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 실제 레이달리오 관점과는 좀 다른 듯 하네요 달리오는 과거 대형 부체사이클 디레버리징 구간에 저금리 상황에서 정부가 돈을 찍어낼수 밖에 없는 상황에서는 금,주식,원자재 대비 화폐가치가 폭락했었다고 조사를 했더군요(최근말고 대공황포함 그보다 과거의 사례도 조사... big debt cycle이라는 책에 의하면) 80년이후부터 비교하셨는데 대형 부체사이클(약 100년주기)인 1930년대 대공황 시절까지 초장기로 보면 전혀다른 결과를 얻으실 것 같습니다. 그게 달리오가 금에 투자하는 이유이구요. 지금은 저금리고 만약 진짜 위기가 터지만 아직은 아니겠지만 금가격은 화폐가치대비 오를수밖에 없다러는 관점인듯 합니다. 지금 현재상황이 대공황직전과 유사하다고 이야기했었다는 점을 참고하면요(당시도 초저금리)
좋은 강의 잘 들었습니다. 1940년대 금투자가 합법이었다면 그 가치 변동이 어떠했을지에 대해 궁금합니다. 레이달리오가 다보스 포럼에서 애기한 것 들어 보면 싸이클상 조만간 recession (금융위기가 아닌 불황) 이 올 것이고 통상 recession이 오면 경기 살리기 위해 Fed가 금리를 4~5% 정도 내려야 하는데 지금 이미 1%대라 여유가 없으니 결국 마이너스 금리 불가피 할 것이고 그러면 물가 상승률보다 한참 떨어지는 미국 채권에의 투자가치는 떨어 질 것이고 그러면 결국 Fed가 양적 완화로 돈 찍어서 미국채 매입해 줘야 하는데 그러면 결국 달러 가치의 하락으로 금 가치가 상대적으로 오를 수 밖에 없다는 썰인것 같습니다. 그런데 이런 상황에서도 한국 경제가 다행히 호황으로 갈 수 있다면 원화 관점에서의 금 매력도가 떨어 지겠지만 만약 한국 역시 recession으로 가버리면 역시 미국과 비슷한 조치를 취할 수 밖에 없지 않을까요 ? 그러면 채권의 경우 명목 가격은 상승하겠지만 화폐의 가치가 하락 하므로 그 가치의 변함이 없는 금이나 부동산과 같은 실물자산의 수익률이 채권 보다 좀 더 우월할 가능성은 없는지요. 아니면 선생님께서는 decoupling을 예견하고 계신 것인가요 ?
다보스에서 CNBC 가 레이 인터뷰하는 것 다시 들어 보니 이런 뜻 이었네요. 현금이 아직도 너무 많아 최대한 주식이나 장기채 같은 금융 자산을 최대한다로 보유하는 것을 권고하는 사람들도 있던데 그리 되서 다들 이 달리는 열차에 모두들 타게 되면 문제가 생기는 것 아닌가라는 사회지 질문에 대해 달리오는 그럴 수 도 있는데 그 기차에 내려서 어디로 가라 탈 것인가가 더 중요하다며 cash로 갈아 타는 것은 최악의 선택이라고 하네요. 사회자가 그럼 당신은 무엇을 하려고 하는가 묻자 자기는 well diversified portfolio가 필요하고 you have to be global you have to have balance라고 합니다. 그러니까 당장에 달리오가 미국의 자산이 비싸다 아니다라고 평가한 것은 아닌 것 같습니다. 금에대해서는 a bit of gold is a diversifier라고 말하면서 레이달리오가 금에 열광하고 있다고 하지 말아달라고 애기하네요.
항상 좋은 인사이트를 제공해 주시는 박사님께 감사합니다. 원화자산은 어차피 따로 투자를 많이하니...연금포트폴리오 같은 곳에서 리밸런싱과 상관관계로 한국주식을 대체하기에 중국주식과 미국주식, 채권, 금 등등의 상관관계도 궁금한데 한번 알려주시길 살포시 기대해 봅니다. 건강 잘 챙기십시요~~~
항상 고수와 장기를 두는 느낌으로 재밌게 보고 있습니다. 보면서 이런 저런 생각을 하게 되네요 ㅎㅎ 그중에 2가지가 궁금 한데 하나는 표에서 보면 원달러 환율과 코스피의 상관계수가 가장 크게 나오는데 그럼 미국채에 환차익에 누출되게 투자를 한다고 하면 상관계수는 더 마이너스로 가는 건가요?? 만약에 상관계수가 더 내려 간다면 두번째는 그런 관점에서 달러 금에 투자 하는 것은 코스피에 투자 할때 헤지 효과를 더 누릴수 있는 건가요?? 질문이 너무 길었네요.. 죄송합니다.
