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평생 60에 이렇게 폭등한 부동산가격이 첨인데 더 오를거라고 ?? 그만 부추겨요 집은 부동산이고 자산중 거의 전재산을 털어 사는데 앞으로 10% 오를 집값을 위해 사라고요 상승률은 적고 하락률이 높다면 매수 안하는게 정답 그동안의 집값을 보면 금리 오르면 집값은 무조건 내립니다
참고로 주식 매도할 타이밍은 옆집 아줌마 동내 할아버지 할머니가 삼성전자가 좋네 우량주가 좋네 말 나올때 라는거...동서고금의 진리지. 부동산이 어찌 흘러갈건지 모르겠지만 2030이 영끌해서 20년 21년에 거래량이 터졌고 연일 뉴스에서 부동산 얘기 친구들 만나면 부동산 얘기 부부끼리 부동산 얘기 애인끼리 부동산 얘기. 수많은 전문가들이 나와 부동산 얘기. 알아서들 판단해라. 본인의 돈은 그 어느 누구도 책임져 주지 않는다. 당신이 사려는 아파트는 누군가 팔려는 아파트라는걸 잊지말고. 당신은 오를것 같아 사는거지만 매도자는 떨어질것 같아 판다는걸~~
진짜 두려워해야하는건 급락보다 오를듯하면서 천천히 하락추세를 유지하고 떨어지는겁니다 아파트가 필수재라지만 IMF나 08년과 다르게 남녀갈등이 문재인정부들어서 최고조가 되었고 이제 둘이나 하나도 아닌 안낳습니다 출산율이 0이예요 0. 꾸준히 신축은 하고있는데 앞으로 집을 사줄 사람 자체가 절벽수준으로 줄어들고 있다는거죠 인구감소에 따라 부동산도 하락추세를 유지하고 천천히 희망을 주면서 계속 떨어질겁니다
지금 서울 서민 현실최고봉 마용성에 6개월 이상 장기 적체 매물들이 얼마나 많은데 갈아타기라뇨 게다가 거의다 희망 매매가격 걸어놓고 장기 타고 있는 물건들이 대부분이고 1억 정도 급매도 안 나가고 있는 상황입니다. 2억 정도 낮춘다? 사람들 부동산에 전월세만 보고 가는데 과연 나갈까요? 매우 부정적입니다.
전월세가 올라간다고 집을 사는건 무모한짓 아닌가 싶네요 지금 고점인거 모르는 사람이 없는대 게다가 금리상승기에 집을 사라고 하는건 무책임한 것 같네요...이분은 늘 집값이 상승한다고 하는분 같던데 집을 오늘사서 낼 팔수 있는 물건도 아니고 너무 무책임한 말씀만 하시네요.
지금 부동산 사는건 아주아주 안좋은선택이라봄.......고금리에 고점 물리고 + 부동산 투기꾼들 수익실현 돕는 꼴. 무주택자붐들 지금 절대 사시면 안됩다... 지금 사면 앞으로 10년동안 지옥이.. 지금 자칫 제2의 imf가 오게생겼는데 10억짜리를 사시다니요.... 3년내 반토막 된다봅니더..
집값에 대해서 재미있는 점은 폭락을 주장하는 의견을 취하는 사람들은 소수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시장과 투자에 대한 경험과 지식이 떨어지는 분들이라는 점입니다. 소수의 기회를 노리고 매수타이밍을 보는 사람들은 그만의 논리와 준비가 있으니 폭락이 오든 안오든 상관없이 잘먹고 잘살 분들이지만 그외 대다수의 분들은 대책이 없이 폭락론을 동조하고 경제 문제가 나타나길 기도하면서 사회에 대한 혐오감만 키우게 된다는 것. 그것이 문제네요. 사람은 자기 듣기 좋은 말에 편향되죠. 그걸 극복하지 못하면 부의 평균에도 들기 어려울 겁니다.
