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가을에도 오를거라 했죠 근데 안올랐죠 추석 지나면 분위기 반전된다 했죠 그러나 반전안됐죠 올해 부턴 다를거라 했죠 그러나 하락조짐이 보이고 거래량이 씨가 말랐고 지방은 미분양이 나오기 시작했죠 그리고 대선 이후엔 오른다 했죠 대선 끝나니 수도권 수원 안양 동탄 등 -3억 거래가 심심찮게 나오고 거래량 또한 여전히 없죠 언제까지 그냥 상승만 외치시려고? 진짜 이분들이 전문가가 맞는지? 하락장일 때도 맞췄는지? 어느샌가 갑자기 2018년 이후부터 전문가랍시고 나타나서 상승만 외치던데 2008년 이후부터 전문가 노릇 했는지?
IMF때 집짓다가 부도나서 중간에 공사 중단됬다가 철근 녹슬고있는거 보고 겨우 입주했고 금융위기때 이사갈려고 분양받은집 건설사 부도나고 금리 올라서 마이너스 피 나서 팔지도 못하고 이사도 못간 트라우마 때문에 아들보고 지금 집사라고 못하고 있네요.그런일은 일어나지 않겠지만 경기 나빠지면 집은 고사하고 하던사업 안망하고 집담보대출내서 버티는사람도 많아지고 실업율도 높아질가능성도 있는상황도 대비해야겠죠.요즘 전국적으로 투자기법강의 해서 돈버는사람도 많고 유튜버구독자 많아서 먹고사는사람도 많고 ,대체적인 연령층이 IMF,금융위기 겪어보지않은 사람들이. 대부분인것 같아요.
지난 과거엔 제로금리에 가까운 상황에서 대출이 수월하게 이뤄져 집값이 폭등한 측면이 없지않아 있지만 앞으론 전세계 유례없는 인플레로 고금리시대가 펼쳐지는 상황에서의 대출규제 완화가 부동산 상승을 이끌 요인이라 보진 않는데요~ 갠적으로 코로나로 인해 벌였던 전세계 유동성잔치에 대한 혹독한 후유증은 분명 한 번은 겪게 될 것 같습니다~
시간이 지날 수록 재테크유투버들의 거품이 빠지는것 같네요. 주변의 실투자자들의 포지션과 유투브에서 상승외치는 분들의 괴리가 심합니다. 지금 실거주 두고 나머진 정리하려고 다들 혈안이고.. 기대수익이 없어 현금화해놓고 투자환경이나 좋은가격오기를 기다리는 분들많아요. 재테크성공해서 유투브하시는분들은 왜 하나같이 같은 논리로 같은 의견을 내시는지.. 투자경력 20년넘은 제가 봐선 위험한시기인데.. 그래도 실거주 한채는 있어야한다는 의견은 동의하나 .. 나머진 공감이 안가네요
3억 내 순자산에 전세를 살았다고하고.. 4년뒤 시세가 6.5억이 되었다고 하면 대출을 3.5억을 받아 전세를 갈것인지 8.5억짜리 집을 사야겠다해서 5.5억을 대출을 받는 결정을할때 서울시의 80%가 월400이하의 소득을 얻는다고 하는데 그 평균을 300으로 잡는다면 대출이자는 소득대비 얼마나 나올까요? 그이자는 현재의 금리 더하기 올해 가능한 상승 포인트로 앞으로 미국의 빅스텝으로 올해 50pp 2번에 걸쳐 올린다고 하고 이어 25pp를 최소 1~3번을 올린다고 하면 현제 우리나라 주담대 고정금리 6.4%(가정)에서 미국의 금리반영분을 약 2%정도 인상을 가정한다면 8%대 주담대 이자도 가능하지 않을까 싶은데.. 이런부분으로 인해서 월세와 전세비교를 했을때 현실적인 대안인 월세의 거래가 늘고 월세가 가파르게 상승하는것이 아닌가 라는 생각을 하는 일인인데... 부읽남님께서는 대출을 안해주기때문에 월세가 폭등하고 거래가 되는거다라고 판단을 하고계시네요. 그리고 imf에서는 지속적으로 우리나라 가계대출에 대한 경고를 하고있고 그이유는 코로나시기 늘어난 가계부채로인해 경제성장률이 둔화할 가능성이 높다는 부분을 이유를 들었고 경제성장 전망치를 낮추게 되는 직접적인 요인이 되었지요.
그리고 대구 미분양 말씀하시는데 제가보기엔 지금 미분양이 중요한게 아닌것같네요 남산자이 1200세대중에 600개가 전세 월세 매물로 나와있고요 이것뿐 아니라 신축 아파트에 전세와 월세 매물 200~300개씩 있는것도 제법 있습니다. 갭투자하신 분들의 물량과 높은분양가로 인한 이자를 감당하진 못하시는 분들의 매물일려나요.. 또 왜 이렇게 되었나 하면. 대구에 분위기 자체가 분양담첨되면 돈번다 대출받아 집사야된다 10~20% 입주금만 있으면 된다. 어차피 4년뒤 입주하면 오르니 그때 팔면 안되냐 너는 왜 분양 않넣냐.. 였기도 하고 또 그래서 실직적으로 10~20%만 가지고 분양시장에 뛰어든 분들도 많고요. 그리고 재건축이 엄청나게 일어나면서 재개발때문에 이주를 하게된 분들의 소비물량으로 작년 3분기까지는 반경2km안에는 전세하나 구하기 힘들던게 신축 입주가 하나씩 많아지기 시작하면서 몇개월사이 2km안에 구축신축 합쳐서 천개넘게 전세 월세물량이 폭발적으로 늘어났답니다. 아마도 재건축으로 인해서 이주했던 분들이 입주를 시작하면서 물량이 쏟아져 나온걸로 보이네요. 집을 사려고 맘먹고 있던터라 매주마다 물건확인하고 하는데 지금은 아니다 싶던데... 아 또하나 내년 상반기인가? 하반기인가..? 까지해서 분양만 57개가 넘고요. 재건축으로 땅파서 크레인세워진곳만해도 엄청납니다. 아직 입주는 시작도 안했다는 말이죠. 경제전문가분들과 부동산으로 제테크해서 책쓰시는 분들의 보는 관점이 너무 다른데 저는 경제전문가분들에게 한표를 주고 싶군요..
월부에서 전세사는 사람들이 전세대출 이자가 오르면 차라리 집을 살거라고 하던데 ㅋㅋㅋ 무주택자 마음을 너무 모르시는 거 아닌지요 ㅎㅎ 지금까지 무주택자면 부동산에 관심이 없거나 돈이 없거나인데 지금 상투에 고금리로 집을 살까요 과연?? 아마 대부분이 전세자금 대출 금리 감당 못하면 본인이 감당가능한, 전세가 좀 더 저렴한 하급지로 옮겨갈걸요 ㅎㅎ
부읽남은 참 말을 부드럽게 설득력있게 잘하는데, 내용이 부실하다 못해 진리를 감추는 느낌이다. 부동산은 무조건 오른다는 결론을 맞춰놓고 근거를 끼어넣는다. 미래의 엄청난 인구감소(서울 포함), 금리 인상, 경기 침체, 내후년의 서울 인근 공급증가에 대해서는 일부러 도외시한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소득대비 터무니 없는 '가격'이란 요소를 아예 언급조차 하지 않는다.
