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영상의 질문자 입니다. 제목만 보고 클릭했다가 조금 모자라 보이는 사람이 질문 하길래 깜짝 놀랐네요....
"근본적으로 잘 되는 방법" 이 어쩌면 개인의 성공과 관련있는 콘텐츠라 예상했다가 왜 갑자기 출산관련해서 말하지 의하해 하시는 분들이 있을까봐 질문과 답변에 살을 좀 붙여 보겠습니다. (글이 길어 질 수 있으니 마지막 요약만 보셔도 됩니다. 저는 제가 말하다가 "내가 지금 왜 이 이야기을 하고 있지" 안드로메다 방문을 자주 하는 스타일입니다)
1.소개
먼저 저에대해 간단히 소개드리면, 30대 중반에 시드에 살고 있고 직업은 트럭운전사(Truckie : AU Eng) 입니다. 취미는 달리기 턱걸이 독서이고 시드니에서 booklogue(책과 대화가 있는 곳) 독서모임을 운영중에 있습니다. 저를 처음 만나는 사람들이 가장 놀라는 부분이 제 직업인데요 (대화나 첫인상을 보고 유추해본 저의 직업 중에) 한 호주 사람은 세상에서 가장 마지막으로 예상해본 직업이었다고 하네요. 전공은 회계학이고 몇년 회계사 관련일을 하긴 했지만 트럭운전이 자기 개발에 매우 유리한 조건(운전하면서 하루종일 오디오북(전자책)을 들을 수 있음)이고 연봉이 나쁘지 않아 재밌게 하고 있습니다. 전문 분야는 없지만 할 줄 아는건 많은 그런 사람입니다.
2. 질문 보충 설명
다시 질문으로 돌아가, 영상에선 어리버리까며 출산율을 높이기 위한 신박사님의 의견이 무엇이냐는 맥락입니다. 이 질문의 하게 된 배경은, 호주는 출산/육아 휴직에 출산당사자는 18주(4달) 유급휴가가 법으로 보장되고 남성 혹은 동성 파트너는 2주의 유급휴가가 보장됩니다. 거기에 일년에 주어지는 4주 유급휴가를 더 하고 공휴일이 더하면 거의 반년을 출산 후 유급휴가가 가능하고 본인이 원한다면 1년 이상의 무급휴가도 보장됩니다. 하지만 노동법을 잘 지킨다는 평판이 있는 호주에서 조차 개인사업장이나 노동법을 준수하지 않는 많은 이민자 사장들은 존재하며 전직장에서도 출산을 앞둔 여직원이 권고사직을 당했습니다. 호주가 이정도인데 한국은 어떻지 심히 염려가 되네요.
출산은 혼자 살아도 괜찮다고 말하는 헤피 싱글후드족을 제외한다면 남녀 모두에게 영향이 가는 삶의 축복인데, 정부 정책과 기업문화가 그를 뒷받힘 해주지 못하니 한국은 극심히 낮은 출산율을 보이고 있습니다. 한 가지 기억하실 부분은 정부 통계 가임기 여성 출산율은 2018년 2월 인구동향조사에 의해 0.98로 1명도 안되지만 결혼을 한 여성의 출산율이 아니라 비혼, 미혼, 이혼, 사별 모든 가임기 여성이 포함된 수치이기 때문에 실제 결혼은 출산율은 그렇게 낮지 않습니다.
한국 정부는 지난 10년간 100조가 넘는 예산을 쏟아 붙는데도 점점 떨어지는 출산율에 저는 그렇다면 정부의 출산/육아 정책이 잘 못된 정책 때문이 아닐까 생각해서, 그렇다면 내가 정부 예산 대비 가시적 효율이 높은 정책을 만들면 되지 않을까라는 희망을 가지고 신박사님은 어떤 아이디어가 있나 떨어지는 꿀 빨아먹으려는 심정으로 질문을 했습니다.
3. 답변에서 얻은 것
박사님의 대답은 정부의 정책은 관련 분야 종사자가 아니라 답을 주기엔 조심스러운 부분이 있고, 출산/육아를 장려하고 여성의 커리어 발전에 부정적 영향이 미치지 않는 기업문화가 자리 잡는게 먼저라고 말씀하시네요. 그에대해 저는 그렇다면 실력있고 집안내력이 좋아서 결국 이 부분도 부익부 빈익빈이 발생하지 않느냐고 반박했고, 박사님은 선순환구조에 의해 좋은 기업이 더 잘되고 더 많은 고용창출이 발생하는 시나리오를 말씀하셨습니다. 소외받는 사람들에 관해서 정부의 정책이 약간은 도움이 되어주지 않을까 싶네요.
