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은말씀 감사합니다 제가알기로 이분은 부동산사이클을 이야기 하시는 분이지 하락론자가 아니신걸로 알고있습니다 저도정말 큰하락이 안오길 바랍니다 근데 금리 오르는것 확정 물가오르는것 확정 투자심리 하락 그러면 다가올 상황은 일반적대출자는 그래도 버티죠 하지만 영끌하신분들은 버티시가 힘들게 되는겁니다 그럼 그분들이 급매나 경매로 물건을 내고 그수요에 따라서 패닉이 올수도 있는겁니다 문제는 어려운 경제상황은 거의 확정인데 그걸 버틸수 있는 여럭 입니다 소설이 아니라 실제로 그랬습니다 그럼 지금 다주택자들은 어떻게 해야할까요 생각해보세요 그들도 이상황을 다압니다 더잘알죠 그들은 빨리 집을 넘겨야합니다 투자심리가 완전관망으로 빠지기전에 말이죠 그들은 빚이 더많기에 타격이 더큽니다 그래서 그들은 아직이라는 말과 끝은 우상향이라는 말로 유혹하는겁니다 어차피 살건데 하면서요 전세는 몰라도 월세는 어느정도 올라갈겁니다 할수있는게 그것밖에 없으니까요 울나라에만 왜전세제도가 있었다고 생각하시나요 전세갈돈도 못구하면 결국은 월세갑니다 그러다 집값이 떨어지고 전세가도 같이 떨어지면 다시 전세로갔다가 집값이 많이떨어져 집을 사는게 낫다고 생각하면 다시 집을 삽니다 그런사람이 조금씩 많아지면 투기세력이 생기고 또 집값은 상승하고 이린패턴이계속 됩니다 그래서 지금도 진짜' 걱정없고 돈버신분들은 예전에 한2억정도대출로 서울집 사신분들입니다 그분들은 하락장도 걱정할필요가 없습니다 결국은 우상향이니까요 가장 문제는 감당할수 없는 빚입니다 또중요한것은 그 감당할수 없는' 빚의 소유자들의 수요입니다 그들은 금리와인플레이션을 현실적으로 견디기 힘듭니다 그래서 그들의 수요가 크지 않으면 시장에 큰영향을 주지 않지만 수요가 크다면 시장과 나라경제까지도 영향을 줄수있는상황이 올수있는겁니다 제발 그렇게 안돼기를 바라고 있습니다
이미 고점 그리고 그 비슷한 금액에 산 사람들이 있기 때문에 당장의 급락 또는 하락은 없을 겁니다 자기가 산 금액 이하로 내놓기 싫거든요 다만 2-3년뒤 양도세 부과 기간을 끝낸 매물들이 나오고 고금리에 여전히 적은 거래량에 못버티다가 하나 둘씩 던지는 시기가 올 겁니다 그때가 하락장이라고 봅니다 지금 당장은 단기 상승도 할 수 있다고봅니다 근데 이제 더이상 집값 상승은 사 줄 사람이 없어요 소득(gdp)도 같이 높아져야하는데 저성장에 어느정도 한계에 부딪힐 거고 집을 사려면 빚을 내는 수밖에 없거든요 정부는 가계부채가 더이상 늘어나는 꼴을 절대 못봅니다 꼭 명심하세요 다주택자는 팔고 무주택자는 5년만 기다리세요
도대체 국민 대부분이 많아야 월4~500 도못버는대 고작아파트 몇평따리를 몇억씩 빚내서 왜 사냐고.. 버티면 돈벌고 못버티면 정부야 나살려라 할라고? 나라가 미쳐서 전국민이 인생걸고 도박을하네..제발 영끌이 얼마나 위험한건지 계산이나 해보고 배팅하시길 물론 몇년뒤엔 또다시 그때 영끌해서라도 샀어야 했는데 라고 하는 상황이 올수 있지만 미래를 아무도 장담못하는대 위험부담은 얼마나 큰건지 계산기좀 두드리고 영끌하는게 현명하다고 생각합니다.. 계획적으로 계산해보고 버틸수 있는 영끌은 하락기더라도 나쁘게 보지 않는대 묻지마 영끌은 진짜 문제 있다고 봅니다.. 물론 현금부자들은 해당없는 이야기고요..
