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의 상관관계는 통계적으론 아주 흥미롭습니다. 하지만 인과적 상관관계로 보았을 때 2번 미국주식과 한국아파트 가격은 왜 관련이 있을까요? 1. 한국주식과 미국국채, 3. 한국주식과 정크본드는 둘 다 금리를 통해 금융적으로 음의 연관성을 갖는 것으로 보입니다. 하지만 2번은 어떻게 연관이 있는 것일까요?
하나 더 궁금한 것은 미국 금리가 높아지면 미국 채권의 가격은 낮아질텐데 이것이 왜 한국주식의 상승과 연관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제 생각에 미국 정책 금리를 높일 때가 언제인지 생각해보면 미국 소비가 너무 많을 때 돈을 흡수하려고 하는 것 같습니다. 그리고 미국의 소비가 많을 때 한국 회사의 수출이 늘어나니 주식 가격이 오를 것입니다. 제가 말한 과정은 동시에 일어나진 않지만 상관계수는 연평균값이므로 음의 상관계수가 나오는 걸까요?
이 영상보니 정말 고민해볼만한 자산군 전략이 많네요~~!! 감사합니다 :)) 박사님 한가지 궁금한게 있는데요. Junk본드나 미국주식 둘다 보통 위험자산으로 분류되는데요. 투자할 때 미국주식에 비해 Junk본드가 갖는 장점이 무엇인지 잘 모르겠어요~;;; 제가 보기에는 둘다 위험하다면.. 보통 수익률 측면에서는 미국주식에 투자하는게 나아보이는데요~ Junk본드에는 왜 투자하지~?라는 의문이 항상 생기네요~ 기회되실 때 한번 알려주세용~^^;;;
안녕하세요 영상 잘 보았습니다. 박사님께서는 미국 국채중에 ief를 주시하면서 보신다고 다른영상에서 하셨는데요. 단기채(SHY) 중기채(IEF IEI) 장기채(TLT) 이렇게 있는데 어떤걸 매수하는게 나을까요?? 주기적으로 주식과 리밸런싱을 할 계획인데 모두 미국국채라서 어떤걸 선택해야할지 모르겠습니다...
안녕하세요 박사님~ 좋은 영상 항상 잘 보고 있습니다! 저는 30대 초반으로 2년전부터 꾸준히 전세계주식(vt)를 정액식으로 매입 중입니다! 장기적으로 보면 주식의 수익률이 가장 높다고 생각하고 폭락장에서도 마음 단단히 먹고 버티려고해요. 자본주의가 유지된다면 가장 합리적인 논리라고 생각합니다. 그런데 최근에 4차 산업혁명 관련해서, 노동인구가 점점 줄어들고 그 일자리를 로봇과 ai가 대체할 것이며, 그것은 곧 '기본소득'을 받는 삶으로 연결될 것이라는 이야기들이 많이 들립니다. 만약 근미래에 우리 모두가 기본소득으로 생활이 가능한 시대가 정말로 온다면, 그 시대의 경제체제는 어떻게 변할까요? 짧은 생각의 질문입니다만 박사님의 고견을 들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나니 7
2020년 2월 27일 07:18미국국채+한국주식 반반 장기투자는 항상 옳았네요..
@papasmf1 3
2020년 2월 27일 21:52홍춘욱 박사님의 "돈 좀 굴려봅시다" 책을 읽고 나서 한국 아파트 + 미국 국채와 성장, 배당 주식에 투자하고 있습니다. 매년 투자 수익이 상당히 높은 편입니다. ^^ 늘 멋진 인사이트를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ㅎㅎ 박사님 책은 모조리 읽고 있습니다.
@hope_7 1
2020년 2월 27일 13:15그래프가 뭔가 이상한데 .....
한국부동산 하락시기 ㅇㄷ감?
한국 주식 횡보시기는??
@junyoungyoo3588 1
2020년 2월 27일 11:09오늘도 강의 정말 감사합니다~~!!
@레까-j7h 1
2020년 2월 28일 15:18영상의 상관관계는 통계적으론 아주 흥미롭습니다. 하지만 인과적 상관관계로 보았을 때 2번 미국주식과 한국아파트 가격은 왜 관련이 있을까요?
