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먼사태때 주담대 금리가 얼마였는데.. 사람들은 다 잊어버린듯 미금리상승 시작도 안했는데 벌써 최대6프로 까지 나왔어요 미국채장단리 금리 역전 할까말까 위태위태해요 조심해야 할 시기는 맞습니다 20년 폭등한 집값에 과도한 대출로 추후 담보비율 이라도 떨어져봐요 바로 은행에서 일부상환요청 들어옵니다
기준금리와 시중금리가 다른것은 기준금리를 표하는 곳에서 시중은행이 싼이자로 빌려와서 그돈을 일반기업등에 융통해서 돈놀이를 하는게 시장의 흐름이라고 기억하는데.. 그리고 부동산가격에 절대치를 부여하시는것 같네요 1억에 대출이자 4%와 10억에 대출이자 4%는 값이 다르고요 당연히 2018년도 이후의 집값 상승곡선을 보면 상당히 높은 위치에 있다는걸 아실듯.. 당연히 똑같은 금리라도 체감상의 부담은 10년전과는 많을 다를것 같네요. 그리고 전세가격의 폭등이라고 말씀하시는데 전세자금대출을 통해서 월세를 줄이는 임차인들이 많습니다. 이부분은 은행이자로 사는 월세인거고요 월세보다는 싼이자로 대출받아 들어가는 전세가 더 낮은 주거비용이 발생하는거죠.. 전세부분에서는 세입자의 주거비용을 0으로 풀이하는 부분도 문제인것 같고요/ 또 이부분을 통해 전세가 폭등이 다시 되고 매매가를 끌어올린거라 하시는데 세입자는 부족한 전세금을 대출을 받을때 월세와 전세대출의 기회비용을 따져서 유리한쪽으로 선택할겁니다. 고로 전세가 10억 20억씩 자꾸오른다고 세입자가 나 20억은 있지! 하고 전세를 살수없다는말이죠. 영상에서 모든 값이 절대값으로만 정해놓고 시장에대한 상황을 풀이를 하는것 같은데. 어쩌면 완벽할것 같던 논리들이 엉망이 될것도 같네요.
이런 걸 인터넷 박제라고 하는건가? 지들끼리 전문가라고 빨아주던데 지금 보니 웃기지도 않네. 진짜 전문가인 한은총재가 딱 이 말 한마디 하더라. 연말 이후로는 금리를 올리지 않을 거라 예상한 투자자가 있으면 자기 책임하에 손실을 보시던 이익을 보셔야 될 것 같구요. 영끌족들에게 사죄의 108배라도 하셔야 할 듯
근데 어차피 아포유님이 지지하는 윤석열 정부가 문재인 정부 부동산 정책과 반대로 하면 집값 하락이 될거고 그럼 지금 집 안사고 윤석열 정부 중후반에 사면 나름 최저점으로 사는거 아닌가요? 윤 정부 기간 중 집값하락이 안되고 이번 아포유님 전세상승 기간까지 적용된 후 강보합으로 가면 그래도 이게 문 정부 때문이지 우리의 정책때문에 강보합으로 유지했다 이리 말하면 윤 정부 지지율은 폭락할거 같은데.. 어케 생각하세요?
다주택자..양도세 완화해도.,.팔아봤자..40프로나 양도세 내고서 취득세까지 어마어마한데 다른 물건 못 사는건 당연하고..내가 판 물건같은것도 세금뜯기면 못 산다. 매도와 매수는 함께간다. 대출도 안풀렸고..여지껏 기다렸으니 더 버틴다. 더 기다려야 한다. 결국 물건은....소량 나올거다. 물건이..없으니 부동산은 더 오르겠지ㅠ
자본주의 국가에서 금리와 집값의 상관관계가 적다는 논리는 과거 고성장시대의 금리논리로만 해석해서 아쉽네요. 많은 거시전문가들의 중론은 하향평준이 우위로 보입니다. 핵심은 금리논리가 올바른해석이 아닌가 생각되네요. 일본과 우리는 많이 다르죠. 오랫동안 마이너스금리인 일본과 우리는 조만간 주담 6%가 보통일텐데요. 일본과비교는 안맞네요. 미국이 조만가 50pp를 서너번 올릴계획입니다.
