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youtu.be/-eeSH04_rhE 2021년 가을 최고점에서 집 사라고 하셨는데, 그 이후로 하락이었죠. 그 때 사자마자 물린 사람 많을텐데요 저는 그 때 앞으로 1~2년 상승한다고 집 사냐고 댓글 달았던 기억이 나는데, 전문가라고 금리 예측도 틀리고 금리 중요하지 않다며 사야한다 하셨는데, 이제는 정부를 탓하고 국회의원 선거에까지 영향을 미치시려고 하나요? 혹시 오늘도 누군가는 이 방송을 보고 인생에 결정적인 의사결정을 할 수도 있는데
하루 아침에 뷰를 바꿔서 당황스럽긴하나 상황이 바뀌면 뷰도 바꾸는게 맞죠. 사실 작년말부터 미국금리, 한국금리, 공급량등 이미 예정되어 있어서 변화기조였는데 그때도 최근에도 금리 별거 아니다라는 식이어서 참 이상하다 싶었어요. 예전에는 올라간다는 기대감이 높은 상태였기 때문에 금리 리스크를 뛰어넘었죠. 그렇지만 지금은 기대감이 별로 없고 단기 고점이라 금리가 엄청 충격을 줄 수 밖에 없지요. 주식도 최저점에 사긴 어렵지만 덜 물릴수는 있는지라. 공부하면서 주위깊게 꾸준히 살펴보면 발바닥은 아니어도 무릎에서는 살 수 있을듯요. 2013년에 집사서 작년에 팔았는데 그후로 거래도 거의 없고 조금 하락했더군요. 올해까지 가지고 있었으면 팔기 어려웠을 듯 싶구요. 실거주를 더이상 할것도 아니어서 투자관점에서 팔았는데 앞으로도 관심의 끈을 놓지 않는게 중요할듯요
주식은 주택이 아니야....매물로 나와도 쉽게 안 팔린다. 그게 지금의 문제야. 거래량이 없다는 것. 양도세 유예라고 매물이 나와도 받아줄 사람들이 아주 아주 적다. 앞으로 집값이 더 하락한다고 보는 사람들이 많을수도 있고, 재작년과작년의 대규모 영끌로 더이상 많은 매수세가 받쳐주지 못하는 지경에 이른 것일 수도 있다. 금리가 오르고 대출규제로 레버리지 투자가 힘든 탓일수도 있다. 아무튼 매수세가 실종이 되었어. 남들 다 알때 나와서 뻔한 소리하는 전문가. 갑자기 오른다고했다가 내린다고 태세 전환을 한 전문가. 주식하다가 부동산하다가 또 주식 말했다가 부동산 말하는 전문가. 책과 강의로는 다 옳은 소리를 하지만 정작 실전 투자에서는 뷰를 보여주지 못하는 전문가...홍씨는 믿고 거른다.
사람들 부동산 가격 생각할 때 고려 안하는 부분이 인플레이션입니다. 10년전 만원가치와 지금의 만원가치가 다른거처럼 화폐가치를 생각해야합니다. 근데 10년동안 집값이 그대로다? 그러면 사실상 집값이 떨어진것으로 봐야합니다. 이자내고 세금내고 감수했는데, 실질적인 가치는 떨어진거죠. 최근에 급격하게 2-3배 오른 부동산들 만큼 물가가 2-3배 올랐을까요?,,, 물가가 많이 오르긴 했지만 그정도는 아닙니다. 최근 부동산가격과 화폐가치에 괴리가 심하다고 볼 수 있는데, 가장 구매하기 위험한 시기라고 생각합니다. 특히나 금리 올리고 유동성 회수가 본격적으로 시작될텐데요...
주식이나 집에나 쌀때사세요 이자내고 살아보세요 스트레스 받아요 전 평생 대출이자내다 결국 헐값에팔앗엇는데 집소유에대해 별로 감흥없어요 자가가아닌 월세로 사는기분임 그러면서 세금다내고 언제다시오르나..오르면 매도는 할수있을까 .. 장기전세나 전세로 오래사는게 되는 시스템이 발달되길..