지방에 투기로 임장와서 한명이 아파트 여러게 사서 본인이 사고팔면서 가격올려놓고 지방민 호구만드는것도 다뤄주세요 지방아파트 부동산실거래앱 같은거보시면 2020년전후로 하루에 몇개를하고 갔더라구요 또 투기꾼 들어왔구나 했습니다. 그러더니 전국 지방아파트가 10억 넘고 재건축, 신규아파트가 2배,3배 뛰었습니다. 제가사는 지역은 2년동안 아파트 오른가격이 2억이6억하고, 5억 11억합니다. 인구수 줄어드는것 배제하고 가구수가 아무리 늘어도 아파트 혹은 집이 정말 부족한지 궁금합니다.
하락론자 폭락론자가 집을 영원히 안사는 줄 아는 사람이 많네 ㅋㅋㅋㅋ 주식이든 채권이든 금이든 은이든 오일이든 가격에는 파동과 사이클이 있고 오를 때와 내릴 때가 있고 하락론자라는 것은 "지금은 내리는 시기" 라고 분석해서, 더 싼 값에 사서 비쌀 때 팔려는 것 뿐이다.
언론에서 서울에서 매물이 사라지고 있다. 거래가 늘고 있다. 전월세가 높아지고 있다. 고점찍고 급매가 늘고 있다. 기타등등 말만 듣고 믿지 말고 본인이 네이버 부동산이나 호갱노노 등 이용해서 확인좀 해봐라. 사당부터 4호선 따라 역근처 대단지 아파트들 거래가 어찌 되는지 가격대가 어떻게 되는지 최근 거래일이 언제인지 매물이 어떤 가격에 나와있는지 인덕원 과천 더 내려가 금정 더내려가 화서역 수원역등 집값 추이 좀 보세요. 전문가를 한두마디에 왔다갔다 하지말고. 1시간이면 충분히 찾아볼 수 있음. 호갱노노에는 앞으로 분양될 아파트 단지가 몇세대 인지 언제 분양인지도 나오니까 잘 판단하고 결정하시길.
정진우 114
2022년 4월 16일 10:50현 집값을 감당 할 매수자는 거이 소진되었고 금리인상 시기에 대출로 집을 사는 것은 리스크가 매우크다.
2025년 부터는 장기하락장으로 접어듭니다.
@hongtaaa 111
2022년 4월 16일 14:26부동산 투자가 전문가 다 좋은데 하락장 경험(투자, 방어)해본 부동산 투자자 전문가 설명을 듣고싶습니다.
@h-sourgold5689 110
2022년 4월 16일 10:46탈출구 만들기 ㅋㅋㅋㅋㅋㅋㅋ
핸썸두야 81
2022년 4월 16일 12:37자꾸 오를거라고 희망주지않았으면 합니다. 금리 중요하구요.
심리는 더더욱 중요합니다.
하락사이클을 이길 상황이 벌어지기 힘들어요.
@deartodd 74
2022년 4월 16일 11:13예전에 비해 애매하게 말씀하시네요.
@nacazo81 73
2022년 4월 16일 10:22네 지금 많이 좀 사세요. 지금 사는 분들이 많아야 나중에 투매가 많아지고 하락폭도 커지거든요
Veloce MD 73
2022년 4월 16일 17:55이젠 부동산 업자도 애매하게 말하는거 보니 슬슬 큰 조정내지 하락이 오는게 맞나보네요
@쏭카의화교자본연구소 73
2022년 4월 16일 10:41쓸쓸 발 뺄 타이밍 보는거 같네, 나중에 나는 이런 이야기도 했다고 하면서 ㅋㅋㅋ
@sanghyeunjung5475 63
2022년 4월 16일 18:03규제로 인해 1주택자 갈아타기는 더 힘들어진것같아요.
1.대출규제로 필요금액이 큼
2.상급지가 더 많이 오른경우가 많아서 격차가 커짐
3.기존주담대는 저금리인데 새로 받는 주담대는 고금리임. 따라서 전보다 이자비용이 증가됨
@metro7304 60
2022년 4월 16일 13:59예전에는 무조건사야한다"했는데
요즘은 애매한....
cherry boy 52
2022년 4월 16일 16:09제일 중요한거는
어떤 말을 주장하는 사람의
위치, 이해관계 등이다
믿음 안감~
@youmluke6601 48
2022년 4월 16일 14:27폭락론자들이 욕먹는것처럼 무조건 상승만 외치는 부읽남도 좋아보이진않는다. 하락이유 99프로보다 상승할 이유가 1프로만 있어도 매수외치는 분
Jun.s 45
2022년 4월 16일 12:03무주택이 지금 집을 왜 사니 전세 이자 더 내든지 월세로 가겠지 무주택, 1주택자분들은 절대 급하게 생각마십시요
그까이꺼 40
2022년 4월 16일 11:29미친전세가로 폭등하는 집값을 잡으려면 금리인상과 전세대출 제한이 핵심입니다.
