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시장에서 입주 물량은 사업가의 성격이 좋냐 정도의 문제가 아니라 자본금이 있냐 vs 빚 내서 하냐 정도의 차이이지 않을까 싶은 개인적 생각 입니다. 수요와 공급이 기본인 자본주의 시장 에서는 물량이 당연히 중요 합니다. 그리고 데이터 에는 입주 물량만 있지만 아파트 공급 물량은 지어지기만 하는건 아닙니다. 다주택자의 물량도 큰 공급이죠. 정책에 따라서 공급이 다변화 되는 것도 같이 체크하는게 맞을 것 같습니다. 아울러 무주택자 분들은 앞으로 아파트 가격이 하락하던 오르던 금리가 인상 될 것은 예정이 되어 있으니까 지금 고정 금리로 적당한 보금자리는 만드시는게 좋을거라 생각 합니다. 아파트 가격이 오르면 좋은거고 떨어지더라도 안정적으로 거주하면 되니까요. 동 기간 월세를 산다고 했을 때 드는 비용과 이자 (원리금 제외)를 비교해 보면 그래도 이자가 더 저렴할거예요. 잘 계산해 보시기 바랍니다. 홍춘옥 박사님은 영끌해서 샀기 때문에 고생한거고 그걸 일반화 하시면 안되는거고 이현철 소장님도 마찬가지 입니다. 5억 짜리 집을 80% 대출내서 4억 에 대한 이자를 내다가 20% 하락하면 전 재산 날린다고 하시는데 무주택자 중에 누가 그렇게 무리해서 집을 살까요? 주식으로 치면 삼성전자를 레버리지 잔뜩 써서 1년안에 무조건 오른다 아니면 망한다에 배팅하는거죠 레버리지 없이 삼성전자를 10년 보유한다면 어떨까요? 배당 꾸준히 받소 수익도 날 겁니다. 아파트도 마찬가지 입니다. 영끌하지 않고 10년 20년 거주하면 어찌됐든 큰 자산이 생기는게 1주택 입니다. 더불어 집주인 눈치나 트러블에 대한 스트레스만 줄여도 그게 어딥니까.. 적당한 1주택을 보유 하시는데 1. 절대 무리하게 예산을 잡지 마시고 2. 상승할 때 많이 오르고 내릴 때 적게 내릴만한 지역을 잘 찾으시고 3. 평수랑 직주근접 등을 잘 생각해서 좋은 기회가 왔을 때 실행 하시는 것을 권장 드립니다.
수요자보다 공급이 많고 금리인상등은 예고된일 심지어는 전세 매매할 신혼부부와 젊은 세대의 급감 그리고 베이비붐세대의 마지막여생을 보면 거시적 관점에서 우리나라 부동산붐의 마지막을 알리는 기나긴 어둠이 될거다 지금 주어진 조건으로는 30~40%정도가 적당한데 거시점관점은 60%까지도 봐야한다
따블 트리풀이 올랐는데 40%떨어져봤자임 진짜 충격은 일본 부동산 따라가는거임 사람들이 아직 자각을 못하는데 지금 대한민국 부동산은 폰지게임임 더이상 사줄사람이 없으면 끝나는 게임 현세대 부동산 가격 감당을 후세대가 할수 있냐 문제임 네버 절대 못함 직장 돈없어 결혼도 못하는 세대인데 무슨 얼어죽을 부동산
검정고무신 105
2022년 5월 08일 22:02지금은 하락이라기 보다 되도 않게 오른거 정상화 과정이라 ..가능성이 아주 높음.
모든것 98
2022년 5월 07일 10:27미국 금리 0.5퍼 인상... 부동산이 폭락할지 안할지는 모르겠으나 대출 많이 받은 영끌족들 개고생은 확정
Sweet Jun 87
2022년 5월 07일 05:44집값 떨어지는게 문제가 아님.. 하락장에 금리가 오르면 진짜 헬파티 열리는거임.. 그걸 겪어본 사람들은 절대 대출 더 안하지 전세금이나 어떻게든 대출금을 줄여야함.. 실거주자들은 진짜 나락가는거임 이자가 월급을 뛰어넘으면.. 살기시러짐..