들어보니 차기 정부가 다주택자 위주의 정책을 기대하면서 상승한다는 거네요. 본인이 다주택자라 편향되어 있는 듯. 미국 긴축 움직임, Dsr은 바젤이랑 관련되어 있어서 윤정부가 맘대로 할 수 있는게 아니고 임대차법도 유엔의 권고 사안이라 정부가 맘대로 뒤흔들 수 없는 거..뭐 이런건 얘기 1도 없고…그저 오른다 오른다…그래 올해 오른다 치자. 내년은?? 내후년은?? 2008년 금융위기 때도 부동산은 1년 이상 안움직엿고 그 후에 추세 하락했음. 암튼 이 양반 뿐만아니라 유튭에 나오는 다주택자 부동산 업자같은 사람들은 그저 오르기만 바라지만 부동산 폭등으로인한 엄청난 사회적 비용이나 부작용은 안중에도 없음.
지금까지는 돈을 뿌렸으니 올라간거고,, 앞으로는 돈을 흡수할꺼니.. 다들 알아서 잘 판단하시길. 연말 미국 기준금리 컨센이 3.0-3.5%입니다. 그럼 한국은 4.0-4.5% 될꺼고,, 대출금리는 6-7%일텐데, 유동성 흡수를 이길만큼 성장이 나오는가?? 그만큼 매도자 우위 시장이 계속 될 것인가?? 규제 완화가 과연 호재인가?? 적어도 24년 까지는 조심해야 하지 않을까요?
연방에서 페이퍼링ㆍ금리인상이 계속 되는데 현금이 50%이상 없는상태에 빚을 잔뜩 얻어 매수하는건 절대 아닙니다 일단 반전세로라도 아님 변두리로 밀려나더라도 2025년까지 기다리세요 앞으로 분양아파트를 매수하시고요 기존주택은 최소한 40% 이상 빠지면 급매나 경매로 장만하세요 기존 아파트 매수는 내가 다주택으로 수익을 내고 일시 양도세완화로 수익을 내고 팔았을때는 똘똘한 한채로 매수하지만 아예 무주택자는 지금은 매수시기 아닙니다 집값이 계속 상승할때 매수하는거지 계속 상승한다는 보장이 없는데 왜 무주택자들을 또 흔드는지 !!! 아닙니다
하락인지 상승인지는 모르겠지만 확실한건 부동산 하락기, 고금리가 오면 나라가 휘청할거라 누가 누굴 걱정할 처지가 아닙니다. 자영업자 비율도 비정상적으로 많고 소비도 엄청나게 줄어들거라 순식간에 경제 얼어붙습니다. 자산 상승기가 왔기때문에 그나마 소비지수가 괜찮았다는 생각도 필요합니다
자꾸 금리랑 규제로 집값의 향방을 논하려구 하는데 거래량이 늘어날 모멘텀이 없는 지금 가장 중요한건 금리도 규제도 공급도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집값은 앞으로 경기침체가 오느냐, 온다면 언제 오느냐에 달려있다고 봅니다. 금리가 올라도 집값이 오른적은 있었지만 경기 침체오고 은행 부실 생겼을 땐 심리가 위축되서 시장에 돈이 있어도 집값은 내려 갔습니다. 개인적인 판단으론 내년 경기 침체는 막을 수 없고 집값은 조정 받았다가 다시 빠르게 회복할 거라고 생각합니다.
유주택자.. 더 올랐으면 하는 기대와 욕심이 천정을 뚫고도 남음 근데, 무주택자는 정말 지금의 이자 감당하면서 대출받아 집 살 수가 없음 요즘은 3~4년 전 비교해 집값이 너무 올라서 대출 받아야할 금액도 엄청남, 게다가 금리는 내년말까지 쭉쭉 오른다고 함 팽팽한 줄다리기 최소한 2년,, 승자는 누구? ㅎㅎㅎ
경험상 금리인하기는 기대수익률을 낮게보고 투자가 가능해서 초보들이 쉽게 투자가능했음, 금리인상기는 기대수익률이 높아야해서 투자수익률이 높은 투자기술을 가진사람말곤 진입위축됨, 부동산을 보면 이미 가격은 많이 상승했고, 세금은 타이트하고 대출금리는 오르고 있다 지금 기대수익률을 과거처럼 쉽사리 높게 얻을 수 있는 상태가 아니라는 것이다, 초보들은 이제 투자를 선듯못하니 투자해서 수익률 잘 낼수있는 사람만 남는다, 본인이 정책,금융,세금,현금흐름이 안된다면 쉬어야한다,이제 투자시장의 매수자는 확실히줄어든다, 주택에서의 가수요 거래가 확 줄어든다는 것이고 그나마 있는 투자고수들도 비주택으로 많이들 넘어갔다, 지금 상급지 신고가 찍으며 사는 사람들은 사실 부동산투자 잘하는 사람이라기보단, 현금부자인 사업가,기업가들이 가진 현금을 파킹하려는 실수요일가능성이 크다, 부동산 투자로만 돈 불리는 사람은 지금 상급지투자시 자금이 많이 묶이기 때문에 지금 수익률이 나오는 지방, 저가, 재개발, 재건축, 꼬빌, 상가, 지산, 오피, 사업,현금흐름 창출 정도에 목매고 있다, 사실 적극적이게 투자하는 사람들은 잘 사라지지않는다, 계속 다른곳에서 매수를 하고 매도를 한다, 또는 다른곳에서 돈을 만들어 낸다, 확실한건 이제 상황이 주택시장에서 먹을곳이 많이 줄었고, 수익률도 많이 떨어졌다는 것이다, 소액으로 돈벌려면 지방저가로 가야하고, 큰돈넣고 큰돈을 벌려면 수도권 재재로 가야하고 더 큰돈 벌려면 꼬빌리모델링이나 신축건축으로 가야한다, 여기에 중요한건 본인이 가진 현금흐름이 좋으면 좋을수록 큰곳에서 오래 놀수있다는 것이다, 어제도 부동산 여러군데 전세 내놓으니 상황이 안좋다고 싸게 내놓으라고 꼬득이던 부동산이 있었는데 나는 예비자금이 있어서 그럼 좀 더 기다릴게요~라고 톡하고 쿨하게 무시해줬다, 예비자금은 나의 투자인생의 가장좋은 보호막임을 또 느꼈다, 너무 무리한 영끌은 본인과 본인가족을 지킬수 없을수 있다는걸 명심해야한다, 현금흐름이 개좋다면 금리인상이든 풀레버리지든 버틸수있기때문에 장이 마무리되려는 시점에 네임드들, 투자고수들은 책, 강의, 컨설팅상담, 무인사업, 고시원등등에 집중한다, 나같은 잔챙이는 다시 회사로 돌아가는듯,,,,,싶다,
내가살집 한채있으면 됐죠 그리고 이젠 현물이최고임 금 은 장신구 땅 심지어 식량조차 돈이되는 시대가 올거에요 헛된투기나 망상으로 부동산투자하지말고 자급자족이 가능할수있도록 내땅에 묘목이라도 심으세요 과실수도좋구요 이제 때가되면 사과나무한그루도 정부허가없이 심을수없는법안이 통과될거에요
무한 상승론자네 집값이 얼마까지 올라야 만족 할건가? 이제 사는 사람들은 곡소리 난다 1~2년 뒤 보자. 지금까지 오를 수 있던건 저금리랑 다주택으로 자산 30억~ 70억이라고 유튜브에서 씨부리는 사람들 양도세 때문에 집 한채도 못 팔아서 오른거잖아? 다주택자 집 팔 수 있게 되는 순간 폭락이다
대출 막아서 분위기가 완전 반전되었다는게 중요. 수요가 계속 있다고 가정하시는데, 지방 인구 줄듯 서울인구도 급격히 줄고 있어요. 출산 0.5인데 어떻게 버틸까요? 게다가 매매가격 급등, 전세가 올라서 능력있고 젊은 사람들은 죄다 경기도로 나갔지요. 종로, 여의도, 강남 등 도심 핵심 지역빼곤, 일자리는 오히려 경기도가 훨씬 많지요. 삼성이 서초본사 매각한건 다 이유가 있겠지요?
