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네 아픈 역사를 드디어 세계가 믿어주는 날이 오게 되었고 그 위대한 일을 한 개인이 이뤄냈다는 사실에 문화의 힘 이 얼마나 대단한지 느낍니다. 작가나 역사에 관한 평도 있었다면 좋았을텐데 다소 얕은 리뷰였단 개인적인 느낌이 있네요~ 우리나라와 일본만 의외로 조용하다는 기사를 본적이 있어 우리가 꼭 봐야 할 컨텐츠라고 생각이 듭니다~ 기
한국의 산업이 글로벌 경제 체제에서 누구도 무시할 수 없는 강력한 포지션을 확보했고 이를 바탕으로 경제력을 확보됐으니 자연스럽게 문화 창조력도 강화됐고 따라서 해외 문화콘텐츠 시장에서도 주목받고 성공할 수 있었던.... 전형적인 공진화적 사회발전 모델이 된 것으로 이해 함....
애플 TV 1위라고는 하지만 워낙 다른 OTT서비스보다 뒤쳐진 곳이고, 결국 국내소비자때문에 애플TV내에서만 1위가 된 것이라 씁쓸함. OTT TV 시리즈 통틀어서는, 토른토마토 20위 안에도 없고, IMDB에서는 100위중 84위, 100위 안에 든 2022년 33개 작품 중 29위.. 그나마 29위 한것도 국내 시청자들 덕분이 아닌가 싶음. 국내 소비자 빼면 거의 꼴찌.... 좀더 완성도 있고 재미가 있었으면 좋았으련만, 재미보다는 작품성에 치우쳐서인지 전세계인들이 그다지 많이 보질 않아서 안타까움. 먼가 재미와 감동을 줬어야했는데 소설보다는 히트를 못치고 있어서 많이 아쉬움. 국뽕이 애국심 고취차원에서는 바람직할수도 있지만 우리만의 잔치로 끝나지 않을까 안타까움. 모처럼 우리역사를 세계에 알릴 기회였는데... 어쩌면 애플이 우리 국뽕을 이용해서 가입자수 늘리려고 투자한 것이 아닐까하는 의구심도 듦. 차라리 우리 감독이 연출을 맡았으면 더 낫지 않았을까....
우리가 다른 나라 컨텐츠, 문화에 대해 가져야 하는 태도를 언급한 부분은 너무 맞는 말이지만 그마저도 불편함. 이미 우리는 늘 그렇게 살아왔고 오히려 너무하다싶을 정도로 우리것에 대해 인색해왔다고 생각함. 때로는 무분별하게 사대적이었고... 우리가 외면하고 미처 통찰하지 못했던 우리의 좋은 문화에 대해 충분히 인식하고 들여다 보는 게 지금시점에 너무 필요하다고 봄. 여지껏 그래왔듯 다른 문화들과 평화롭게 공존하려는 자세를 잃지 않으면서...
원작 소설이 고증이 잘된 역사교과서로 써도 되는 걸작품입니다. 이민진 작가가 26년에 걸쳐서 쓴 소설입니다. 직접 자이니치를 일본에 가서 살면서 인터뷰하고 역사 사료도 엄청 참고한 작품입니다. 작가가 원래 학부에선 역사학을 전공한 사람이죠. 원작이 워낙 탄탄하게 역사사료를 바탕으로 씌어진 좋은 작품이라 드라마도 잘되었다고 봐야죠. 물론 제작비도 한몫했겠구요...
근데 ott 전체 순위는 어떻게 확인해요? 넷플 아마존 디즈니 통합된 순위는 봤는데 애플은 빠져있어서... 공개된 첫날에 1위 한 건 알고 그 이후의 흐름이 궁금해서 찾아봤는데 도저히 안보여서요 그렇다고 공개빨 1위한 걸로 몇달간 홍보하진 않을 거 같은데 혹시 아시는 분
K 드라마의 장점중에 하나가 지혜롭게 삶을 살아가는것이 바로 선하게 베풀며 사는것이라는 교훈을 주기에 시청하는동안 마음이 따뜻해지기 때문에 보고 난후에 기분이 좋아지고 내가 위로를 받은것 같은 느낌이 들어서 라고 생각 됩니다. 50이 넘은 이나이에 BTS 를 보고 서로 아껴주는것이 많이 보여져서 많은 사람들이 좋아하곘구나 라고 생각했고 역시나 그 정점도 인기에 기여하지 않았나 싶네요. 영화볼때 보면서 스트레스를 받는영화가 있는데 이런 파칭코 같은 스토리는 참여운이 남고 아름다운 작품이라고 생각합니다.