이 글을 보실지 모르겠지만 저는 오늘 꿈을 꿨습니다. 김작가님과 무슨 이유에서인지 정말 모르겠지만 돈 스파이크님과 함께 무인도에서 살아남는 꿈을 꿨습니다. 저는 거기서 함께하는 카메라맨 이었습니다. 저는 카메라의 카자도 연관된 전공을 가지지 않은 한 학생입니다 . 다만 김작가님을 만나고 싶었을 뿐이었던 학생입니다. 이렇게라도 꿈에서 영접하여 정말 반가웠습니다. 언젠가 성공하여 이 댓글과 함께 추억을 공유했으면 좋겠습니다. 앞으로도 더욱 번창하여 슈퍼울트라 김작가tv가 되는 것을 저만의 방식으로 응원하겠습니다. 화이팅!!!
이분이 작년 1월에, 삼전이 한창 꿈에 부풀어 달리고있을때, 본인은 삼전 오를때마다 조금씩 처분하고 달러 사고 있다고 말하니 진행자가 놀랍다는 말투로 왜요? 라고 묻더군요.. 당시엔 삼전이 머잖아 20만원을 뛰어넘을 거라고 많은 사람들이 믿었었습니다. 지나고보니 홍춘욱 박사님 말씀이 옳았다는게 확인되었네요..
주식 시장도 매일 오르고 내리듯이 모든 자산시장도 그때그때 상황에 맞게 대응해야합니다. 홍춘욱 박사님은 지금상황에 맞는 뷰를 말씀해주시는거구요. 저는 이분이 참 좋은게 유명한 경제전문가라고 해서 무조건 자기말이 맞다가 틀린건 감추는게 아니라 틀리면 틀렸다 바로 인정하는 솔직함과 진정성인것 같습니다. 어떤 유명한 이코노미스트가 나와서 개인의 매매실수를 아무렇지 않게 얘기할 수있을까요? 다 감추고 자기 잘난걱만 얘기하지요..
@hye8084 425
2022년 4월 22일 21:11부동산시장의 분위기가 달라졌는지..
몇달전만해도 홍박사님이 영끌이 아니라면
무주택자는 각자의 상황에 맞춰 매수하는 것을
권했었죠
고구마 259
2022년 4월 23일 12:56이분 반년전만해도 분명히 집값은 당분간 계속 오를거고 무주택자면 사도 된다고 얘기했었는데... 뭐지..
확실히 입축구 하는 해설가와 선수인 매시나 손흥민의 실제 축구 실력이 다른 것과 같이 부동산 경제 해설자도 그저 해설자일뿐인듯하다...
@원샷원킬-v4l 203
2022년 4월 22일 22:10시장이 확실히 바뀌었나보네요.
@도도파더-j2l 168
2022년 4월 22일 22:30박사님 몇달전에 다른 방송에서는 무조건 사라하셨던거 같은데요! 너무 의견이 플렉서블 하시네요
@chunukhong 156
2022년 4월 24일 14:29개인적 경험에 기초한 조언이니, 감안하여 봐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harrison1228 142
2022년 4월 22일 20:24실수요자는 지금에라도 사라… 당신이 얼마전까지 하던 말이지 않나???
@자유시장-g4i 139
2022년 4월 23일 16:09부동산은 하락장 시작되면 정말 오래갑니다. 매수에 조심할 구간이라는 말씀에 동의합니다.
보뗄beautelle 120
2022년 4월 23일 19:05맞아요. 2008년에 산 집값 떨어져서 다시 회복하는데 아주 오랜 시간이 걸려 꼼짝달싹 못하고 물려서 손해만 봤어요. 그런 악몽의 기억이 있던 사람들은 주택하락이 무섭답니다.
@Reinie-u2j 111
2022년 4월 23일 20:41이분 얼마전까지 집값은 하락할 하등의 이유가 없다고 무조건 매수 하라고 강력하게 얘기하셨던거 같은데,,
어찌 이리 갑자기 시장을 전망하는 관점이 바뀌었을까요??
버피서 92
2022년 4월 23일 06:05그때 그때 느낌에 따라 그 상황에 맞는 이론을 껴맞추는 것 처럼 느껴지네요
백운 92
2022년 4월 23일 14:33이분 몇개월전 발언들 쭉 한번 보세요 아주 유명한 분입니다 1년도 않되서 말 바꾸는...
