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공황 때 하락 하는 와중에도 상승기 때 스타가 된 소위 전문가라는 작자들이 저점 매수의 기회라고 떠들었었지.. 그리고 그길을 따랐던 이들 중 상당수가 자살했다.. 1~2년 오른다고 기뻐하다가 30년 빚더미에 나락 간다.. 상투에 사라고 펌프질 하는 인간들은 살인마와 다를 바 없다. 영원히 자라는 나무는 없다는 사실을 명심하시길...
1:16:44 지금 사태 파악이 안 되는 건지, 아니면 끝물 보고 달려들 부나방들 꼬시는 건지...2008년과 지금은 비교도 되지 않는다. 코로나 팬데믹, 우크라이나전쟁이 몰고온 인플레이션과 그에 따른 미국 금리 떡상, 달러 급등, 세계증시 폭락, 중국성장률 폭락 및 연쇄 디폴트...2008년엔 중국이 방파제역할을 해서 한국경제가 견뎠지만, 중국이 무너지면 특히 중국과 연동된 한국경제는 답이 없다. 1930년대 대공황 이후로 경험해 보지 못했던 충격이 올 것이다. 빚내서 집사면 곡소리 날 거예요.
이분이 간과 하는것 전세계적인 코로나 긴급경제로 양적완화의 저금리로 주택가격이 폭등한걸 전혀 모르고 계시는것 같은데 oecd국가중 가계부채가 최고의 나라 심각한 상태로 다시또 대출을 늘려 주고 가계부채를 증가시킬 배짱이 과연 새정부가 가지고 있을까?미국 연준은 빅스텝으로 간다는데 외국자본 쏠림 현상을 어떻게 감당 할건지 생각이나 하시는지 궁금 하네요 어떤 주택정책 보다 금리에는 못당한다 생각 합니다 저도 무주택자 에서 올해 겨우 졸업을 했지만 집값 인상이 대세가 아닙니다 망국의 지름길 입니다 청년들이 왜 결혼을 포기 하는지 아시나요?내집값 올랐다고 박수치고 희희낙락 할때 많은 무주택자와 청년들의 한숨 소리가 끊이질 않습니다 인구 절벽시대 지난 30년 동안 사라진 초등학교가 3400개 그래도 집값이 폭등해야 좋은징조 그대들이 부를 이룰 결정적 찬스 인가요 한심들 하십니다
저는 근로소득이든 불로소든이든 뭐가 좋고 나쁘다 판단하지는 않는데, 너무 불로소득을 포장하는 댓글들이 많네요. 팩트는 근로소득은 서비스나 재화를 타인에게 제공하고 그에 합당한 소득을 얻는 것이나 불로소득은 가치를 창출하거나 누구에게 제공하지 않죠. 오히려 가치를 상승시켜 차익을 얻는 것이므로 자기만을 위해 노동한다는 차이가 있습니다. 전체 사회 시스템에서 불로소득자는 최상위 포식자일수있으며 최상위 포식자만 있는 사회는 발전하지 못하고 무너집니다. 성공을 위해 성공하는 불로소득자가 되는게 정답이지만 과연 떳떳하다고 하기에는 무리가 있습니다
어차피 인생을 돌고도는 것이다. 지난 몇년간 명성을 얻었던 부동산 전문가들이 몇년내 다 사라지게 될지, 글로벌 유동성 축소에 기반을 두고 하락을 주장하고 있는 사람들이 다시 새로운 전문가로 나서게 될지. 나는 이번 부동산 사이클은 유동성에 의한 상승과 하락으로 보기에 15년부터 작년초까지 약 7년간 상승론자 였지만 작년에 다 정리하고 지금은 하락론자가 되었다. 어떤 무리들이 맞을지 지켜보자. 재밌는 시점이다.