한국에서 사는 영화편견과의 생각 의견이 소설을 쓰신분의 의미가 틀립니다. 유투부에 파친코 소설을 쓰신 인터뷰와 미국 MIT, Harvard, PBS 방송에 나와서 소설과의 말씀을 들어보셔야 겠어요. 파친코는 한인의 강제노동과 한북전쟁이 터져 고국으로 못돌아와 일본에서 차별로 삷의시련을 계인적 주인공으로 예기 하는말입니다. 소설과 김민지분이 자기는 한사람 으로써 슬푼역사로 개인의 한을 예기 하는것입니다. 소설과 김민지분의 인터뷰와 스피치 유투부에 보세요.
@당케당케 67
2022년 4월 29일 20:21한수도 선자도 아버지의 자식에 대한 무한한 사랑과 신뢰가 험난한 시대에 개인이 자존감을 지켜가며 버텨낼 수 있는 힘이었다고 생각합니다 이땅의 어머니 아버지들께 리스펙트
@criticcritic8361 35
2022년 5월 01일 20:35우리네 아픈 역사를 드디어 세계가
믿어주는 날이 오게 되었고
그 위대한 일을 한 개인이 이뤄냈다는 사실에 문화의 힘
이 얼마나 대단한지 느낍니다.
작가나 역사에 관한 평도 있었다면
좋았을텐데 다소 얕은 리뷰였단
개인적인 느낌이 있네요~
우리나라와 일본만 의외로 조용하다는 기사를 본적이 있어
우리가 꼭 봐야 할 컨텐츠라고
생각이 듭니다~ 기
언급
@yeotaehwan 15
2022년 5월 01일 09:23한국의 산업이 글로벌 경제 체제에서 누구도 무시할 수 없는 강력한 포지션을 확보했고 이를 바탕으로 경제력을 확보됐으니 자연스럽게 문화 창조력도 강화됐고 따라서 해외 문화콘텐츠 시장에서도 주목받고 성공할 수 있었던.... 전형적인 공진화적 사회발전 모델이 된 것으로 이해 함....
@ji-young4181 13
2022년 4월 30일 05:11김미경 선생님이 정말 평론가 같으세요!! 어휘 구사력이나 장면장면의 포인트를 정말 잘 뽑아내시네요!!! 김미경 선생님의 정돈되면서도 예리한 한마디 한마디, 파친코 만큼이나 흥미롭게 들었어요 👍👍
@premierheads 11
2022년 4월 30일 09:429:40 경계인으로 호치민에 살고있는데 요즘 베트남을 무조건 혐오하시는분들이 많은데.. 반성할것같은 내용이 들어 있네요...선생님 감사합니다.
@coincidence8 11
2022년 4월 29일 21:29미나리도 파친코도 관통하는게 주제가 인간됨인거 같아요
그동안 미국내에서도 너무 인종도 정치적으로 사회가 분열되고 각박해졌으니
서로간의 무너진 신뢰, 믿음때문에 한국인의 정을 너무 부러워 하는거 같아요
@그냥할머니 11
2022년 4월 30일 16:02경계인 !! 정말 가슴에 와 닿네요 ….
이주민에 대한 절실한 이해가 필요 할 듯…
@ehk5116 11
2022년 4월 29일 23:53정상적인세상이 아니었다라는 말씀이 너무 와닿네요
@yyk7202 9
2022년 5월 01일 16:30저희 집 책꽂이에도 파친코 도서가 새것 그대로 꽂혀있어요. 그냥 제목만 봐도 마음이 뭉클해 집니다. 오늘도 살자!
@Trisonss 8
2022년 5월 05일 21:28책을 읽으면 영화보다 열배이상 더 감동입니다
@아싸버디 7
2022년 4월 30일 09:19애플 TV 1위라고는 하지만 워낙 다른 OTT서비스보다 뒤쳐진 곳이고, 결국 국내소비자때문에 애플TV내에서만 1위가 된 것이라 씁쓸함. OTT TV 시리즈 통틀어서는, 토른토마토 20위 안에도 없고, IMDB에서는 100위중 84위, 100위 안에 든 2022년 33개 작품 중 29위.. 그나마 29위 한것도 국내 시청자들 덕분이 아닌가 싶음. 국내 소비자 빼면 거의 꼴찌.... 좀더 완성도 있고 재미가 있었으면 좋았으련만, 재미보다는 작품성에 치우쳐서인지 전세계인들이 그다지 많이 보질 않아서 안타까움. 먼가 재미와 감동을 줬어야했는데 소설보다는 히트를 못치고 있어서 많이 아쉬움. 국뽕이 애국심 고취차원에서는 바람직할수도 있지만 우리만의 잔치로 끝나지 않을까 안타까움. 모처럼 우리역사를 세계에 알릴 기회였는데... 어쩌면 애플이 우리 국뽕을 이용해서 가입자수 늘리려고 투자한 것이 아닐까하는 의구심도 듦. 차라리 우리 감독이 연출을 맡았으면 더 낫지 않았을까....