@해피라 79
2022년 4월 23일 07:51https://youtu.be/-eeSH04_rhE
2021년 가을 최고점에서 집 사라고 하셨는데, 그 이후로 하락이었죠. 그 때 사자마자 물린 사람 많을텐데요
저는 그 때 앞으로 1~2년 상승한다고 집 사냐고 댓글 달았던 기억이 나는데, 전문가라고 금리 예측도 틀리고 금리 중요하지 않다며 사야한다 하셨는데, 이제는 정부를 탓하고 국회의원 선거에까지 영향을 미치시려고 하나요?
혹시 오늘도 누군가는 이 방송을 보고 인생에 결정적인 의사결정을 할 수도 있는데
@아주라-z5s 76
2022년 4월 23일 07:23홍춘욱 이 분은 주식시황 말하듯이 부동산에 대한 시장관이 바뀌는 듯. 2021년초는 분명 집 사라고 한거 같은데.그 때 산 사람이 하락기를 맞아야 한다면....(2021년초인지 팩트가 틀릴수는 있습니다.)
@Velou벨루 74
2022년 4월 22일 21:44집사라고 계속 오른다고 하던분인데
@minjilee2923 70
2022년 4월 22일 21:47부동산이 개별주식도 아니고 몇 달 전만해도 확신에 차서 무조건 사야된다고 하더니 이제 와서 얼마 됐다고 말을 확 바꾸네. 전문가는 아무나 하나.
진격의거인 67
2022년 4월 23일 07:19이 분 주식이나 부동산이나 별로 감은 없는 듯 하네요.. 말도 자주 바뀌는 스타일이고 거시경제 분석을 그럴싸하게 하는 것고 투자실력과는 완전 별개.. 그러니 본인도 집사고 물렸지 않았을까요..
@yjkim4501 49
2022년 4월 25일 17:19오 진정성 있는 패널이네요~~
겪은 사람으로서 매우 공감됩니다
무주택자한테 넘기려는 자들은 사기꾼 같은 패널이죠~
@chobit1008 48
2022년 4월 22일 22:29근데 취지가 마냥 사는게 그것도 무리하게 사는게 답인 아니다 이 말씀인듯하네요.
언제든 기회가 오니 제대로 준비하고 공부하서 잘 찾아서 해야한다는거겟죠.
주식 폭등때 따라사서 현재 하락기에 힘들어서 손절하게 되버리는 상황온다면 그게 최악이 될수 잇겟지요.
@softengine 46
2022년 4월 22일 20:04우상향 속에서 산이 높을수록 골도 깊은 게 자본주의의 당연한 원리이죠
@bsk9056 43
2022년 4월 23일 09:10아베노믹스를 잘하는 정책이라고 하셨는데 지금은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궁금하고
경제분석을 신뢰하기 어렵네요.
@별유도원 41
2022년 4월 22일 21:40수요도 경기상황에따라 변화함, 경기침체, 고금리 상황이 되면 수요감소함. 공급 작아 집값 오를거라고 사면 낭패볼 수 있죠
@최강몬스터-b4e 40
2022년 4월 22일 21:19의견을 바꿀거면 일단 사과부터 해야 하는거 아닌가요? ㅠㅠ
Juhyeon Kim 35
2022년 4월 22일 20:57미국은 달러 패권을 유지하려면 파산을 감수하고서라도 금리를 올릴 수 밖에 없다.
아니면 미국이 달러 패권을 내려 놓으면 판운 또 다른 방향으로 재편될 가능성도 있는데....
어찌 됐던 지금 전 셰계적으로 끼어있는 부채를 걷어내긴 해야된다.
@야무니-p3d 35
2022년 4월 22일 21:05지금도 매물쏟아졌어요. 안팔려요. 아무도 안사는게 문제죠
허리케인J 33
2022년 4월 23일 02:24애기도 크고 해서 작년 8월부터 30곳 이상의 임장을 돌며 겨우 괜찮은 수도권 매물 매매하고 호가에서 3000깍아 계약해서
지난달까지 기분 좋았는데 수리비, 금리 생각하면 머리가 깨질 거 같습니다. 수리 인건비, 자제비는 1년사이 60% 이상 폭등...
