 인구 세대인 90년대생들이 30대중반에 접어들면서
주거안정과 함꼐 출산율 반등등 여러가지를 기대해 볼수 있지만
20년간 서서히 연착륙 한다면 다들 집값 빠진다면서 언제 도대체 빠지냐 이러다가 15년 20년 지나서야
집값이 거의 오르지 않고 약간 빠진것을 느낄 거고 20년전과 물가상승률을 비교했을떄 사실상 반토막이라
는것을 꺠닫고 나서 이 나라에 출산율도 더 바닥이고 일본의 사토리세대같은 세대들이 30~50대가 되어
나라의 기둥이 무너진 것을 지켜보며 전 세대가 패배감에 젖은 걸 볼 수도 있습니다
집값이 빠지지 않아 젊은 세대들이 쉽게벌고 쉽게쓰며 가정을 이룰 생각은 당연히 하지않고
현재도 출생아수가 26만인데 앞으로 20년간 이 출생아수를 넘어서지 않는다면
아마 세계최고령화 국가가 될수도 있고 현재의 일본보다 더 활력이 없는 그런 나라가 될수있습니다
대봉이 12
2022년 3월 30일 20:44최고다 전문가중 최고
겨울꽃 12
2022년 4월 03일 15:31이번 하락장은 임대차 3법이 어떤 변수로 작용할지가 관건이겠네요. 전세가를 끌어 올린 임대차 3법이 매매가를 받쳐 줄런지...
오늘하루 11
2022년 3월 29일 19:33광역시가 아닌 소도시는 빠져나올때 쉽지 않을거 같은데..
동구엄마 11
2022년 4월 10일 09:48몇년기다리다가 전세가랑 매매가 갭이 많이 줄어들면 투자하는것도 방법이겠네요.
좋은강의 감사합니다
뚜껍 11
2022년 3월 30일 09:48솔직히 지금 상승한다고 말씀하시는 분들... 아기곰님, 이상우님, 얼음공장님, 부읽남님 등등은 부동산 상승기 하락기를 다 경험한 분들인지 애매하고(최소 15년~20년) 아기곰님은 하락때는 말씀이 아예 없었고... 이현철님은 그래도 길게 본인의 소리를 내신 분이라 조금더 신뢰가 가네요...
그래도 집값을 누가 정확히 알겠어요 다들 참고로만 하시길...판단은 본인이
은혜 10
2022년 4월 04일 14:10이현철 소장님 최고신거 같아요 .김작가님 질문도 독보적입니다
소주귀신 10
2022년 4월 03일 11:50정말 똑똑하시네... 닮고싶은 지식입니다.
S S 9
2022년 3월 29일 23:41아파트사이클연구소 도 잘 구독하고 있어요~ 이분은 찐전문가임
dong-suk-choi 8
2022년 3월 30일 03:50김작가 최고
장점
그지역
안가르쳐 줄려고 하면
힌트라도 달라고 하고
구독자의
원하는 부분이 무엇인지
정확히 알고
있기때문에
구독자 100만
sangmoon Kim 8
2022년 3월 29일 20:31내년 초에 전세 만료인데 , 이후 월세로 버티면서 현금보유 하는게 좋을까요?
조완재 8
2022년 4월 22일 11:17모르는걸 모른다고 하시니까 더 믿음이 갑니다. 그리고 알기 쉽게 설명하시는 것이 정말 정확하게 알고 이해하고 계시기때문에 가능하다고 봅니다.
♥지연♥ 8
2022년 4월 25일 07:56알아듣기 쉽게 간단명료한 설명 잘 들었습니다~
mememm 7
2022년 4월 04일 22:06이해가 쏙쏙되네요~ 감사합니다
정장군 7
2022년 3월 29일 21:12유익한 정보 감사합니다.. 동조합니다 ㅎ
정주옥 7
2022년 4월 05일 06:34김작가님 이현철 소장님 정보주셔서 감사합니다 건강하세요
goodbuy 6
2022년 3월 29일 22:04소장님 여기서도 뵙네요^^ 김작가님 잘봤어요~
찬호박 6
2022년 4월 03일 03:58어려운 이야기 재미있게 잘 봤습니다
insun ryu 5
2022년 3월 29일 19:43그런데
매매가가 6억일때 전세가 5.5억에 들어갓는데
매매가가 5억으로 떨어질 수 있잖아요.
전세는 2년보장받고...
leo sisi 5
2022년 6월 29일 12:45국내 아파트시장을 객관적으로 정확하게 분석할 수 있는 유일한 권위자라고 본다.