1. 한국주식과 미국국채, 3. 한국주식과 정크본드는 둘 다 금리를 통해 금융적으로 음의 연관성을 갖는 것으로 보입니다. 하지만 2번은 어떻게 연관이 있는 것일까요?
하나 더 궁금한 것은 미국 금리가 높아지면 미국 채권의 가격은 낮아질텐데 이것이 왜 한국주식의 상승과 연관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제 생각에 미국 정책 금리를 높일 때가 언제인지 생각해보면 미국 소비가 너무 많을 때 돈을 흡수하려고 하는 것 같습니다. 그리고 미국의 소비가 많을 때 한국 회사의 수출이 늘어나니 주식 가격이 오를 것입니다. 제가 말한 과정은 동시에 일어나진 않지만 상관계수는 연평균값이므로 음의 상관계수가 나오는 걸까요?
@Liesong710 1
2020년 3월 25일 16:55미국주식 + 미국채권은 어떤가요?
@도시탈출-g3g 1
2020년 2월 27일 07:47박사님 표현처럼 투자에 있어 한국은
해븐조선 맞네요ㅎ
@JUTOPIA
2020년 3월 04일 17:32개인적으로 미국주식/한국아파트 관계는 처음보네요.
영상 감사히 잘봤습니다 :D
@yonghunkim1909
2020년 2월 28일 01:07이 영상보니 정말 고민해볼만한 자산군 전략이 많네요~~!! 감사합니다 :))
박사님 한가지 궁금한게 있는데요. Junk본드나 미국주식 둘다 보통 위험자산으로 분류되는데요. 투자할 때 미국주식에 비해 Junk본드가 갖는 장점이 무엇인지 잘 모르겠어요~;;; 제가 보기에는 둘다 위험하다면.. 보통 수익률 측면에서는 미국주식에 투자하는게 나아보이는데요~ Junk본드에는 왜 투자하지~?라는 의문이 항상 생기네요~ 기회되실 때 한번 알려주세용~^^;;;
@choimike6272
2021년 1월 17일 03:51안녕하세요
영상 잘 보았습니다.
박사님께서는 미국 국채중에 ief를 주시하면서 보신다고 다른영상에서 하셨는데요.
단기채(SHY) 중기채(IEF IEI) 장기채(TLT) 이렇게 있는데 어떤걸 매수하는게 나을까요??
주기적으로 주식과 리밸런싱을 할 계획인데 모두 미국국채라서 어떤걸 선택해야할지 모르겠습니다...
@새로이냥
2020년 2월 27일 08:03와 오늘 영상 정말 도움 되었습니다. 주위에 영상 공유해야겠어요. 저만 알고 싶은 정보지만 ㅎㅎ 정크본드 궁금합니다!
@id5410
2020년 2월 27일 15:06안녕하세요 박사님~ 좋은 영상 항상 잘 보고 있습니다! 저는 30대 초반으로 2년전부터 꾸준히 전세계주식(vt)를 정액식으로 매입 중입니다! 장기적으로 보면 주식의 수익률이 가장 높다고 생각하고 폭락장에서도 마음 단단히 먹고 버티려고해요. 자본주의가 유지된다면 가장 합리적인 논리라고 생각합니다. 그런데 최근에 4차 산업혁명 관련해서, 노동인구가 점점 줄어들고 그 일자리를 로봇과 ai가 대체할 것이며, 그것은 곧 '기본소득'을 받는 삶으로 연결될 것이라는 이야기들이 많이 들립니다. 만약 근미래에 우리 모두가 기본소득으로 생활이 가능한 시대가 정말로 온다면, 그 시대의 경제체제는 어떻게 변할까요? 짧은 생각의 질문입니다만 박사님의 고견을 들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박종현-m4l7y
2021년 11월 27일 04:19교수님 포트폴리오 채권 안에 한국채권이 항상 미국채권과 같은 비율로 사라고 추천해주시던데 한국채권을 추천해주시는 이유가 있으신가요??
