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 좋은말씀 감사합니다. 예전부터 김미경 선생님 말씀 많이 들었습니다. 언제나 연금 이야기만 나오면 😤가 치밀어 옵니다. 저는 62년생으로 1988년 1월1일 국민연금 탄생때부터 2022년 4월30일로 마감 했으며, 국민연금 탄생 전 국민저축이 있었는데 국민연금으로 이월된다고 그렇게 들었고 믿었는데, 인터넷은 커녕 신문하나 쳐다보기도 힘든상태였고 전에(1988년 이전) 국민저축은 온데 간데 없어졌고, 국민연금도 직장부터 생기면서 국가의 피할도 많이하고, 배당지수도 70으로 노후 국민연금을 가입하면 아무걱정도 없다고 하더니만. 현재는 배당지수가 45에 종합소득세,건강보험료만 떼 가고!!!!!!!!!!! 재산이 있는사람 위 연금 없어도 상관이 없겠지만, 저같은 사람 1988년 지수 70를 믿고 직장생활 고등학교 졸업후(1981년) 10개월 이직 관계로 휴식아닌 휴식을 했죠. 국민연금! 지급 나이도 60세에서 나이별 60~65세에 지급 받고있죠. 초창기 연장자특혜 가입, 2차로 지역가입자 가입시켰음(1차는 급여 생활자). 현재 인플레이션때문인지 서울집값 25~30억 저희는 꿈도 못꾸죠! 공시지가를 매매가로 맞추니 하면서 무서운 금액으로 올라갔죠! 로또복권 1등 담첨되면 서울집 장만하고 나머지로 이것저것 갖추고 살수 있겠다 했는데! 제 나이에 있는 집에 태어난 사람은 윗 글과 아무상관 없겠지만은요? 초창기 국민연금관리공단에서 국민의 돈을 잘 운용했어야 하는데 주인없는 돈이라고 생각하고 직원들 급여, 상여, 퇴직금, 명예퇴직금등 생각못할 정도의 돈을 주고, 일반회사는 어려우면 전직원이 허리때 매고 동참했건만 국민연금관리공단은 지금 현재는 많이 줄어들었겠지만 그시절이 길었었지요. 이영주대표님과 저와의 세대차가 있고 학식이 높으신분 자제로 태어나시사 감축 드립니다. 저도 김미경선생님처럼 보험,연금관련 보험 신경쓰지많고 20년 만기가 휙 지나고 했었으면! 저는 보험들고 생활비가 빠빡하고 마이너스 발생, 해지하고 다시들고, 눈물납니다. 두서 없이 투덜됐네요. 더 할 얘기는 많지만 줄이옵나이다.
1988년 국민연금만 있으면 노후 걱정없다던 그분들~~~~~~ 언제가 부터는 3가지 적금이 있어야 노후~ 국민연금, 퇴직연금, 개인연금 등등등등등.
저희 부모님과 부모님 동료교사셨던 분의 사례를 봐도 확실히 알 수 있습니다. 아버지는 연금, 동료분은 목돈으로 대학주변에 원룸 주택을 지어서 임대료를 받으셨어요. 그런데 초기에는 부러울 정도로 임대료가 들어왔지만, 지금은 대학내 기숙사가 생기고 너도나도 원룸을 짓는 바람에 반이상 빈집으로 남아있어요. 동료교사님 외아들은 미국에 간 지 오래되었고, 아버지 친구분은 어떻게 사시는 지 정확히 사정은 알 수 없지만, 임대료가 안 나오거나 줄어들면 불행한 노후가 되고 건물을 자식한테 상속해 봤자 본인 노후에 도움이 될지는 모르겠습니다. 주택연금도 해당되는지 궁금하기도 하구요. 아버님은 22년째 연금을 받고 계신데 앞으로도 계속 받으실 것 같습니다.