여기서 정말 대단한건, 아무리 좋은 아이어도 실천하지 못하면 무용지물이 되지만, 신박사님은 당장 구체적으로 체인지그라운드, 더비 등에 적용하고 실천하고 계십니다! 세상에 안티프레질한 사업가이면서 동시에 늘 배우고 공부하는 자세를 가진 사람이 거의 없는데 여기 제 눈앞에서 보고 듣고 배우게 되는 제 삶에 찾아온 큰 행운에 진심으로 감사하는 마음입니다. 실력은 졸꾸와 집중에서 온다는 신박사님의 영상처럼 제대로 된 실력을 키워 실천 가능한 정책을 만드는데 기여해야 겠다 다짐합니다.
4. 영상과 제 댓글 요약
영상의 제목 "근본적으로 잘 되는 방법"의 대상은 개인뿐만 아니라 국가와 기업을 망라한 우리 사회의 모든 부분을 포함하고 있으며, 세계적 추세로 답이 없어 보이는 저출산 및 악습이 팽배한 한국의 기업문화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이기적 이타심을 가진 졸꾸라기와 졸번져스가 실력자가 되어 건강한 기업문화를 만들어야 한다. 영상의 내용은 신박사님이 현실적으로 어떻게 실천 하고 있는지 설명해줍니다. 건강한 기업문화는 개개인의 행복과 국가재정 안정화 등의 선순환 구조를 가지게 된다.
덧.
미국드라마 웨스트 윙(The West Wing)에서 공보수석 토비 지글러가 바에서 술을 마시다가 옆자리에 있는 백인 중산층 중년의 남성과 대화를 하게 됩니다. 아이들 학비와 생활비를 감당하기가 힘들다는 그의 말에 토비는 대학생 자녀를 둔 가정을 위해 작은 정책을 하나 만들어 냅니다. (자사한 내용은 이 미드를 보기를 추천합니다) 그리고 술집에서 만난 그 중년의 아저씨에게 전화 걸어 이런저런 정책이 실현될꺼라 알려주었고 아저씨는 너무 기뻐하며 고마움을 전합니다. 정치는 우리의 지갑과 통장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칩니다. 나쁜놈들의 쇼가 아니라 내 계좌의 숫자가 바뀔 수 있다는 의식을 가지고 다가오는 국회의원 선거에 현명한 선택을 해보시는게 어떨까요?. 투표 하시라구요ㅋㅋㅋ
@colornote1 6
2020년 3월 05일 10:31선순환의 조건은 서로에게 이익을 바라지않고, 서로 헌신하려는 자세라 생각합니다.
이미 신박사님 회사의 환경은 완벽한 것 같네요 ㅎㅎㅎ 이제는 구성원의 내적 의식의 변화가 중요하지않을까 싶네요!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 리더가 끝까지 구성원을 격려해가는 것이 올바른 방향이라고 믿고 싶습니다. 현실적이지 않을 수 있으나 경쟁시대의 이 험난한 삶에 이런 인간다움을 조금씩 심어나가는 저희가 되면 어떨까요~~~!!:D 저부터도 열심히 하겠습니다!!👍💪🤪 ㅎㅎㅎ
@아젠다프리 4
2020년 2월 27일 08:00제도보다 의식구조가 먼저라. 개인에게도 적용해볼수 있겠군요
@최영광-c2n 3
2020년 2월 27일 08:02시드니에서 원하시는 꿈,목표 멋지게 이루세요. 오늘도 통통퇴는 신박사님 목소리에 기운이 솟아납니다.
감사합니다!
@junok1574 3
2020년 2월 27일 11:44여긴 코로나 안전한가요?? 요즘 사람들 모이는 곳은 불안해 보여서요...
장미꽃향기 3
2020년 2월 27일 07:41#자작시
희망가
슬프게 퍼져가는 바이러스의 끝이여
이 풍진 세상에 너와의 공존아래 경계심을 갖는다
마음 아플일 없도록 희망가 한소절 따라 부른다
부귀영화도 다 필요없는
살아서 오직 남고 싶은 이기심 가득한 아상이여
살고죽음 앞에 나약한 존재임을
인정할 수 밖에 없음을 알면서도
영원히 살것처럼 착각과망각에 빠져 살아가다가
문득 작은 바이러스 하나에도 꼼짝 못하는
신세에 푸르르 작은 상실감에 온몸을 떨어본다
희망가 로 마음을 녹이고 마음에 평온을
찾아 보지만 온세상에 퍼져가는 일들이
자꾸만 겁나게 신이 주는 경고 메세지인냥
마음이 무겁게 시계추 떨어지듯이 떨어져만 간다
병들고 아픈건 자연만이 아니다
사람들의 마음도 바이러스도 마찮가지로
아픔과설움을 싣고 자꾸만 퍼져나간다
【개인직캠】 정동원 - 희망가 🔥미스터트롯 기부금 팀미션 패밀리가 떴다🔥 - YouTube - https://m.youtube.com/watch?v=4008DvKQ2ug#
@whilewearehappy3734 2
2020년 2월 27일 10:01현실세계에선
구글을 추구하지만
결국은 아마존 같이 무서운 경쟁력
있는 집단이 이기죠
정신은 구글처럼
행동은 아마존 처럼
독해야 살아남는 세상 ㅜㅜ
@acthudy1929 2
2020년 2월 29일 10:32안녕하세요 영상의 질문자 입니다.