@최광식-l7c 6
2022년 5월 05일 22:30한국은 문화를 비벼내는 용광로인듯. 중국미국일본....모든문화들이 한국에 들어와서 점령하거나 사라지는게 아니고 한국의 정과합쳐 새로운 문화로 재탄생. 제일 한탄스러운일은 일본에의해 불살라진 책들 고서20만여권.....
@Natt327 6
2022년 4월 30일 18:33정 아라는 단어가 영어에 없잖아요 정서가… 파친코에서 kindness 라고 자막이 나오던데 care 에 가까운거 같애요 친절이라기 보다 내가 그 사람을 알든말든 본질적으로 우러나는 인간애 care … 자랑스럽네요^^ 백인들은 겁나 친절하나 정ㅇ ㅣ없죠
@그냥할머니 6
2022년 4월 30일 16:11엣날에 묻혀있던 손 때를 표현 …. 대박 ….
@circleok 5
2022년 5월 05일 14:07우리가 다른 나라 컨텐츠, 문화에 대해 가져야 하는 태도를 언급한 부분은 너무 맞는 말이지만 그마저도 불편함. 이미 우리는 늘 그렇게 살아왔고 오히려 너무하다싶을 정도로 우리것에 대해 인색해왔다고 생각함. 때로는 무분별하게 사대적이었고... 우리가 외면하고 미처 통찰하지 못했던 우리의 좋은 문화에 대해 충분히 인식하고 들여다 보는 게 지금시점에 너무 필요하다고 봄. 여지껏 그래왔듯 다른 문화들과 평화롭게 공존하려는 자세를 잃지 않으면서...
Calvin 5
2022년 4월 30일 19:52좋은 드라마 소개해주셔서 감사해요. 선생님 💯💯💯💯💯💫
@millie_cooktech 5
2022년 4월 29일 20:02당장 오늘 봐야겠네요^^
@moonriverh 5
2022년 5월 06일 13:49정덕현평론가님 글들 좋아하는데 영상도 흥미롭게 잘 봤습니다. 파칭코 책으로 읽는 중인데 시리즈도 보고 싶네요~^^
@starking9794 4
2022년 5월 08일 04:31원작 소설이 고증이 잘된 역사교과서로 써도 되는 걸작품입니다. 이민진 작가가 26년에 걸쳐서 쓴 소설입니다. 직접 자이니치를 일본에 가서 살면서 인터뷰하고 역사 사료도 엄청 참고한 작품입니다. 작가가 원래 학부에선 역사학을 전공한 사람이죠. 원작이 워낙 탄탄하게 역사사료를 바탕으로 씌어진 좋은 작품이라 드라마도 잘되었다고 봐야죠. 물론 제작비도 한몫했겠구요...
@소금돌이 4
2022년 4월 30일 18:22잘 듣고 갑니다…!
@culturetv6536 4
2022년 4월 30일 10:20두분의 말씀에 무척 공감되네요~구독 꾹♡
@남겨레-t4y 3
2022년 4월 29일 20:19저도 꼭 보겠습니다
@인아-p5p 3
2022년 4월 29일 20:38어떤 얘긴지 궁금하네요.
드라마 잘 안보는데 챙겨봐야겠어요
@silbi256 3
2022년 4월 29일 22:54IMF 때 미국, 일본으로 넘어간 사람들도 많아요. 경계인들이되었고 외화를 한국으로 송금했었습니다
@yeotaehwan 2
2022년 5월 01일 09:19평론가라는 사람이.... 우리 제작인력을 폄훼하냐?
@anna-xm9wo 2
2022년 5월 02일 10:52감사합니다
@Shirley-BK-y7w 2
2022년 4월 30일 14:46저도 강추합니다, 선자 아버지,어머니,쌀집아저씨,한수아버지.
@Civilization_h 2
2022년 5월 06일 04:23일본의 만행은 설명이나 분위기로만으로 넘기는게 너무 아쉬움
@yunjjung 2
2022년 4월 29일 19:33🙂
@greats891 2
2022년 5월 01일 19:55늘 좋은 방송 감사해요
@momsartroom 2
2022년 5월 05일 05:3912:00 부터!! 김미경 선생님이 그냥 영화평론가 하세요❤ ❤❤❤❤(더잘하셔여❤ㅎㅎㅎ)
@molonlabe2477 2
2022년 5월 05일 19:32근데 ott 전체 순위는 어떻게 확인해요? 넷플 아마존 디즈니 통합된 순위는 봤는데 애플은 빠져있어서...