박사님, 설명 정말 감사드립니다. 요즘 금에 대한 관심이 지속적으로 많은 것 같은데.. (뱅크오브아메리카 3천불 타겟 등) 금의 본질 가치는 어떻게 봐야할까요? 지금까지 설명은 역사적으로 가격이 그래왔다는 설명 밖에 찾을 수가 없어서요... 원유나 다른 원자재의 경우 수요와 공급이라는 틀 안에서 본질가치를 정한다면 금은 아직도 금본위제 시절의 인식이 남아있거나 또는 부의 저장소?(ultimate store of value)라고 인식하는 것 같습니다.. 역사적인 금의 가격 변화 (완화적 통화정책에서의 상승)와 사람들의 인식만으로는 앞으로 현 통화정책 기조에서 금이 오른다는게 제 논리로는 100% 납득이 안가서요.. 어떻게 이해하는 것이 좋을까요?
@MsParksang 11
2020년 2월 26일 22:23항상 느끼는 거지만 우리나라 최고 이코노미스트는 홍춘욱 선생님이라고 합니다. 쉬운설명과 좋은 정보 항상 감사드립니다
@webstik 5
2020년 2월 29일 21:26음 실제 레이달리오 관점과는 좀 다른 듯 하네요 달리오는 과거 대형 부체사이클 디레버리징 구간에 저금리 상황에서 정부가 돈을 찍어낼수 밖에 없는 상황에서는 금,주식,원자재 대비 화폐가치가 폭락했었다고 조사를 했더군요(최근말고 대공황포함 그보다 과거의 사례도 조사... big debt cycle이라는 책에 의하면) 80년이후부터 비교하셨는데 대형 부체사이클(약 100년주기)인 1930년대 대공황 시절까지 초장기로 보면 전혀다른 결과를 얻으실 것 같습니다. 그게 달리오가 금에 투자하는 이유이구요. 지금은 저금리고 만약 진짜 위기가 터지만 아직은 아니겠지만 금가격은 화폐가치대비 오를수밖에 없다러는 관점인듯 합니다. 지금 현재상황이 대공황직전과 유사하다고 이야기했었다는 점을 참고하면요(당시도 초저금리)
@김단테 4
2020년 2월 26일 20:13블로그가 나오다니 영광입니다! 금 투자에 대한 설명 감사합니다.
@stockus9498 3
2020년 2월 26일 07:05감사합니다
@Wag-the-dog 3
2020년 2월 26일 12:32항상 잘 보고있습니다!! 키움증권에서부터 따라다녔는데 한동안 못뵈어서 유튜브에 한번 쳐봤는데 채널이 있더라구요 ㅎㅎ 앞으로도 좋은 영상 잘 보겠습니다. 그나저나 레이달리오는 제일 부러운게 목소리에요.. 중후한 저음
@despairest 2
2020년 2월 26일 07:13어제 댓글의 피드백뿐만아니라 추가영상까지 바로 올려주셨네요 사랑합니다 홍박사님 ㅠㅠ
@gustkdeo 2
2020년 2월 26일 07:15반대로 미국주식 하는 분들에겐 금이 유용할 수 있겠군요 ㅎㅎ
@安世贤 1
2020년 2월 26일 13:45좋은 강의 잘 들었습니다. 1940년대 금투자가 합법이었다면 그 가치 변동이 어떠했을지에 대해 궁금합니다. 레이달리오가 다보스 포럼에서 애기한 것 들어 보면 싸이클상 조만간 recession (금융위기가 아닌 불황) 이 올 것이고 통상 recession이 오면 경기 살리기 위해 Fed가 금리를 4~5% 정도 내려야 하는데 지금 이미 1%대라 여유가 없으니 결국 마이너스 금리 불가피 할 것이고 그러면 물가 상승률보다 한참 떨어지는 미국 채권에의 투자가치는 떨어 질 것이고 그러면 결국 Fed가 양적 완화로 돈 찍어서 미국채 매입해 줘야 하는데 그러면 결국 달러 가치의 하락으로 금 가치가 상대적으로 오를 수 밖에 없다는 썰인것 같습니다. 그런데 이런 상황에서도 한국 경제가 다행히 호황으로 갈 수 있다면 원화 관점에서의 금 매력도가 떨어 지겠지만 만약 한국 역시 recession으로 가버리면 역시 미국과 비슷한 조치를 취할 수 밖에 없지 않을까요 ? 그러면 채권의 경우 명목 가격은 상승하겠지만 화폐의 가치가 하락 하므로 그 가치의 변함이 없는 금이나 부동산과 같은 실물자산의 수익률이 채권 보다 좀 더 우월할 가능성은 없는지요. 아니면 선생님께서는 decoupling을 예견하고 계신 것인가요 ?