주담대는 내년까지 최소 금리 9%까지 고려해야 한다는데 3.5억 대출에 월 원리금만 350만원...
그렇다고 전세 내놓고 월세 살려해도 요즘 월세 보증금이 2년전 전세 수준...
일단 매매는 80%이상 본인 현금 아니면 지금은 절대 절대 집사시면 안됩니다.
@뽀송아빠 31
2022년 4월 23일 10:17다주택자가 봐도 딱 맞는 관점인것같아요. 도움 많이 되었습니다~
indora 30
2022년 4월 23일 08:12실제 경험해본 조언이라 진짜 실감나에요...ㄷㄷ
@_gamingsquirrel_ 29
2022년 4월 22일 20:47부동산값이너무비싸 무주택자는 집을못삽니다 은행에서 다출받어 집을산다면 그이자부담도 적지않지요 날이갈수록 집값이 엄청오르니 이래가지고는 집살 엄두도 못내지요
@문별-w5s 28
2022년 4월 24일 14:112025년까지 공급이 부족해서 아파트 가격 오른다면서요??
무주택 작년엔 실거주 1채는 매수해도 되고 지금은 매수하지말라는게 대체 뭔소린지..
금리인상 계획은 작년부터 계속 나왔는데...
ju77y thfl 26
2022년 4월 23일 11:17저도 경험자라 실감나네요 ㅋㅋ산가격에 1억 떨어지고 이자는 7%에 너무 힘들고 6년만에 회복했네요. 이건 경험하지 않고서 아무리 설명해도 와닿지 않고 사지 말래도 사는사람은 또 사요.
고점매수 25
2022년 4월 23일 00:28이제서야 진정 옳은 말씀하시네요 ㅎㅎ
@봄여름가을겨울-t1n 24
2022년 4월 25일 07:18미연준의 금리 정책 변화가
갑작스럽고 급격합니다!
금리 상항이 바뀌니 시장 뷰를 바꾸는 홍박사님!!
해해남 21
2022년 4월 23일 17:13박사님!!
몇달전만해도 실수요자는 무조건 사라면서요..........ㅠㅠ
리에 21
2022년 4월 24일 23:29납득이 가는 말씀이네요🙂
바비 17
2022년 4월 22일 21:11홍박사님 의견 급 공감합니다.
무주택자 집사고 내려가면 가슴 아픕니다.
나중에 오른다해도^^
@정웅전-s7e 17
2022년 4월 23일 02:50지난달까지만 해도 영끌 아니면 무주택자는 사라고 해놓구선..
@김레몬트리 17
2022년 4월 23일 05:20얼마전까지 오른다 하든지 태세전환인거 보니 ,, 확실히 바뀌나 보내요
@tkdrnfkwl 14
2022년 4월 25일 15:04여기서..말바꿨다느니..그런사람들..
참한심하다..투자는 대응이다..
시장이 시시각각변화하는데 예언자가아닌이상
계속 시장상황에 맞춰서 변화하는게 당연한건데
말바꿨다느니..그런댓글들보니..진짜 한심한것같다..그런사람들은 투자하지마시길..
@김동철-z1e 14
2022년 4월 24일 19:18얼마전까만해도 집값 오른다고 그렇게 말씀하고 다니시더니.ㅠㅠ
Amen77 12
2022년 4월 25일 00:28아무리 생각해도
주식 보다 부동산이 더더욱 어려운 것 같아요!
정부가 어떤 정책을 내느냐에 따라..
또 환급성이 주식 보다 현저히 떨어지니..
주거용 이라면 모를까 투자 대상으로 했다가
마음 고생 되게 해버릴듯..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새로맘-p1j 11
2022년 4월 23일 09:31홍춘옥 박사님 평소에도 강의 하실때 자주 듣고 있습니다. 1주택자인데 앞으로 미래를 어떻게 할지 궁금하던차에 위치를 말씀 해주셔서 걱정 안하고 보유하기로 결정 했습니다. 감사합니다^^
앞으로도 김작가 TV에서 좋은정보 부탁드립니다~~
@infalnara 10
2022년 4월 22일 21:35말바뀌셔서 궁금해서 들어왔어요
@wellagingssong 10
2022년 4월 23일 20:22하루 아침에 뷰를 바꿔서 당황스럽긴하나 상황이 바뀌면 뷰도 바꾸는게 맞죠.