아직도 부동산 오른다고 하는 사람이 있네.. 지금 자산가라고 유투브에서 떠드는 사람들 2008년 하락장 겪어보지 않은 사람들이지... 보통 2015년 전후에 부동산 시작한 사람들이 자산가라고 떠들든데.... 하락장 한 번 겪어 보면 빚내서 집 몇 채씩 사는게 얼마나 위험한건지 알게 될거다... 안 된 얘기지만, 지금 경제 상황이 아주 아주 안 좋다는 것만 알아들 둬라... 지방에 버스타고 단체로 내려가서 쇼핑하듯이 아파트 사재끼는데, 이게 투기지 뭐냐??
현재 자금이 부족해서 전세끼고 산 후 나중에 실거주 하려는 사람을 투기꾼이라고 하고 내가 살고 있는 집 한채를 숏에 베팅해서 팔고 사는 행위를 하는 사람을 시장론자라고 하는 아이러니한 상황이 벌어지고 있네요 ㅋㅋㅋ 집값 상승 하락 저는 모르지만 실거주 하고 있는 집을 집 값 하락할테니 팔고 다시 사라는게 투기입니다..
5대 광역시가 하락할거니까 그외 중소도시에 집을 사라는 건 이해 못하겠네요. 광역시 다음에 중소도시도 뒤따를텐데 거긴 회복도 더디고 나중에 오름폭도 적지 않을까요? 다른 거 떠나서 서울과 광역시에 몰리는 게 일자리나 교육 때문일텐데 당장의 집값하락 예상 때문에 중소도시를 추천하는 건 거주용보다 투자용으로 권하시는건가요?
2010년 5프로 이상 고금리에도 상승기 진입으로 집사신분들 다 돈 버셨는데. 이제 2프로에서 더 오른다고 하락을 논하다니요..ㅎㅎㅎ 말씀 중에 하나 빼놓으신게 있습니다. 금리저항보다 전세가 상승보다 무서운게 사람 욕망인데. 이제 강남 입성했는데.. 이제 집주인됐는데..외곽으로 밀려나야한다는 인생의 다운그레이드를 받아들이는게 과연 쉬울까요? 인간의 심리가 빠진 부동산 시장 분석은 의미가 없습니다. 그건 역사가 늘 말해주었으니 말입니다.
야.. 이현철 정말 정확히 보네요... 8월 전세대란설 어쩌고 허구에 가까운 이유를 냉철히 설명해버림.. 어떻게 현재가격보다 더 올려.. .지금도 거품이다 어쩌다, 실제 일부 이미 떨어지고 있는데... 기존 세입자 입장에선 당연 높은 값이지만... 그렇다고 이 분들이 매수한다고 쳐도 한계가 있음.
colortweaker 54
2022년 5월 19일 18:59이현철 이분이 시장을 가장 정확하게 파악하고 있어요
colortweaker 53
2022년 5월 19일 19:05영끌 한 사람들 이현철 소장이 하락 이야기 하니까 부들부들하네여
@행운가득-v7j 46
2022년 5월 19일 17:16소장님.영상 예전부터 봤는데..말씀데로 되고 있어요. 이현철 소장님 말대로 하면 부자됩니다 모두 새겨 들으세요.. 👍
@엔디야그 39
2022년 5월 19일 19:34소장님 말씀만 신뢰가 갑니다.
자주 영상 올려 주세요.