제목만 보고 클릭했다가 조금 모자라 보이는 사람이 질문 하길래 깜짝 놀랐네요....
"근본적으로 잘 되는 방법" 이 어쩌면 개인의 성공과 관련있는 콘텐츠라 예상했다가 왜 갑자기 출산관련해서 말하지 의하해 하시는 분들이 있을까봐 질문과 답변에 살을 좀 붙여 보겠습니다. (글이 길어 질 수 있으니 마지막 요약만 보셔도 됩니다. 저는 제가 말하다가 "내가 지금 왜 이 이야기을 하고 있지" 안드로메다 방문을 자주 하는 스타일입니다)
1.소개
먼저 저에대해 간단히 소개드리면, 30대 중반에 시드에 살고 있고 직업은 트럭운전사(Truckie : AU Eng) 입니다. 취미는 달리기 턱걸이 독서이고 시드니에서 booklogue(책과 대화가 있는 곳) 독서모임을 운영중에 있습니다. 저를 처음 만나는 사람들이 가장 놀라는 부분이 제 직업인데요 (대화나 첫인상을 보고 유추해본 저의 직업 중에) 한 호주 사람은 세상에서 가장 마지막으로 예상해본 직업이었다고 하네요. 전공은 회계학이고 몇년 회계사 관련일을 하긴 했지만 트럭운전이 자기 개발에 매우 유리한 조건(운전하면서 하루종일 오디오북(전자책)을 들을 수 있음)이고 연봉이 나쁘지 않아 재밌게 하고 있습니다. 전문 분야는 없지만 할 줄 아는건 많은 그런 사람입니다.
2. 질문 보충 설명
다시 질문으로 돌아가, 영상에선 어리버리까며 출산율을 높이기 위한 신박사님의 의견이 무엇이냐는 맥락입니다.
이 질문의 하게 된 배경은, 호주는 출산/육아 휴직에 출산당사자는 18주(4달) 유급휴가가 법으로 보장되고 남성 혹은 동성 파트너는 2주의 유급휴가가 보장됩니다. 거기에 일년에 주어지는 4주 유급휴가를 더 하고 공휴일이 더하면 거의 반년을 출산 후 유급휴가가 가능하고 본인이 원한다면 1년 이상의 무급휴가도 보장됩니다. 하지만 노동법을 잘 지킨다는 평판이 있는 호주에서 조차 개인사업장이나 노동법을 준수하지 않는 많은 이민자 사장들은 존재하며 전직장에서도 출산을 앞둔 여직원이 권고사직을 당했습니다. 호주가 이정도인데 한국은 어떻지 심히 염려가 되네요.
출산은 혼자 살아도 괜찮다고 말하는 헤피 싱글후드족을 제외한다면 남녀 모두에게 영향이 가는 삶의 축복인데, 정부 정책과 기업문화가 그를 뒷받힘 해주지 못하니 한국은 극심히 낮은 출산율을 보이고 있습니다. 한 가지 기억하실 부분은 정부 통계 가임기 여성 출산율은 2018년 2월 인구동향조사에 의해 0.98로 1명도 안되지만 결혼을 한 여성의 출산율이 아니라 비혼, 미혼, 이혼, 사별 모든 가임기 여성이 포함된 수치이기 때문에 실제 결혼은 출산율은 그렇게 낮지 않습니다.
한국 정부는 지난 10년간 100조가 넘는 예산을 쏟아 붙는데도 점점 떨어지는 출산율에 저는 그렇다면 정부의 출산/육아 정책이 잘 못된 정책 때문이 아닐까 생각해서, 그렇다면 내가 정부 예산 대비 가시적 효율이 높은 정책을 만들면 되지 않을까라는 희망을 가지고 신박사님은 어떤 아이디어가 있나 떨어지는 꿀 빨아먹으려는 심정으로 질문을 했습니다.