지금은 보합이 아니라 대출을 다막아버리니 그냥 거래자체가 끊킨거임 그러니 몇건은 신고가 나오고 몇건은 싸게 팔고하니 내려간다 오른다하는거지
그러면 가격상승 하락 미치는 영향은 하나뿐임 공급량 대선때 집값 잡겠다고 250만호 짓겠다 했지만 현실적으로 애초불가인 양이고 150만호만 생겨도 한 5년은 집값오르긴 힘듬 근데 문제는 저 150만호도 3년에서 5년은 걸림 그래도 집이 한두푼도 아니고 난 그냥 3년기다릴란다 해서 집값이 안솟구친건데 문제는 지금 인플레이션으로 아파트 짓는 공사비가 엄청나게 오름 이게 분양가를 올리더라도 150만호 짓는다면 지금은 10억시세의 아파트를 5억에 산다면 이제는 분양가를 올려서 10억짜리를 8억에 사게되므로 수요가 끊킬수 있고 미분양 천지 될거임 이상황까지 오면 아파트값은 하락함
그런데 건설사가 바보도 아니고 이런상황오면 건설량을 줄이던가 혹은 완공지연으로 3~5년 걸리던걸 5~8년 까지 미루게 됨 여기까지 오면 또 집값 폭등 하는거임
앙드레코스톨라니 132
2022년 4월 16일 01:30작년 가을에도 오를거라 했죠 근데 안올랐죠
추석 지나면 분위기 반전된다 했죠 그러나 반전안됐죠
올해 부턴 다를거라 했죠 그러나 하락조짐이 보이고 거래량이 씨가 말랐고 지방은 미분양이 나오기 시작했죠
그리고 대선 이후엔 오른다 했죠
대선 끝나니 수도권 수원 안양 동탄 등 -3억 거래가 심심찮게 나오고 거래량 또한 여전히 없죠
언제까지 그냥 상승만 외치시려고?
진짜 이분들이 전문가가 맞는지?
하락장일 때도 맞췄는지?
어느샌가 갑자기 2018년 이후부터 전문가랍시고 나타나서 상승만 외치던데 2008년 이후부터 전문가 노릇 했는지?
@csypro65 113
2022년 4월 16일 00:23IMF때 집짓다가 부도나서 중간에 공사 중단됬다가 철근 녹슬고있는거 보고 겨우 입주했고 금융위기때 이사갈려고 분양받은집 건설사 부도나고 금리 올라서 마이너스 피 나서 팔지도 못하고 이사도 못간 트라우마 때문에 아들보고 지금 집사라고 못하고 있네요.그런일은 일어나지 않겠지만 경기 나빠지면 집은 고사하고 하던사업 안망하고 집담보대출내서 버티는사람도 많아지고 실업율도 높아질가능성도 있는상황도 대비해야겠죠.요즘 전국적으로 투자기법강의 해서 돈버는사람도 많고 유튜버구독자 많아서 먹고사는사람도 많고 ,대체적인 연령층이 IMF,금융위기 겪어보지않은 사람들이. 대부분인것 같아요.
청춘예찬 113
2022년 4월 16일 02:14지난 과거엔 제로금리에 가까운 상황에서 대출이 수월하게 이뤄져 집값이 폭등한 측면이 없지않아 있지만 앞으론 전세계 유례없는 인플레로 고금리시대가 펼쳐지는 상황에서의 대출규제 완화가 부동산 상승을 이끌 요인이라 보진 않는데요~
갠적으로 코로나로 인해 벌였던 전세계 유동성잔치에 대한 혹독한 후유증은 분명 한 번은 겪게 될 것 같습니다~
@이홍규-j1z 81
2022년 4월 15일 22:07시간이 지날 수록 재테크유투버들의
거품이 빠지는것 같네요.
주변의 실투자자들의 포지션과
유투브에서 상승외치는 분들의
괴리가 심합니다.
지금 실거주 두고 나머진 정리하려고
다들 혈안이고..
기대수익이 없어 현금화해놓고
투자환경이나 좋은가격오기를
기다리는 분들많아요.
재테크성공해서 유투브하시는분들은
왜 하나같이 같은 논리로
같은 의견을 내시는지..
투자경력 20년넘은 제가 봐선
위험한시기인데..
그래도 실거주 한채는 있어야한다는
의견은 동의하나 ..
나머진 공감이 안가네요
@핫초코-o8x 76
2022년 4월 16일 13:22논리가 좀 일방적이고 제 생각은 좀 단순한 논리 같습니다...미국 금리인상, 정책, 분양시장, 심리, 향후 경기침체, 사람들 구매력 등등 다 고려해야된다고 보는데...
@yonghuikim5797 71
2022년 4월 16일 00:48다들 싸우지 마세요.
유주택자들은 오를거라 믿고
무주택자들은 떨어질거라 믿으니
자기 소신대로 판단하면 됩니다.
더 오를거니 어여 더 사야죠
again 69
2022년 4월 15일 22:25저는 50대 모임 나가면 보통 2~ 3채 가지고 있는데 집값이 상승해서 갭투자들을 해놔서 양도세완화 해주면 매도하려고 기다리는자들 엄청 많아요
@rndudqhd57 67
2022년 4월 15일 21:393억 내 순자산에 전세를 살았다고하고..
