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내용은 공감이 안되네요. 그냥 까는 내용. 울 나라가 선진국 반영에 들었다면서 연5~6프로 중국처럼 성장한다는 말이 되나요? 30년전 경제상황하고 현재 다른데 고금리를 논하고. 근무시간이 늘어나면 폭발적으로 생산량이 증가한다는식. 현 상황과 맞지 않는 얘기. 최악입니다.
박사님 항상 큰 도움 받으며 배우고 있습니다! 요즘 상황에서 자산분배를 하려면 어떻게 시작하면 좋을까요? 금과 달라가 너무 올라서 예전에 말씀 주신 대로 자산분배릉 하려니 금&달라가 너무 오른 상태인데 그래도 매수를 하는게 맞는지 혹시 2022년 자산분배 포트폴리오를 어떻게 구성하면 좋을지 업데이트 한번 주시면 큰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주제 넘지만 우리나라의 경제를 1-2만불의 관점에서 평가 하시는 것은 아닌지, 생산성과 혁신이 20,30년전에는 계획 경제와 노력에 의해 가능했지만 3만불 넘긴 지금은 임금을 올려 혁신을 해야 살아 남는 상황을 만들어야 4만불 이상으로 가지 않을까요? 기업 경쟁력 때문에 임금을 안 올린 일본이 침몰하는 걸 타산지석으로..
김선국 6
2022년 3월 30일 21:12진지하게 공부하지 않은 40대 중반
자산 배분이라도
달러 매수라도 꾸준히 해야 겠습니다
오늘도 잘 배웠습니다
East Mt 5
2022년 3월 31일 01:23교수님 내공도 깊으시고 통찰력도 있으시고 성격도 유머러스하십니다. 최근 기획이랑 영상쪽 수준이 높아져서 더 재밌게 보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홍춘욱의 경제강의노트 4
2022년 3월 30일 20:47혼란스러운 세계경제 속, 투자의 방향성이 중요할 시기입니다. 저의 유일한 스터디를 통해 그 해답의 길을 여러분과 함께 찾고 싶습니다.
💰https://academy.tantanselect.com/academy?code=84
TaeYoung Lee 3
2022년 3월 30일 20:541빠
23 23 3
2022년 3월 30일 22:32몇 년 째 저성장을 겪고 있는 일본의 연기금과 투자회사들은 몇 년 전부터 자국내 기업 투자에서 해외 투자로 눈을 돌렸더군요.
국민연금이 해외투자 비중을 늘리는 데에는 여러 이유가 있겠지만 한국이 직면하고 있는 저성장도 그 이유가 될 것 같네요.
메이플K 3
2022년 3월 31일 06:38일본외무성에서 올린 욱일기 찬양광고가 붙어있습니다
채널에서 할수 있다면 광고를못하게 해주세요
심쿵심쿵 3
2022년 3월 30일 22:07이 내용은 공감이 안되네요. 그냥 까는 내용. 울 나라가 선진국 반영에 들었다면서 연5~6프로 중국처럼 성장한다는 말이 되나요? 30년전 경제상황하고 현재 다른데 고금리를 논하고. 근무시간이 늘어나면 폭발적으로 생산량이 증가한다는식. 현 상황과 맞지 않는 얘기. 최악입니다.
쇼크렛 3
2022년 3월 30일 23:08사회가 복잡해질수록 미래를 예측하기 어려워지는게 당연한 거 아닐까요?
큰 별 2
2022년 3월 31일 09:17ㅋㅋㅋㅋ제가바로껄무샙니다
넘 유쾌합니당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아타락시아 1
2022년 4월 01일 22:27노동시간을 대폭 늘리면 고성장이 되나. 가장 큰 원인 2가지를 인구감소와 노동시간 단축이라니.
돈크레이지
2022년 3월 31일 10:24홍박사님 가끔은 이런 브런치 영상느낌의 10분 전후 영상도 넘 좋은것 같아요
짬짬이 휴식시간, 이동시간에 들을수 있어서 개인적으론 시간이 알차네요~~ 영상 늘 유익하고 감사해요 ^^
새들처럼(류청우)
2022년 3월 31일 13:59언제나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지나킴 마케터
2022년 4월 09일 11:02박사님 항상 큰 도움 받으며 배우고 있습니다! 요즘 상황에서 자산분배를 하려면 어떻게 시작하면 좋을까요? 금과 달라가 너무 올라서 예전에 말씀 주신 대로 자산분배릉 하려니 금&달라가 너무 오른 상태인데 그래도 매수를 하는게 맞는지 혹시 2022년 자산분배 포트폴리오를 어떻게 구성하면 좋을지 업데이트 한번 주시면 큰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토월(吐月)
2022년 3월 31일 10:04안녕하세요 홍박사님 반갑습니다 😄
인터뷰 질문에 관련된 고견 잘 새겨듣습니다.
행복한 하루되십시오 🍀
사랑해
2022년 4월 04일 21:27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홍박사님의 책에서는 "인구감소가 경제 성장률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다" 라고 했던 기억이 있는데......... 여기서는 한국 경제 저성장의 원인이 인구감소라고 말씀하시니.. 조금 아이러니 하긴 하네요......
gabrieli cha
2022년 3월 31일 03:58자산 관리 앱을 개발 중이신가 봅니다.
기대됩니다. ^^
이수진
2022년 3월 30일 21:17금욜밤9시 꼭 볼게요!
자수성가 - 경제적 자유 얻기
2022년 4월 02일 14:39박사님 최근에 미국 장•단기 국채 금리역전이 일어났네요
저는 환율 고점이라고 판단하여 코스피에 투자해놓은 상황인데
이때 박사님이라면 어떻게 하실건가요?
신서진
2022년 4월 05일 04:28나도 달러 고점이라고 생각해서 건설주 매수
YAGGI :P
2022년 4월 14일 06:360:06 '돈을 잘 빌리려고 든다는 거죠' 라고 자막 오류가 있네요
라니아케아
2022년 3월 30일 21:50주제 넘지만 우리나라의 경제를 1-2만불의 관점에서 평가 하시는 것은 아닌지, 생산성과 혁신이 20,30년전에는 계획 경제와 노력에 의해 가능했지만 3만불 넘긴 지금은 임금을 올려 혁신을 해야 살아 남는 상황을 만들어야 4만불 이상으로 가지 않을까요? 기업 경쟁력 때문에 임금을 안 올린 일본이 침몰하는 걸 타산지석으로..
김미경
2022년 3월 31일 02:28전기공학과
Ki Dong Park
2022년 3월 31일 02:44방송중에 누구죠? 뭔진 몰라도 예의없이 주변을 왔다갔다하면서 사진찍는모습이 제가 착각한건가요? 누군진 모르겠지만 예의없어 보이네요.
이현
2022년 4월 04일 17:28앱 기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