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주명리학을 공부하니 주역이란 학문에 관심이 생기더라구요~ 한자에 약해서 주역입문서를 몇권 읽어봤는데 좋았습니다. '모든 것은 변한다. 그것이 진리다' 만물은 고정된 실체가 아니라 끊임없이 변화하는 과정에 있는데 사람의 생각으로 그것을 붙잡으려 합니다. 모든 일들도 그렇게 받아들이고 이해하기에 지금의 힒듬이 영원한줄 알아요. 지금 이 순간은 끊임없이 변하고 있습니다. 그러니 집착하고 소유할 그 무엇도 없음을 알게하는 학문이 주역입니다.
학문의 극치를 이루신 세계4대 성인 중 한분인 2000년전 공자님은 주역책의 가죽끈이 세번 헤질 정도로 이 서적을 탐독을 하셨는데.. 그 모습을 보고, 의아해서 제자가 묻습니다.. ' 스승님, 왜 점서 따위에 그렇게 몰두를 하십니까?' 그러자, 공자께서 지긋이 웃으며 대답하십니다.. '이 책 안에는 신묘한 도(道)가 흐르기 때문이다'
일전에도 제가 '주역'의 중요성에 대해서 언급한적 있지만..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오랜세월 수많은 철학자, 사상가, 과학자들이 이 주역서을 탐독하고 경배한데는 그만한 이유가 있습니다. '8괘 64괘' 이 신령한 괘는 우주의 근본원리인 '이데아'를 뜻하며, 신성(참나)안에 존재하던 것이 조건에 따라 '인연법'으로 4차원 시공간인 현상계에 펼쳐지는데,
우리의 삶속에 지금.. 어떤 괘의 이데아의 지배를 받고있는지를 도구와 수단으로서 설명해주는 것이 바로 '주역'입니다. 하나하나 설명하자면 너무 긴 얘기가 될것 같고..
모쪼록, 시간되시면 공자님이 설한 '신묘한 도(道)'의 세계를 직접 경험해 보시길.. (feat.0,1음,양) 🙏
ㅎㅎ 마음공부 하다 바보 될까봐 ~ 부처님께서 인간의 본성이 부정성이라 삶이' 고통이라 해서 긍정성 회복이 깨달음일까 생각 한적도 있어요 ^^ 와 신난다 하면서 살고파요 주역은 힘들어 명리학은 쪼금 봤어요 ~ 자기 그릇만큼 잘살라 실대 없는 욕심 버리고 그런데 그릇이 영 ㅡㅡㅡ ㅠ 써니즈님 고맙습니다 좋은 한주 즐겁게 시작하세요 ^♡
멀~리 돌고 돌아 갈것 없이 내 분수 알고 지킬 줄만 알아도 반은 안 것! 깨달코자 하는 노력의 100분의1만 해도 분수는 알 수 있을 것이요 분수를 알면 지키고 발전시키는 것 또한 그 노력에 조금만 더 하면 될 것이요 그리 나아 가다 보면 문뜩 자연히 이미 깨달앗음을 알것이라~
내 나이 오십에 인생이 풀리지가 않아서 어제 밤에 술한찬 먹고 신께 죽여 달라고 울면서 기도를 했죠. 그러니까 꿈에 새빨간 3자가 쓰인 종이를 누가 들고 와서 글자를 보여주며 너 이거 어떡할래. 이거 어떡할래. 너 위험하다고 보내온 건강진단서야. 이러는 겁니다. 두번이나 다른 사람이 찾아와서 보여주는 거에요. 그러면서 계속 이거 어떡할래. 그러네요 그리고 아침에 목이 너무 말라서 깬후에 마음에서 이런 음성이 들이는 거에요. 그래서 어떡할래.. 그래서 내가 그래 살아야죠. 그랬습니다. 최소한 마음공부는 끝내야 하는거니까. 사실은 마음공부하기 위해 사는거니까. 최소한 저한텐 말이죠. 끝을 봐야하니까. 오늘 끝까지 마음공부했던 정약용의 정신이 제 마음을 맑게 하네요. 좋은소개 감사합니다. 써니즈님.
@현-k2r 17
2022년 5월 23일 07:21사주명리학을 공부하니 주역이란 학문에 관심이 생기더라구요~
한자에 약해서 주역입문서를 몇권 읽어봤는데 좋았습니다.
'모든 것은 변한다. 그것이 진리다'
만물은 고정된 실체가 아니라 끊임없이 변화하는 과정에 있는데 사람의 생각으로 그것을 붙잡으려 합니다.
모든 일들도 그렇게 받아들이고 이해하기에 지금의 힒듬이 영원한줄 알아요.
지금 이 순간은 끊임없이 변하고 있습니다.
그러니 집착하고 소유할 그 무엇도 없음을 알게하는 학문이 주역입니다.
좋은 책 소개 감사합니다 🙏
@consciousness-401 12
2022년 5월 23일 09:11학문의 극치를 이루신 세계4대 성인 중 한분인 2000년전 공자님은 주역책의 가죽끈이 세번 헤질 정도로 이 서적을 탐독을 하셨는데..