젊을 때 연금보험 들고 노후에 연금타면 좋은데 젊을 때 급여가 적으니 알지만 많이 붓지 못해요. 60세 기준 노후 월 100만원 종신토록 받을려면 봉급타고 기본 생활비외 다 연금에 부어야합니다. 연금만 붓다가는 집은 언제사고 애는 언제 길러요. 노후 생각해서 많이 붓고 싶어도 젊을 때 이리저리 지출되면 노후 넉넉할 정도로 못 붓습니다. 알면서도 못하는거지만 일단 형편껏 붓는게 좋은것 같고 형편 나아지면 좀 더 붓고하면 될듯요. 사적 개인연금과 국민연금 합쳐 500만원 받기가 쉽지 않습니다. 할 수야 있겠지만 생활비와 주택구입. 육아 교육등 현실 반영하면 중소기업기준 직장인들은 어렵습니다. 대기업 다녀도 많은 투자 안하면 국민연금과 사적연금만으로는 월 500되기 결코 쉽지않은 말씀을 쉽게 이론적으로 말씀하시는듯요.
★★ 제발 이거 하나만 하세요 ★★ 만 19세 되면 국민연금 가입하십시요. 국민연금 공단에 근무하는 직원들 자녀는 무슨 일이 있어도 이것부터 합니다. 취업하지 않았어도 대학생이어도 유학중이어도 가능합니다. 부모에게 졸라서라도 이것부터 하세요. 나머지 연금 종류들은 본인의 경제적 능력에 따라 변화될 수 있습니다.
부정적인 댓글이 많으신데 꾸준히 해야 하는건 맞다고 봅니다. 20대 중반에 20만원으로 시작해서 15년 납입, 40대가 되면서 더 계속 넣으려고 연금보험에서 펀드로 갈아 탔어요.. 원금 6천 오백인데 당장 해약해도 1억을 넘게 받아요.. 아직 40대이니 꾸준히 10년더 넣으려고 합니다.
국민연금 급여에서 9%(300받으면27나감) 퇴직연금 연간한달치 쌓아둠(300받으면 1년에 연간 300) 연금저축 최대400(33) 비과세연금 150이 최고한도인데 사람들 보통 2-30 정도 불입 IRP 돈은 경제학이 아니라 심리학 연금박사상담센터에서 상담받을수 있다고함
응원합니다, 평생 연금을 담달부터 받는다, 30년 외길 연금인데, 깨지 말아야한다, 고것이 어렵다. 사학연금, 공무원 연금 직군은 일시금으로 받아서 좃되는거다, 무조건 20대 첫직장부터 준비하고 없는돈으로 생각하고 불입하라, 국민연금이던 꼭 들고 없는돈처럼 묶어놔라, 삼성, 현대, 금융회사 취직했던 친구들이 지금 나를 부러워한다. 금융회사 부장임에도 불구하고 국민연금을 거의 세금 낸다고 생각하여 경악하였다, 결국 친구는 걱정이 크다, 오랜기간 불입이 살길이고, 퇴직연금도 같이 받으니 안전하다. 부디, 주식, 부동산보다 거북이같은 연금을 금거위처럼 생각하라. 아까워하는것 요것이 망조,
11. 부부공무원 연금수급자...평균 수급액은 558만원이다 ... 언제부터인가 공무원들만의 온갖 좋은 복리후생과 후한 연금으로 공무원간 결혼이 급속히 늘고 있다...동서고금을 막론하고, 특권 계층끼리만 혼인하는 세태는 그 사회가 몰락하는 중요한 징후다. <공무원연금 개혁의 불편한 진실 14가지 한국납세자연맹 참조>
Baba Yaga 115
2022년 9월 04일 20:00이제는 연금도 매력이 많이 떨어지는게 세금내고 번돈의 일부를 모으는건데 받을때 쥐꼬리만큼 나눠서 받아야하고 또 받을땐 또 연금소득세내고 건보료 부과하고 거기에 다시 다른 소득있으면 합해서 종소세까지 부과하기시작했습니다. 잘 따져보고 해야해요.
뚜벅이 85
2022년 8월 09일 07:54부모도 학교도 주위누구도 내 노후에 대해서 걱정해주고 알려주는 사람이 없었는데 이런 전문가가 유튜브를 통해서 언제 어디서든 친절히 알려주니 너무 감사하고 천만다행이다.
nachocho 78
2022년 5월 14일 16:38참 좋은말씀 감사합니다.