18:00 여기 그래프에서요 대표님. 기준금리만 갖고 표시된 것인가요? 2010? 2011? 무렵 제 기억에 담보대출 이자가 갑자기 기준금리가 아니라 코픽스연동으로 바뀌었습니다. 그 전엔 기준금리+0.5? 뭐 이런식이었거든요. 그런데 금리가 낮아지다보니 갑자기 은행에서 코픽스한다고 난리... 대출금리가 내리지 않고 더 올랐던 기억이 나요 ㅜㅜ 그래서 2010년에 2억 정도 대출받고 이자만 월 90씩 냈던 것 같습니다. 고정금리는 거의 7% 였어요. 2013 무렵 대출금리가 내린것도 기억납니다. 그런데 그게... 그전까지는 3년간은 이자만 냈거든요. 원금균등상환까지 해야하는 것으로 바뀌어서 실상 월 90보다 더 내게 되었었어요. ㅎ 물론 원금 갚는 건 좋은 건데.... 월별로 나가는 돈은 거의 같으니 생활은 여전히 힘들었네요.
그리고 전세가가 고공행진했던 거 기억나는데, 그때 갑자기 전세대출제도가 생겼어요. 전세가 아무리 올라도 나라에서 저금리로 대출해줬어요. 그 대출은 원금상환도 없잖아요? 그래서 전세가가 더 오르는 거라고 부동산서 들었던 기억이 납니다.
그동안 공정과세가 없었던게 문제로 보이는데 다세대 주택은 집값상승에따른 적정한 과세가 이루어지지 않아서 여론이 나빠진것은 사실이잖아요. 돈번사람들보면 대부분 다세대 주택자들인데 이 유투버는 다세대의 긍정적인측면만 바라보는것같아요. 분명히 투기세력이 집값상승의 요인인건 맞는것같은데... 이분 편향적인 시각을 가진것같은데요. 서울집값만가지고 그리고 그래프가 강남집값기준이라면 잘못된 예시라고 봅니다. 기대하고 봤는데 실망이네요. 저도 박근혜정부때 용인살았지만 금리인상으로 집값하락을 피하지못하였습니다. 전국 집값 기준으로 예시가되었더라면 모를까, 전형적인 강남부자. 다세대주택자 편에서서 그들을 대변하고 계시네요.
Jg Lee 151
2022년 3월 30일 21:15올 설때 설지나고 응축된 거래량이 폭발해 폭등 온다고 걱정하시던 분으로 기억되네요.
재호파파 106
2022년 3월 31일 07:05전세제도와 전세자금대출이 아이러니하게도 집값거품의 핵심
이종휘 98
2022년 7월 09일 15:07다 틀렸네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서하련 94
2022년 3월 30일 20:12전세가격이 대출없이 불가능한가격인데..주택비가 무료라니 서울기준5~8억은 되는데 대출없이 전세사는사람 얼마나될요? ㅜㅜ
seongjun kim 86
2022년 10월 25일 09:56결과가 나온 시점에서 들어보니 ㅋㅋㅋㅋㅋㅋ 코미디 그자체
K hero 85
2022년 3월 30일 22:01주담대 올라가는 속도가 ㅎㄷㄷ 하고 전세대출도 상승중인데 전세를 현금 몰빵으로 들어가 사람이 거의없죠
직설 잔소리꾼 67
2022년 8월 12일 09:31코미디도 이런 코미디가 없다 ㅋㅋㅋㅋ
금리 인상은 전혀 예상못한 전문가님
선동은 누가 하는지 모르겠네
손형곤 63
2022년 3월 30일 22:54리먼사태때 주담대 금리가 얼마였는데.. 사람들은 다 잊어버린듯 미금리상승 시작도 안했는데 벌써 최대6프로 까지 나왔어요 미국채장단리 금리 역전 할까말까 위태위태해요
조심해야 할 시기는 맞습니다
20년 폭등한 집값에 과도한 대출로 추후 담보비율 이라도 떨어져봐요 바로 은행에서 일부상환요청 들어옵니다
후후 62
2022년 3월 31일 11:20다주택자가 물량 넘기고 무주택자가 받아주는 마지막 기회가 온다는 건가....