@나그네-g3v 36
2022년 5월 19일 19:55좋은말씀 감사합니다
제가알기로
이분은 부동산사이클을 이야기 하시는 분이지 하락론자가 아니신걸로 알고있습니다
저도정말 큰하락이 안오길 바랍니다
근데 금리 오르는것 확정
물가오르는것 확정
투자심리 하락
그러면 다가올 상황은 일반적대출자는 그래도 버티죠
하지만 영끌하신분들은 버티시가 힘들게 되는겁니다
그럼 그분들이 급매나 경매로 물건을 내고 그수요에 따라서 패닉이 올수도 있는겁니다
문제는 어려운 경제상황은 거의 확정인데 그걸 버틸수 있는 여럭 입니다
소설이 아니라 실제로 그랬습니다
그럼 지금 다주택자들은 어떻게 해야할까요
생각해보세요
그들도 이상황을 다압니다
더잘알죠
그들은 빨리 집을 넘겨야합니다
투자심리가 완전관망으로 빠지기전에 말이죠
그들은 빚이 더많기에 타격이 더큽니다
그래서 그들은 아직이라는 말과
끝은 우상향이라는 말로 유혹하는겁니다
어차피 살건데 하면서요
전세는 몰라도 월세는 어느정도 올라갈겁니다
할수있는게 그것밖에 없으니까요
울나라에만 왜전세제도가 있었다고 생각하시나요
전세갈돈도 못구하면 결국은 월세갑니다
그러다 집값이 떨어지고 전세가도 같이 떨어지면 다시 전세로갔다가 집값이 많이떨어져
집을 사는게 낫다고 생각하면 다시 집을 삽니다
그런사람이 조금씩 많아지면
투기세력이 생기고 또 집값은 상승하고 이린패턴이계속 됩니다
그래서 지금도 진짜' 걱정없고 돈버신분들은 예전에 한2억정도대출로 서울집 사신분들입니다
그분들은 하락장도 걱정할필요가 없습니다
결국은 우상향이니까요
가장 문제는 감당할수 없는 빚입니다
또중요한것은 그 감당할수 없는' 빚의 소유자들의 수요입니다
그들은 금리와인플레이션을 현실적으로 견디기 힘듭니다
그래서 그들의 수요가 크지 않으면 시장에 큰영향을 주지 않지만 수요가 크다면 시장과
나라경제까지도 영향을 줄수있는상황이 올수있는겁니다
제발 그렇게 안돼기를 바라고 있습니다
시바는귀엽다 27
2022년 5월 19일 17:47이미 고점 그리고 그 비슷한 금액에 산 사람들이 있기 때문에 당장의 급락 또는 하락은 없을 겁니다
자기가 산 금액 이하로 내놓기 싫거든요
다만 2-3년뒤 양도세 부과 기간을 끝낸 매물들이 나오고 고금리에 여전히 적은 거래량에 못버티다가 하나 둘씩 던지는 시기가 올 겁니다
그때가 하락장이라고 봅니다
지금 당장은 단기 상승도 할 수 있다고봅니다
근데 이제 더이상 집값 상승은 사 줄 사람이 없어요 소득(gdp)도 같이 높아져야하는데 저성장에 어느정도 한계에 부딪힐 거고 집을 사려면 빚을 내는 수밖에 없거든요
정부는 가계부채가 더이상 늘어나는 꼴을 절대 못봅니다 꼭 명심하세요
다주택자는 팔고 무주택자는 5년만 기다리세요
@노을-k4g 24
2022년 5월 19일 18:08도대체 국민 대부분이 많아야 월4~500 도못버는대 고작아파트 몇평따리를 몇억씩 빚내서 왜 사냐고.. 버티면 돈벌고 못버티면 정부야 나살려라 할라고? 나라가 미쳐서 전국민이 인생걸고 도박을하네..제발 영끌이 얼마나 위험한건지 계산이나 해보고 배팅하시길 물론 몇년뒤엔 또다시 그때 영끌해서라도 샀어야 했는데 라고 하는 상황이 올수 있지만 미래를 아무도 장담못하는대 위험부담은 얼마나 큰건지 계산기좀 두드리고 영끌하는게 현명하다고 생각합니다.. 계획적으로 계산해보고 버틸수 있는 영끌은 하락기더라도 나쁘게 보지 않는대 묻지마 영끌은 진짜 문제 있다고 봅니다..
물론 현금부자들은 해당없는 이야기고요..
@동글이-l2q 23
2022년 5월 23일 22:47이분이 인싸이트가 제일 신뢰가 감
부동산 유튜버라면 상승을 말하는게 수익데 더 도움이 되는데도 불구하고
이 분은 너무 솔직하게 말씀하셔서 신뢰가 간다
@JOANJ-u7y 21
2022년 5월 19일 19:02소장님 셔츠 완전 세련 되심. 잘어울리시네요.
@Rena_Lee17 16
2022년 5월 19일 18:18소장님~
의견 잘 들었습니다
궁금한점이있는데요,
무주택자 실거주용인데도 하락장까지 참아야 할까요?