4년뒤 시세가 6.5억이 되었다고 하면 대출을 3.5억을 받아 전세를 갈것인지
8.5억짜리 집을 사야겠다해서 5.5억을 대출을 받는 결정을할때
서울시의 80%가 월400이하의 소득을 얻는다고 하는데
그 평균을 300으로 잡는다면 대출이자는 소득대비 얼마나 나올까요?
그이자는 현재의 금리 더하기 올해 가능한 상승 포인트로
앞으로 미국의 빅스텝으로 올해 50pp 2번에 걸쳐 올린다고 하고
이어 25pp를 최소 1~3번을 올린다고 하면
현제 우리나라 주담대 고정금리 6.4%(가정)에서
미국의 금리반영분을 약 2%정도 인상을 가정한다면
8%대 주담대 이자도 가능하지 않을까 싶은데..
이런부분으로 인해서 월세와 전세비교를 했을때
현실적인 대안인 월세의 거래가 늘고 월세가 가파르게 상승하는것이 아닌가
라는 생각을 하는 일인인데...
부읽남님께서는 대출을 안해주기때문에 월세가 폭등하고 거래가 되는거다라고 판단을 하고계시네요.
그리고 imf에서는 지속적으로 우리나라 가계대출에 대한 경고를 하고있고
그이유는 코로나시기 늘어난 가계부채로인해
경제성장률이 둔화할 가능성이 높다는 부분을 이유를 들었고
경제성장 전망치를 낮추게 되는 직접적인 요인이 되었지요.
그리고 대구 미분양 말씀하시는데 제가보기엔 지금 미분양이 중요한게 아닌것같네요
남산자이 1200세대중에 600개가 전세 월세 매물로 나와있고요
이것뿐 아니라 신축 아파트에 전세와 월세 매물 200~300개씩 있는것도 제법 있습니다.
갭투자하신 분들의 물량과 높은분양가로 인한 이자를 감당하진 못하시는 분들의 매물일려나요..
또 왜 이렇게 되었나 하면. 대구에 분위기 자체가 분양담첨되면 돈번다 대출받아 집사야된다
10~20% 입주금만 있으면 된다. 어차피 4년뒤 입주하면 오르니 그때 팔면 안되냐
너는 왜 분양 않넣냐.. 였기도 하고 또 그래서 실직적으로 10~20%만 가지고 분양시장에 뛰어든 분들도 많고요.
그리고 재건축이 엄청나게 일어나면서 재개발때문에 이주를 하게된 분들의 소비물량으로
작년 3분기까지는 반경2km안에는 전세하나 구하기 힘들던게
신축 입주가 하나씩 많아지기 시작하면서 몇개월사이 2km안에 구축신축 합쳐서 천개넘게 전세 월세물량이 폭발적으로
늘어났답니다. 아마도 재건축으로 인해서 이주했던 분들이 입주를 시작하면서 물량이 쏟아져 나온걸로 보이네요.
집을 사려고 맘먹고 있던터라 매주마다 물건확인하고 하는데 지금은 아니다 싶던데...
아 또하나 내년 상반기인가? 하반기인가..? 까지해서 분양만 57개가 넘고요.
재건축으로 땅파서 크레인세워진곳만해도 엄청납니다. 아직 입주는 시작도 안했다는 말이죠.
경제전문가분들과 부동산으로 제테크해서 책쓰시는 분들의 보는 관점이 너무 다른데
저는 경제전문가분들에게 한표를 주고 싶군요..
@초간단-o2b 64
2022년 4월 16일 10:58이현철소장님과 vs 어때요?ㅋㅋ 유튭 하시는 분들은 다 부동산투자자이고 결국 오르기를 바라시는분들이 대다수라는점이...걸러 듣는건 시청자 몫이네요.
저도 유주택이지만 비정상적인 부동산가격 반갑지않아요..
한문도 교수님 영상도 기대해봅니다.
@hyun3919 62
2022년 4월 16일 07:55심각하게 오른 집값을 계속 받아줄 호구가 있을까요???
@user-denden108 61
2022년 4월 16일 06:21부읽남님 영상 종종 보는데
규제만 풀린다고 주담대 5퍼 이상을 감당하려는 사람들이 있을까요?
갭투기로 영끌 전세 영끌 전세
반복한 사람들 부담이 어마어마해서
매물이 안 나올 수가 없을텐데..
@겨울숲-c5x 59
2022년 4월 15일 21:17상승하면 뭐합니까 거래가 안되는데.거래량을 보세요..호가는 무진장 부르는데 안사요. 어쩌다 한두개 거래되는거 가지고 시세라 할수있나요.
@summer3424 52
2022년 4월 15일 21:21월부에서 전세사는 사람들이 전세대출 이자가 오르면 차라리 집을 살거라고 하던데 ㅋㅋㅋ 무주택자 마음을 너무 모르시는 거 아닌지요 ㅎㅎ 지금까지 무주택자면 부동산에 관심이 없거나 돈이 없거나인데 지금 상투에 고금리로 집을 살까요 과연?? 아마 대부분이 전세자금 대출 금리 감당 못하면 본인이 감당가능한, 전세가 좀 더 저렴한 하급지로 옮겨갈걸요 ㅎㅎ
@어닝시우 52
2022년 4월 15일 21:35펜데믹으로 인한 유동성 강제확대로 인한 폭등은 정상이고, 대출규제로 인한 하락은 비정상이라는 관점인가요? 대출개시가 하락을 가속시킬 수도 있습니다. 지금은 상황이 많이 바뀌어서...
@YT-ll8ns 51
2022년 4월 15일 21:33집값의 실질 가치는 시민들 소득에 달려있음.
월세가 받쳐줘야 집을 살 가치가 있지.
성장이 정체되고 PER 30씩 나오기 시작하면 집을 살 이유가 없음.
investor Korea 49
2022년 4월 15일 23:41지금은 매수자와 매도자가 서로다른 동상이몽으로 눈치보고있는중
결국은 고금리가 계속되면 몇년후 경매당하는거 많이 나오리라 생각함
새정부의 정책에따라 약간의 변동은 있을수있지만 임기중에는 오르긴 힘들듯
@장용기-k7n 48
2022년 4월 17일 08:56불과 10년전 하우스푸어 때와 비슷하다 봅니다.
주택보급 금리인상등 심리가 꺽이면 한순간에 무너집니다.