교수님 블로그를 보면 한국채권과 코스피가 - 0.83%로 코스피와 미국국채보다 음의상관계수가 높았지만 신뢰성은 떨어진다고하셨는데
한국채권이 포트폴리오에 들러가는 이유와 혹시 미국채권만으로 채권비율을 채워도되는지 여쭙고싶습니다
@팡팡-i7y
2020년 2월 27일 15:02장기채ETF상품 뭐가 좋을까요
@swy2499
2020년 2월 27일 09:19미국채혼합 etf로 장기투자하면 몸과 마음이 편하겠죠 박사님?
@주자왕파킹
2020년 2월 27일 23:20이런 꿀팁 감사합니다 :)
@HelloABAP
2020년 2월 27일 07:43요즘 같은 시기에는 미국 10년 이상 장기 국채와 1, 2년짜리 단기채 중에 뭘 사야 할까요? 금리가 상승기으로 돌아서면 장기채는 타격이 클 거 같은데.. 변동성 생각하면 코스피와 장기채가 균형이 맞는 거 같기도 하고요.. 고민이네요 둘 다 사야하나 ㅎㅎ
@funnycom-k
2020년 7월 01일 00:34박사님. 혹시 미국이 금리를 인상하던 주요 시기와 하락하던 주요 시기를 나누어서 한국 주식 지수와 상관계수를 분석한 결과도 알수 있을까요?~
@SamY-ho8ir
2020년 2월 27일 10:03서울 아파트를 가지신 분들은 그냥 미국 주식을 사면 되는 군요!. 서울 아파트 정말 필수로 가지고 있어야 겠어요.
@user-zq1jm8ek4r
2020년 2월 28일 01:00결론 : 한국주식 미국국채 / 한국아파트 미국주식은 항상 옳'았'다
이렇게 이해하면 될까요?
아파트의 경우엔 리밸런싱이 어려울텐데 어떻게 비중조절을 하는지도 궁금합니다
@minuto3008
2020년 3월 05일 07:07한국부동산과 미국주식의 역상관관계는 보여주신 그래프로는 2010년 이후에는 나타나지 않네요. 어쨌든 같이 오른 것 아닌가요?
@john-leeeee
2020년 2월 27일 21:05감사합니다 교수님~^^
반대로가는게 정말 궁금했었는데 쉽게설명 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guhwanoh
2020년 2월 27일 11:15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궁금한 점이 주식과 채권이 둘다 금리가 오르면 약세로 간다고 알고있는데 그러면 금리가 오르면 강세가되는 자산은 어떤게 있을까요?
@넓은바다-g1n
2020년 2월 27일 10:02오늘도 감사합니다 박사님~
@개구리-i9u
2020년 2월 27일 07:47잘 몰라서 질문이 이상할수도 있지만.. 저런 위기상황에 정크본드ETF는 가격은 상승하겠지만 ETF에 포함된 회사의 도산으로 인한 상폐 리스크는 없나요?
@minyoungrich7262
2020년 2월 27일 09:14감사합니다
@funnycom-k
2020년 3월 11일 17:26감사합니다~
@andddoful
2020년 2월 27일 12:29미국 금리가 0프로에 가까워 지는 시점에서, 미국 국채가 앞으로도 계속 우상향 할 수 있을까요?
@찡긋-p1f7z
2022년 1월 10일 13:00박사님. 궁금증이 풀리지 않는 부분이 있어, 댓글 남겨봅니다.
미국 채권 금리가 오르면 미국 채권 가격은 내려간다고 알고 있습니다. 그리고 한국 주식, 미국 주식도 내려가는 거로 알고 있어요. 그럼 미국 채권 금리가 오르면
한국주식, 미국주식, 미국 채권가격은 다 같이 하락하는 게 아닌지요?? 제가 어디서부터 잘 못 이해하고 있는 지 ..아무리 생각해도 잘 모르겠습니다..ㅠㅠ
@보노보노-f1v
2021년 9월 30일 23:55다시 봐도 재밌네요
@despairest
2020년 2월 27일 12:56최근 안전자산 관심이 많아질때 이런영상 자주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