@시나브로-t7w 16
2022년 5월 19일 23:07아직도 부동산 오른다고 하는 사람이 있네.. 지금 자산가라고 유투브에서 떠드는 사람들 2008년 하락장 겪어보지 않은 사람들이지... 보통 2015년 전후에 부동산 시작한 사람들이 자산가라고 떠들든데.... 하락장 한 번 겪어 보면 빚내서 집 몇 채씩 사는게 얼마나 위험한건지 알게 될거다... 안 된 얘기지만, 지금 경제 상황이 아주 아주 안 좋다는 것만 알아들 둬라... 지방에 버스타고 단체로 내려가서 쇼핑하듯이 아파트 사재끼는데, 이게 투기지 뭐냐??
@박누리-v2x 15
2022년 5월 19일 23:31작년에 상가,아파트 정리해서 똑똑한 한채에 집중시켰다.
그래서 주담대 이자 신경 안쓰고 시장을 주시할수 있어서 정신건강에 좋은것 같네요.
이소장님 감사합니다 ^^
이소장님 책,유투브 보면서 정리하자로 결정했거든요.
@영상박-w1x 13
2022년 5월 19일 17:37진심으로 소장님 등기 공개해주세요 제발 ㅎㅎ
@어흥-v5k 12
2022년 5월 19일 18:36김작가님 말씀 완전 공감합니다 ㅎㅎ
@제주파란 11
2022년 5월 19일 17:07명심하여 잘듣고있어요~ 1빠~
@전미향-d7v 10
2022년 5월 19일 19:39소장님 말씀 처럼 똑같은 상황을 겪었거든요
@도라다녀 10
2022년 5월 19일 17:20빨리빨리
3부3부 빨리올려주세요~
궁금해요!!!!!!!!!!!
Lee DarkRed 10
2022년 5월 20일 05:53금리상승 고려해서 지금 영끌한 원리금 상환액의 2배정도이상까지도 10여년 이상 계속 부담하면서 버티는데 자신이 없으신분들은 지금빨리 정리하는게 좋지 않나 생각해봅니다...
@deogbaekim6135 10
2022년 5월 19일 20:18현재 자금이 부족해서 전세끼고 산 후 나중에 실거주 하려는 사람을 투기꾼이라고 하고
내가 살고 있는 집 한채를 숏에 베팅해서 팔고 사는 행위를 하는 사람을 시장론자라고 하는
아이러니한 상황이 벌어지고 있네요 ㅋㅋㅋ 집값 상승 하락 저는 모르지만
실거주 하고 있는 집을 집 값 하락할테니 팔고 다시 사라는게 투기입니다..
@lalaya_aa 9
2022년 5월 21일 13:12소장님 영상보면서 잘 참아야겠어요ㅋㅋ참기 힘들때마다 영상보기
@포그니-n8w 9
2022년 5월 19일 20:455대광역시 신규 공급 늘면서 가격상승이 많이되서 시간차를 두고 서울수도권 분위기 따라간다. 영끌한 1주택자는 긴 하락장에도 버틸수있는자만 보유.
@heejkim71 9
2022년 5월 19일 19:2111월 전세 재계약인데 계속 이 집에서 살 수 있을지... 제발 오른만큼 하락하면 좋겠지만 지난 몇년간 집값은 가파른 상승이었어서 불안해요. 아진짜 사는게 참ㅠㅠ
woleok kim 8
2022년 5월 21일 19:25우리나라 imf 때 집값 등 모두 추락 그때 용기있게 투자 하신분들 짧게는 몇개월 1~2년 내 두배이상 수익을 보셨죠... 버팅기면 이기는 게임. 못 버티니... 계속 악순환이 되는듯.....
@현화표 8
2022년 5월 19일 18:34이번에 집을팔고 새집을 살려고하니 고점인것같고 전세를가기도 그렇고 어떻게해아 좋은지 결론이 안서내요 맘에드는집이 있긴한데 고점인것이 걸리내요 빛은없구요 집살려면 재산탈탈 털어야해서 고민이예요ㅡㅡ
@무돌이-y8s 6
2022년 5월 19일 17:24허위매물이라는것을
악용하는 사례들을말해야죠
@hillary2476 5
2022년 5월 20일 20:24부산이 수도권 금액으로 변하고있어요
대체무슨일인가요??????