@가을소리-p1o 47
2022년 4월 16일 09:54상승장에서는 모두가 전문가라 주장하지만 변곡 시기에 옥석이 가려지지요 부읽남 의견은 참고만 하셔야 할 듯
@iijliljllij 47
2022년 4월 16일 12:02영상 내리지 마세요, 연말에 누구말이 맞는지 지켜보겟습니다
@샐리-b3s 47
2022년 4월 16일 10:57이 시점에 오른다고요?서울에 몇군데 신고가 찍으면 오른건가요? 거래량이 이모양인데? 지금 하락으로 가는 기로에 서있어요. 지금 무주택자분 혹시 지금 매수하면 나락으로 가는 겁니다
Torykiry .a 45
2022년 4월 15일 22:52부읽남은 참 말을 부드럽게 설득력있게 잘하는데, 내용이 부실하다 못해 진리를 감추는 느낌이다. 부동산은 무조건 오른다는 결론을 맞춰놓고 근거를 끼어넣는다. 미래의 엄청난 인구감소(서울 포함), 금리 인상, 경기 침체, 내후년의 서울 인근 공급증가에 대해서는 일부러 도외시한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소득대비 터무니 없는 '가격'이란 요소를 아예 언급조차 하지 않는다.
raulie 41
2022년 4월 15일 21:56너무 웃기는게 이전 정부에서는 대출규제, 재건축 규제가 너무 심해서 집값이 폭등했다고 주장하더니 정권바뀌서 규제 풀어주니까 집값 상승한다고 하네~ 이게 도대체 무슨 논리야??? 부읽남이라 불리우는 투기꾼의 무조건 상승논리 ㅎㅎㅎ
@leepdfilm 40
2022년 4월 15일 21:083:10 대출규제가 풀리면 정말 다들 집을 살까요? 이자율은 어떡하구요...?
평균의 함정이라고 말씀하셨듯이 강남만 오르고 다른지역은 떨어져도 2022년 집값 평균은 오를 수 있을것같아요~
다만 내 집은 강남에 있지않다는게 문제...
@팜팜팜팜팜팜 37
2022년 4월 15일 21:1610년물 미국 국채금리가 계속 오르는 중이라 한국 기준금리에도 영향을 미칠텐데 높은 이율을 감당하면서까지 고액의 대출을 받아서 분양을 받을까요?
@김성현-d3v 34
2022년 4월 15일 23:0610억짜리 대출 6억 받아서 사면.... 월 300만원씩 이자만 내야 하는데... 가능??? 금리 내년까지 오르는거 모르나...
거기다가 10억짜리 6억 대출 받아서 1억만 떨어져도...공포의 시작인데...
30평짜리... 월세 300주고 사는건데.. 떨어지는거 말고도 횡보만 하면서 안오른다고 치면...... 개 폭망인데.. .
참 알고 말하는건지 용감하다. 용감해...
하루하루 33
2022년 4월 16일 13:49들어보니 차기 정부가 다주택자 위주의 정책을 기대하면서 상승한다는 거네요. 본인이 다주택자라 편향되어 있는 듯. 미국 긴축 움직임, Dsr은 바젤이랑 관련되어 있어서 윤정부가 맘대로 할 수 있는게 아니고 임대차법도 유엔의 권고 사안이라 정부가 맘대로 뒤흔들 수 없는 거..뭐 이런건 얘기 1도 없고…그저 오른다 오른다…그래 올해 오른다 치자. 내년은?? 내후년은?? 2008년 금융위기 때도 부동산은 1년 이상 안움직엿고 그 후에 추세 하락했음. 암튼 이 양반 뿐만아니라 유튭에 나오는 다주택자 부동산 업자같은 사람들은 그저 오르기만 바라지만 부동산 폭등으로인한 엄청난 사회적 비용이나 부작용은 안중에도 없음.
@아이곰-b5x 32
2022년 4월 16일 13:06지금까지는 돈을 뿌렸으니 올라간거고,, 앞으로는 돈을 흡수할꺼니.. 다들 알아서 잘 판단하시길. 연말 미국 기준금리 컨센이 3.0-3.5%입니다. 그럼 한국은 4.0-4.5% 될꺼고,, 대출금리는 6-7%일텐데, 유동성 흡수를 이길만큼 성장이 나오는가?? 그만큼 매도자 우위 시장이 계속 될 것인가?? 규제 완화가 과연 호재인가?? 적어도 24년 까지는 조심해야 하지 않을까요?
@jeongsoo3153 30
2022년 4월 16일 07:57거래가 절벽인데 집값이 오른다고?
@moremind3206 30
2022년 4월 18일 07:22얼어 붙은 매수심리를 단순 대출 규제로 보고 있다니 주장의 근거가 이렇게 빈약할 수가..
@여유-t8r 28
2022년 4월 15일 21:08나만투기꾼들은 20년도에 다 팔았음.. 지금희생양들은 너도나도 다주택자 갭투자자 영끌러임...
@하하하하하-h3e 27
2022년 4월 16일 03:03이제 대출 받아서 살 수 있는 사람들은 다 샀다고 본다. 집값도 너무 올랐고 금리도 앞으로 계속 오를 거라서.. 물론 현금 부자들은 제외.
사고의 유연성 24
2022년 4월 15일 22:39허허허 그저웃지요. 저걸 저렇게 교묘하게 분석이 가능하다니...
again 24
2022년 4월 15일 22:22연방에서 페이퍼링ㆍ금리인상이 계속 되는데 현금이 50%이상 없는상태에 빚을 잔뜩 얻어 매수하는건 절대 아닙니다 일단 반전세로라도 아님 변두리로 밀려나더라도 2025년까지 기다리세요 앞으로 분양아파트를 매수하시고요 기존주택은 최소한 40% 이상 빠지면 급매나 경매로 장만하세요 기존 아파트 매수는 내가 다주택으로 수익을 내고 일시 양도세완화로 수익을 내고 팔았을때는 똘똘한 한채로 매수하지만 아예 무주택자는 지금은 매수시기 아닙니다 집값이 계속 상승할때 매수하는거지 계속 상승한다는 보장이 없는데 왜 무주택자들을 또 흔드는지 !!! 아닙니다
@Chupa114 24
2022년 4월 16일 14:28지난 몇년 엉터리 유투버들이 활개쳤어요. 주식이고 부동산이고 거기 휘둘려서 매매했던분들 엄청 많았지요. 냉정해져야합니다.
@lIIIlIlI-hz6pc 24
2022년 4월 16일 22:58그동안 오른다고했으니 이제 말을 번복할수없어 억지스러운 상승요소만 끌어오는 느낌. 이미 분명히 떨어지고 있는데 왜 통계의 오류라고 할까요?
@코난-j2d 23
2022년 4월 16일 18:15하락인지 상승인지는 모르겠지만 확실한건 부동산 하락기, 고금리가 오면 나라가 휘청할거라 누가 누굴 걱정할 처지가 아닙니다. 자영업자 비율도 비정상적으로 많고 소비도 엄청나게 줄어들거라 순식간에 경제 얼어붙습니다. 자산 상승기가 왔기때문에 그나마 소비지수가 괜찮았다는 생각도 필요합니다
@donmanav 21
2022년 4월 15일 20:58경제 기본을 알고 나오는건지
금리상승은 우찌 할건데
김현진 21
2022년 4월 15일 20:42그래서 부읽남도 올해집값만 말하는듯!!
딱 올해까지만 정체기고 내년부터 본격적인 하락장일듯...