대현 조 81
2022년 5월 07일 11:52이분은 그래도 어떤 근거를 가지고 논리를 펴고 있는데 아래 분들은 이 데이타 중 반이라도 이해하시는지... 자기 집값이 떨어지지 않길 바라고 반대의견 내는건 아닌지. 좋은 정보 제작자들께 감사드립니다.
골드실크 58
2022년 5월 07일 00:11정말 감사합니다^^2년마다 전세로 이사 다니는게 힘들어서, 빚내서라도 집 사야할까 고민했는데 대표님 말씀 듣고 참기로 했습니다^^
SEUNG JAE LEE 56
2022년 5월 06일 23:19집 팔아야 하는데 살 사람이 없어요..KB시세에 10, 15%내려도 입질이 없어요..일시적 2주택으로 비과세로 팔아야 하는데 강제 다주택자 될 것 같아요..
SS S 56
2022년 5월 06일 22:1040퍼 떨어져도 비싸다...
sdcard2 47
2022년 5월 07일 20:102017년까지 산사람들은 발뻗잠하면됨. 20년 21년에 산 사람들은 원금손실가능성 높음
JoonYong Park 44
2022년 5월 07일 11:23리치고 김기원 대표님!
신뢰할만한 데이터를 가지고
설명해주시니 설득력이 있네요
많은 배움이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cool guy 42
2022년 5월 11일 18:43제발 대한민국에서,부동산투기로 부를 축적하는 시대가 끝이 나길 바란다.
JinSook Yi 42
2022년 5월 07일 13:16굳이 이런 전문가분들 아니더라도 그냥 부동산 사이트 꾸준히 들어가 보시면 저절로 알게 됩니다. 매물 늘고 미분양 쌓이고 구매지수 떨어지는 데이터 쉽게 볼 수 있습니다. 현실을 안보고 감정 갖고 바라보면 제대로 된 판단 어렵죠.
송정화 31
2022년 5월 10일 16:162~3억이 적정 수준이지 강남도 아닌 집들이 무슨 10억이상인지..... 강남 잡으려다 이게 뭐냐고.... 젊은이들은 집살 꿈도 못꾼다고요.... 돈벌어서 집살 수 있는 정책을 펼쳐줬으면 좋겠습니다.
준솔파파 24
2022년 5월 07일 08:43이런분 말 믿고 힐링하시다간 거지됩니다~~~데이터처럼만 된다면야 이분은 아파트를 수십채사서 갖고있겠군요~~
양파형 23
2022년 5월 11일 02:47집이 투기 목적이 아닌 노력하면 누구나 얻을수 있는 삶의 터전이 됐으면 좋겠습니다 ㅠ
오승민 22
2022년 5월 06일 23:16괜찮아 존버들 하세요 대출 이자 감당 가능하면...
Rin L. 22
2022년 5월 07일 01:39하락장 겪어봐야 고통을 알지
뚱달래 22
2022년 5월 07일 14:08미국 빅스탭 시작하고 긴축이 강화되는 이 시점에서 실거주라고 진입하면 최고의 고점에서 최고의 이자율을 감당하며 살아야 한다. 뭔얘기냐면 시간이 흐를수록 가격은 떨어지고 이자는 더 부담해야 하는데 현명한 판단일까. 주식이든 부동산이든 저점에 사는게 최고의 호재다
구름을 벗어난 달처럼 20
2022년 5월 07일 08:52매년 하는 말이 내년 초나 내년 말이래 ㅋㅋㅋ 10번 하면 1-2번은 맟추겄다ㅎㅎ
나동 20
2022년 5월 06일 21:58솔직히 집값떨어질거같다 다만 내집은 상승가격대로 받아야하니 하락이라는 말에 예민하다 매수자들은 떨어질거같으면 더더욱 안사니까요^^
SH Lee 16
2022년 5월 08일 12:43한 가지 방송만 보고 자기 상황을 투영해 듣고싶은 것만 들으면 아주 큰 일 납니다. 여러 방송과 매체를 통해 정보를 얻어야 해요.
세상에 하나뿐인 단편소설 14
2022년 5월 07일 05:40저도 집값이 떨어진다고 생각합니다!