2019년도에 34평3억4천도 비싸다했는데
지금은 12억 //해운대는 미쳤어요
@피톤치드-h4u 5
2022년 5월 19일 17:46저도 일단은 기다려볼게요~~~~
감사합니다~^^
@아리솔-p5e 4
2022년 5월 19일 19:01분양받는거는 괜찮겠죠
@wellagingssong 4
2022년 5월 21일 12:562년 갱신하신 분들 입장은 폭등이요.
폭등했을때 들어간 세입자분들은 조정이겠죠.
후자의 임대인은 돈을 좀 내줘야 하는 분위기.
그분들 입장에서는 역전세일 듯요
@무음-x1l 4
2022년 5월 20일 13:25예전부터 계속 소장님 영상을 보고있는데요
무섭습니다 예측하신데로 그대로 가고 있습니다 항상 잘보고있습니다 감사합니다
문의하나만드릴께요 저는 경기도산본에 1주택자로써 팔고 싶은 마음이 있긴한데요
이주택이 리모델링 확정입니다
근데 중도금이 2억이상 들어갈것같아요(원래 1.5정도라고 했지만 자재값인상으로)
집값이 폭락시기에 있는데 리모델링 2억 중도금을 넣으면서까지 아파트를 가져갈 이유가 있을까 고민입니다
현진행상황에서는 빠르면 2년후에 진행될것같습니다
1주택자의 리모델링확정 중도금2억이상 이것도 가져가야하는게 맞는걸까요
아님 처분해서 10년후에 강남쪽 주택을 노려보는게 나을까요?
많은 고민이 됩니다
조언좀 부탁드립니다 ~
@lucky_tv 4
2022년 5월 19일 18:55🌟 『이현철 소장_5부작 영상』 바로 보러 가기
👉 1부. https://www.youtube.com/watch?v=yFW3sZ947wc&t=78s
👉 2부. https://www.youtube.com/watch?v=Z4Epf82H63A
👉 3부. https://www.youtube.com/watch?v=0-OJhVUsNWw&t=1s
👉 4부. https://www.youtube.com/watch?v=-9tTOg1H28M
👉 5부. https://www.youtube.com/watch?v=kuhZTl3Shp8
📚 김작가 『럭키』 양장 특별판: https://bit.ly/3mnVYDq
🌟 김작가 『자기계발』 강좌: https://bit.ly/3LbB5oE
@jjgse 4
2022년 5월 20일 09:525대 광역시가 하락할거니까 그외 중소도시에 집을 사라는 건 이해 못하겠네요. 광역시 다음에 중소도시도 뒤따를텐데 거긴 회복도 더디고 나중에 오름폭도 적지 않을까요? 다른 거 떠나서 서울과 광역시에 몰리는 게 일자리나 교육 때문일텐데 당장의 집값하락 예상 때문에 중소도시를 추천하는 건 거주용보다 투자용으로 권하시는건가요?
@bin6360 3
2022년 5월 19일 20:102010년 5프로 이상 고금리에도 상승기 진입으로 집사신분들 다 돈 버셨는데. 이제 2프로에서 더 오른다고 하락을 논하다니요..ㅎㅎㅎ 말씀 중에 하나 빼놓으신게 있습니다. 금리저항보다 전세가 상승보다 무서운게 사람 욕망인데. 이제 강남 입성했는데.. 이제 집주인됐는데..외곽으로 밀려나야한다는 인생의 다운그레이드를 받아들이는게 과연 쉬울까요?
인간의 심리가 빠진 부동산 시장 분석은 의미가 없습니다. 그건 역사가 늘 말해주었으니 말입니다.
@코드M 3
2022년 5월 19일 23:41주식도 상승장에는 모두가 전문가가 되지~ 부동산도 상승하다보니 유튜브도 너도나도 전문가~,영끌하시분들은 조심해야할듯~
정명렬 3
2022년 5월 20일 11:19"임대차3법이 8월31일부터 해서 9월부터 시작하기 때문에...???"
사실이 아닌것 같습니다... 주택임대차보호법 개정안은 2020년7월30일 국회를 통과하고 7월31일 국무회의를 통과하면서 바로 시행되었습니다...(팩트 체크)
남자사람 3
2022년 5월 19일 19:22주식, 코인, 부동산 사라마라 이야기 안했으면 좋겠다 책임도 못질거면서 무슨 자격으로 내린 오르니 선동하는지..최소한의 양심이 있다면 본인이 알아서 판단하라는 내용을 상기 시켜줘야 하는 건 아닐지.$
@정영희-h2m 3
2022년 5월 19일 19:323부 빨리 올리세요
@블랙레드-u5p 3
2022년 5월 19일 18:254월부터 거래가 되는것 같은데? 최고가에서 10퍼정도 하락한 가격에서 거래 늘고 있어요.