봉봉 19
2022년 4월 15일 22:00자꾸 금리랑 규제로 집값의 향방을 논하려구 하는데 거래량이 늘어날 모멘텀이 없는 지금 가장 중요한건 금리도 규제도 공급도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집값은 앞으로 경기침체가 오느냐, 온다면 언제 오느냐에 달려있다고 봅니다. 금리가 올라도 집값이 오른적은 있었지만 경기 침체오고 은행 부실 생겼을 땐 심리가 위축되서 시장에 돈이 있어도 집값은 내려 갔습니다. 개인적인 판단으론 내년 경기 침체는 막을 수 없고 집값은 조정 받았다가 다시 빠르게 회복할 거라고 생각합니다.
@채움-v5f 19
2022년 4월 16일 11:13다들 주식해봤지? 지금 가장 불안한 사람은 신용 미수 풀로 써서 상따한 사람이야 상한가풀리는 순간 바로 아비규환 될거야 현재 상태는 상풀리기
직전이야
@곰돌이-z9x 18
2022년 4월 16일 07:37참~~ 웃음밖에 안나오네
@신상우-f8l 17
2022년 4월 15일 20:04진짜 올하반기 궁굼함 금리에 쳐맞고 휘청할지 또 폭등 뗌에 난리 날지 ㅋ
김주부 16
2022년 4월 15일 21:59라이트하우스님하고 부읽남 한자리에 하시면 조회수 폭발할듯?!
@MIZUTANI09 16
2022년 4월 16일 19:18지금 집을 사는 것은 출구전략에 호구되는 것임. 언론이나 YouTube에서 마지막 호구를 모집하는 중이에요.
@user-denden108 15
2022년 4월 16일 08:28재밌는게 평소엔 무주택자는 그래서 평생 무주택자인 거임~ 하면서 조롱해왔고
실제로 그 조롱엔 일리가 있음.
내릴 땐 더 내릴 거라고 안 사고
오를 땐 너무 올랐다고 안 산다.
자기가 집없으니 징징대는 거다.
다 맞음.
근데 그런 쫄보 소인배들이라고 이때까지 말해와놓곤 금리가 존나 오르고
내린다는 전문가 예측이 터져나오고
실제로 거래 절벽에 가끔씩 한 두채 비싼 가격에 팔리는 정도밖에 없는데
(이악물고 존버하는 사람과 아무튼 빨리 사고싶은 사람이 만나면 가끔 한 두채야 팔리는 게 정상)
이때까지 무주택자로 살아온 사람이
굳이 지금 집을 산다?
이때까지 말하던 거랑 다르니까 이해가 안 간다는 거고
그 이해 안 가는 점을 생각하면 결국 자기 이익때문이란 결론밖에 안 나옴.
와이not 14
2022년 4월 15일 22:09무주택자인 내가 살 마음이 없어요~ 기다릴거에요~ 저같은 사람이 많아서 집값 안 받춰줘요~ 급할거 없어요 집이 이미 없어서…
@백수가꿈-v8j 14
2022년 4월 16일 07:48아니 아직도 오른다고 얘기하는 사람이 있어요? ㅋㅋㅋ 빨리 스텐스 바꾸세요. 욕먹는건 피하셔야죠
@tradertrend8949 13
2022년 4월 16일 00:57유주택자.. 더 올랐으면 하는 기대와 욕심이 천정을 뚫고도 남음
근데, 무주택자는 정말 지금의 이자 감당하면서 대출받아 집 살 수가 없음
요즘은 3~4년 전 비교해 집값이 너무 올라서 대출 받아야할 금액도 엄청남, 게다가 금리는 내년말까지 쭉쭉 오른다고 함
팽팽한 줄다리기 최소한 2년,, 승자는 누구? ㅎㅎㅎ
@민성이-y9g 13
2022년 4월 19일 23:38부읽남이 집값 떨어질걸 몰라서
저렇게 얘기할까요?
저 분도 그동안 비정상적인 상승장에 기대서 돈벌었고
앞으로도 계속 돈벌고 싶은 욕심있는 사람일 뿐이죠
각자 알아서 걸러들으시길
futurebong 13
2022년 4월 15일 22:52글쎄요.버블의정점시기로 오르면찔끔. 조정이오면 하락조정초입으로 리스크관리 시점으로 보이네요.
보뗄beautelle 12
2022년 4월 16일 13:26오르는 건 재건축, 재개발 유망지역이겠죠.
설령 올라도 거래가 안되니 사면초가인 것은 여전합니다. 앞으로 주택수에 안 들어가는 물건들만 강하게 투자수요가 몰리겠죠.
@불타는돌고래 12
2022년 4월 16일 07:54떨어지면 더 떨어진다고 못사고 오르면 너무올랐다고 못사고ㅋㅋㅋㅋㅋ
어짜피 우상향해왔는데...
주식은 그렇게 고점저점 안따지고 쳐물려서 결국 우상향이라 존버하면서 부동산엔 왜이리 풀발기임
@bsi23 11
2022년 4월 16일 21:56태익아 살 의지 있는 사람은 16~21사이에 다 샀다 금리 2퍼 간다 대출금리8퍼 간다
@사부작러 11
2022년 4월 16일 08:48경험상
금리인하기는 기대수익률을 낮게보고 투자가 가능해서 초보들이 쉽게 투자가능했음,
금리인상기는 기대수익률이 높아야해서 투자수익률이 높은 투자기술을 가진사람말곤 진입위축됨,
부동산을 보면 이미 가격은 많이 상승했고, 세금은 타이트하고 대출금리는 오르고 있다
지금 기대수익률을 과거처럼 쉽사리 높게 얻을 수 있는 상태가 아니라는 것이다,
초보들은 이제 투자를 선듯못하니 투자해서 수익률 잘 낼수있는 사람만 남는다, 본인이 정책,금융,세금,현금흐름이 안된다면 쉬어야한다,이제 투자시장의 매수자는 확실히줄어든다, 주택에서의 가수요 거래가 확 줄어든다는 것이고 그나마 있는 투자고수들도 비주택으로 많이들 넘어갔다,
지금 상급지 신고가 찍으며 사는 사람들은 사실 부동산투자 잘하는 사람이라기보단,
현금부자인 사업가,기업가들이 가진 현금을 파킹하려는 실수요일가능성이 크다,
부동산 투자로만 돈 불리는 사람은 지금 상급지투자시 자금이 많이 묶이기 때문에 지금 수익률이 나오는 지방, 저가, 재개발, 재건축, 꼬빌, 상가, 지산, 오피, 사업,현금흐름 창출 정도에 목매고 있다,
사실 적극적이게 투자하는 사람들은 잘 사라지지않는다, 계속 다른곳에서 매수를 하고 매도를 한다, 또는 다른곳에서 돈을 만들어 낸다, 확실한건 이제 상황이
주택시장에서 먹을곳이 많이 줄었고, 수익률도 많이 떨어졌다는 것이다,
소액으로 돈벌려면 지방저가로 가야하고,
큰돈넣고 큰돈을 벌려면 수도권 재재로 가야하고 더 큰돈 벌려면 꼬빌리모델링이나 신축건축으로 가야한다, 여기에 중요한건 본인이 가진 현금흐름이 좋으면 좋을수록 큰곳에서 오래 놀수있다는 것이다,
어제도 부동산 여러군데 전세 내놓으니 상황이 안좋다고 싸게 내놓으라고 꼬득이던 부동산이 있었는데 나는 예비자금이 있어서 그럼 좀 더 기다릴게요~라고 톡하고 쿨하게 무시해줬다, 예비자금은 나의 투자인생의 가장좋은 보호막임을 또 느꼈다, 너무 무리한 영끌은 본인과 본인가족을 지킬수 없을수 있다는걸 명심해야한다, 현금흐름이 개좋다면 금리인상이든 풀레버리지든 버틸수있기때문에 장이 마무리되려는 시점에 네임드들, 투자고수들은 책, 강의, 컨설팅상담, 무인사업, 고시원등등에 집중한다, 나같은 잔챙이는 다시 회사로 돌아가는듯,,,,,싶다,
이진호 11
2022년 4월 15일 22:22ㅋㅋ 웃고간다 대상승 시기에 별놈의 사기꾼들이 나타났지
이매력 11
2022년 4월 15일 22:16ㅎㅎ 부읽남 지금 있는집 팔고 강남에 갭투 오지게 박고 월세 존버타면 인정한다 ㅎㅎ
@나무-b3n 10
2022년 4월 16일 10:03말도 안되는소리 ㅋ
본인 포지션이 올라야되는
근데요. 본인말데로 올해 안오르면
유투브 접으세요. 여러 호구 많들지말고
긍정의 포스 10
2022년 4월 15일 20:42요즘 부동산이 한풀꺽인느낌이긴해요 매매가 오르고 내리고가아니라 주변보니 관심자체가 많이시들해진 느낌입니다.