통쿨 방석 14
2022년 5월 07일 08:20원래 상승상에는 항상 하락론자들이 나와 조회수 먹기 나름임
BT58 13
2022년 5월 07일 15:54주식 채권 다 나락가는데, 상식적으로 집값만 어떻게 나홀로 가나요 여러분 !!
돌잔치엔가반나 11
2022년 5월 07일 13:29진짜 주식도 떨어지고 버티고 버텨야 하는 고난의 행군이구만~ 있는 자들은 쓸어담고 없는 자들만 헬게이트 열리는 더러운 세상!
지주 10
2022년 5월 07일 11:42건축자재비의 상승은 고려하지 않은듯 하네요 자재비의 상승은 계속 이어집니다
모탈리언 9
2022년 5월 06일 22:50작년막판에
최소1억씩 올랐으니..
그런데 가격예측은 잘모르겠다
김작가 TV 9
2022년 5월 07일 17:05🌟 『김기원 대표_4부작 영상』 바로 보러 가기
👉 1부. https://www.youtube.com/watch?v=SrFHmPeq1vw&t=1091s
👉 2부. https://www.youtube.com/watch?v=cLQW6JJZNOA
👉 3부. https://www.youtube.com/watch?v=LA_r-tKEvq8
👉 4부. https://www.youtube.com/watch?v=3kqONiLbeuw
📚 김작가 『럭키』 양장 특별판: https://bit.ly/3mnVYDq
🌟 김작가 『자기계발』 강좌: https://bit.ly/3LbB5oE
지하차도 9
2022년 5월 07일 15:16대출이 안나와요.
나와도 문제에요. 2억에 월 200가까이 원금 이자라니
럭키7 8
2022년 5월 07일 08:19급여인상 속도 보다. 아파트 가격인상 폭이 너무커서 무주택자 이자내면서 주택살 여력이 없다. 월급여 이자로 들어가게 생겼다.
ㅇㅇ 8
2022년 5월 07일 11:58경제는 순환하니까 결국 하락사이클은 온다
그러나 인디언식 기우제는 문제가 많다.
M J 8
2022년 5월 09일 10:34미국금리 5월6월7월 최소 빅스텝(0.5%)씩 인상예정 5월이후보고 물가안정 안될시 금리인상 자이언트스텝(0.75%)할수도..!
한국도 미국따라 금리인상 안할수 없음!
(안할시 물가안정 안되고 외국투자자들 빠져나감..! 금리인상시 갭투자 영끌족 급매 쏟아져 나오고 매수자들 줄어듬!)
오오초 8
2022년 5월 06일 20:38계단식 하락하다가 보합 급등 전체적으로 보면 우상향일듯 하네요 영끌아님 존버 ...?
Wizard Gold 7
2022년 5월 08일 21:36떨어질지 오를지 모르지만 현재는 살사람이 없다는게 문제다.그게팩트임.
