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금리는 수출입경기에도 영향 받지만 환율 원인이 더 절대적이라고 들었습니다. IMF 때 경기가 좋아서 20프로 예금 나온게 아니잖아요? 작은 규모의 변화에서는 김영익 교수님 의견이 많을거 같지만 이미 추세전환이 되었다고 생각되는 시점에서 너무 리스크가 있는 말씀하시네요.
김미경님.좋은방송..감사합니다.. 제 채널방송에서 최근과 4개월전에 2차례 분석하여 구독자들과 공유한 금리인상기의 주식 부동산 환율의 상관관계 빅데이터 결과인 주가는 부동산 가격 2~3년 선행한다는 내용을 보시면, 자산가 되는 해법이 보일겁니다. 주식에서 폭망하고 빅데이터 분석해 부동산 투자로 서울꼬마빌딩, 아파트등 임대사업하며 경제적 자유를 이루었는데, 부동산은 큰 흐름분석이 아주 중요합니다. 이유는 부동산은 제대로 거인의 어깨에 올라타야지, 꺼꾸로 메달려서 거인의 손에 잡히면 못빠져나옵니다. 앞으로도, 구독자와 소통하는 좋은방송감사합니다
@update99. 16
2022년 4월 21일 22:54제가 너무나 존경하고 좋아하는 김영익 교수님~MKTV에서 뵙게 되니 더 반갑습니다
@imyourlab 15
2022년 4월 21일 19:39김영익 교수님 냉철한 분석과 통찰 감사드립니다~!!
@MKTV 15
2022년 4월 21일 19:09👩🦱새롭게 시작한 콘텐츠 『미경언니의 경제과외』
여러분이 궁금한 주제, 모시고 싶으신 분이 있다면 댓글로 남겨주세요!
📌인터뷰 출연자의 의견은 MKTV 채널 방향과 관계가 없습니다.
모든 투자는 위험이 수반되며 투자자 본인이 신중히 고려해야 합니다.
@ry840901 14
2022년 4월 22일 11:17우리나라 금리는 수출입경기에도 영향 받지만 환율 원인이 더 절대적이라고 들었습니다. IMF 때 경기가 좋아서 20프로 예금 나온게 아니잖아요? 작은 규모의 변화에서는 김영익 교수님 의견이 많을거 같지만 이미 추세전환이 되었다고 생각되는 시점에서 너무 리스크가 있는 말씀하시네요.
@정외천 12
2022년 4월 23일 12:55미국금리가 하반기 2~2.5%,
내년초반까지 최하 2.5%까지는
올린다고 하는데,
올하반기에 한국 기준금리가 떨어진다고요??
이해가 잘........
@grooveclinic 11
2022년 4월 22일 01:42DR.DOOM~~~~😱🔥 김영익 교수님 좋은말씀 감사합니다~🤗
@소금돌이 11
2022년 4월 22일 00:09감사합니다 ㅎㅎ
@김형섭쌤 10
2022년 4월 22일 13:25미국은 금리 올리는데 한국은 금리 내린다?? 이거 어이없네요. 신뢰가 안가는 말이네요
@mgogo 9
2022년 4월 21일 23:14항상 우리 학장님 멋지고 귀여우영~♡♡
@복행-d3i 9
2022년 4월 21일 21:30삼성전자 지금 사요?
@김봉녀-b3h 8
2022년 4월 22일 09:36유익한 정보 감사합니다~~♡
@나존버 8
2022년 4월 22일 10:02웃고 갑니다.
눈에 보이는 미국 금리 보기 바람
@hye8084 7
2022년 4월 21일 22:05KT배당률이 4.2~5.19% 수익률이 높네요
Banknote 7
2022년 4월 22일 15:34미연준의 금리 인상과 우리나라 가계 부채규모, 우크라이나 전쟁 여파로 인한 전세계 물가 급등..
이 세가지만으로도 올해 금리 인하는 힘들어보입니다...
@김영익 7
2022년 4월 25일 14:43안녕하세요, 김영익입니다.
덕분에 즐거운 시간 보내고 왔습니다.
항상 여러분들께 도움이 될 수 있도록 많은 준비를 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유익한 내용으로 찾아뵙겠습니다. 감사합니다.
@sydney1825 6
2022년 4월 22일 01:44진짜 똑똑하시다
@감사-f4e 6
2022년 4월 22일 07:48교수님 감사합니다 ~
@이십억달러 6
2022년 4월 22일 11:25올해 초 중국 주식 사라면서요 ㅋㅋㅋㅋ
@user-money 4
2022년 4월 22일 07:34가장 중요한 건 경기다. 감사합니다
따위 4
2022년 4월 21일 21:25감사합니다
@당당한언니-자본주의 4
2022년 4월 22일 07:53분석 감사합니다~^^
@AA-mq8nb 4
2022년 4월 22일 00:41우리가 걱정하는건 나빠졌는데 더나빠지는것 그게 포인트인거죠 ㅋ 계속 오르는건 걱정이 아니죠 ㅋㅋ
맛있는인생 3
2022년 4월 22일 10:49미국따라가는 것 아닌가요?????