예전부터 김미경 선생님 말씀 많이 들었습니다.
언제나 연금 이야기만 나오면 😤가 치밀어 옵니다. 저는 62년생으로 1988년 1월1일
국민연금 탄생때부터 2022년 4월30일로 마감
했으며, 국민연금 탄생 전 국민저축이 있었는데
국민연금으로 이월된다고 그렇게 들었고 믿었는데, 인터넷은 커녕 신문하나 쳐다보기도
힘든상태였고 전에(1988년 이전) 국민저축은
온데 간데 없어졌고,
국민연금도 직장부터 생기면서 국가의 피할도 많이하고, 배당지수도 70으로 노후 국민연금을
가입하면 아무걱정도 없다고 하더니만.
현재는 배당지수가 45에 종합소득세,건강보험료만 떼 가고!!!!!!!!!!!
재산이 있는사람 위 연금 없어도 상관이 없겠지만, 저같은 사람 1988년 지수 70를
믿고 직장생활 고등학교 졸업후(1981년)
10개월 이직 관계로 휴식아닌 휴식을 했죠.
국민연금! 지급 나이도 60세에서 나이별
60~65세에 지급 받고있죠.
초창기 연장자특혜 가입, 2차로 지역가입자
가입시켰음(1차는 급여 생활자).
현재 인플레이션때문인지 서울집값 25~30억 저희는 꿈도 못꾸죠!
공시지가를 매매가로 맞추니 하면서 무서운
금액으로 올라갔죠!
로또복권 1등 담첨되면 서울집 장만하고 나머지로 이것저것 갖추고 살수 있겠다
했는데!
제 나이에 있는 집에 태어난 사람은 윗 글과
아무상관 없겠지만은요?
초창기 국민연금관리공단에서 국민의 돈을
잘 운용했어야 하는데 주인없는 돈이라고
생각하고 직원들 급여, 상여, 퇴직금, 명예퇴직금등 생각못할 정도의 돈을 주고,
일반회사는 어려우면 전직원이 허리때 매고
동참했건만 국민연금관리공단은 지금 현재는
많이 줄어들었겠지만 그시절이 길었었지요.
이영주대표님과 저와의 세대차가 있고
학식이 높으신분 자제로 태어나시사 감축
드립니다.
저도 김미경선생님처럼 보험,연금관련
보험 신경쓰지많고 20년 만기가 휙 지나고
했었으면!
저는 보험들고 생활비가 빠빡하고 마이너스
발생, 해지하고 다시들고, 눈물납니다.
두서 없이 투덜됐네요.
더 할 얘기는 많지만 줄이옵나이다.
1988년 국민연금만 있으면 노후 걱정없다던
그분들~~~~~~
언제가 부터는 3가지 적금이 있어야 노후~
국민연금, 퇴직연금, 개인연금 등등등등등.
😤 🙇♂️🙇♂️🙇♂️🙇♂️🙇♂️ 😤
신비덩얼 75
2022년 5월 05일 20:09부모님이 보험 연금만 잘 준비해 놓아도 정말정말 감사하죠.
Hyun Joo Kim 75
2022년 5월 20일 01:25연금도 중요하지만 평생 할일도 중요하다... 너무 와닿는 말이네요.
Benhur Shin 68
2022년 5월 05일 22:07저희 부모님과 부모님 동료교사셨던 분의 사례를 봐도 확실히 알 수 있습니다. 아버지는 연금, 동료분은 목돈으로 대학주변에 원룸 주택을 지어서 임대료를 받으셨어요. 그런데 초기에는 부러울 정도로 임대료가 들어왔지만, 지금은 대학내 기숙사가 생기고 너도나도 원룸을 짓는 바람에 반이상 빈집으로 남아있어요. 동료교사님 외아들은 미국에 간 지 오래되었고, 아버지 친구분은 어떻게 사시는 지 정확히 사정은 알 수 없지만, 임대료가 안 나오거나 줄어들면 불행한 노후가 되고 건물을 자식한테 상속해 봤자 본인 노후에 도움이 될지는 모르겠습니다. 주택연금도 해당되는지 궁금하기도 하구요. 아버님은 22년째 연금을 받고 계신데 앞으로도 계속 받으실 것 같습니다.