그 모습을 보고, 의아해서 제자가 묻습니다..
' 스승님, 왜 점서 따위에 그렇게 몰두를 하십니까?'
그러자, 공자께서 지긋이 웃으며 대답하십니다..
'이 책 안에는 신묘한 도(道)가 흐르기 때문이다'
일전에도 제가 '주역'의 중요성에 대해서 언급한적
있지만..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오랜세월 수많은
철학자, 사상가, 과학자들이 이 주역서을 탐독하고 경배한데는 그만한 이유가 있습니다. '8괘 64괘'
이 신령한 괘는 우주의 근본원리인 '이데아'를 뜻하며, 신성(참나)안에 존재하던 것이 조건에 따라 '인연법'으로 4차원 시공간인 현상계에 펼쳐지는데,
우리의 삶속에 지금..
어떤 괘의 이데아의 지배를 받고있는지를 도구와 수단으로서 설명해주는 것이 바로 '주역'입니다.
하나하나 설명하자면 너무 긴 얘기가 될것 같고..
모쪼록,
시간되시면 공자님이 설한 '신묘한 도(道)'의 세계를
직접 경험해 보시길.. (feat.0,1음,양) 🙏
"절대계의 이데아는 반드시 현상계로 표출됩니다"
@별헤는밥 7
2022년 5월 23일 07:46진짜 공부를 할려면 주역을 공부하라. ㅎ. ^;^
@해피마미-m1l 6
2022년 5월 23일 09:54명문가의 천재 엄친아로 태어났음에도
고단한 백성들의 삶을 외면하지않고
그들의 수고를 덜어주고자 연구했던
실학자 정약용.. 개혁군주 정조대왕과
함께 제가 가장 좋아하는 역사인물입니다
이렇게 또 만나니 좋습니다
감사합니다 ^^
@sopa2367 6
2022년 5월 23일 07:44양반의 지배를 받으면서도 살아남은 일반 평민들과 노비 천민들이 더 위대하다!
@김현화-f6e 6
2022년 5월 23일 07:34때에 알맞게 움직이고 있는 자신 발견하기!
오늘도 감사합니다 ❤
류지호 5
2022년 5월 24일 04:29마치 마음 공부가 1인칭 삶을 3인칭 관찰자 시점으로 느끼게 해주는 것 같네요.
@kacho019 5
2022년 5월 23일 13:50주역은 쉽지않죠~~^^
동양의 집대성 철학이라 할수 있습니다.
동방예의지국….과연 옳을까요?
서양의 자기중심적인 문화 이게 옳을까요?
주역또한 도구와 같은 말과 글 일뿐 입니다.
얽매이지 마세요.
스승을 찾았다고
스승에게 헌신하면
스승또한 그 편리함에 물들어 흐트러지고
스승을 떠 받들기만 하면
그 공부는 진천이 없는 것 입니다.
공부는 하시되
주관적 옳고 그름의 초석을 잘다지시고
객관적 옳고 그름과 맞설때 맞서고
물러설 때 물러서 시길 바랍니다.
공부는 하되
얽매이지 않는 철저한
성찰이 있어야 할것입니다.
주역은 너무 대단해 그 얽매임이 엄청납니다.
기독교도 그러하고 불교도 그러합니다.
옥석만 쏙빼서 삶에 적용하여
세상에 베푸시는 좋은 사람들이 되시길 바랍니다^^
오늘도 감사합니다^^
ps: ‘휴먼카인드’ 라는 책읽어 보세요
역사학자가 쓴 책인데 꽤 읽어볼만 합니다.^^
@suchislifespace7725 4
2022년 5월 23일 10:51마음이 심난해지던 하루였는데 정약용의 삶을 보니 왠지 위로가 되네요.
사자후 4
2022년 5월 23일 13:35주역은 잘 모르겠는데
명리학을 공부한적 있습니다
양자역학이
명리학과 비슷하네 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sdsglow 4
2022년 5월 23일 08:20써니즈님~ 감사합니다 ❣️
주역 공부하며 생활에서 실천해보고 싶어요 ^^
지금의 상황을 직면, 직시하고 나에게 알맞은 장소와 시간, 사람, 일을 선택해서 즐겁게 행하기
선택의 여지가 없다면 그에 맞는 방식을 찾아보기
@lovemyself_now 3
2022년 5월 23일 07:44호오포노포노 감사합니다 사랑합니다
@하지영-l5s 3
2022년 5월 25일 09:38이렇게 우리 조상님들이 남겨놓은 마음공부 관련한 책들이 많을텐데 제대로 전해지지 않는 것이 안타깝네요. 정약용 선생님이 마음공부 관련 책을 남겨놓은줄 처음 알았어요. 심경밀험 찾아서 한번 읽어봐야겠습니다.