공급정책은 기본이지만
정부의 무제한 전세대출 지급보증을 축소 하면 됩니다.
@달비해피문 37
2022년 4월 16일 12:07팔리지않는데 떠날수 있다?
아파텔을 추천?
2~3년 뒤에도 부탁드려요
again 36
2022년 4월 16일 10:45내평생 60에 이렇게 폭등한 부동산가격이 첨인데 더 오를거라고 ?? 그만 부추겨요 집은 부동산이고 자산중 거의 전재산을 털어 사는데 앞으로 10% 오를 집값을 위해 사라고요 상승률은 적고 하락률이 높다면 매수 안하는게 정답 그동안의 집값을 보면 금리 오르면 집값은 무조건 내립니다
@산들바람-n5f 36
2022년 4월 16일 13:47전월세 시장이 불안하다는 증거를 주세요.
@Shapirp 34
2022년 4월 16일 11:22전에는 무조건 올라간다고 그랬는데
@노베르-x2z 32
2022년 4월 16일 11:01집값이 너무 올라서 돈이 없는데 어떻게 사나 ...
happy 31
2022년 4월 16일 10:50자산가격 하락폭이 월세지출보다 훨씬 클것을 예상하고 집을 판 1주택자들도 적지않습니다.
1주택자의 매도는 상급지갈아타기도 있지만 상투에 집을 팔고 월세로 숨고르기하다가 무릎에서 재매수를 목표로 합니다
환타 27
2022년 4월 16일 17:30참고로 주식 매도할 타이밍은 옆집 아줌마 동내 할아버지 할머니가 삼성전자가 좋네 우량주가 좋네 말 나올때 라는거...동서고금의 진리지. 부동산이 어찌 흘러갈건지 모르겠지만 2030이 영끌해서 20년 21년에 거래량이 터졌고 연일 뉴스에서 부동산 얘기 친구들 만나면 부동산 얘기 부부끼리 부동산 얘기 애인끼리 부동산 얘기. 수많은 전문가들이 나와 부동산 얘기. 알아서들 판단해라. 본인의 돈은 그 어느 누구도 책임져 주지 않는다. 당신이 사려는 아파트는 누군가 팔려는 아파트라는걸 잊지말고. 당신은 오를것 같아 사는거지만 매도자는 떨어질것 같아 판다는걸~~
@배스-k6g 27
2022년 4월 16일 13:33실수요자는 주택이든 상가든 급할게 없고, 무주택자는 공부많이해서 좋은위치를 합리적 가격으로 매수하면 될것이고, 다주택자나 투자자는 계산잘해서 판단하면 되겠네요.
futurebong 25
2022년 4월 16일 11:29글쎄요.업자들은 대부분 상승쪽이 본인들유리하니 유리한쪽 얘기한다생각합니다. 지금은 버블의정점시기로 오르면찔끔. 조정이오면 하락조정초입으로 리스크관리 시점으로 보이네요.
@1priceless 25
2022년 4월 16일 10:34진짜 두려워해야하는건 급락보다 오를듯하면서 천천히 하락추세를 유지하고 떨어지는겁니다 아파트가 필수재라지만 IMF나 08년과 다르게 남녀갈등이 문재인정부들어서 최고조가 되었고 이제 둘이나 하나도 아닌 안낳습니다 출산율이 0이예요 0. 꾸준히 신축은 하고있는데 앞으로 집을 사줄 사람 자체가 절벽수준으로 줄어들고 있다는거죠 인구감소에 따라 부동산도 하락추세를 유지하고 천천히 희망을 주면서 계속 떨어질겁니다
원 24
2022년 4월 16일 12:40이사람은 다주택 상승론자 ㅎ 요즘 급매가 쌓이고 매도가 장기간 안되서 매물이 쌓이고 급매라해도 1~2년사이 몇억이 올랐는데 금리는 계속오를것이고 누가 지금 이시기에 급등한시세로 다주택자 집을사줍니까. 근데 계속집값이 오른다고요 ?ㅋ
@2-534 20
2022년 4월 16일 12:45주택 포지션 별로 잘 설명해주셨네요.