사실 작년말부터 미국금리, 한국금리, 공급량등 이미 예정되어 있어서 변화기조였는데
그때도 최근에도 금리 별거 아니다라는 식이어서 참 이상하다 싶었어요.
예전에는 올라간다는 기대감이 높은 상태였기 때문에 금리 리스크를 뛰어넘었죠. 그렇지만 지금은 기대감이 별로 없고 단기 고점이라 금리가 엄청 충격을 줄 수 밖에 없지요.
주식도 최저점에 사긴 어렵지만 덜 물릴수는 있는지라. 공부하면서 주위깊게 꾸준히 살펴보면 발바닥은 아니어도 무릎에서는 살 수 있을듯요.
2013년에 집사서 작년에 팔았는데
그후로 거래도 거의 없고 조금 하락했더군요. 올해까지 가지고 있었으면 팔기 어려웠을 듯 싶구요. 실거주를 더이상 할것도 아니어서 투자관점에서 팔았는데
앞으로도 관심의 끈을 놓지 않는게 중요할듯요
@성이름-g7o1e 8
2022년 5월 05일 01:59이분 과거말 듣고 영끌해서 집 산분들 이 영상보면 배신감 느낄 여지가 있네요
박사님이 금리 인상 예상 못했을리는 없으시구...
luxtravel world 8
2022년 4월 23일 02:03주식은 주택이 아니야....매물로 나와도 쉽게 안 팔린다. 그게 지금의 문제야. 거래량이 없다는 것. 양도세 유예라고 매물이 나와도 받아줄 사람들이 아주 아주 적다. 앞으로 집값이 더 하락한다고 보는 사람들이 많을수도 있고, 재작년과작년의 대규모 영끌로 더이상 많은 매수세가 받쳐주지 못하는 지경에 이른 것일 수도 있다. 금리가 오르고 대출규제로 레버리지 투자가 힘든 탓일수도 있다. 아무튼 매수세가 실종이 되었어. 남들 다 알때 나와서 뻔한 소리하는 전문가. 갑자기 오른다고했다가 내린다고 태세 전환을 한 전문가. 주식하다가 부동산하다가 또 주식 말했다가 부동산 말하는 전문가. 책과 강의로는 다 옳은 소리를 하지만 정작 실전 투자에서는 뷰를 보여주지 못하는 전문가...홍씨는 믿고 거른다.
피톤치드 6
2022년 4월 23일 06:57고맙습니다~^^
Dong Kim 6
2022년 4월 22일 21:24경험에서 우러나오는 진심어린 조언이 느껴지네요....
@쿠니루야 5
2022년 4월 24일 19:54소득대비주택가격너무비싸다 ~~ 근데 수도권이비싼이유는 지방엔 쉽게먹고살직업이 많지않다는게 큰문제인듯합니다
@뱅허 5
2022년 4월 25일 01:41집사는이유
1. 남들이 집값오른거 자랑할때 배아푸다
2.주요지역 자가 가진것이 사회적신분을 대신한다. 결혼시장 등에 영향을 준다
3.전세 이사다니기 지치거나 불안하다 이사비용도 아깝다
4.오늘 안사면 더오를까 불안하다
5.왠지 성공한듯 자존감이 높아진다
Sales Kim 5
2022년 4월 22일 21:06진짜 무릎을 탁 치게 만드는 영상
감사합니다
ᄀᄉᄂ 5
2022년 4월 22일 20:31한번 정하면 변하지 않는 고정적으로 해야 기다리면서 재건축을 하지 않는 곳이 없어 공급이 원활해짐. 변하지 않음이 국민들이 변함이 걱정없이 사는 사회가 됨.
@수연행-i5v 4
2022년 4월 23일 08:29집이남아돌아가는데
미처돌아가는부동산 업자들
진실을감추는자
도적들이다
주변에 빈집 천지고
주택도 지은지 몇년이 지났는데 아직도 불꺼진상태
신도시에서~~~
@jukoli8928 4
2022년 4월 25일 20:22맞는 말씀입니다 도움 많이 되었습니다
@chan_ki 3
2022년 4월 27일 13:55무주택자분들 신중하셔야합니다 늦었지만 늦은게아니에요
내가족 내가 누워서잘 집하나는 있어야죠 ㅠ
@감나무-v4e 3
2022년 5월 06일 20:29집이 안팔려요
전세도 안나가요
월세도 안나가요
@정창헌-s2l 3
2022년 4월 23일 07:13상황이 바뀌어났보군요.