혜령 박 63
2022년 8월 31일 10:14기초연금 - 65세이상 (나라세금)
1. 국민연금 ( 최저가입 이득 )
- 월급에서 9% - 본인 4.5 회사 4.5
- 한도 471600원
2. 퇴직연금
- 일년 연봉에 한달치 쌓임
3.연금저축
- 세제혜택
연간 400만원까지 세금환급 (최대 66만원까지 환급)
월 33만원
4. 비과세연금 (개인)
- 보험사에서 가입가능 (납입할따 세급 환급 받지 못함)
- 연금 받을때 이자소득세를 비과세
- 한도 월 150만원
- 개인 20-30 만원 추천
박종신시장생활 61
2022년 5월 06일 06:36맞아요. 삼성생명에 92년에 넣은 65,000원씩 10년 넣은거 지금 보면 오지게 행복해요.
200,000을 넣었더라면 하는 후회가 먆죠.
진짜 먹고 살기도 힘든 시절이라서 ..ㅠ
머든 힐링 49
2022년 8월 28일 03:51젊을 때 연금보험 들고 노후에 연금타면 좋은데 젊을 때 급여가 적으니 알지만 많이 붓지 못해요.
60세 기준 노후 월 100만원 종신토록 받을려면 봉급타고 기본 생활비외 다 연금에 부어야합니다.
연금만 붓다가는 집은 언제사고 애는 언제 길러요.
노후 생각해서 많이 붓고 싶어도 젊을 때 이리저리 지출되면 노후 넉넉할 정도로 못 붓습니다.
알면서도 못하는거지만 일단 형편껏 붓는게 좋은것 같고 형편 나아지면 좀 더 붓고하면 될듯요.
사적 개인연금과 국민연금 합쳐 500만원 받기가 쉽지 않습니다.
할 수야 있겠지만 생활비와 주택구입. 육아 교육등 현실 반영하면 중소기업기준 직장인들은 어렵습니다. 대기업 다녀도 많은 투자 안하면 국민연금과 사적연금만으로는 월 500되기 결코 쉽지않은 말씀을 쉽게 이론적으로 말씀하시는듯요.
MKTV 김미경TV 41
2022년 5월 04일 10:18👩🦱 『미경언니의 경제과외』여러분이 궁금한 주제, 모시고 싶으신 분이 있다면 댓글로 남겨주세요!
0:00 똑같은 연금, 행복한사람vs불행한사람?!
8:28 월 500만원 연금 만드는법
21:12 개인연금 종류는?
달구 40
2022년 5월 13일 19:2630대인데 연금 대해 아는게 없어서 중요성을 몰랐는데.. 정신이 확 드네요 강의가 참 좋을거 같아요 감사합니다
워킹맘의 워라밸 라이프 36
2022년 5월 07일 21:59연금이 사실상 노후 준비로서는 가장 좋은 재테크. 가장 좋은 방법이죠. 끊이지 않는 평생 월급은 정말 행복 그 자체입니다.
Offline survival 34
2022년 6월 01일 12:56★★ 제발 이거 하나만 하세요 ★★
만 19세 되면 국민연금 가입하십시요.
국민연금 공단에 근무하는 직원들 자녀는 무슨 일이 있어도 이것부터 합니다.
취업하지 않았어도 대학생이어도 유학중이어도 가능합니다.
부모에게 졸라서라도 이것부터 하세요.
나머지 연금 종류들은 본인의 경제적 능력에 따라 변화될 수 있습니다.