1주택자가 던져야 진정한 하락장이 오는 것이 맞죠ㅎㅎ 다주택자는 시장에선 일부분이라ㅎㅎ
항상 옳은 얘기만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msquare1002 19
2022년 4월 18일 22:291주택자 입장에서 처음부터 신축 중심가에 영끌해서 살걸 후회가 많이 되요ㅋㅋ 못샀던거 아니었는데.. 사는집이 1억오를때 거긴 6억올랐네요. 더 못 사게 되어서 막막합니다😅
@오영진엣지사랑 19
2022년 4월 16일 11:32고금리 및 불경기 상황에서 전세나 월세를 받으려는 임대인 입장에서도 급한건 마찬가지 일것 같아요..
월세나 전세 시장의 수요공급 논리에 따라 실제 시세는 다를수 있을것 같아요.. 꼭 오른다기 보단 오히려 지역이나 조건에 따라
오히려 내릴수도 있을것 같아요
@우주-b6o 18
2022년 4월 16일 12:14집 안살껀데
@김남현-o6i 18
2022년 4월 17일 14:191주택자가 집을 던지는 상황이면 은행이자도 감당못해서 팔려하는 국면이라는건데 그건 진짜 심각한 상황이겠죠 ㅠㅜ 웬만하면 누가 사는 집을 건드리고 싶겠어요
@boradori3776 17
2022년 4월 17일 10:31지금 서울 서민 현실최고봉 마용성에 6개월 이상 장기 적체 매물들이 얼마나 많은데 갈아타기라뇨 게다가 거의다 희망 매매가격 걸어놓고 장기 타고 있는 물건들이 대부분이고 1억 정도 급매도 안 나가고 있는 상황입니다. 2억 정도 낮춘다? 사람들 부동산에 전월세만 보고 가는데 과연 나갈까요? 매우 부정적입니다.
Ta Tan 17
2022년 4월 18일 13:32올초 부읽 신사 월부 모여서 전망하는데 모두 상승이었죠 올여름 임대차3법 끝나고 전세가 또 폭등한다고 하던데 여름까지 기다리면 판가름 날듯
@KimDongMul 15
2022년 4월 16일 10:13경제의 핵심 기준은
[수요와 공급] 입니다
수도권에 새 아파트를 살고 싶어하는 사람들보다
신규 입주량이 부족하면 집값은 오릅니다
2004년부터 2008년까지 금리가
3.25%에서 5.25%까지 계속 올랐습니다
근데 전국 집값은 왜 계속 올랐을까요?
특히 수도권은 미친듯이 올랐습니다
금리가 오르는 속도보다
성장률이나 통화량 팽창이 더 빠르면 가격은 상승합니다
코로나 이후에 풀린 한국 M2 통화량 한번 확인해 보세요
슬픈 이야기지만 내가 돈이 없다고
남들도 돈이 없는 게 아니더라구요..ㅠ
코로나 이후로 연 몆 억씩 버는 분들이 급증했습니다.
양극화가 심해진 것이죠.
집값의 하락은 충분한 새 아파트의 공급이 많아서
새집을 원하는 수요보다 공급이 넘칠 때 시작됩니다
역사적으로 수도권의 한 사이클을 완성하는데
누적 공급 300만호가 필요했습니다.
5년 뒤는 어떤 대통령이 취임하던 집값 하락을 막기 어려울 겁니다.
가인동인 14
2022년 4월 16일 13:07대출받으면
....... 망하는 지름길이다
@엘리-b3s 14
2022년 4월 18일 07:55부동산에 관계된 일을 하시는 분들이 많으신데 이렇게 거래가 적으면 힘드시다고 합니다. 그런데 미국금리가 오르면 우리도 오릅니다. 조심합시다.