버블은 대출이 많은 상태에서 돈못갚는 사람들이 많이 발생했을때 터지는겁니다 좋은위치 좋은 신축브랜드 아파트는 가격 안떨어집니다 특히 좋은 동 좋은 층은 더하겠지요 자유경제체제에서 희소성이 있는 것은 시간지날수록 가치가 높아지는겁니다 예를들어 옛날장난감 수집하는 사람들이 보관잘된 지금은 못구하는 장난감이 있을때 그걸원하는 사람들이 가격을 만드는겁니다 난키우는 사람들은 돌연변이에 꽃피우면 수천만원 수억까지 현금 거래합니다 운석은 구하기 힘들기에 고가에 거래합니다 희소성의 가격은 능력되는 한도까지 계속올라갈수 있단겁니다 하락론자들 무주택자들 좋은위치 좋은아파트가 가격 떨어지길 바라는데 이런아파트들은 50프로 떨어져도 못삽니다 50프로 폭락해도 이런아파트들은 최소 10억이상인데 대출도 막혀있는 상태에서 자재비와 인건비 물가는 계속 오르는 상황에서 현금 5억이상 보유안한다면 집 못사는겁니다 이걸 못깨달으면 평생 무주택으로 집산사람 배아파하며 비참하게 살게 될겁니다
지방 55평 8~9억 짜리 사고 싶습니다. 현재 자가 4~4억5천 집이 있고, 맞벌이 세후 월 1800인데, 부모님들 부양비가 많이 들어서 월지출 850정도입니다. 요즘 경기가 전반적으로 불안해서 걱정입니다. 저희는 사도 무리없겠지요? 사업자아니고 전문직월급쟁이라 급여는 유지될듯합니다. 청약이고 부동산이고 아무것도 안해놔서 후회스럽네요.
수능만점 97
2022년 4월 24일 20:00부읽남님 2년뒤 기대합니다 ㅋㅋㅋ
@사라야게따 86
2022년 4월 26일 23:18대공황 때 하락 하는 와중에도 상승기 때 스타가 된 소위 전문가라는 작자들이 저점 매수의 기회라고 떠들었었지..
그리고 그길을 따랐던 이들 중 상당수가 자살했다..
1~2년 오른다고 기뻐하다가 30년 빚더미에 나락 간다..
상투에 사라고 펌프질 하는 인간들은 살인마와 다를 바 없다.
영원히 자라는 나무는 없다는 사실을 명심하시길...
@dylee1473 77
2022년 4월 25일 05:14예전 IMF에 금리에 죽어나간 사람이 얼마나 많았는데 금리인상을 쉽게 보내요
@제니스-l7c 70
2022년 4월 26일 06:20저는 투자로 인한 소득도 근로소득이라고 생각합니다. 투자의 기초가 근로소득에서 시작하기 때문입니다. 불로소득은 이 세상에 없습니다. 그건 열심히 노력하여 부를 이룬 사람들을 시기 질투해서 나온 말일 뿐입니다.
도지리차량 57
2022년 4월 25일 07:44지금은 집 안사 꺼져? 시대인데...주위사람 돈 많아서 그런가? 서민 현실 모르네.. 레버리지 하락은 절망 인데..경험이 아닌 책읽고 말하는 느낌
@esther6116 56
2022년 5월 14일 00:3318년도에 절대로 전세살지 마라는 부익남님 유튜브 보고 아파트 청약 공부해서 당첨되고 그뒤로 아파텔 청약 당첨, 서울 재개발 빌라까지 샀어요. 일년에 하나씩 차근히 모았습니다. 감사드려요~^^
@씨튜브유발련 55
2022년 4월 26일 01:55내가 보기엔
똘똘한 1채 빼고 싹다 집 팔았을거 같고
Only 유튜브 조회수팔이와 책팔이에 전념하고 있는거 같다.
즉, 끝물 장사
@ruby0712ppp. 46
2022년 4월 24일 21:09김작가님
유연한 진행과 질문
좋아요! 꾸~욱
@진용윤-e7u 46
2022년 4월 25일 17:25상승 이유만 얘기하는것을 보면
부동산 업자 냄새가 심하게 난다.
상승. 하락 요인은 수십가지가 넘는데
균형감이 없는 아쉬움이 있다.
,가파르게 많이 상승하면 하락폭도 크다,
불변의 진리임을 명심해야 한다.
@bsthemax8504 43
2022년 4월 27일 01:05확실히 상승론 성향이 강하긴 하시구나
@이계신장-888 40
2022년 4월 25일 11:1320대 후반인데요. 가격이 너무 올라 포기하고 돌아보니 집을 포기해도 그 돈으로 투자할 곳도 많고 할수 있는것들이 너무 많더라구요.
그동안 집한채 가스라이팅 당한게 아닌가 싶습니다.
손에 닿을만한 가격일때는 대출해서라도 사고 싶었는데 너무 멀어져 포기하고 나니 왜 그렇게 집한채에 연연했는지 모르겠습니다. 이젠 손에 닿을 가격이 와도 안사요. 생각이 달라졌거든요
생갈치1호의행방불명 39
2022년 4월 26일 01:35모두 자본가가 될 수 없는 정교한 시스템이란 말에 동의. 다수가 노동자여야 세상이 굴러갈테지.. 그래서 그냥 투자자가 아니라 실패하지 않는 투자자가 되어야 한다.