실비아김 34
2022년 5월 07일 14:48강의를 참 재밌게, 이해가 쉽게 잘 하시네요~^^
찐또바기 TV - 매주 같이하는 재테크, 투자습관 33
2022년 5월 22일 21:51유튜브에 정말 이런 영상 컨텐츠가 점점 더 많아졌으면 좋겠습니다. 영상이 도움이 많이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아이보리 32
2022년 5월 05일 22:04그만큼 부어놔야죠...은행금융권이 손해보는장사는 안할듯
김연우 30
2022년 5월 11일 09:32연금박사님 방송 처음보고 삼전 4만원에 사서 지금도 보유중입니다
감사합니다
라일락 28
2022년 5월 10일 18:50부정적인 댓글이 많으신데 꾸준히 해야 하는건 맞다고 봅니다. 20대 중반에 20만원으로 시작해서
15년 납입, 40대가 되면서 더 계속 넣으려고 연금보험에서 펀드로 갈아 탔어요..
원금 6천 오백인데 당장 해약해도
1억을 넘게 받아요.. 아직 40대이니 꾸준히
10년더 넣으려고 합니다.
구름호프 26
2022년 5월 05일 20:59공무원 연금도 지금 노인들 이야기죠
Jazz 24
2022년 5월 04일 11:42도움되는 말씀 정말 감사합니다. 격하게 공감합니다 😀😃😄 저는 주식도 3~4년씩 보유하는 장기투자형이라~ 많은 경험을 했습니다. 직접가서 상담받고 싶네요 🤭
신정숙 22
2022년 5월 08일 16:21옛날에 삼성생명 58000원씩 12년내고 55세 부터 받는거로 했더니 이달부터 420000원 나옵니다.
생각만해도 행복해요^^
MKTV 김미경TV 22
2022년 8월 18일 14:35👩🦱 『미경언니의 경제과외』여러분이 궁금한 주제, 모시고 싶으신 분이 있다면 댓글로 남겨주세요!
🟠 월급에 매달리지 않는 현명한 재테크
👉🏻 https://bit.ly/3w6rNEY
👩🦱 미경 언니의 Real 일상생활 엿보기. 김미경의 인스타그램
👉 https://bit.ly/2KhMghw
지현강 21
2022년 5월 18일 20:10진짜 공무원은 자기 월급이 통장에 입금되는 돈이 급여라 생각해요.
그래서 자기 연봉도 실수령액 기준으로 애기함~~^^
이원태 17
2022년 10월 20일 00:21개인연금이나 공적연금이나 인구구조에 따른 리스크가 커서 보험회사의 파산도 걱정해야되고 결국 연금이노후의 안전성을 담보할지는 생각을 해볼 필요가 있다고 봅니다
나무 16
2022년 8월 15일 12:23국민연금 급여에서 9%(300받으면27나감)
퇴직연금 연간한달치 쌓아둠(300받으면 1년에 연간 300)
연금저축 최대400(33)
비과세연금 150이 최고한도인데 사람들 보통 2-30 정도 불입
IRP
돈은 경제학이 아니라 심리학
연금박사상담센터에서 상담받을수 있다고함
해피오월 16
2022년 5월 08일 08:40김미경학자님과연금박사의 만남 최고네요
민숙 최 15
2022년 5월 04일 15:11하다 끝는게 어디있나요? 빨리 2탄 올려주세요 기다리고 있겠습니다
제리 15
2022년 9월 13일 13:43아주 좋은 강의였습니다! 이제 40인데 준비 해야겠어요!!!
byungmoon hur 14
2022년 8월 14일 05:16IRP에 대해서요.
퇴직금을 일시 입금하고 연금형식으로 받는 것이며, 추가로 연300을 미리 가입하여 더 불입하게 되면, 퇴직 직전까지 연300씩 불입하고 퇴직시 받은 퇴직금 전액을 또 불입가능하다는 거죠?
구름이 14
2022년 5월 06일 03:15옛날에 금리가 10프로 넘는 시대에
시골 분들 국민연금 들게함
다들 힘들때 다 깨버림
울 시댁만 안깨고 이제까지 받은게 6천만원 넘음 6백도 정도 냈었나 기억이 안나네요.