@hoo6550 12
2022년 4월 16일 12:29누구나 살고싶은 집
사치제 기능까지 하는 집은 오르고
물량조절하는 에르메스가방처럼
생존하기 위해 필요한 집은
농산물처럼 수요 공급에 의해 오르고 내린다
사치용집이냐 생존용집이냐에 따라 다름
@김빛-c1c 11
2022년 4월 17일 12:57이시국에 집사라고 하는것이 얼마나 장사치 인지 알겠다
@하모니-b1z 10
2022년 4월 17일 17:29전월세가 올라간다고 집을 사는건 무모한짓 아닌가 싶네요
지금 고점인거 모르는 사람이 없는대 게다가 금리상승기에 집을 사라고 하는건 무책임한 것 같네요...이분은 늘 집값이 상승한다고 하는분 같던데 집을 오늘사서 낼 팔수 있는 물건도 아니고 너무 무책임한 말씀만 하시네요.
@압타밀전사서준 9
2022년 4월 16일 19:19지금 어느 전문가도 더 오를 것이라는 얘기는 안함.. 그 이후는 조금만 짱구 굴려보면 답나옴
@lucky_tv 9
2022년 4월 16일 11:51🌟 『부읽남_4부작 영상』 바로 보러 가기
👉 1부. https://www.youtube.com/watch?v=hrfr9isodQM&t=12s
👉 2부. https://www.youtube.com/watch?v=i6lFO1p-s-E&t=222s
👉 3부. https://www.youtube.com/watch?v=JuMOWKr1IeM&t=2s
👉 4부. https://www.youtube.com/watch?v=ErlOkU4CDNk
📚 김작가 『럭키, 10만부 기념 황금열쇠 양장 특별판』 도서 구매
👉 https://bit.ly/3mnVYDq
🌟 김작가 『자기계발 강좌』 클래스 101 보러 가기
👉 https://class101.page.link/authorkim_class
📚 김작가 『전체 출간』 도서 보러 가기
👉 https://bit.ly/32HO3Gx
@gwbctv-2593 8
2022년 4월 18일 10:04지금 부동산 사는건 아주아주 안좋은선택이라봄.......고금리에 고점 물리고 + 부동산 투기꾼들 수익실현 돕는 꼴. 무주택자붐들 지금 절대 사시면 안됩다... 지금 사면 앞으로 10년동안 지옥이.. 지금 자칫 제2의 imf가 오게생겼는데 10억짜리를 사시다니요.... 3년내 반토막 된다봅니더..
@꼬꼬빠빠-n6f 8
2022년 4월 19일 14:34이분도 만리장성 쌓기 시작하는구나
@Gato_JUNO 8
2022년 4월 17일 08:45무주택자 사는게 좋다해도 못사는걸 왜 모를까??
@박민기-h4g 7
2022년 4월 16일 10:12하루건너가 아닌 빠른 업로드 늘 감사합니다
@heungsikpark1200 7
2022년 4월 17일 12:18부읽남 왜이리 잘 생겼음.. 오늘 새삼 알았네 ㅋ 남자가 봐도 깔끔하게 잘 떨어졌네요. ㅋㅋ 부럽다 ㅋ
김지혜 7
2022년 4월 25일 12:09무주택자는 지금 사지않아야할 시기입니다
책임은 본인이 져야합니다. 부동산 유투브얘기듣고 덜컥 사지마시고, 더 신중해야겠습니다
현금 6억있으면 사세요
@하늘이-v6h 6
2022년 4월 18일 05:57최소 몇억 최대 수십억을 휴대폰 갈아타는것처럼 비교하면서 말하노ㅡ.ㅡ;;
@seongjuhwang5795 6
2022년 4월 17일 09:11저희 자산은 1억인데 5억짜리 분양에 당첨이 되었는데 힘들더라도 들어가는게 맞을까요?
@태안바다야 6
2022년 4월 19일 09:15지금 집은 아닌듯...