@davidyan815 34
2022년 4월 28일 00:471:16:44 지금 사태 파악이 안 되는 건지, 아니면 끝물 보고 달려들 부나방들 꼬시는 건지...2008년과 지금은 비교도 되지 않는다. 코로나 팬데믹, 우크라이나전쟁이 몰고온 인플레이션과 그에 따른 미국 금리 떡상, 달러 급등, 세계증시 폭락, 중국성장률 폭락 및 연쇄 디폴트...2008년엔 중국이 방파제역할을 해서 한국경제가 견뎠지만, 중국이 무너지면 특히 중국과 연동된 한국경제는 답이 없다. 1930년대 대공황 이후로 경험해 보지 못했던 충격이 올 것이다. 빚내서 집사면 곡소리 날 거예요.
@Rhyso-gk1zf 32
2022년 4월 26일 03:05부읽남의 전달력은
정말 타의 추종 불허.
@SEVEN707_NO.1 32
2022년 4월 25일 03:08부읽남님. 영상 잘 봤습니다.^^
김작가님이 옆에서 구독자가 궁금한 부분을 질문하는 모습이 넘 센스가 있네요.
감사합니다.^^
@이채우-b8p 31
2022년 5월 03일 01:29몇년전에는 부읽남이 주장한 부분들이 시기에 맞게 투자가 되었던 부분은 맞지만, 지금 시기에는 주장하는 부분들이 지금까지 쌓아온 명성에 우려가 될까 걱정스럽습니다!
오르다보면 내려올줄도 알고, 내려가다보면 오르는 날 또한 기대할 줄 알아야 하는데,
주장하는 부분이 편향되었네요
안타깝습니다
@서민성-y6v 29
2022년 4월 25일 00:57전 너무나 공감해요 계속 좋은말씀 해주세요
여름안에서 26
2022년 4월 25일 12:13보험 이야기 완전 동의 합니다. 결국 모드건 확률이야...
@김재용-n6k 26
2022년 5월 11일 20:34이분이 간과 하는것 전세계적인 코로나 긴급경제로 양적완화의 저금리로 주택가격이 폭등한걸 전혀 모르고 계시는것 같은데 oecd국가중 가계부채가 최고의 나라 심각한 상태로 다시또 대출을 늘려 주고 가계부채를 증가시킬 배짱이 과연 새정부가 가지고 있을까?미국 연준은 빅스텝으로 간다는데 외국자본 쏠림 현상을 어떻게 감당 할건지 생각이나 하시는지 궁금 하네요 어떤 주택정책 보다 금리에는 못당한다 생각 합니다 저도 무주택자 에서 올해 겨우 졸업을 했지만 집값 인상이 대세가 아닙니다 망국의 지름길 입니다 청년들이 왜 결혼을 포기 하는지 아시나요?내집값 올랐다고 박수치고 희희낙락 할때 많은 무주택자와 청년들의 한숨 소리가 끊이질 않습니다 인구 절벽시대 지난 30년 동안 사라진 초등학교가 3400개 그래도 집값이 폭등해야 좋은징조 그대들이 부를 이룰 결정적 찬스 인가요 한심들 하십니다
@imyourlab 25
2022년 4월 24일 19:01부읽남님 항상 친절한 설명 감사드립니다~~!!
@lucky_tv 24
2022년 4월 25일 12:44🌟 『부동산 읽어주는 남자, 정태익 대표_4부작』 풀버전을 업로드 했습니다.
투자에 중요한 내용이 많으니 즐거운 시청되시기 바랍니다.
📚 김작가 『럭키』 양장 특별판: https://bit.ly/3mnVYDq
🌟 김작가 『자기계발』 강좌: https://bit.ly/3LbB5oE
@형배-l6y 20
2022년 4월 26일 17:33저는 근로소득이든 불로소든이든 뭐가 좋고 나쁘다 판단하지는 않는데, 너무 불로소득을 포장하는 댓글들이 많네요. 팩트는 근로소득은 서비스나 재화를 타인에게 제공하고 그에 합당한 소득을 얻는 것이나 불로소득은 가치를 창출하거나 누구에게 제공하지 않죠. 오히려 가치를 상승시켜 차익을 얻는 것이므로 자기만을 위해 노동한다는 차이가 있습니다. 전체 사회 시스템에서 불로소득자는 최상위 포식자일수있으며 최상위 포식자만 있는 사회는 발전하지 못하고 무너집니다. 성공을 위해 성공하는 불로소득자가 되는게 정답이지만 과연 떳떳하다고 하기에는 무리가 있습니다
@신금정-w4k 20
2022년 4월 25일 15:13김작가는 제가 좋아하는 스탈예요
멋져요
@bbnjung6773 19
2022년 4월 25일 14:31김작가님 역시 진행이 참 좋으시네요.