공개된 첫날에 1위 한 건 알고 그 이후의 흐름이 궁금해서 찾아봤는데 도저히 안보여서요
그렇다고 공개빨 1위한 걸로 몇달간 홍보하진 않을 거 같은데 혹시 아시는 분
@북두칠성-e5d 1
2022년 5월 05일 08:40흥미로운 소재를 참 재미없게 이야기하네
@fofounni 1
2022년 5월 02일 02:55💚💚💚💚
@palemank 1
2022년 5월 02일 09:05Ps4사용자 무료3개월 ps5사용자 무료6개월 이벤트하던데 그게 영향을 많이준게아닐가
@꼬망쥐네 1
2022년 5월 06일 18:29책은 솔직히 한국인들 시점에서는 약간의 이질감이 느껴졌는데요...특히나 한수부분이요...그런데 드라마는 디테일과 영상미가 훌륭합니다 타이타닉을 보는 느낌이었어요
@진달래-u8j
2022년 5월 07일 22:301900년대 대한민국 근현대사 자체가 드라마임~👍
@뚝이댁
2022년 5월 04일 21:02원작을 읽었는데 노아는 왜 굳이 자살을 했을까요?
@heavenhaven7254
2022년 5월 18일 22:50한국 드라마 영화들이 세계로 잘팔리는데 왜 한국기업이 투자를 해서 한국기업이 이익을얻지......?? 왜 내플랙스나 애풀티비 외국기업이 이익과 권리를 주는지.. ??
@benkim2016
2022년 5월 08일 13:53애플회사 회장님이 인도계 미국인!!!
@Trisonss
2022년 5월 05일 21:29이민진 작가님이 이번 바이든대통령 한국방문단원중 한명이라 합니다
@SWLove2015
2022년 5월 07일 10:59파친고가 한국의 "슬픔"을 다루었다고 생각됩니다.
@재돌이는살아있어
2022년 5월 07일 16:28우리정서의 글로벌화 !
우리민족의 굴곡진 역사속
엄연한 인간적보편타당성 !
@minyeon3205
2022년 5월 11일 11:05김미경님 반갑습니다
예전 tv에서 강의하시던 그모습이 너무나 신선했고 감동이었는데 다시 그모습을 보고싶네요
건강하시고 tv에서 강의하시는 모습 보여주시기를 기대해봅니다
@sunshinelivingproperty760
2022년 5월 13일 00:43K 드라마의 장점중에 하나가 지혜롭게 삶을 살아가는것이 바로 선하게 베풀며 사는것이라는 교훈을 주기에 시청하는동안 마음이 따뜻해지기 때문에 보고 난후에 기분이 좋아지고 내가 위로를 받은것 같은 느낌이 들어서 라고 생각 됩니다. 50이 넘은 이나이에 BTS 를 보고 서로 아껴주는것이 많이 보여져서 많은 사람들이 좋아하곘구나 라고 생각했고 역시나 그 정점도 인기에 기여하지 않았나 싶네요. 영화볼때 보면서 스트레스를 받는영화가 있는데 이런 파칭코 같은 스토리는 참여운이 남고 아름다운 작품이라고 생각합니다.
JWC4046
2022년 5월 06일 18:47Joy LucK Club류
@worlja_warltz
2022년 5월 08일 12:12공부해야 되는데 파친고 보고싶어지네요~
@heavenhaven7254
2022년 5월 18일 23:05한국에서 사는 영화편견과의 생각 의견이 소설을 쓰신분의 의미가 틀립니다. 유투부에 파친코 소설을 쓰신 인터뷰와 미국 MIT, Harvard, PBS 방송에 나와서 소설과의 말씀을 들어보셔야 겠어요. 파친코는 한인의 강제노동과 한북전쟁이 터져 고국으로 못돌아와 일본에서 차별로 삷의시련을 계인적 주인공으로 예기 하는말입니다. 소설과 김민지분이 자기는 한사람 으로써 슬푼역사로 개인의 한을 예기 하는것입니다. 소설과 김민지분의 인터뷰와 스피치 유투부에 보세요.
@tipin3161
2022년 5월 17일 13:40책이 너무 재미있다보니 드라마는 좀...^^;;
@SanchoNara
2022년 5월 06일 22:20일본의 역사왜곡 에 분노 하면서 파친코 한 편 보기를 망설인다면 이것도 친일 이다.
@사탕의인형
2022년 5월 07일 00:14너무 약하게 그려진게 다소 아쉬웠지
@구미아빠-d9g
2022년 5월 19일 15:48민진작가님 꼬 오 오 옥
힌국방문 고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