@차카게살자-y8h 3
2022년 5월 19일 18:03폭락론자.폭등론자
반반
ㅠㅠ
@lsh7311 2
2022년 5월 19일 20:17부동산은 아무도몰라요 그냥 현상황보고 다들짐작만하는거지
@nangman1195 2
2022년 6월 14일 19:55이헌철소장님 말씀을
계속들어봐도 신뢰가갑니다
좋은정보감사합니다.^^
Juhyeon Kim 2
2022년 5월 21일 12:51이미 영끌매수 많이해서
집을 사줄 호구가 거의 없음.
@빵꾸똥꾸-o7x 2
2022년 5월 19일 19:04장진택 아저씨가 생각나네
@dkc1111 1
2022년 5월 20일 17:30금리 올라 구매력 떨어 졌지, 갱신권 첫해 실입주한 집주인 임대매물 나오지, 그 때 비싸게 들어간 임차인들 갱신권 포기 매물 나오지, 기존 갱신권 사용 매물 나오지. 금리는 높지...
@도우너-b9r 1
2022년 5월 26일 16:37어려운 유주택자는 집을 팔고
무주택자는 집을 사지 말고.
이러면 전월세 수요가 늘어나는거 아닌가?
그럼 당연히 전월세가격이 상승하는겅아니에오?
@냥골골골 1
2022년 5월 19일 23:19근데 강남의 빌라건물을 계약하고 잔금이 6월이라는데 실거래 신고를 해놨음 왜이런거죠?? 혹시 아는분
@스마일-k2n5g 1
2022년 5월 22일 15:50옛날엔 돈이 업어서 못삿지만...이젠 다들 살만한거같은데..제가볼땐 조금이라두 내렷을때 얼른사는게 조을듯...자제값두 점점 올라가서 나중엔 올라갈듯 싶음...
@Tgfasoop 1
2022년 5월 26일 16:02야.. 이현철 정말 정확히 보네요... 8월 전세대란설 어쩌고 허구에 가까운 이유를 냉철히 설명해버림..
어떻게 현재가격보다 더 올려.. .지금도 거품이다 어쩌다, 실제 일부 이미 떨어지고 있는데...
기존 세입자 입장에선 당연 높은 값이지만... 그렇다고 이 분들이 매수한다고 쳐도 한계가 있음.
@진저에일-q4f
2022년 5월 22일 10:07갱신권 사용자 실제 사용자는 많지 않았다로. 70%사용은 정부/언론의 오해였던것으로. 전체 전세 이용자의 70%가 아니라고... 삼프로 에서 리포트 있었음
@은숙이-c5x
2022년 5월 22일 03:05저도 궁금해요 미래로 갔다오고싶네요 ㅋㅋ
@씬디-r5g
2022년 5월 26일 23:02못 사는 동네로 전세가서 10년 정도 인내하고 살다가 집사면 되겠어요, 임대인은 대출 받아 전세 안들어오면 월세 놓을 듯.
@임경숙-t6g
2022년 5월 20일 02:05감사합니다.()
@가을비-t4n
2022년 5월 24일 01:04팔고싶어도 팔려야팔지요.ㅜㅜ
팔방법좀 알켜주세요
제임스
2022년 5월 21일 04:21지금부터 최소한5년이상은 하락기란 말씀인데
지켜보겠어
@아산백호-s5t
2022년 5월 22일 09:56부들부틀은 ㅎㅎㅎ
윌세 오르니 더부들부틀 하지!!
비파라오
2022년 5월 20일 06:17누구나 할 수있는 말이네
@lilllili7463
2022년 5월 20일 06:14전세계 규모의 다단계를 보는듯하다.
@내옆에있는사람이0순
2022년 6월 12일 17:18몇년 뒤에 누가 맞는지 볼께요
@back2200
2022년 5월 21일 01:23충북은 제천 충주 집값 폭등중요.
이해는 안되지만요.
@hye8084
2022년 5월 26일 11:18'하반기 전세가 폭등은 없다' 채상욱과 같은의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