김어농 10
2022년 4월 16일 11:31문재인정부에 오를때는 집없는사람들걱정하는듯 말하고, 윤석열정부때 집값 오르니 좋다고 말하네,
@슬이-i9j 10
2022년 4월 16일 07:41이번에 집을팔고 전세로 가려고하는데 전세사기나 깡통전세 때문에 걱정입니다 괜히 팔았나 싶기도하구요 그래서 다시 살까 아님 안전한 월세살까 고민이에요 저는 하락입장입니다 부동산
@하모니-b1z 9
2022년 4월 18일 12:13이사람 집값 올리려고 애쓰는분 같네요. 높은 인플레이션과 금리상승장에서 계속 상승한다고만 하시네요.
한쌤차트연구소 9
2022년 4월 15일 22:29대출 80퍼씩 받은 서민들 대출 못갚고 경매 오지게 나오고
집값이미 고점대비 흔들리고있고 (10퍼내외)
20퍼만 빠지면 집값보다 대출이 많아지고 투매나오면서 고점대비 30퍼정도까지 빠진다.
경매매물 빨린 다음에 입지좋은곳은 다시 급등
(21년 중하반기에 영끌한사람슬 임대주택서 영원이 가난하게 살고)
같은도시안에서도 지역차별 오지게 일어난다. 끝!
앤디후욱 9
2022년 4월 15일 22:24규제와 금리중에 중요한건 금리 같은데~~~유동성에 더 중요하지 않나요??
isNotNull 9
2022년 4월 16일 01:21모순이 아닌가요?
부읽남님 채널에서 과거 영상 보면 규제로 상승 됐다는 내용이 있는데
지금은 규제가 안풀려서 보합이니 규제가 풀리면 오른다구요?
규제를 해서 상승 규제가 풀려서 상승?
무조건 상승??
@백설기-j9x 8
2022년 4월 15일 23:16내가살집 한채있으면 됐죠 그리고 이젠 현물이최고임 금 은 장신구 땅 심지어 식량조차 돈이되는 시대가 올거에요 헛된투기나 망상으로 부동산투자하지말고 자급자족이 가능할수있도록 내땅에 묘목이라도 심으세요 과실수도좋구요 이제 때가되면 사과나무한그루도 정부허가없이 심을수없는법안이 통과될거에요
@dbs2583 8
2022년 4월 16일 14:42거품함터져야정신차리지
오를꺼같으면 그냥 영끌해서 계속사라
아임유어미디어연구소 - 통찰의 숲 7
2022년 4월 15일 20:23부동산 어떻게 될지 정말 궁금합니다!
@highfly5189 6
2022년 4월 16일 15:4110억 아파트살려면 10년뒤 집값이 오르지 않는다는 가정에서 최소 월 천벌어야 가능한 주택가격이다
50프로 저축해도 .ㅠ
그분야 전문가들은 다 오른다고 말한다
부동산
주식
코인
전부다
중요한거는 하락을 얘기하는 그분야의 일부 전문가들이 나온다는 얘기는 방향의 전환을 얘기한다
부동산을 모르는 나도 여기저기 유투브를 본다는 거는 이미
레드오션이 되버렸다는 거를
다시 한번 확인한다
김작가님
가장핫한 이슈도 좋지만 중립기어도 좋을듯
젊은사람들 상승장만 봤는데
유독 요즘 젊은 사람들 상승장 외치는게 좀.
ontheroad 6
2022년 4월 16일 02:23도대체 이분은 무슨 근거로 오른다고 하는지 실제 거래량이 없는데.
게임하는다람쥐 6
2022년 4월 15일 22:47부동산투기를 이대로 놔두면 안됩니다 너무비싸요 부동산을 살따와 팙대값의 차가 그 기간동안 물가 상슷율 이상은 전액국고환수하는 제도를 만들어 시행하는 제노를 만들어 시행해야한다
@lucky_tv 6
2022년 4월 15일 22:28🌟 『부읽남_4부작 영상』 바로 보러 가기
👉 1부. https://www.youtube.com/watch?v=hrfr9isodQM&t=12s
👉 2부. https://www.youtube.com/watch?v=i6lFO1p-s-E&t=222s
👉 3부. https://www.youtube.com/watch?v=JuMOWKr1IeM&t=2s
👉 4부. https://www.youtube.com/watch?v=ErlOkU4CDNk
📚 부읽남 『운명을 바꾸는 부동산 투자 수업』 도서 구매
👉 https://bit.ly/3rs1kiL
📚 김작가 『럭키, 10만부 기념 황금열쇠 양장 특별판』 도서 구매
👉 https://bit.ly/3mnVYDq
🌟 김작가 『자기계발 강좌』 클래스 101 보러 가기
👉 https://class101.page.link/authorkim_class
📚 김작가 『전체 출간』 도서 보러 가기
👉 https://bit.ly/32HO3Gx
김카카 5
2022년 4월 16일 01:23무한 상승론자네 집값이 얼마까지 올라야 만족 할건가? 이제 사는 사람들은 곡소리 난다 1~2년 뒤 보자. 지금까지 오를 수 있던건 저금리랑 다주택으로 자산 30억~ 70억이라고 유튜브에서 씨부리는 사람들 양도세 때문에 집 한채도 못 팔아서 오른거잖아? 다주택자 집 팔 수 있게 되는 순간 폭락이다
upthere_ doniworld 4
2022년 4월 17일 08:16단기적 관점아닐까 싶어요…미국금리 3%바라보고 있는데 관점을 2019-2021로 좁혀서 보는게…그때 미국은 제로금리
SK J 4
2022년 4월 17일 02:473년 사이에 집값이 2배 넘게 올랐고 현재는 금리상승기 인데다가 대출한도도 잘 안나오는데 어떻게 매수세가 붙을까요?