2025년쯤
현금이 중요한시기
대출 받지마세요
에라이 6
2022년 4월 16일 13:24내가 영상보며 따라가는 속도가 영상을 제작하는 속도를 못따라가겠네요
괜히 성공한게 아니라는걸 다시금 느껴봅니다 부읽남님
BM투포 6
2022년 4월 16일 14:03집값에 대해서 재미있는 점은 폭락을 주장하는 의견을 취하는 사람들은 소수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시장과 투자에 대한 경험과 지식이 떨어지는 분들이라는 점입니다. 소수의 기회를 노리고 매수타이밍을 보는 사람들은 그만의 논리와 준비가 있으니 폭락이 오든 안오든 상관없이 잘먹고 잘살 분들이지만 그외 대다수의 분들은 대책이 없이 폭락론을 동조하고 경제 문제가 나타나길 기도하면서 사회에 대한 혐오감만 키우게 된다는 것. 그것이 문제네요. 사람은 자기 듣기 좋은 말에 편향되죠. 그걸 극복하지 못하면 부의 평균에도 들기 어려울 겁니다.
Shall S 5
2022년 4월 16일 12:52부읽남께서 제일 현실적인 조언을 해주시는 것 같아요.
Jupiter x 5
2022년 4월 16일 16:05지금 집값 최고점인데 개미들한테 떠 넘기려하네
@nosepainful3677 5
2022년 4월 17일 22:43하락론자로서 부읽남은 어캐 생각하나 궁금해서 봤는데... 나름 일리는 있다고 생각 ㅡ 진짜 유튜브 영향 때문에 다들 쉽게 집을 던지지 않을 것 같긴 함.
@김재용-o6e 5
2022년 4월 20일 16:27서울 분양도 미달인데요
금리인상,공급확대, 코로나 노인사망자의 50% 집상속
아마 하락추세로 갈 겁니다~~
수확의계절 5
2022년 4월 16일 15:07지방에 투기로 임장와서 한명이 아파트 여러게 사서 본인이 사고팔면서 가격올려놓고 지방민 호구만드는것도 다뤄주세요
지방아파트 부동산실거래앱 같은거보시면 2020년전후로 하루에 몇개를하고 갔더라구요 또 투기꾼 들어왔구나 했습니다.
그러더니 전국 지방아파트가 10억 넘고
재건축, 신규아파트가 2배,3배 뛰었습니다. 제가사는 지역은 2년동안 아파트 오른가격이 2억이6억하고, 5억 11억합니다.
인구수 줄어드는것 배제하고 가구수가 아무리 늘어도 아파트 혹은 집이 정말 부족한지 궁금합니다.
보뗄beautelle 5
2022년 4월 16일 12:33맞아요. 진정한 하락은 1주택자들이 던지는 경우이다. 30% 하락이 무너지는 분위기어야 하는데 그런 일이 생길 경우는 아시아의 큰 위기가 있을 경우다.
@Iwillsaywhatihavetosay 4
2022년 4월 25일 23:05무주택자는 지금 사?? 뭐지 쟨…? ㅎ
@ducksjc 4
2022년 4월 18일 20:15하락론자 폭락론자가 집을 영원히 안사는 줄 아는 사람이 많네 ㅋㅋㅋㅋ
주식이든 채권이든 금이든 은이든 오일이든
가격에는 파동과 사이클이 있고
오를 때와 내릴 때가 있고
하락론자라는 것은 "지금은 내리는 시기" 라고 분석해서, 더 싼 값에 사서 비쌀 때 팔려는 것 뿐이다.
@musmus4018 4
2022년 4월 19일 20:032주택부터 보유세 왕창 더 늘리면, 양도세중과 손안대도 매물 나옴 ㅋㅋㅋㅋㅋㅋㅋ
Jaehyun Kim 4
2022년 4월 16일 10:37신고가 가즈아~!!
@uptheredoniworld 3
2022년 4월 20일 19:53글쎄요…저는 요즘 젊은 주식전문가와 부동산전문가가 5년뒤에 어떤 평가를 받을지 궁금해요.