HI hi 59
2022년 10월 03일 05:176개월 미래에서 왔습니다
집값 폭락중입니다
그래도 이분은 오른답니다
좋은세상 57
2022년 8월 19일 02:36아포유 창피한 줄 알아라!
댕동동이 52
2022년 3월 31일 08:12전세금이 주거비가 아니라는 신박한 논리..?
블룸에드워드 43
2022년 3월 31일 14:10연내 주담대 금리 7프로까지 인상된다고 합니다.
MK 43
2022년 3월 31일 13:36김작가님 영상중 가장 혈압오르는 영상...
하지만 김작가님~늘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더네이처 43
2022년 4월 04일 18:21옛날이야 전세대출을 안해줬으니 탄탄했는데 이제는 금리영향을 상당히 많이 받는다고 봐야지. 전세도 파생상품임. 시드 10퍼로 레버리지 일으킨만큼 리스크가 크다는걸 알아야지. 이게 어떻게 영원할거라 생각함?
봉달 40
2022년 3월 31일 00:02기준금리와 시중금리가 다른것은
기준금리를 표하는 곳에서 시중은행이 싼이자로 빌려와서
그돈을 일반기업등에 융통해서 돈놀이를 하는게
시장의 흐름이라고 기억하는데..
그리고 부동산가격에 절대치를 부여하시는것 같네요
1억에 대출이자 4%와 10억에 대출이자 4%는 값이 다르고요
당연히 2018년도 이후의 집값 상승곡선을 보면 상당히 높은 위치에
있다는걸 아실듯.. 당연히 똑같은 금리라도 체감상의 부담은
10년전과는 많을 다를것 같네요.
그리고 전세가격의 폭등이라고 말씀하시는데
전세자금대출을 통해서 월세를 줄이는 임차인들이 많습니다.
이부분은 은행이자로 사는 월세인거고요
월세보다는 싼이자로 대출받아 들어가는 전세가 더 낮은 주거비용이 발생하는거죠..
전세부분에서는 세입자의 주거비용을 0으로 풀이하는 부분도 문제인것 같고요/
또 이부분을 통해 전세가 폭등이 다시 되고 매매가를 끌어올린거라 하시는데
세입자는 부족한 전세금을 대출을 받을때 월세와 전세대출의 기회비용을
따져서 유리한쪽으로 선택할겁니다.
고로 전세가 10억 20억씩 자꾸오른다고 세입자가
나 20억은 있지! 하고 전세를 살수없다는말이죠.
영상에서 모든 값이 절대값으로만 정해놓고
시장에대한 상황을 풀이를 하는것 같은데.
어쩌면 완벽할것 같던 논리들이 엉망이 될것도 같네요.
CH J 37
2022년 3월 31일 14:45예측은 맞거나 틀릴 수 있지만, 그 동안의 폭등을 만들어낸 프로세스에 대한 이야기는 정확한 시선으로 말씀해주신 것 같습니다.
마하 DH 37
2022년 3월 30일 21:56이분 그리 좋아 하지는 않았는대
강의는 하락이든 상승이든
논리적이고 요즘에 들어본 강의중 '최고'
코스모스 36
2022년 3월 31일 10:24부동산폭등 원인은 초저금리.전세자금대출 때문입니다
복받은나나 36
2022년 3월 31일 10:05원리금 상환이 가능한 사람만 버티겠죠. 예전에는 이자만 냈는데 지금은 원금이자 같이 갚는데 부담이 심하죠. 대출없는사람만 버틸듯요~
5억대출 연6프로 적용하면 월 300씩 상환해야함
통화량은 늘어났지만 내월급은 그대로네요
김도헌 33
2022년 3월 31일 08:21빛내서 집사서 안정이 됐다ㅋㅋㅋ
gorilla 32
2022년 3월 31일 01:12민생 생각해서 만든 정책들이 정작 민생을 개박살내고있는 현실
Memento mori 31
2022년 3월 30일 21:111,2부 너무 인사이트 넘치게 잘들었습니다 아포유 대표님 여전히 멋지세요 감사합니다 ^^
탁희선 28
2022년 3월 30일 21:59전세대출 한도껏 받아사는 일인으로써 나같은 사람은 통계에 포함이 안되는구나하고 수그려지는 초반영상이었습니다ㅜㅠ
캔디재미 28
2022년 3월 30일 23:12아포유님은 자료로 쉽게 설명해 주셔서 도움됩니다^^ 감사합니다
아즈라엘 27
2022년 12월 06일 00:42아이구 여럿인생 망가젔다. 책임저야지
크레용사님일어나세요 26
2022년 10월 26일 16:15이런 걸 인터넷 박제라고 하는건가?