@hae_lang 3
2022년 4월 21일 19:31🤩🤩🤩
@敬徳姜 3
2022년 4월 22일 10:39일본이예요
여기사람들은 ㅡ일을
일이다기보다
즐기면서해요 ㅡ때론친구
남편 ㅡ연인처럼
친구들만나는것보다
일을친구처럼생각하는것같아요
@봄이-q9t 2
2022년 4월 22일 13:25교수님. <금리와 환율 알고 갑시다> 읽고 공부 잘했습니다!!
@오경희-z3q 2
2022년 4월 22일 15:30집값은 정책보다는 금리와 시장경기가더중요하다ㆍ
@재테크하는월급쟁이의 2
2022년 4월 22일 10:46김미경님.좋은방송..감사합니다..
제 채널방송에서 최근과 4개월전에 2차례 분석하여 구독자들과 공유한 금리인상기의 주식 부동산 환율의 상관관계 빅데이터 결과인 주가는 부동산 가격 2~3년 선행한다는
내용을 보시면, 자산가 되는 해법이 보일겁니다.
주식에서 폭망하고 빅데이터 분석해 부동산 투자로 서울꼬마빌딩, 아파트등 임대사업하며
경제적 자유를 이루었는데,
부동산은 큰 흐름분석이 아주 중요합니다.
이유는 부동산은 제대로 거인의 어깨에 올라타야지, 꺼꾸로 메달려서 거인의 손에 잡히면 못빠져나옵니다.
앞으로도, 구독자와 소통하는 좋은방송감사합니다
@Onthemove206 2
2022년 4월 24일 10:16경기가 안좋아질 것으로 예측하시는데 주가가 오를꺼 같다는 좀 안맞는거 아닌가요?
@정영복-u2l 1
2022년 4월 25일 12:54김영익교수님 출연하는 유튜브는 다 시청합니다
존경합니다♡
@우분투-x2t 1
2022년 4월 22일 09:29감사합니다.
@starsuper5956 1
2022년 4월 25일 08:05와..금융의날 정하는 것도 소중한 팁이네요
Reload Y 1
2022년 4월 23일 20:25올초에 교수님 강연들었는데 말씀처럼 저점가네요 정말..
@진달래-o1y 1
2022년 5월 10일 14:35적금 신협,새마을금고 비대면 5%이상도 나오고 있습니다.
예금은 3.3%~3.5%선에서 나오는게 몇군데 있는데 역시나 비대면 가입입니다. 5월 금통위 열리고나면 더 오를거라 확신되니 5월말경 가입하시면 좋을것 같네요.
@최은영-m1b
2022년 5월 05일 13:28저는60대 후반 인데 경제 공부하고 즐겁습니다 저도 늘 투자하고 살았는데 요즘은 주식 공부하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건강하세요 ^^
@jsjeja74
2022년 12월 28일 16:39버릴수 없으면 23년까지 존버 해야 죠 투잡 뛰면서 ... 아니면 정리 하는게 낫고 .. 저축하면서 저점일때 그때 다시 사야죠
@jsjeja74
2022년 12월 28일 16:33저축은행중에는 3천이하도 있으니 예금자보호금액을 확인 해야
@Hummchoi
2022년 12월 21일 06:457개월전 주식보유와 좀 떨어지면 주식사라고 하셨는데 지금은 너무 떨어져서 더 고통입니다.
그냥 예금하는게 훨씬 득이었는데. 좀 아쉽.
@jsjeja74
2022년 12월 28일 16:34고정금리면 장기저축밖에 안되겠네요
@김다영-v5o
2022년 4월 25일 12:50시문기자말이그날아무일도없었데요
@jamskim2
2022년 5월 03일 10:43영익씨는 닥터 Doom이 아니고 그냥 Dumb 이에요. 자기만 모르는 지, 이 정권 끝나면, 더이상 볼일은 없을 듯.
@장유라-t2o
2022년 4월 25일 08:43에라이~~
@oj0322
2022년 4월 23일 19:56선정보 주셨네요. 영상 한번 더 봐야겠습니다.
저기 밑에 몇 분들은 강의 재대로 안들으신 듯.ㅎ
seung hyun
2022년 4월 28일 16:05킹영익좌~
@꽃길만걷자80-w5d
2022년 4월 25일 00:17감사합니다
@woosiljangtalk
2022년 4월 29일 21:01좋은정보 감사합니다!!
@dlsfdsauu22
2022년 4월 23일 14:04교수님말씀하시는 고정금리는?
5년고정 후 변동되는것도
고정금리로 분류하시는건가요?
@twopair8148
2022년 4월 23일 22:51모두가 금리가 오른다고 생각하는 이 시국에 금리가 낮아질 것이라는 말씀을 공개적으로 하시다니 정말 대단하십니다.
@jsjeja74
2022년 12월 28일 16:31풀린 유동성이 물가에 흡수되 물가가 상승했고 그것을 다시 잡으려니 금리를 올려야 겠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