@supe-tv 1
2020년 3월 05일 06:28역시 금은 안전자산으로 바라봐야하는것 같습니다. 앞으로 다가올 경제위기 속 돌파구가 되길 바라며 투자해봅니다. 자세한 설명감사해요~!
@광안리뉴욕치과의치과 1
2020년 2월 26일 07:08늘 잘보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k블랙베리 1
2020년 2월 26일 07:23금이 엄청궁굼한데 잘봤습니다!! 감사합니다
@짱보고 1
2020년 2월 27일 11:09유익한 내용에 항상 감사드립니다^^ 궁금한 점은 JP모건이 2011년 부터 현재까지 어마 무시한 양의 은을 매입하고 있는데 질문은 1. 왜 대량 매입하는지 이유가 궁금합니다 2. 왜 금이 아니고 은일까요?
@wonjaekim7923 1
2020년 2월 26일 09:56결국 분산투자의 종목은 주된 통화 포지션에 좌우되겠군요.감사합니다.
@robink99 1
2020년 3월 02일 21:55아 홍춘욱님 제가 주식초보라 이 채널에 대해 긴가민가했는데 피셔인베스트님이 오셔서 보증하시네요ㅋㅋㅋㅋ 앞으로 잘 챙겨보겠습니다
@安世贤 1
2020년 2월 26일 13:55다보스 포럼에서 미국 자산이 비싸지만 현금으로 갈아타는 것은 더 바보 같은 짓이라면서 cash는 trash라고 하던데요.
@安世贤 1
2020년 2월 27일 07:49다보스에서 CNBC 가 레이 인터뷰하는 것 다시 들어 보니 이런 뜻 이었네요. 현금이 아직도 너무 많아 최대한 주식이나 장기채 같은 금융 자산을 최대한다로 보유하는 것을 권고하는 사람들도 있던데 그리 되서 다들 이 달리는 열차에 모두들 타게 되면 문제가 생기는 것 아닌가라는 사회지 질문에 대해 달리오는 그럴 수 도 있는데 그 기차에 내려서 어디로 가라 탈 것인가가 더 중요하다며 cash로 갈아 타는 것은 최악의 선택이라고 하네요. 사회자가 그럼 당신은 무엇을 하려고 하는가 묻자 자기는 well diversified portfolio가 필요하고 you have to be global you have to have balance라고 합니다. 그러니까 당장에 달리오가 미국의 자산이 비싸다 아니다라고 평가한 것은 아닌 것 같습니다. 금에대해서는 a bit of gold is a diversifier라고 말하면서 레이달리오가 금에 열광하고 있다고 하지 말아달라고 애기하네요.
@도시탈출-g3g 1
2020년 2월 26일 08:34미국주식+한국부동산
@junyoungyoo3588
2020년 2월 26일 09:26영상 정말 감사합니다~~!!
@sooseocklee5616
2020년 2월 27일 13:21항상 좋은 인사이트를 제공해 주시는 박사님께 감사합니다. 원화자산은 어차피 따로 투자를 많이하니...연금포트폴리오 같은 곳에서 리밸런싱과 상관관계로 한국주식을 대체하기에 중국주식과 미국주식, 채권, 금 등등의 상관관계도 궁금한데 한번 알려주시길 살포시 기대해 봅니다. 건강 잘 챙기십시요~~~
@leekwang4922
2020년 2월 27일 08:39역시 최고입니다. 박사님 감사합니다.^^
@JACKJACK-nl1ne
2020년 2월 28일 17:56잘 보고 있습니다. 브리지워터 백서를 읽어보고 느끼는거지만 설명해주신거와는 약간 방향이 다른부분도 있는것 같습니다. 허나 코스피투자시
코스피와 미국국채 조합이 깡패인것은 정말 동감합니다.
@papasmf1
2020년 2월 27일 22:00저도 자산의 5%정도 금에 투자하고 있습니다. 최근에 20년 변동성이 엄청났군요. 늘 많이 배우고 있습니다. ^^
@qoehd4
2020년 2월 26일 08:13이런 자료들은 어디서 구하시는지 알수있을까요?
@JUTOPIA
2020년 3월 04일 17:29와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D
중간에 상관관계표랑 자산수익률비교표 멋지네요!