지들끼리 전문가라고 빨아주던데 지금 보니 웃기지도 않네.
진짜 전문가인 한은총재가 딱 이 말 한마디 하더라.
연말 이후로는 금리를 올리지 않을 거라 예상한 투자자가 있으면 자기 책임하에
손실을 보시던 이익을 보셔야 될 것 같구요.
영끌족들에게 사죄의 108배라도 하셔야 할 듯
이경민 25
2022년 3월 30일 22:39전세덕분에 주거비가 싼건데 전세를 계속 죽이는 정책은 폐지해야죠. 전세 주거비가 비싸다고 주장하는 사람은 월세로 살면 됩니다.
Sujin Kim 21
2022년 3월 31일 11:15무주택자는 고금리시대에 대출도 안나오는데 집사라고하고 1주택이상자에게는 기다리라하고..
MK 20
2022년 3월 31일 13:261가구1주택은 오히려 미래가 없다?는 말이 귀에 박히네..ㅋㅋ
노병지tv 18
2022년 3월 31일 21:59강동구 임대차 많아요 계속 하락하고 있는데요? 한달사이 1억 하락 ㅠㅠ 종부세는 대통령의 권한이 아닌데요? 국회 법안통과 해야 하는데 그건 어렵지 않을까요?
ks jang 18
2022년 4월 01일 09:44거래가 안됩니다.
집이 안나가요.
이 상황에서 집값이 올라요?
누가 사요? 당신이 집 좀 더 사주세요.
맛먹방 17
2022년 12월 17일 17:16진짜 정 반대로
임맹 17
2022년 3월 31일 12:03거래량이없는데 전세가가 올라간들 어떻게 집값이 올라갈까요? 20년초 가격으로 급매나, 금리인상이 멈추고 내려갈시점이 매수타이밍같아요
빅히어로 17
2022년 3월 30일 23:18두분 수고하셨습니다.
1번 수요와 공급부터 얘기가 나오듯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예전 냉철님도 나온 것도 많이 봤는데 주택 메커니즘을 잘 아시더군요
아래 투미부동산님 반갑습니다 ~
Keumho Yu 16
2022년 5월 25일 04:55하락론자들은 상승기에 전망 틀리고,상승론자들은 하락기에
전망틀린다.
그들이 뭔가 아는게 많은것이
아니고, 자기의 가치관에
상승 또는 하락의 논리를 짜집기하기
때문.이런 사람들에 휘둘리지
않으려면 내가 공부하고 기본지식을
갖고있어야하지.
피톤치드 16
2022년 3월 31일 07:09"부자가 되고프면 부자 옆에 살아라"
마인드가 바뀌어 가고있습니다~^^
감사합니다~ㅎ
나니 16
2022년 4월 01일 10:56규제와 금리가 부딪히면 금리가 이깁니다 아무리 대출등 규제를 완화해도 결국 금리가이깁니다
Modigliani 16
2022년 6월 27일 06:165,6월이라...지금 6월 27일 아직 폭등이든 상승이든 없는데 다시 하반기로 가나요? 물론 폭락도 아닌거 같고 약간 떨어진 상태로 보합인거 같음
날아올라 15
2022년 12월 12일 11:59뻔뻔해야 세상 살기 편해.