3. 답변에서 얻은 것
박사님의 대답은 정부의 정책은 관련 분야 종사자가 아니라 답을 주기엔 조심스러운 부분이 있고, 출산/육아를 장려하고 여성의 커리어 발전에 부정적 영향이 미치지 않는 기업문화가 자리 잡는게 먼저라고 말씀하시네요. 그에대해 저는 그렇다면 실력있고 집안내력이 좋아서 결국 이 부분도 부익부 빈익빈이 발생하지 않느냐고 반박했고, 박사님은 선순환구조에 의해 좋은 기업이 더 잘되고 더 많은 고용창출이 발생하는 시나리오를 말씀하셨습니다. 소외받는 사람들에 관해서 정부의 정책이 약간은 도움이 되어주지 않을까 싶네요.
여기서 정말 대단한건, 아무리 좋은 아이어도 실천하지 못하면 무용지물이 되지만, 신박사님은 당장 구체적으로 체인지그라운드, 더비 등에 적용하고 실천하고 계십니다! 세상에 안티프레질한 사업가이면서 동시에 늘 배우고 공부하는 자세를 가진 사람이 거의 없는데 여기 제 눈앞에서 보고 듣고 배우게 되는 제 삶에 찾아온 큰 행운에 진심으로 감사하는 마음입니다. 실력은 졸꾸와 집중에서 온다는 신박사님의 영상처럼 제대로 된 실력을 키워 실천 가능한 정책을 만드는데 기여해야 겠다 다짐합니다.
4. 영상과 제 댓글 요약
영상의 제목 "근본적으로 잘 되는 방법"의 대상은 개인뿐만 아니라 국가와 기업을 망라한 우리 사회의 모든 부분을 포함하고 있으며, 세계적 추세로 답이 없어 보이는 저출산 및 악습이 팽배한 한국의 기업문화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이기적 이타심을 가진 졸꾸라기와 졸번져스가 실력자가 되어 건강한 기업문화를 만들어야 한다. 영상의 내용은 신박사님이 현실적으로 어떻게 실천 하고 있는지 설명해줍니다. 건강한 기업문화는 개개인의 행복과 국가재정 안정화 등의 선순환 구조를 가지게 된다.
덧.
미국드라마 웨스트 윙(The West Wing)에서 공보수석 토비 지글러가 바에서 술을 마시다가 옆자리에 있는 백인 중산층 중년의 남성과 대화를 하게 됩니다. 아이들 학비와 생활비를 감당하기가 힘들다는 그의 말에 토비는 대학생 자녀를 둔 가정을 위해 작은 정책을 하나 만들어 냅니다. (자사한 내용은 이 미드를 보기를 추천합니다) 그리고 술집에서 만난 그 중년의 아저씨에게 전화 걸어 이런저런 정책이 실현될꺼라 알려주었고 아저씨는 너무 기뻐하며 고마움을 전합니다.
정치는 우리의 지갑과 통장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칩니다. 나쁜놈들의 쇼가 아니라 내 계좌의 숫자가 바뀔 수 있다는 의식을 가지고 다가오는 국회의원 선거에 현명한 선택을 해보시는게 어떨까요?. 투표 하시라구요ㅋㅋㅋ
@함께걷기-f2k 2
2020년 2월 27일 08:42우리가 불완전함을 깨달아야 완전함으로 한발짝 나아갈수 있는거 같네요. 좋은회사! 짧지만 강한 울림이있습니다
@universalhealthcommunityTV 2
2020년 2월 27일 07:55감사합니다 덕분입니다 최고이십니다
@BaekJongmoonTV 1
2020년 2월 27일 08:07신잡스 신박사님안녕하세요💕
오늘 영상!
♡근본적으로 잘 되는방법♡
오늘도 눈물나는 영상 감동받었습니다. 신박사님👍 삶에철학 풍부한지식 울덜이가저야할 마음자세 감동받았습니다 확고하신 신념에 많은것을 배웠습니다
말씀도 뼈가있고 진실이있는 말씀 큰배움을 배운 영상 감사합니다😂😂😂😁😁😁😁👍👍👍👍👍👍👍👍👍👍👍
@미블리-u1i 1
2020년 2월 27일 15:46역시👍👍👍👍
@태리-x9u 1
2020년 2월 27일 14:34와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Sh-ey7cj 1
2020년 2월 27일 11:239:05
@김한숙-q7t
2020년 2월 28일 19:27선순환이 일어나도록 구조를 만드는 것이 핵심이네요. 박사님^^
Yohan kim
2020년 2월 28일 21:51인생에 대한 가치관에 너무 공감합니다 :) 항상 적절한 조언 감사합니다!
@헬피명옥
2020년 3월 06일 11:09공개 데이트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