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중한 인터뷰 감사드립니다! 저도 유럽에 머무르던 경험을 기반으로 몇개만 말씀드리자면... 1) 개인주의, 능력주의에 기반한 평가가 한국서 어려운 이유는... 개인의 performance indicator를 섬세하게 고안하지 못해왔었고, 그러다보니 정말 성과와 개인에 대한 평가가 이뤄지지 못하기 때문이지요. 그런데 이게 마냥 한국기업의 잘못인가? 하면, 그게 또 안 그래요. 한국기업들은 워낙에 다이나믹하게 움직이다보니... 취업을 해도 무슨업무를 배정받을지 모르고, 일 잘 하다가도 어느순간 전혀 다른 곳에 배정받아 완전히 새로운 일을 해야 하는 상황들이 빈번하게 생깁니다. 한국도 점점 공채 시스템이 줄어들고 있는 상황인데... 아마 취업시 job description이 확실해지는게 일상화되면 한국기업 역시도 개인주의, 능력주의에 기반한 평가가 정착할수 있으리라 봅니다;
2) 점심먹는 문화?는 유럽에 있더라도 글로벌기업과 로컬기업의 분위기가 다릅니다! 로컬은 오히려 우르르 몰려가서 밥같이 먹는 분위기가 적잖이 있어요. 특히 종신직 직원들은... 평생 같이 일해왔고 앞으로도 그럴사람들이라 한국이상으로 집단적 문화가 강합니다.
3) 제 생각에, 김태강 작가님께서 가장 이상적인? MBA 졸업생의 길을 보여주신것 같아요! MBA는 여러모로 장단점이 뚜렷하고 비용이 많이드는 과정인데... 적어도 외국인 입장에서, 현지 유수의 기업에 취업을 가능케하는 가장 강력한 옵션이고, 거꾸로 말하면 "외국 특정 국가"에 "취직하고 싶을때에만" MBA를 가는게 이상적이라는 생각을 남깁니다!
점심 얘기가 많이 나오네요ㅋㅋㅋㅋ 이건 확실히 문화적 차이 인거같아요 우리나라도 지금은 많이 없어지는 문화지만 옛날 할머니 세대때나 어머니 세대때만 해도 무언가 이웃들하고 나눠먹고 집에 방문하면 밥이라도 먹고 가라며 대접해주는 문화를 보면 우리나라는 밥을 그냥 식사가 아닌 정으로 생각했었자나요 그 문화가 회사에서 남아 있는게 아닌가 싶어요 그래서 밥 시간대되면 알아서 사라져버리는 미국과는 달리 다 같이 식당에 내려가서 밥먹고 커피마시는 성향이 나타나는거 같구요 심지어 학교에서도 밥 맛있게 나오면 친구들 끼리 부러워 하자나요ㅋㅋ 옛날 배고프지만 먹을것이 없었던 시대를 건너온지 얼마 안되서 그런지 한국사람들은 일하거나 공부하려면 든든하게 먹어야된다는 생각때문인지 밥에 대한 중요도가 높은거 같아요
@yumitvs2 7
2020년 2월 26일 12:07아마존이 삼성보다 개인주의가 강하군요
@dongwonchoi8995 5
2020년 2월 26일 16:23소중한 인터뷰 감사드립니다! 저도 유럽에 머무르던 경험을 기반으로 몇개만 말씀드리자면...
1) 개인주의, 능력주의에 기반한 평가가 한국서 어려운 이유는... 개인의 performance indicator를 섬세하게 고안하지 못해왔었고, 그러다보니 정말 성과와 개인에 대한 평가가 이뤄지지 못하기 때문이지요. 그런데 이게 마냥 한국기업의 잘못인가? 하면, 그게 또 안 그래요. 한국기업들은 워낙에 다이나믹하게 움직이다보니... 취업을 해도 무슨업무를 배정받을지 모르고, 일 잘 하다가도 어느순간 전혀 다른 곳에 배정받아 완전히 새로운 일을 해야 하는 상황들이 빈번하게 생깁니다. 한국도 점점 공채 시스템이 줄어들고 있는 상황인데... 아마 취업시 job description이 확실해지는게 일상화되면 한국기업 역시도 개인주의, 능력주의에 기반한 평가가 정착할수 있으리라 봅니다;
2) 점심먹는 문화?는 유럽에 있더라도 글로벌기업과 로컬기업의 분위기가 다릅니다! 로컬은 오히려 우르르 몰려가서 밥같이 먹는 분위기가 적잖이 있어요. 특히 종신직 직원들은... 평생 같이 일해왔고 앞으로도 그럴사람들이라 한국이상으로 집단적 문화가 강합니다.