음.~~~ 사라고했는데.
ajqbb Kwon 3
2022년 4월 28일 03:11오늘 내용 공감합니다
집이 짐이라는 말씀 정말 경험해본 사람만이 알죠
저도 빚때문에 집 팔았지만
빚때문에 힘들고 집값 안 오를 때는 정말 집이 짐이었죠
바다 3
2022년 4월 24일 00:13일반인들이 부담없이 경매를 접할수있게 법을 완화해 달라고 건의해야합니다!
@jayb5950 3
2022년 4월 25일 14:19사람들 부동산 가격 생각할 때 고려 안하는 부분이 인플레이션입니다. 10년전 만원가치와 지금의 만원가치가 다른거처럼 화폐가치를 생각해야합니다. 근데 10년동안 집값이 그대로다? 그러면 사실상 집값이 떨어진것으로 봐야합니다. 이자내고 세금내고 감수했는데, 실질적인 가치는 떨어진거죠. 최근에 급격하게 2-3배 오른 부동산들 만큼 물가가 2-3배 올랐을까요?,,, 물가가 많이 오르긴 했지만 그정도는 아닙니다. 최근 부동산가격과 화폐가치에 괴리가 심하다고 볼 수 있는데, 가장 구매하기 위험한 시기라고 생각합니다. 특히나 금리 올리고 유동성 회수가 본격적으로 시작될텐데요...
@올킹-b2w 3
2022년 4월 23일 09:24주식이나 집에나 쌀때사세요 이자내고 살아보세요 스트레스 받아요 전 평생 대출이자내다 결국 헐값에팔앗엇는데 집소유에대해 별로 감흥없어요 자가가아닌 월세로 사는기분임 그러면서 세금다내고 언제다시오르나..오르면 매도는 할수있을까 .. 장기전세나 전세로 오래사는게 되는 시스템이 발달되길..
sun jang 2
2022년 4월 24일 20:43주택구입은 각자의 선택이라 생각합니다
전문가의 강의를 듣고 자신의 소신에 의해 결정 그리고 그에 따른 책임 역시 자신에게 있지요...말씀하신것처럼
그러나 지금 부동산 매수는 미친짓이라 생각되네요
Take over 2
2022년 4월 22일 21:18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지난일이라서 조금 웃을 수 있네요.
재미있게 시청하고 유익하게 얻고가요.
주보나 2
2022년 4월 26일 10:10홍춘옥 박사님 이제야 바른말하시네요
@brunchkim4197 2
2022년 4월 24일 00:56홍박사님 리치고 들서가면서부터 리치고 대표처럼 하락 스탠스로 변경...
엘리사벳씨튼 2
2022년 4월 23일 06:43참 미래가 많이 걱정됩니다
@재홍민-e8c 2
2022년 4월 24일 09:06이 글을 보실지 모르겠지만 저는 오늘 꿈을 꿨습니다. 김작가님과 무슨 이유에서인지 정말 모르겠지만 돈 스파이크님과 함께 무인도에서 살아남는 꿈을 꿨습니다. 저는 거기서 함께하는 카메라맨 이었습니다. 저는 카메라의 카자도 연관된 전공을 가지지 않은 한 학생입니다 . 다만 김작가님을 만나고 싶었을 뿐이었던 학생입니다. 이렇게라도 꿈에서 영접하여 정말 반가웠습니다. 언젠가 성공하여 이 댓글과 함께 추억을 공유했으면 좋겠습니다. 앞으로도 더욱 번창하여 슈퍼울트라 김작가tv가 되는 것을 저만의 방식으로 응원하겠습니다. 화이팅!!!