@heydayha 3
2022년 4월 17일 21:08비쌀때 사는거 아님... 물론 비싸다는건 상대적인거임
@유덕균-n5w 3
2022년 4월 16일 13:56좋은 이야기 감사합니다!
조실비아 2
2022년 4월 20일 07:23세종은 전월세 내려가고 있는데.
너무오르기만 바라는듯.
지금은 집갈때 아님
p볕 2
2022년 4월 16일 12:27부읽남 잘생겼다~
부동산도 잘 읽어주고~
고대성 2
2022년 4월 16일 10:20좋은 컨텐츠 감사합니다
피톤치드 2
2022년 4월 16일 10:42고맙습니다~^^
@Tto1123-m9l 2
2022년 4월 21일 07:38현대차 옵션얘기에 빵터짐요 비유👍🏻
Doodle Yellow 2
2022년 4월 16일 11:01신혼부부든 나홀로든 전세살며 청약은 불안하니까 괜찮은 아파텔(투룸이상) 매입후 청약 꾸준히 시도해보거나 아파트매입시도하는 것이 정신건강상 안정적이라고 생각합니다. DSR제한있지만 아파텔 오피는 대출이 상대적으로 유연한게 실질적으로 큽니다.
@syj2021 1
2022년 4월 21일 14:43마이크가 좀 울리는것같아요!!
환타 1
2022년 4월 16일 17:25언론에서 서울에서 매물이 사라지고 있다. 거래가 늘고 있다. 전월세가 높아지고 있다. 고점찍고 급매가 늘고 있다. 기타등등 말만 듣고 믿지 말고 본인이 네이버 부동산이나 호갱노노 등 이용해서 확인좀 해봐라. 사당부터 4호선 따라 역근처 대단지 아파트들 거래가 어찌 되는지 가격대가 어떻게 되는지 최근 거래일이 언제인지 매물이 어떤 가격에 나와있는지 인덕원 과천 더 내려가 금정 더내려가 화서역 수원역등 집값 추이 좀 보세요. 전문가를 한두마디에 왔다갔다 하지말고. 1시간이면 충분히 찾아볼 수 있음. 호갱노노에는 앞으로 분양될 아파트 단지가 몇세대 인지 언제 분양인지도 나오니까 잘 판단하고 결정하시길.
게임하는다람쥐 1
2022년 4월 16일 12:36부동산투기를막는 방법은 살태와 팔태값을 그기간동안 물가상승율과 비교해서 상승윤을 초과하는부분은 전액 국고 환수하는제도를만들어 시행하면된다고 봅니다
D C 1
2022년 4월 18일 18:53금리 7프로 되가는데 어찌될까요..
@SleepingSounds-vs4bx 1
2022년 4월 19일 15:36매매가 안되는 문제도 있습니다 1년째 ..
오늘의영상 1
2022년 4월 21일 18:02나도 돈벌고싶다.....
@종소리-h2s 1
2022년 4월 23일 17:09흠 지방 광역시 1주택자인데 넓은 곳으로 옮겼는데 꼭지 잡았어요. 그런데 금리가 계속 올라서 걱정입니다ㅠㅠ
@효진이-x2x
2022년 7월 31일 23:42부동산은요. 연세 지긋하게 드신 옛 복부인들이 전문가입니다. 저분은.,
해피
2022년 4월 16일 17:40감사해요~~^^
freesia
2022년 4월 17일 00:16웬만하면 댓글 안다는데 훌륭한 인사이트 공유해주셔서 감사합니다. 덕분에 이것저것 생각하게 되네요
Syvie
2022년 4월 20일 19:062030년 눈감고 집사도 됩니다!!!
버블 꺼짐!!!!
@s.s.h4923
2022년 4월 17일 01:08서울에 집이있는데 초역세
지금의 반으로 하락해서 삼사년후 대출일도 없으니
전세주고 작은평수를 하나더
사고싶다...
@jasminekang1390
2022년 4월 17일 23:14상가 가격은 어떻게 산정하면 되나요? 감정가 받으면 되나요?
이경희
2022년 4월 16일 13:58영상 감사합니다.
달려라하니
2022년 4월 17일 16:0921:54 거주할 아파트 매수는 했는데 청약에서는 무주택이 가능한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