시골 농사로 돈도 많이 버시는데
국민연금도 따박 따박 나오시니 동네분들이 부러워하시고 후회하심요
Gemma 13
2022년 7월 12일 01:46참으로 정신 번쩍 드는 충언이십니다!!연금 노후 준비, 노후 안정성 최고 입니다 ~~
Seung Soo YI 13
2022년 11월 27일 02:32연금 수령시 발생하는 세금과 건강보험료에 대한 얘기도 부탁합니다
마음이아프냐 13
2022년 5월 05일 22:17건강하게 오래 살수록 연금이 유리
독고다이 12
2022년 7월 13일 02:49저는 65세부터 월 300만 연금보고 투자중입니다.
참고로 선생님이 말씀하신 , 아버지가 교장정년퇴임이시라. 그걸보고 따라했습니다.
월 고정 70만 연금으로만 들어가고있어요.
(퇴직금 포함시키면 월100만)
공정 10
2022년 5월 06일 23:30책 제목은 "연금 부자들 "이네요 ㅎ
100세 인생으로 검색해도 계속 안나와서 타방법으로 검색성공했어요
박허브 10
2022년 5월 10일 13:36연금박사님 설명 참 잘하시고 느낌이 있네요
써니 9
2022년 5월 17일 12:21공무원 하다 30년 넘게 했던분
연금돌려서 3년 받아먹고
갑자기 쓰러져 사망하신분도
있어서 안타갑다고 생각합니다.
두번째분 연금 타고 시골에서 전원주택 짖고
잘살다가 백혈병 걸려
사망하더라 너무 연금도 아깝더라. 조심하세요.
김영원 8
2022년 5월 12일 20:59지금 젊으신분들이
잘듣고 계획을 세워야해요
우린 이미 늦어버렸네요^^
All My Pencils몽땅 내 연필 8
2022년 10월 21일 19:25현재 공무원 연금은 나중에 국민연금이랑 비교했을 때 비슷하게 받는다고 하는데요..월급에서 떼어가는 퍼센트는 국민연금보다 두배 이상 떼어가는데 받는 금액이 비슷하니 실제 공무원들이 더 연금대비를 해야할 것 같은데, 어떤 개인연금을 저축해야할까요?
닝돼지 6
2022년 6월 07일 19:11회사에서 퇴직연금 하나만 선택하게 해서 다수결 투표로 강제로 DC로 변경되었어요 ㅠㅠ 너무 화났어요!
공경 6
2022년 5월 05일 20:09저는 칠십할머니 라고 썼었지요?
친정부모님께나 시부모님께도 효도를 다 하려고 노력은 했었어요ㆍ 지금 저희 아들 딸 ㆍ 저희에게도 처가나 시댁에도 효도를 잘 하고 있다고 보여서 고마워해요
공경 6
2022년 5월 05일 20:03충북이 배출한 여류명사ㆍ
김수현작가님ㆍ 김미경강사님ㆍ 이지영강사님ㆍ 👍 👍 👍
미소그림 Misogrim 6
2022년 8월 31일 13:42조금 젊을때 연금 준비는 꼭 필요한것 같아요 어쩌면 더 자유롭게 마음편히 현재를 살수 있는 비결인듯도 싶고요~^^
소금돌이 TV - 짠테크 & 주식 5
2022년 5월 06일 19:56연금 잘듣고갑니다…!
문계상 5
2022년 7월 05일 01:46하루하루를.힘들게.살아가는.사람들을.위해서..좋은말씀.들려주세요.열심히.살아도.몰라서.힘들게삽니다
굿드림 5
2022년 5월 17일 15:04명쾌 하십니다.