매일일포TV 5
2022년 5월 12일 01:38진짜 중요한 이야기가 나왔네요
우리나라는 지금의 전세는 없어지거나 법 개정이 이루어져야 합니다
다만 전세 사는걸 목표로 하는 사람도 많고 전세를 없애는거에 반감이 많아서 대부분 이런 중요한 문제에는 침묵합니다
전세를 완전히 없앨수는 없지만
공시가 대비 몇%이상 보증금을 받지 못하게 하는 규정이나, 전세를 할때 소유권에 대한 지분율을 따지게 한다던지 하는 법이 있지 않으면
다시 돈이 풀리고 경제가 2018~2020년처럼 온다면 집값 상승은 또다시 옵니다
그나마 다주택자에 대한 보유세등으로 임시방편은 하겠지만
이미 이번상승은 기재부장관이 계속 반대를 하다 골든타임을 놓쳐버렸고 너무 늦어버렸죠
그리고 이 불편한 법은 개정되어서 정상적인 법이 되도록 하는게 맞다고 봅니다
정성 4
2022년 4월 03일 09:50맞아요
투기꾼들 때문에 (죄인)
집값 오르고 떵값 오르고
집 세금도 오른더
어려운 사람들은 피해가 막심하다
sam 4
2022년 3월 30일 00:05그놈의 폭락설에 자가팔고 같은단지 전세로살다..전세금올라서 그나마도 쫒겨낫다
하늘이시여 4
2022년 4월 03일 14:35소장님 대단하세요 ㅋㅋㅋ
동방불패 4
2022년 3월 31일 22:09알찬정보감사드립니다
유후J 3
2022년 3월 29일 23:50폭락와도 집값 오르기전 가격보다 더떨어지진 않는다 지난 수십년간 집값이 떨어진적이 있었냐? 오른가격에 반떨어지는게 폭락이 아니다 반오른거지 폭락은 오르기전보다 더 떨어져야 폭락인거지..
이하나 3
2022년 4월 04일 16:24감사합니다
김왕천 3
2022년 12월 02일 16:38이소장 미래를 예측하셨소이다
바람부는여름밤 3
2022년 4월 12일 09:56투기와 투자에 대한 설명, 정말 설득력있네요
많은 연구와 관찰이 있었을 것 같아요
제 머리가 확장된다는 느낌이 드네요!!
강은주 3
2022년 4월 08일 12:44책 대여해서 읽고 있어요
감사합니다
Kelly Kim 2
2022년 4월 22일 00:00감사합니다.
부자로 살아보기 2
2022년 4월 03일 13:34제가 궁금한 부분을 잘 찝어 질문해주시네요~^^
마음의등불tv 2
2022년 4월 04일 16:18오늘도 감사히잘보고갑니다
홍주희 2
2022년 6월 29일 18:451가구 2주택 이상자에 대한 양도세 폐지가 집을 매수하라는 신호로 봅니다. 실거주 요건도 폐지 등등이 뉴스에 나오면 집 살 생각입니다. 결국 밋장 다 풀 때가 살 시기인데 막상 풀어도 대다수 사람들이 돈이 없을 겁니다. 저금리로는 이제 가기 힘들거든요. 결국 부자들의 잔칫상이 되겠군요.
진자라 2
2022년 3월 29일 23:08제발 떨어져라, 집값아.
sara Kang 2
2022년 3월 29일 21:36이소장님 7월임대차3법 2년차 전세가 어찌될지 예상좀부탁드려요~~
관종월드 2
2022년 3월 29일 19:46줍줍하러 대구 가야겠네요.
아 돈 없지 나 ㅠ
리밍 1
2023년 2월 14일 17:13선생님을 진작 알았으면 좋았을텐데ㅜㅜ
정주옥 1
2022년 4월 05일 06:22빠르고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살펴 가겠습니다 ㅎㅎ
Spirit Kha 1
2022년 7월 16일 12:32명확한 설명이 좋으네요.
bread&butter 1
2022년 3월 29일 20:094부 궁금합니다
Fortune owl 1
2022년 4월 04일 19:25제일 믿을만한 전문가. 이런분이 실무전문가
자칼 1
2022년 3월 30일 03:04국민소득 수준에 맞지도 않게 집값 너무 많이 올랐으니 거품 빠지는게 당연한거다 코로나로 경제폭망인데 무슨수로 집값이 안떨어져
아직도 주식 줍줍 계속 사라고 말하는 증권사놈들말만 들어서 쳐물린 개미들 만큼 한심하네 그래 달콤한말만 해줄게 집값 평생 우상향 하니까 평생 들고있어라
부곡1004
2022년 3월 30일 01:37이현철 소장님 제가 부산 사상구 주례동 반도보라매머드타운에 살고 있는데 이번에 집을 매도 하게 되어서 이번주 금요일날 계약하기로 했습니다.
매도금액 17200만원(가계약금 200만원)
오르는거 같아 팔지말고 400돌려줄까 이사갈까 고민입니다.집은 아직 못 구했습니다.
한번 살펴 봐주실수 있나요?조언 부탁드립니다.
Public H
2022년 3월 29일 23:226~7년뒤에 조합입주하는데
전세계속 살아야되나요?
불안해서~3~4년뒤
하락장온다는말이있는데 물가상승으로 분양가상승
인플레이로 돈가치하락으로
그리하락할것같지않타는 이론?
급매보고있고 고민중이네요.
내계정 어디갓나?
2022년 3월 30일 10:13소도시는 거래가 힘들어요. 5년 동안 묶여있어요 ㅠㅠ
날아가자
2022년 3월 29일 23:071주택도 팔고 월세사는 시기라 월세가 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