강심장 굿~
희망 15
2022년 3월 31일 13:11대출규제해놨으니 이정도지
IMF도 대출문제를 짚고넘어가는데
정치적으로 해석하는게 문제
자영업자 대출많이해줬다고하는데 그렇게 안해줬음 다망했는데 ㅋ
넘 편리한데로 해석
리시안 15
2022년 3월 31일 21:04아포유님 잘 들었습니다 공감가는 말씀 감사합니다
B S 12
2022년 4월 02일 09:31아포유가 틀렸다는건아닌데 논리의 선후 관계가 잘못되었음.
금리인상기에 집값이 상승한다가아니라 집값이 상승하니까 금리를 인상한다가 맞는거고 집값이 내리닐때 금리를 내리는것도 마찬가지로 부동산경기가 침체되니까 금리를 내린다는게 맞는겁니다.
logun k 12
2022년 8월 08일 02:52임대차 시장 안정 안되었는데도 하락했는데요
김무스 12
2022년 8월 23일 00:58에? 전세값 급등요?? 아포유형 열혈구독자였었는데 이때부터 좀 살짝 어디 꽂힌사람같더라... 현재 어떤지표를 봐도 전세값은 급등하진 않았지... 평균이 올랐다면 몰라도;
Dee H 12
2022년 3월 31일 02:50미분양 나기 시작하는데 푸하 ...
지금 전세갈라 아무리 계산해도 월세가 더 싸네요
Ad Fontes 10
2022년 12월 23일 00:08예전에 이걸 봤다면 인생이 달라졌겠죠? 무섭습니다..ㄷㄷㄷ
최선을 다하자 10
2022년 4월 01일 08:15근데 어차피 아포유님이 지지하는 윤석열 정부가 문재인 정부 부동산 정책과 반대로 하면 집값 하락이 될거고 그럼 지금 집 안사고 윤석열 정부 중후반에 사면 나름 최저점으로 사는거 아닌가요?
윤 정부 기간 중 집값하락이 안되고 이번 아포유님 전세상승 기간까지 적용된 후 강보합으로 가면 그래도 이게 문 정부 때문이지 우리의 정책때문에 강보합으로 유지했다
이리 말하면 윤 정부 지지율은 폭락할거 같은데..
어케 생각하세요?
gyunga jung 9
2022년 4월 02일 08:57아포유님! 늘 감사합니다! 분석력과 인사이트 최고입니다
샐리 9
2022년 3월 31일 12:56믿고 듣는 아포유님👍
마레몬떼 9
2022년 3월 31일 13:23얼마나 올라야 만족할지
li tan 8
2022년 4월 01일 12:11역시 아포유님
그.때.그.시절.그.리움 7
2022년 4월 19일 18:08전세가와 매매가가 비슷해지거나..역전세상황이 될 가능성이 큰거네요..ㅠ
문화인류학도 7
2022년 3월 31일 16:06간단하고 이해하기 쉽게 상식을 얘기하는 아포유님 영상 좋았습니다 감사합니다 김작가님 아포유님
비틀즈 7
2022년 3월 31일 23:31와 아포유님 이시다ㅎ
늘 응원합니다 👍👍👍
송song great 훌륭 7
2022년 7월 31일 16:48정말 집값폭등하고 금리 인구랑 상관없이 상승하면 왜 팔려고하고 왜 빨리 사라고하냐??? 끝까지 소유하고 있다가 필요할때 하나씩 비싼값에 팔면 되잖아???
hm k 6
2022년 4월 02일 17:06다주택자..양도세 완화해도.,.팔아봤자..40프로나 양도세 내고서 취득세까지 어마어마한데 다른 물건 못 사는건 당연하고..내가 판 물건같은것도 세금뜯기면 못 산다. 매도와 매수는 함께간다. 대출도 안풀렸고..여지껏 기다렸으니 더 버틴다. 더 기다려야 한다. 결국 물건은....소량 나올거다.