공경 5
2022년 5월 05일 20:12연금저축 ㆍ 네 고맙습니다
모범 4
2022년 9월 24일 19:50미경이누나 유튜브가 진정한 연금이죠
ᄋᄋ 4
2022년 9월 11일 16:23바른 정보 감사합니다. 그러나 현실은 쉽지가 않습니다. 좋은 직장을 꾸준히 다녀야 하고 (중간에 그만두면 이직구하기도 힘듭니다) 현실의 생활비에 쪼들려 개인연금들기도 벅찹니다 TT
그래도 연금들려고 노력하고 싶네요~~~~~
ms y 4
2022년 5월 17일 09:38연금 상담 받고싶은데 어떻게
어디로 해야하는지 궁금합니다
김명희 4
2023년 2월 09일 18:37남편.저..개인연금받고있는대 든든합니다..죽을때까지 자식한테 의지안하고 살수있게되어 얼마나 다행인지..24년12월부터 국민얀금을 추가로 받게되니 더 마음이놓입니다..대신 건강해야되니 운동을 열심히하고있습니다
수미심 4
2022년 11월 24일 17:11고맙습니다 🙏🙏🙏
Spongie 3
2022년 9월 13일 21:06은행에서 십년전에 펀드 들때 퇴직연금 들으라고 하도 권해서 마지 못해 부부가 둘 다 들었는데 지금 계좌 보니 보니 저만 해도 거의 오천 모였고 참 고맙네요. (펀드는 반토막인데 이거라도 했으니)
정솜결 3
2022년 5월 05일 19:51영상감사합니다ㆍ솜결
Rachel쌤 3
2022년 9월 23일 09:36평소 제가 생각했던 부분과 너무 비슷한데 과연 내생각이 맞을까 주변인들 보면서 갈등도 있었는데 확신을 주시니 감사합니다.
Yunjung 3
2022년 5월 05일 19:30🙂
꽃길만걷자 80 3
2022년 5월 08일 01:05감사합니다
공경 3
2022년 5월 05일 20:02지갑에 현금이 두둑한 할아버지가 경로당에서도 최고 대접받는다 ㆍ 네
Chanja Hong 2
2022년 9월 18일 15:59국민연금의 추후납부제도는 추후납부일 기준의 소득으로 보며. 그 소득은 연금수급직전일 기준으로 현재가치로 환산됩니다. 그러므로 추후납부일에 따라 소득기준금액이 달라지므로 연금액도 변동됩니다.
이파리 2
2022년 7월 12일 16:11저흰 2006년부터 세금혜택준다고 년400만원씩 넣어서 17년 말에 끝났는데..
월 50만원씩 5년 동안 나온다고 해서 지금 받고 있는데요 ..
그니까..22년말에 끝난다는데...
어떻게 된거죠?
우리가 낸돈 월 나눠서 받는것 뿐 안되던데여~~~!
공경 2
2022년 5월 05일 20:01100% 불행한 분
네ㆍ 퇴직연금을 일시불로 받으신 분
맞어요 ㆍ 어떤 교장선생님 일시불로 받으셔서 아들들 주셨대는데ㆍ 쌀 까지도 귀하게 살으신대니 ㅉ
mkbh jar 2
2022년 6월 06일 11:37번 사람들은 말하고 날린 사람들은 입닫는게 주식펀드부동산
신중히 본인의 상황에 맞게 하세요
저는 성격상 그냥 예적금만 꾸준히 합니다
살아보니 지키는 것도 버는 거더라고요
공경 2
2022년 5월 05일 20:10낙장 불입.ㅋ ㅋ 고스돕용어 ㅋㅋ
헤쎄드 2
2022년 5월 05일 23:26의도는 알겠는데 좀 모호합니다.광고같아요ㅠㅠ
하몽 1
2022년 6월 14일 03:17궁금한게 오래 연금내면 더 유리하다고 했는데, 추후납부로 65세 이전에 한번에 내면 덜 받는거 아닌가요?
♡마카롱♡ 1
2022년 5월 10일 18:02퇴직후 국민연금받기까지 몇년기다려야해서 퇴직후 궁핍합니다
파랑새 1
2022년 6월 12일 16:10고수님들께 조언구합니다
직장다닐때 월 50만원씩 10년 납부
원금이자포함 7100만원정도
내년 2월에 연금으로 10년간 월60만원정도 받을지 목돈으로 받을지 결정해야 하는데
어떻게 받는게 유리할까요?
제발 답변 부탁드립니다
참고로 현재 꼭 이 돈을 받아서 쓰지 않고 재예금 할 예정임
정군행복비타민 1
2022년 6월 17일 13:41연금박사님
나오션네요?