3) 제 생각에, 김태강 작가님께서 가장 이상적인? MBA 졸업생의 길을 보여주신것 같아요! MBA는 여러모로 장단점이 뚜렷하고 비용이 많이드는 과정인데... 적어도 외국인 입장에서, 현지 유수의 기업에 취업을 가능케하는 가장 강력한 옵션이고, 거꾸로 말하면 "외국 특정 국가"에 "취직하고 싶을때에만" MBA를 가는게 이상적이라는 생각을 남깁니다!
@라이프컨설턴트-당신 5
2020년 2월 26일 14:15최고의 복지를 제공하며 야근이냐..
워라벨을 보장하며 개인이냐..
여러분은 어떠세요? ^^
@studian365 3
2020년 2월 26일 12:43김태강, 『 삼성인 아마조니언 되다 』 도서 구매하기 ▶
교보문고 - https://bit.ly/2uvFVel
예스24 - https://bit.ly/2Vl2RYy
알라딘 - https://bit.ly/2PpcFgw
@young-ceo 2
2020년 2월 26일 12:25원래 대부분 미국 회사는 점심 안줘요 ㅋ
@jichan1123 2
2020년 2월 26일 12:49개인주의 성향이 강한, 능력위주인 개인적으로 참 멋있다고 생각됩니다.
@lexro5726 2
2020년 2월 26일 15:01자청님이랑 닮으신듯
@캐책녀라디오캐나다의 2
2020년 2월 26일 12:33개인적인 경험으로 공감되는 내용의 영상 잘 보았습니다❤️😊
@studian365 1
2020년 6월 04일 12:36🎤김태강 저자의 지난 책터뷰 영상 더 보기
📕책 제목: <삼성인, 아마조니언 되다>
1부 : 삼성에는 있고 아마존에는 없는 것
▶https://youtu.be/swpqIHM6w2s
2부 : 완벽의 삼성 VS 효율의 아마존
▶https://youtu.be/y8s6qiZ_xao
3부 : 아마존에서 코딩보다 중요한 능력들
▶https://youtu.be/8-93XNc0f9g
4부 : 아마존의 연봉과 조직 문화는 어떨까?
▶https://youtu.be/0Xhq255Tvho
안개소녀 1
2020년 2월 26일 20:47감정을 잘 교류하고 공감능력이 있는 한국사람들은 같이 다니고 몰려서 밥먹고 하는데...외국은 개인시간 혼자활용하고 본인이 선택하는 점심이 있다는게 많아 낯설것도같아요
@오형진-h9n 1
2020년 5월 13일 14:50👍
@리드-w7k
2020년 2월 26일 12:16딱 아마존은 서구적인 문화긴하네 개인주의 능력주의 저게 좀 부럽다
@mini-wp9xh
2020년 2월 26일 13:29점심 얘기가 많이 나오네요ㅋㅋㅋㅋ 이건 확실히 문화적 차이 인거같아요 우리나라도 지금은 많이 없어지는 문화지만 옛날 할머니 세대때나 어머니 세대때만 해도 무언가 이웃들하고 나눠먹고 집에 방문하면 밥이라도 먹고 가라며 대접해주는 문화를 보면 우리나라는 밥을 그냥 식사가 아닌 정으로 생각했었자나요 그 문화가 회사에서 남아 있는게 아닌가 싶어요 그래서 밥 시간대되면 알아서 사라져버리는 미국과는 달리 다 같이 식당에 내려가서 밥먹고 커피마시는 성향이 나타나는거 같구요 심지어 학교에서도 밥 맛있게 나오면 친구들 끼리 부러워 하자나요ㅋㅋ 옛날 배고프지만 먹을것이 없었던 시대를 건너온지 얼마 안되서 그런지 한국사람들은 일하거나 공부하려면 든든하게 먹어야된다는 생각때문인지 밥에 대한 중요도가 높은거 같아요
@itvkoreaview3598
2020년 2월 26일 15:07엘지랑 현대는 점심 대박 맛없고 하이닉스 맛없어요 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