부동산 1억 오르는거 바라고 사는 사람은 없음
적어도 몇억오르길 바래야 하는데
과연 거기에 지금 같은 상황에 대출해서 살 심장이 있을지 모르겟네요
대림데칼스토어 6
2022년 5월 07일 13:32부동산 시장에서 입주 물량은 사업가의 성격이 좋냐 정도의 문제가 아니라 자본금이 있냐 vs 빚 내서 하냐 정도의 차이이지 않을까 싶은 개인적 생각 입니다. 수요와 공급이 기본인 자본주의 시장 에서는 물량이 당연히 중요 합니다. 그리고 데이터 에는 입주 물량만 있지만 아파트 공급 물량은 지어지기만 하는건 아닙니다. 다주택자의 물량도 큰 공급이죠. 정책에 따라서 공급이 다변화 되는 것도 같이 체크하는게 맞을 것 같습니다. 아울러 무주택자 분들은 앞으로 아파트 가격이 하락하던 오르던 금리가 인상 될 것은 예정이 되어 있으니까 지금 고정 금리로 적당한 보금자리는 만드시는게 좋을거라 생각 합니다. 아파트 가격이 오르면 좋은거고 떨어지더라도 안정적으로 거주하면 되니까요. 동 기간 월세를 산다고 했을 때 드는 비용과 이자 (원리금 제외)를 비교해 보면 그래도 이자가 더 저렴할거예요. 잘 계산해 보시기 바랍니다. 홍춘옥 박사님은 영끌해서 샀기 때문에 고생한거고 그걸 일반화 하시면 안되는거고 이현철 소장님도 마찬가지 입니다. 5억 짜리 집을 80% 대출내서 4억 에 대한 이자를 내다가 20% 하락하면 전 재산 날린다고 하시는데 무주택자 중에 누가 그렇게 무리해서 집을 살까요? 주식으로 치면 삼성전자를 레버리지 잔뜩 써서 1년안에 무조건 오른다 아니면 망한다에 배팅하는거죠 레버리지 없이 삼성전자를 10년 보유한다면 어떨까요? 배당 꾸준히 받소 수익도 날 겁니다. 아파트도 마찬가지 입니다. 영끌하지 않고 10년 20년 거주하면 어찌됐든 큰 자산이 생기는게 1주택 입니다. 더불어 집주인 눈치나 트러블에 대한 스트레스만 줄여도 그게 어딥니까.. 적당한 1주택을 보유 하시는데 1. 절대 무리하게 예산을 잡지 마시고 2. 상승할 때 많이 오르고 내릴 때 적게 내릴만한 지역을 잘 찾으시고 3. 평수랑 직주근접 등을 잘 생각해서 좋은 기회가 왔을 때 실행 하시는 것을 권장 드립니다.
Bridge Builder 6
2022년 5월 11일 13:32어떻게 정상적인 나라에서 2~3년 사이에 집 값이 오를수 있는지... 2~3억 하던 집들이 2~3년 만에 6~7억... 2~3억이 뉘집 껌값도 아니고.,
ryu doyaji 6
2022년 5월 10일 13:54라이트하우스나 한교수님같이 논리가 아주 합리적이시네요 ㅎㅎㅎㅎㅎㅎㅎㅎ
레발랑도르 5
2022년 5월 12일 06:19하락론자들은 지금까지 틀렸었고 4년만에 맞출지 지켜보면댐ㅋㅋ
아키팍 5
2022년 5월 08일 17:06하락을 예측하는 분의 소유 부동산 현황이 궁금하네요... 어그로 끌어서 본인의 어플리케이션 홍보 하려는게 아닌 진정으로 하락을 계산 하셨다면 본인의 부동산 특히 아파트 투자분은 처분 수순에 들어갔어야 맞는거 같은데....
Mj Kim 5
2022년 5월 10일 09:35정확한 분석이네요~유투브 부동산 전문가라는 사람ㆍ대출푸니 집사라고 부축이네요
자기들 법인으로 많이 갖고있으니ᆢ
보물찾기 4
2022년 5월 13일 17:36영혼까지 팔아가며 친일파 윤석렬 뽑더니 천벌받는다. "무속렬 오세발님 제발 부동산 담합하게 해주세요" "저금리 경기부양 국가망하든 말든 일본처럼 전국을 SOC 사업으로 공그리쳐주시고 저희 집값 지켜주소서" 이 꼴
shhdhhchr 4
2022년 5월 09일 00:40금리 올라가면 자연스레 돈의 가치가 상승하니 부동산이 빠지는건 당연지사 금리 올라가는 추세니 누가봐도 부동산 빠진다고 보는게 당연지사 허나 뭐든지 영원한건 단하나 빼곤 없습니다.
빨간돼지 3
2022년 5월 10일 16:35고장난 시계도 하루에 2번은 맞는법
HK Kim 3
2022년 5월 12일 15:27김작가님 표정이 겁나 쫄았네여...