릭스만 2
2022년 4월 23일 01:35오늘도 좋은 내용 감사합니다
@shepherdjeong1266 1
2022년 5월 01일 11:59이분이 작년 1월에, 삼전이 한창 꿈에 부풀어 달리고있을때, 본인은 삼전 오를때마다 조금씩 처분하고 달러 사고 있다고 말하니 진행자가 놀랍다는 말투로 왜요? 라고 묻더군요.. 당시엔 삼전이 머잖아 20만원을 뛰어넘을 거라고 많은 사람들이 믿었었습니다. 지나고보니 홍춘욱 박사님 말씀이 옳았다는게 확인되었네요..
@용마이용마이 1
2022년 4월 27일 02:14한문도 교수님 초대해서 인터뷰 부탁드립니다
@Oldbigbrother 1
2022년 4월 26일 07:58실수요자 입장에서 요약하자면 "이자비용을 줄여라." 이말씀이네요.
@우리두리-f3s 1
2022년 5월 07일 10:34요즘 부쩍 부동산에 관심을 두고 영상을 보고 있는 1인입니다. 강의 잘 들었습니다. 감사합니다.
@왼손잡이요리 1
2022년 5월 11일 12:55잘 보고갑니다
@보라색색연필 1
2022년 5월 04일 19:17홍춘욱 박사님 좋아하는 분인데 이분 갑자기 손바닥 뒤집듯 뷰를 바꿔 버리내요 2~3달 전까지만 해도 사라고 했는데 2~3달 전에 집 계약하고 이번에 들어가는 분들 수고요~
karl popper 1
2022년 4월 24일 07:17박사님 ^^!! 잘 배웠습니다 ㅎㅎ 감사합니다 ^^~~
boo peeka 1
2022년 6월 16일 16:21부부싸움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아 춘옥이형 너무 조아아아ㅏ아아
InsightSoul_P 1
2022년 4월 24일 02:41주식 시장도 매일 오르고 내리듯이 모든 자산시장도 그때그때 상황에 맞게 대응해야합니다. 홍춘욱 박사님은 지금상황에 맞는 뷰를 말씀해주시는거구요. 저는 이분이 참 좋은게 유명한 경제전문가라고 해서 무조건 자기말이 맞다가 틀린건 감추는게 아니라 틀리면 틀렸다 바로 인정하는 솔직함과 진정성인것 같습니다. 어떤 유명한 이코노미스트가 나와서 개인의 매매실수를 아무렇지 않게 얘기할 수있을까요? 다 감추고 자기 잘난걱만 얘기하지요..
김예원 1
2022년 4월 27일 10:49목소리 편안하시고 내용도 너무 좋네요
체인지업
2022년 4월 23일 11:47고금리에 영끌들어갔는데 전세는 내리고 집값이 보합만가도 환장합니다 경험자입니다. ㅎㅎ 올해는 새정부기대심리로 살짝반등올거라고봅니다. 진짜 하락소리 는 내년부터시작하리라봅니다
서쪽에뜨는해
2022년 4월 25일 16:28명쾌하시네요~~
@디아잼땅
2022년 4월 27일 17:25마음이 다급해서 무리해서 사지 말라는 말씀이군요 ? 패닉바잉 하지마라 . 그러나 구체적인 계획과 능력이 되는 사람이라면 좋은 입지에 가격 방어될 수 있는곳에 사도된다.
지리산
2022년 5월 11일 11:09현실적인 멘트에 공감입니다
강봉래
2022년 4월 26일 21:34인정.
@aenihomes
2022년 5월 13일 09:317%는 8%든 우선 무조건 한채는 구매 하셔야지요 내리는 것보다 오르는 폭인 큰데 뉴스에 겁먹지 말고 사세요! 잘 봤습니다 😀 늘 배우고 갑니다.
jh s
2022년 4월 27일 08:51분상제도 국회 통과해야하는데.. 오히려 법개정은 양도세 해결하면 가장 큰건데..
@Nam_Aeri
2022년 4월 29일 19:55작년 10월쯤 미국주식 뇌동매수하고 지금 처참하게 물려있기 때문에 말씀하시는게 더 와닿음....
생활
2022년 4월 29일 18:223기 신도시가 27년? 29년?에 예정이란 말이 있는데, 솔직히 둔촌주공이랑 양도세중과배제로 인한 기존 매물 정도로 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을지 모르겠네요 ㅠㅠ 어려운 시장인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