@minyoungrich7262
2020년 2월 26일 11:54감사합니다 언제나 😍👍
@배선영-f4y
2020년 2월 26일 15:53와우 단테님 글이다
@yjkim2300
2020년 4월 26일 17:14정말 명쾌한 답이네요. 달리오가 미국인이기 때문에, 자국통화나 주력자산이 달러인 사람은 보조자산으로 금이 중요할 수 있다. 하지만 한국인은 그렇지 않다.
@neoginis
2020년 2월 26일 11:18한국인이 미국주식을 투자할때 장점 중 하나가 주가차익에 +로 환차익을 볼 수 있다는건데 한국인이 실물금이 아닌 GLD같은 실물 금에 투자하는 미국ETF를 투자한다고 했을때는 말씀하신 내용이랑은 좀 다른 결과가 나오지 않을까 싶은데 혹시 이 부분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buffettinbusan
2020년 2월 29일 02:18상관계수 자료는 어디서 구하셨는지요~
@soo7173
2020년 2월 29일 20:33레이달리오는 틀렸다
@collectr_k
2020년 2월 27일 01:36너무 설명도 잘해주시고 자료도 많이 보여주셔서 감사합니다. 밀레니얼 이코노미도 구입해서 잘 읽고있네요
@phper19
2020년 2월 28일 01:24좋은강의 고맙습니다. 고 인플레이션 시기일때 물가 오르고 금리 오를때를 대비해 어떤 자산도 분산하면 좋을까요? 아파트를 몇채 사둘수도 없고 금/원자재는 변동폭이 크고 ... 궁금합니다.
@김용찬-l4c
2020년 2월 27일 14:57항상 고수와 장기를 두는 느낌으로 재밌게 보고 있습니다. 보면서 이런 저런 생각을 하게 되네요 ㅎㅎ
그중에 2가지가 궁금 한데
하나는 표에서 보면 원달러 환율과 코스피의 상관계수가 가장 크게 나오는데 그럼 미국채에 환차익에 누출되게 투자를 한다고 하면 상관계수는 더 마이너스로 가는 건가요??
만약에 상관계수가 더 내려 간다면 두번째는 그런 관점에서 달러 금에 투자 하는 것은 코스피에 투자 할때 헤지 효과를 더 누릴수 있는 건가요??
질문이 너무 길었네요.. 죄송합니다.
@VRt0yb0nnie
2020년 4월 24일 09:55박사님, 설명 정말 감사드립니다. 요즘 금에 대한 관심이 지속적으로 많은 것 같은데.. (뱅크오브아메리카 3천불 타겟 등) 금의 본질 가치는 어떻게 봐야할까요? 지금까지 설명은 역사적으로 가격이 그래왔다는 설명 밖에 찾을 수가 없어서요... 원유나 다른 원자재의 경우 수요와 공급이라는 틀 안에서 본질가치를 정한다면 금은 아직도 금본위제 시절의 인식이 남아있거나 또는 부의 저장소?(ultimate store of value)라고 인식하는 것 같습니다.. 역사적인 금의 가격 변화 (완화적 통화정책에서의 상승)와 사람들의 인식만으로는 앞으로 현 통화정책 기조에서 금이 오른다는게 제 논리로는 100% 납득이 안가서요.. 어떻게 이해하는 것이 좋을까요?
@닥홍
2020년 2월 26일 12:55감사합니다
@주자왕파킹
2020년 2월 26일 19:12박사님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전에 주식과 금으로 분산투자한 것이
지금에서 그나마 위안이 되네요
@korean_in_sweden
2020년 2월 27일 17:03(멀티)상관관계표로 설명해주시니 이해하는데 큰 도움이 되고, 신뢰가 가네요. 좋은 영상 감사드립니다.
@몽블랑-u7b
2020년 2월 29일 20:41신논현 교보타워에서 연초인가요.. ㅍㅍㅅㅅ에서 개최한 강연의 마지막 주자로 나오셔서 열강하실 때 뵙고, 유투브 채널도 있으셨군요. 늘 쉬운 설명 감사드립니다!!
@김초보-n7o
2020년 3월 10일 18:54잘 봤습니다. 단순 금이 포트폴리오 구성 종목으로의 필요성과 인플레이션 헷지용으로 유용하다는 생각만 가지고 있었는데 덕분에 좋은 지식을 얻고갑니다!
@handlewithcare.please
2020년 3월 22일 23:06감사합니다
국내 주식시장에 투자하면 금에 분산투자 할 필요없지만 미국 시장에 투자하는 경우에는 금을 사놓아도 되겠네요?!
@쵸쵸-e1d
2020년 2월 26일 08:03좋은영상 감사합니나 :) 블로그 링크거 없는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