말씀을 정말 잘 듣고 계시구나 하는 생각이 듭니다. 진행을 위한 진행이 아닌, 잘 듣고 필요한 질문을 놓치지 않고 해주시는거 같아요.
부읽남의 꼼꼼하고 성의있고 진심이 느껴지는 내용도 너무 좋구요.
너무 감사합니다. 유익한 내용 잘 보았습니다!
좋은 컨덴츠 만들어주시고 진행해주신 김작가님께도 감사합니다.
@miniS-g7k 19
2022년 4월 30일 18:10그래도 젊은이들은 열심히 일하는 근로소득도 중요하단걸 알아야는데 요즘은 일안하고 자본소득만을 향하고, 그 쪽 정보들만 남발하는듯 합니다. 그게 문제인듯해요
적당히 노년층도 젊은이들에게 자산을 갖게끔 놓기도 해야는데 움켜쥐는것도 문제구요
@ruby0712ppp. 18
2022년 4월 24일 19:29부읽남님 훈훈 하시네요
그래도 우리 김작가님에 한 표!
우쭈쭈 ~
유흥아 17
2022년 4월 25일 21:53되게 조심스럽게 얘기하시네요. ㅋㅋㅋ변하셨네요
박상준 17
2022년 4월 25일 01:13윤석열 정부가 들어서도 국회가 여소야대라서 법률안 제.개정을 못하니 결국 2024년 총선까지는 혼조세가 되지 않을까요?
24년 총선 결과에따라 확실한 방향성이 정해 질 것이라 생각합니다.
@gunchanpark1051 16
2022년 4월 25일 09:51부읽남의 분석에 무릎을 팍하고 칩니다.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부읽남의 분석을 들으면서
책을 사서 봐야겠구나 생각했습니다.
잃고 공부하도록 하겠습니다.
닉네임을바꿔주세요 16
2022년 4월 28일 17:03상승하니까 영끌해서 사세요
@김민희-g1d1y 14
2022년 4월 26일 18:18대단하십니다.책까지...
@bkkim2833 13
2022년 5월 03일 07:58■ 철근 , 시멘트, 노가다 일당, 주택 보유세, 모두 오르는데...집값이 떨어지는게 말이 되나 ■
@wooseoklee178 13
2022년 4월 26일 23:03오르지 않으면 굳이 지금 살필요가 있나요?
사천남 12
2022년 4월 24일 22:13감사합니다우크라이나의희망과평온이있길기원합니다
@mikong5823 12
2022년 4월 28일 11:31금리는 상관없이 오를까요 집값이?
@보라보라-f5s 11
2022년 4월 25일 12:17결론은 미국이야..
오늘도 미국집값올랐다고 기사나오던데.
결국 미국 집값이 버블로 떨어지면 우리도 못버티겠지..