얼마전에 집샀는데ㅋㅋㅋ
자꾸 떨어진다고 하니까 ㅣㅋㅋㅋ
이명규 3
2022년 5월 07일 10:37대박
주작 3
2022년 5월 13일 07:00수요자보다 공급이 많고 금리인상등은 예고된일 심지어는 전세 매매할 신혼부부와 젊은 세대의 급감 그리고 베이비붐세대의 마지막여생을 보면 거시적 관점에서 우리나라 부동산붐의 마지막을 알리는 기나긴 어둠이 될거다
지금 주어진 조건으로는 30~40%정도가 적당한데 거시점관점은 60%까지도 봐야한다
도라다녀 2
2022년 5월 11일 16:36김작가님 갠적으로 가격상승을 원하시는 모습입니다~헤헤
작년에 매수한 집값하락 걱정되시는듯해요~
정수일 2
2022년 5월 19일 07:52따블 트리풀이 올랐는데 40%떨어져봤자임
진짜 충격은 일본 부동산 따라가는거임
사람들이 아직 자각을 못하는데
지금 대한민국 부동산은 폰지게임임
더이상 사줄사람이 없으면 끝나는 게임
현세대 부동산 가격 감당을 후세대가
할수 있냐 문제임
네버 절대 못함 직장 돈없어 결혼도 못하는 세대인데 무슨 얼어죽을 부동산
에이 2
2022년 5월 10일 07:34수원에 아파트 매물도 엄청 늘었는데...왜 아파트 월세도 엄청 늘은 건가요? 아시는분 계신가요?
정숙 이 2
2022년 5월 12일 07:53코로나도 영향이
있겠지만 넘 많이오른게
큰 문제 문제!!
킹왕짱 1
2022년 5월 20일 13:04지표들을 아무리 참고해도 사람들의 광기는 쉽게 잡히지 않습니다. 대부분의 국가들이 집값 잡기에 나서도 실패를 하고, 뉴턴마저도 투자 시장에서 살아남지 못하게 만든 변수, 그거슨 광기
이몰리 1
2022년 5월 11일 09:47집값 하락전에 팔고 전세로 몇년 살아야할까요? ㅠㅠ
씬디 1
2022년 5월 26일 21:30영끌 대출도 능력 있어야 해주죠..
Sangkwon Park 1
2022년 5월 11일 05:53이런분들이 선동을 해줘야 그나마 경쟁이 낮아져서 상대적으로 부동산으로 돈벌기가 쉬어짐
McArtur Kim 1
2022년 6월 12일 10:0326년 전에 집 값 40% 떨어진다고 말듣고
26년동안 월세 원룸에서 살고 있어요 ㅜ
호순이 1
2022년 5월 10일 13:01자재값 모던 재료값이 한없이 올라가는 이마당에 집값이 과연 내려갈수가있을까 싶네요 믿을수가 없네요
최승구 1
2022년 5월 12일 03:24현금준비 완료 줍줍 관망하고 천천히 기다립시다~
구정희 1
2022년 5월 10일 05:17집값 ᆢ떨어져야한다
ᆢ거품이 너무 세다
ᆢ지금보다 반값이 내려야 한다
예원
2022년 5월 12일 07:26금리인상영향은 대출을 마니 해줬어야 했는데 그게 아닌데요
kh ha
2022년 5월 19일 22:052011 2012 는 세종시 입주... 서울에서 세종으로 인구 이동.. 공급은 작았지만 수요가 이동... 앞으로 한 번 잘 보겠습니다. 어떻게 될 지
rune saga
2022년 5월 10일 15:33딱 주식 시장 처럼 될 듯
최승산티비
2022년 5월 14일 04:03서울이든 수도권이든 집이 모자라서 집값이 폭등한줄 아나요? 집은 언제나 항상 있었고 대한민국 국민들 1명도 집없어서 길거리에 나앉은 사람 없없습니다. 다양한 이유로 집값이 폭등한것일뿐..이제 그 폭등한 집값이 금리라는 강한 상대를 맞나 정상으로 회귀하는 과정일뿐..
멍멍이
2022년 5월 09일 22:23금리인상에 부동산 40% 폭락가자
Shelley Oh
2022년 5월 15일 11:57모든게 타이밍을 잘 맞춰져야 하는데 …
fullmoon
2022년 5월 07일 01:05공급(부족)>수요(없음)
=가격은? ㅠㅠ
몬데이먼데이
2022년 9월 23일 23:14금리인상...과연 인플레이션 잡는게 목적이라고 생각 하는 사람이 몇이나 될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