윤석열정부가 규제 풀어준다도 해도 DSR은 국제기준 때문에 함부로 풀수가 없고 LTV를 풀어줘 봐야 DSR때문에 한도가 안나와서 사실상 의미가 없어요.
그리고 윤석열정부도 규제완화 기대감때문에 집값이 오르면 결국 속도조절을 할 수 밖에 없습니다.
집 살만한 영끌족들은 작년에 이미 다 샀고 금리는 계속 상승하니 당분간 관망할 수 밖에 없어요. 집을 사고 싶어도 돈이 있어야 사죠. 양도세 규제완화만 해주면 시중에 물량이 많이 풀릴거라고 봅니다.
desire art 3
2022년 4월 15일 22:47부읽남님은 어느 지역 아파트를 투자하셨는지 궁금해요 알려주세요~
@happyheo6922 3
2022년 4월 22일 12:49다주택자가 많아야 전세가가 안정됩니다 임대인끼리 경쟁해야해서
leo 3
2022년 4월 15일 20:23늘 좋은 컨텐츠 감사합니다.
행복곰 2
2022년 4월 16일 00:48대출 막아서 분위기가 완전 반전되었다는게 중요. 수요가 계속 있다고 가정하시는데, 지방 인구 줄듯 서울인구도 급격히 줄고 있어요. 출산 0.5인데 어떻게 버틸까요? 게다가 매매가격 급등, 전세가 올라서 능력있고 젊은 사람들은 죄다 경기도로 나갔지요. 종로, 여의도, 강남 등 도심 핵심 지역빼곤, 일자리는 오히려 경기도가 훨씬 많지요. 삼성이 서초본사 매각한건 다 이유가 있겠지요?
@jenylee9135 2
2022년 5월 02일 22:20규제 때문에 올랐으니 규제 풀리니까 또 오른다는 ㅋㅋㅋ
이튼실 2
2022년 4월 18일 19:35올해부터
집값은 무조건 떨어진다.
올해지나고
기다리면 좋은 기회가 온다.
ㅎㅎ
@김씨-l3b5y 2
2022년 4월 21일 03:04지금은 보합이 아니라 대출을 다막아버리니 그냥 거래자체가 끊킨거임
그러니 몇건은 신고가 나오고 몇건은 싸게 팔고하니 내려간다 오른다하는거지
그러면 가격상승 하락 미치는 영향은
하나뿐임 공급량
대선때 집값 잡겠다고 250만호 짓겠다 했지만
현실적으로 애초불가인 양이고 150만호만 생겨도 한 5년은 집값오르긴 힘듬
근데 문제는 저 150만호도 3년에서 5년은 걸림
그래도 집이 한두푼도 아니고 난 그냥 3년기다릴란다 해서 집값이 안솟구친건데
문제는 지금 인플레이션으로 아파트 짓는 공사비가 엄청나게 오름
이게 분양가를 올리더라도 150만호 짓는다면
지금은 10억시세의 아파트를 5억에 산다면
이제는 분양가를 올려서 10억짜리를 8억에 사게되므로 수요가 끊킬수 있고 미분양 천지 될거임 이상황까지 오면 아파트값은 하락함
그런데 건설사가 바보도 아니고 이런상황오면
건설량을 줄이던가 혹은 완공지연으로 3~5년 걸리던걸 5~8년 까지 미루게 됨
여기까지 오면 또 집값 폭등 하는거임
결론은 자제값 인건비상승이 어디까지 오르냐에 따라 시세 직결됨
텐트형 2
2022년 4월 16일 15:02떡상 가즈아!!!
9 NATE 1
2022년 4월 20일 22:08그냥
빚없이 달러형 자산에 돈넣어두니까 맘이 편하다
집사면 불안해서 못살것 같다
집값떨어지면 환율올라서 개이득이고
집값올라가면 어차피 헷지되서 괜찮고
김상희 1
2022년 4월 19일 23:19LTV 늘려도 대출 2억초과시 DSR40% 이내 안되는 사람들이 대부분...
그래서 담보대출 안됩니다.
결국 소득 많은 사람은 유리~ㅠㅠ
lyulyu 1
2022년 4월 16일 01:39법무부 장관이 보여주잖아요 전세 오억 확 올릴수 있는데 그 아까운걸 왜 팔아요
보유세에 비하면 껌깞인데 다들 전세 오억씩 올려주기 힘들면
대출내서 한 십억 되는 집을. 사세요 집값 계속 올라요 계속
초크슬램 1
2022년 4월 16일 00:52수도권에는 다 부자들만 사나?
10억이 넘는 집을 나같은 서민이 구입하는건 불가능한데 누가 거래를 하는 걸까.
부자들끼리 사고파는건가?
hi lee 1
2022년 4월 17일 08:32돈 흐를곳이 너무 많아졌죠. 이때까진 반지만한 사이즈에서 돈이 흘렀다면 이젠 사과만한 사이즈에서 돈이 흐르겠죠. .
화이 1
2022년 4월 16일 07:25무주택자가 평생 전.월세 전전하는 이유
1. 하락기에 더 떨어질거 같아서 안삼.
2. 상승기에 곧 폭락 할거라고 안삼.
Mu MaMa 1
2022년 4월 15일 20:48👍
이수vlog 1
2022년 5월 10일 19:20여태 폭등했는데 앞으로 떨어지지는 않고
(장기적 우상향은 인정)
오르기만 한다는 얘긴가 ,.?
상투잡으라는 얘긴가...?
확실한건 금리 인상..
세계적인 인플레..
선행 지수라는 주가는 폭락 ..
매매는 없고...
인생파도다.
투자는 타이밍인데 당분간은 아니다 싶다 ..
namssshhh 1
2022년 4월 22일 10:00집값은 올라도 큰일이고, 떨어진다면 그또한 크나큰 문제다.
U딸바보 1
2022년 4월 26일 20:12채널지켜보면 상승한다는 투기꾼들은 설명이이해가잘안되고 집값하락한다구하는 진정한전문가들은 설명이 쏙쏙들어오는게 저만의느낌인가요?
부우자
2022년 4월 16일 05:35금리 인상이어서 살 사람이 없다는 재건축이나 찔끔
@dondraper7631
2022년 10월 23일 11:14부읽남님 역시 부동산 제대로 한번 읽어주셨네요!! 전세대란에 하반기 상승까지..전문가다운 식견에 무릎을 탁 치고 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