눈꽃 11
2022년 5월 03일 22:07보험은 있어야한다고 생각해요 의료민영화될가능이 다분하기에 가족력이 있다면 꼭필요해요
@코코낸내-t5u 10
2022년 5월 04일 13:37윤서결은 애매한 이유가 기준과 아무런 대책이 없거든요
들어가서 지 편안한 집 찾는데만 관심있지요
아따 10
2022년 4월 30일 03:13저도 과도한 보험납부하다 손해보고 해약 지금은
보험 없어요
의견 동감합니다
잘 살고 있습니다
@정의-g6y 10
2022년 4월 26일 04:08눈물 왈칵 ㅎ 맞아요~ 건강 잃고 자존감 저하에 인간관계 끊김 .. 외롭고 고통스러운 ~^^;;
알렉스 9
2022년 4월 24일 22:34새로운 정부가 들어서면
다 해결될 것 같다는 희망은 좋은데요
지금부터 2년까지는 상승하나
이후엔 어찌될까 우려되네
@1베일리 9
2022년 4월 24일 19:58부읽남님 섬섬옥수~ ✋ 🤲 🤟 👋
@mjkim4776 9
2022년 5월 21일 10:11지금 아파트 사야겠다 생각하는 사람 있을까요ᆢ페널이 상승을 바라는 본인의 희망이ᆢ
억지스럽네요
@박숙희-t5r 8
2022년 4월 28일 06:22김작가님도 귀여운 미남이십니다.^^~~
@판코르 8
2022년 5월 15일 11:59어차피 인생을 돌고도는 것이다. 지난 몇년간 명성을 얻었던 부동산 전문가들이 몇년내 다 사라지게 될지, 글로벌 유동성 축소에 기반을 두고 하락을 주장하고 있는 사람들이 다시 새로운 전문가로 나서게 될지. 나는 이번 부동산 사이클은 유동성에 의한 상승과 하락으로 보기에 15년부터 작년초까지 약 7년간 상승론자 였지만 작년에 다 정리하고 지금은 하락론자가 되었다. 어떤 무리들이 맞을지 지켜보자. 재밌는 시점이다.
@애기쿼카 7
2022년 4월 24일 21:19굳~♥
@박주현-y6p 6
2022년 5월 06일 00:54부읽남님 애독자입니다 존경합니다
Joy Joy 6
2022년 5월 21일 14:04부읽남님이랑 너나위님 두 분다 존경합니다!! 두 분 덕분에 작년 가을에 제 수준에서 최고 아웃풋인… 경기도에 있는 작은 평수 구축 아파트를 매매했습니다~ 정말 너무 감사드려요!!
Escape Seoul 6
2022년 4월 24일 19:00잘 봤습니다.
@flacko7274 5
2022년 5월 05일 04:45감놔라 배놔라 할 수 없어요. 누군가의 의견에 절대적으로 의존해서 본인의 투자를 결정한다면 그 결과가 오르던 내리던 누구를 탓할까요?
저는 최소한 느꼈어요
잘 되면 내탓, 안되면 남탓.
이게 우리나라 국민성이고 수많은 댓글에서 느껴집니다.
저분의 말대로 오르면 어쩔거고 내리면 어쩔건데요? 본인 맘대로 하세요. 본인의 잘못된 투자를 누군가의 탓으로 돌리지 마세요.
아무도 본인의 선택을 시킨적 없습니다
이 영상을 연말까지 박제하고 두고보자고요?
오르면 어쩔거고 떨어지면 어쩔건데요?
니가 뭘 할 수 있는데요..?
@kyik-h7h 5
2022년 4월 24일 21:16채널 주인에겐 미안하지만 김작가님이 더 잘생기셨지
@최미희-r3k 5
2022년 5월 10일 06:11정태익대표님 2011년도에 첫투자를 시작하셨다니
그때 부동산투자에 관심이 있어더라먼 얼마나 좋았을까ㅠ
2011년 종자돈 1억7천 정도
하이투자정권에 넣어놓은 상태였거던요 ㅜ
이제라도 부읽남님 알게되어 감사합니다
@tv-5004 5
2022년 5월 09일 21:03부동산 투자를 위한 수많은 정보와 조언이 많지만,
그속에서 분별있게 진정한 롱런을 위한 투자를 함에 있어 항상 부읽남님과 김작가님의 컨텐츠가 큰 도움이 됩니다. 감사합니다 :)
금운수 5
2022년 4월 24일 19:08빠숑도 초대하시면..
@yongsooparkable 4
2022년 5월 20일 06:16우리 형들이 대출 막아서 집값급등한다고 조회수 열심히 올리더니 이제와서 헛소리를 시전하네 ㅋㅋ 이런 인간때문에 여럿 피보는거지.