물건이..없으니 부동산은 더 오르겠지ㅠ
heaven77 6
2022년 4월 01일 20:50역시 최고의 부동산 전문가 아포유 개인적으로 방송에 안나오는게 좋은데
사람들에게 하락하는 노하우와 진실을 이렇게 많이 알려주면 부동산 가격이 하락되는데
랄라토끼 6
2022년 3월 31일 15:00아포유는 데이터 기반으로 예측하는데 항상 맞았어요~~~~
사랑합니다.감사합니다. 5
2022년 4월 02일 13:05자본주의 국가에서 금리와 집값의 상관관계가 적다는 논리는 과거 고성장시대의 금리논리로만 해석해서 아쉽네요. 많은 거시전문가들의 중론은 하향평준이 우위로 보입니다. 핵심은 금리논리가 올바른해석이 아닌가 생각되네요. 일본과 우리는 많이 다르죠. 오랫동안 마이너스금리인 일본과 우리는 조만간 주담 6%가 보통일텐데요. 일본과비교는 안맞네요. 미국이 조만가 50pp를 서너번 올릴계획입니다.
김작가 TV 5
2022년 3월 30일 20:01🌟 『아포유 이종원 대표_4부작 영상』 바로 보러 가기
👉 1부. https://www.youtube.com/watch?v=hpLP_ftNoLM&t=326s
👉 2부. https://www.youtube.com/watch?v=EQZ4GdD26Io
👉 3부. https://www.youtube.com/watch?v=IzxvEVfdnU4
👉 4부. https://www.youtube.com/watch?v=92sPOa9GnbM
📚 김작가 신간 『럭키』 도서 구매
👉 https://bit.ly/3mnVYDq
🌟 김작가 『자기계발 강좌』 클래스 101 보러 가기
👉 https://class101.page.link/authorkim_class
나이테 5
2022년 3월 31일 13:15여러방송 봤지만 무주택자는 타이밍재지말고 돈 모으면 집 하나 사면 되는거 같아요
오를때는 비싸다고 못사고 내릴때는 더 내린다고 집을을 못사더라고요
그리고 장관님이 그런방송보고 정책을 정했다는게 너무 놀랍네요ㅜㅜ
2pak moon 5
2022년 3월 31일 17:16부동산 전문가 되기 참 쉽죠. 걍 떡상만 외치면 됨 ㅋㅋㅋ 조금 떨어지면 눌림목,횡보하면 에너지 응축,떡상하면 폭등한다. 기승전결 똑같음.
kl asdfghj 4
2022년 4월 02일 08:16믿고 투자해서 돈 벌게하는 아포유
100% 믿습니다
jk 4
2022년 3월 31일 17:41갑작스런 대출규제로 작년 추석이후 거래량이 바닥이었죠. 안그랬으면 폭등했을겁니다.
생애최초구입자들은 초저금리대출 필요해요.
까꿍파파 4
2022년 4월 25일 10:45명확한 분석 감사합니다.
이종식 3
2022년 4월 15일 12:05전세물량이 안나가네요.. 아직은 전세입주자도 같이 줄어있어서 전세가 폭등은 아직은 보이지 않습니다만.. 갱신청구했던 세입자들이 7월에 나오니까 그때까지 지켜봐야 할것같네요
c p 3
2022년 4월 05일 17:08다주택자들이 임대시장을 안정화시킨다는 것은 참~ 받아들이기 힘드네요..
외국의 경우 임차인이 많으니까 결국은 주거비가 너무 높은데요.. 단, 우리랑 다른 것은 런던은 집을 더이상 안지음...
영순 김 3
2022년 4월 06일 18:20아포유님 부동산 찐 전문가입니다
항상 응원합니다~^
이파란나무 2
2022년 4월 19일 12:49아포유님, 현실을 똑바로 보시고 두루 지식이 많은 분이라 생각했는데 ,
역시 자료가 다시 증명해주네요~
유익한 시간이었습니다^^
gt6606b 2
2022년 3월 31일 10:15국내외 통화량이 무지 느는데 당연히 반영되지요.