@반야-g2q 3
2022년 5월 23일 07:24감사합니다 고맙습니다 🙏
@무무-j9i 3
2022년 5월 23일 08:36ㅎㅎ 마음공부 하다
바보 될까봐 ~
부처님께서 인간의 본성이
부정성이라 삶이' 고통이라
해서 긍정성 회복이
깨달음일까 생각 한적도 있어요 ^^
와 신난다 하면서 살고파요
주역은 힘들어 명리학은
쪼금 봤어요 ~
자기 그릇만큼 잘살라
실대 없는 욕심 버리고 그런데
그릇이 영 ㅡㅡㅡ ㅠ
써니즈님
고맙습니다
좋은 한주 즐겁게 시작하세요 ^♡
@종혁-h3i 3
2022년 5월 23일 23:13써니즈님채널을 초반부터 봐왔었는데 처음 댓글 남기네요 저도 마음공부를 잘 모르지만 요즘 써니즈님은 뭔가 말로 못할 깨달음의 깊이가 느껴집니다 일문일답도 잘 봤습니다
@이해군-c6b 3
2022년 5월 23일 12:01멀~리 돌고 돌아 갈것 없이
내 분수 알고 지킬 줄만 알아도 반은 안 것!
깨달코자 하는 노력의 100분의1만 해도
분수는 알 수 있을 것이요
분수를 알면 지키고 발전시키는 것 또한
그 노력에 조금만 더 하면 될 것이요
그리 나아 가다 보면
문뜩 자연히 이미 깨달앗음을 알것이라~
@노성택-y1m 3
2022년 5월 23일 12:21보왕삼매론이 생각나네요 ^^
@하보남-w2e 3
2022년 5월 23일 07:28감사합니다~👏👏
@onlyone2527 2
2022년 5월 23일 18:31멋지네요 정약용님
@tv-qg4xd 2
2022년 5월 24일 05:35써니즈님
주역소개시겨주셔서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
@Pliersking 2
2022년 5월 23일 10:54써니즈 선생님 지금 딱좋은강의 감사해요 쌤은최고세요
@바람꽃길 2
2022년 5월 23일 07:56감사합니다👍👍👍
@suyounkim3507 2
2022년 5월 23일 08:00써니모닝 좋은 아침입니다 ☀️
애써서 만들어 주신 영상 감사히 보고 전하고 싶은 마음이 뭔지 느껴보는 아침
각자의 끌어당김대로 해석이 달라질 느낌들 다 소중한 거겠죠
감사합니다 ♡
오늘도 최고입니다 👍
@푸른매-x4s 2
2022년 5월 23일 16:02조국장관님 생각이나네요
책을 쓰면서 힘든시간을 버티시는 모습이 오버랩됩니다.
하늘은 큰 인물을 강하게 벼루나봅니다.
@soniaakhilaprem1410 2
2022년 5월 23일 13:56하지만~ 들어보세요. 의 써니즈님의 유연성에 🥂 건배 하고 싶은 아침 이었네요 🍻
@Macrocosmnouveauriche 2
2022년 5월 23일 07:53감사합니다 사랑합니다
@jiwon4784 1
2022년 5월 23일 09:03감사합니다!!!
@다풍요 1
2022년 5월 23일 13:34아아 써니즈님 감사합니다 ~~
@백금희-q6p 1
2022년 5월 23일 09:12감사드립니다~♡
@미경강-y7o 1
2022년 5월 23일 09:19감사합니다
@user-hq7ei5ll4g 1
2022년 5월 29일 02:29마지막 결말이 울림과 공명을 주네요.
같은 곳을 향해 우리가 가는길은 달라도, 언젠가 서로가 만나지않을까하는 조그만 목표나 소망이 웃음짓게 합니다.👍
@김윤정-h7s8u 1
2022년 5월 23일 11:11고맙습니다
@자명0룽따 1
2022년 5월 24일 19:16주역은 참나를 깨닫고 진리와 함께 하는 경전이죠.
@침묵의소리-s8e 1
2022년 7월 05일 13:38내 나이 오십에 인생이 풀리지가 않아서 어제 밤에 술한찬 먹고 신께 죽여 달라고 울면서 기도를 했죠. 그러니까 꿈에 새빨간 3자가 쓰인 종이를 누가 들고 와서 글자를 보여주며 너 이거 어떡할래. 이거 어떡할래. 너 위험하다고 보내온 건강진단서야.
이러는 겁니다. 두번이나 다른 사람이 찾아와서 보여주는 거에요. 그러면서 계속 이거 어떡할래. 그러네요
그리고 아침에 목이 너무 말라서 깬후에 마음에서 이런 음성이 들이는 거에요. 그래서 어떡할래..
그래서 내가 그래 살아야죠. 그랬습니다. 최소한 마음공부는 끝내야 하는거니까. 사실은 마음공부하기 위해 사는거니까. 최소한 저한텐 말이죠. 끝을 봐야하니까. 오늘 끝까지 마음공부했던 정약용의 정신이 제 마음을 맑게 하네요. 좋은소개 감사합니다. 써니즈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