몰러 4
2022년 5월 05일 07:27버블은 대출이 많은 상태에서 돈못갚는 사람들이 많이 발생했을때 터지는겁니다
좋은위치 좋은 신축브랜드 아파트는 가격 안떨어집니다 특히 좋은 동 좋은 층은 더하겠지요
자유경제체제에서 희소성이 있는 것은 시간지날수록 가치가 높아지는겁니다
예를들어 옛날장난감 수집하는 사람들이 보관잘된 지금은 못구하는 장난감이 있을때 그걸원하는 사람들이 가격을 만드는겁니다
난키우는 사람들은 돌연변이에 꽃피우면 수천만원 수억까지 현금 거래합니다
운석은 구하기 힘들기에 고가에 거래합니다
희소성의 가격은 능력되는 한도까지 계속올라갈수 있단겁니다 하락론자들 무주택자들 좋은위치 좋은아파트가 가격 떨어지길 바라는데 이런아파트들은 50프로 떨어져도 못삽니다 50프로 폭락해도 이런아파트들은 최소 10억이상인데 대출도 막혀있는 상태에서 자재비와 인건비 물가는 계속 오르는 상황에서 현금 5억이상 보유안한다면 집 못사는겁니다
이걸 못깨달으면 평생 무주택으로 집산사람 배아파하며 비참하게 살게 될겁니다
모모 4
2022년 5월 01일 16:43공감 가는 부분도 있지만 너무 극단적이시네요 물론 다양한 의견 존중 합니다
@2473marine 3
2022년 5월 03일 09:54맞습니다~감사합니다^^
@아무나-e7p 3
2022년 5월 08일 16:19나이오십대중반 되보니 몸이 아프니 국민연금으론 안되겠다싶음
노터치 3
2022년 5월 09일 09:19보험은 적당히 들어놔야 한다고 봅니다.
부자들은 낮은 확율로 큰변에 걸렸다 해도
치료가 가능하지만 돈없는 사람들은 큰변에 걸리면 그냥 죽으라는 소리죠
Dong Soo Lee 3
2022년 4월 24일 19:12ㅋㅋ
쁘니이 3
2022년 4월 24일 20:58잘생김폭발
@올킹-b2w 3
2022년 4월 28일 19:19깁종갑의경제부동산도 보고 판단 다 들어봐요~~
케이밀라노 2
2022년 5월 19일 09:52인싸이트 명확한 부읽남
잇힝 2
2022년 5월 24일 00:33지방 55평 8~9억 짜리 사고 싶습니다.
현재 자가 4~4억5천 집이 있고,
맞벌이 세후 월 1800인데, 부모님들 부양비가 많이 들어서 월지출 850정도입니다.
요즘 경기가 전반적으로 불안해서 걱정입니다.
저희는 사도 무리없겠지요?
사업자아니고 전문직월급쟁이라 급여는 유지될듯합니다.
청약이고 부동산이고 아무것도 안해놔서 후회스럽네요.
@포그니-n8w 2
2022년 11월 22일 17:31남의 것을 빌려 쓰는 것
레버리지
자본주의
@세상세-333 2
2022년 5월 24일 12:20갭투자해서 집은 여러채인데 실거주가 해결안되니 진짜 아이키우기 힘드네요
아이한테 미얀하고 참..자다가도 내가 뭐하는건가...눈이 번쩍 떠지네요
102bin 2
2022년 5월 26일 08:32부읽남님은 그냥 목소리듣자마자 마음 편ㅡ안 ☺️
오오오 2
2022년 5월 15일 15:51내년부터 중국코로나 해제되면 중국사람들 한국에 집사서 이사들어올려고 대이주가 일어날겁니다. 수도권집값 폭등을 부채질할수도........
지금중국정부의코로나대처에 엄청난 불만을 가지고있기때문에 자유국으로 이민일어날거같습니다
@용희박-x5n 2
2022년 5월 16일 23:45혹시 아파트담보대출70% 언제 받을 수 있나요??^^
@용희박-x5n 2
2022년 5월 16일 23:39너무 너무 잘들었습니다 감사합니다~^^
김민선 1
2022년 4월 29일 03:26방송보고 제얘기같아 부끄럽네요!! 잘들었습니다
Daniel Jang 1
2022년 4월 24일 20:31부동산 규제를 전부 풀어야 안정될텐데. 차기 정부는 그럴 용기가 있을라나?
@이정민-u6q1y 1
2022년 5월 19일 08:19정말 맞는말씀 보험은 손해 제가 젊어서 지금보험 손해보고해약 투자 맞아요
@박소현-k5w9f
2022년 11월 17일 20:51업로드 한 날짜를 한참 듣다가 봤네요... 22년 하반기 집값 예삼... 완전히 엇나갔네요 ㅜㅜ
김정은
2022년 5월 03일 12:17잘 배웠습니다 자본소득 불로소득
Value
2022년 5월 12일 14:30미국도 발행한 달러만큼 금을 보유하지않고있는데... 금융위기가 터져도 전혀 이상할게없죠..
Jung나비야
2022년 7월 03일 18:01우려했던 7%대가 벌써 와버렸네요~~ 집사면 쪽박이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