Minja Seo 2
2022년 4월 02일 14:23이종원대표님 짱 입니다
젤 객관적 합리적으로 적확하게 보고 있는것같네요
진알파파 2
2022년 4월 01일 14:31기준금리 대비 시중금리 늪은현상 불합리, 금리 낮춰야
주택금액별 대출한도 철폐해야
인플레와 화폐가치 하락 반영
장기보유공제 과거 수준으로 해야 주택시장 정상화에 일조할듯
이백억 1
2022년 4월 02일 06:33감사합니다
C30 1
2022년 3월 31일 20:5618:00 여기 그래프에서요 대표님. 기준금리만 갖고 표시된 것인가요?
2010? 2011? 무렵 제 기억에 담보대출 이자가 갑자기 기준금리가 아니라 코픽스연동으로 바뀌었습니다.
그 전엔 기준금리+0.5? 뭐 이런식이었거든요. 그런데 금리가 낮아지다보니 갑자기 은행에서 코픽스한다고 난리...
대출금리가 내리지 않고 더 올랐던 기억이 나요 ㅜㅜ 그래서 2010년에 2억 정도 대출받고 이자만 월 90씩 냈던 것 같습니다.
고정금리는 거의 7% 였어요.
2013 무렵 대출금리가 내린것도 기억납니다. 그런데 그게... 그전까지는 3년간은 이자만 냈거든요.
원금균등상환까지 해야하는 것으로 바뀌어서 실상 월 90보다 더 내게 되었었어요. ㅎ
물론 원금 갚는 건 좋은 건데.... 월별로 나가는 돈은 거의 같으니 생활은 여전히 힘들었네요.
그리고 전세가가 고공행진했던 거 기억나는데, 그때 갑자기 전세대출제도가 생겼어요.
전세가 아무리 올라도 나라에서 저금리로 대출해줬어요. 그 대출은 원금상환도 없잖아요?
그래서 전세가가 더 오르는 거라고 부동산서 들었던 기억이 납니다.
통화량과 집값은 같이 움직이는군요... 그런데 양극화는 점점 심해지는 듯요;;
유로파 1
2022년 4월 03일 06:25산업구조가 많이 바뀌었는데
지금도 과거에 데이터를 적용하는게 맞는건가
cherry L 1
2022년 4월 04일 07:40그동안 공정과세가 없었던게 문제로 보이는데 다세대 주택은 집값상승에따른 적정한 과세가 이루어지지 않아서 여론이 나빠진것은 사실이잖아요. 돈번사람들보면 대부분 다세대 주택자들인데 이 유투버는 다세대의 긍정적인측면만 바라보는것같아요. 분명히 투기세력이 집값상승의 요인인건 맞는것같은데... 이분 편향적인 시각을 가진것같은데요. 서울집값만가지고 그리고 그래프가 강남집값기준이라면 잘못된 예시라고 봅니다. 기대하고 봤는데 실망이네요. 저도 박근혜정부때 용인살았지만 금리인상으로 집값하락을 피하지못하였습니다. 전국 집값 기준으로 예시가되었더라면 모를까, 전형적인 강남부자. 다세대주택자 편에서서 그들을 대변하고 계시네요.
토론배틀tv 1
2022년 4월 02일 10:36종부세가 절대 그정도 큰 영향이 아닌데요
cd cho
2022년 3월 31일 18:53각자의 위치에서 참고하면 되겠습니다.
수건강
2022년 3월 31일 10:38임대차시장이 힘들면 정부에서 양도세를 낮추면 바로 매매가 하락되지않을까요
JUNG고산
2022년 3월 31일 14:23좋은 말씀 고맙습니다
서정희
2022년 3월 31일 22:13상가주택세금으로
모두 주택없애고
사무실.상가로
고쳐서 주택줄고
재개발.재건축으로
살던집허물고
이주수요는 늘고
입주주택은 모자라고
이런정책을 만든사람들이
집값올린거죠?
임대할 다주택이 있어야 전월세로들어갈텐데
없으면 임대료만
오르고 서민만 멀리시외로 이사가서
교통에 걸리는시간과
피곤함으로 책읽을시간도
없어 교양을 높이기도
어렵고 난감해요
제오르지아
2022년 3월 30일 23:00잠재적 매수자가많다는것만큼 잠재적 매도자(다주택자들)이 모두 사고팔기를 자유롭게 한다면 시장원리대로 돌아갈꺼같은데 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