감사합니다 고맙습니다
Narae 1
2023년 5월 03일 19:18김미경쌤 진짜 최고!! 이영주 대표님도 최고!! 항상 두분한테 많이 배우고 있습니다! 양질의 컨텐츠 넘 감사해요!!ㅎㅎ
Sr Yun 1
2022년 7월 15일 09:24기존 회사에서 퇴직했는데 퇴직연금 통장에 돈 없는건 받을 수 있을까요
꿈꾸는 카타리나 1
2022년 5월 05일 19:55💜
youn bu kim 1
2023년 2월 13일 17:30별 중요한 정보는 없는데 너무 기대하고 봤네요!
손준희 1
2022년 10월 26일 22:44연금을 개시하는 순간부터 제가 그동안 부워왔던 원금과 수익은 복리라는 그간의 일을 멈추고 연금으로 지급만 되는건가요? 아니면 이번달 나오는 연금 이외의 금액은 계속 일을 하는 건가요?
audrey 1
2022년 5월 05일 19:59연금저축은 시중은행에서 가입하면 되나요?
김미영
2022년 11월 29일 12:02고맙습니다.
공경
2022년 5월 05일 20:1049시라면서 훌륭하십니다 👍 👍 👍
공경
2022년 5월 05일 20:07부모님은 어떠세요
친정부모님께는 지극한 효녀신데 시부모님께도 효도를 다 하셨겠지요?
E-rang
2023년 1월 12일 19:33연금 받으시면서 힘 남으시면 소일벌이하시는 분 많더라구요
젊을때 연금 준비해놓으신분들 나이차서 정말 여유있고 걱정없게 사시더라구요
Good voice
2023년 2월 01일 17:27응원합니다, 평생 연금을 담달부터 받는다, 30년 외길 연금인데, 깨지 말아야한다, 고것이 어렵다. 사학연금, 공무원 연금 직군은 일시금으로 받아서 좃되는거다, 무조건 20대 첫직장부터 준비하고 없는돈으로 생각하고 불입하라, 국민연금이던 꼭 들고 없는돈처럼 묶어놔라, 삼성, 현대, 금융회사 취직했던 친구들이 지금 나를 부러워한다. 금융회사 부장임에도 불구하고 국민연금을 거의 세금 낸다고 생각하여 경악하였다, 결국 친구는 걱정이 크다, 오랜기간 불입이 살길이고, 퇴직연금도 같이 받으니 안전하다. 부디, 주식, 부동산보다 거북이같은 연금을 금거위처럼 생각하라. 아까워하는것 요것이 망조,
진화
2022년 5월 05일 21:31책 표지를 한번 보여주시죠.
그사람
2022년 7월 14일 18:0411. 부부공무원 연금수급자...평균 수급액은 558만원이다 ... 언제부터인가 공무원들만의 온갖 좋은 복리후생과 후한 연금으로 공무원간 결혼이 급속히 늘고 있다...동서고금을 막론하고, 특권 계층끼리만 혼인하는 세태는 그 사회가 몰락하는 중요한 징후다. <공무원연금 개혁의 불편한 진실 14가지 한국납세자연맹 참조>
===
라는 내용이 있는데, 사실인 지 정확한 내용인 지 잘 모르겠네요.
Yang Nam
2022년 9월 12일 01:58미국 거주중이고 현재 20년째 직장생활.. 개인연금, 401K( 직장인 연금), social 연금(사회 보장 연금)붇고 있고 개인 연금과 401k는 60세부터 탈수 있고 social 연금은 67세부터 탈수 있네요.
shakla1004
2022년 7월 16일 11:41오~맞아요. 심리싸움인데 계속 들여다보면 안되더라구요.
우영진
2022년 7월 17일 18:45연금이 고갈되면 어떻게 되는지 궁금합니다
shakla1004
2022년 7월 16일 09:16딸 만18세부터 변액 연금 20년 납입해주고 나중에 주려고했는데 지금 만 15세
공경
2022년 5월 05일 20:01보이스 피싱 ㅋ
NS KIM
2022년 6월 06일 10:07잘 들었읍니다.
감사합니다.
퇴직금 ...월급이 내려온다면.
어떤게 좋은지요 DB DC형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