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수는 하나님 만나는 유일한 길입니다. 예수는 당신의 죄와 저주를 해결하신 참된 제사장입니다. 예수는 십자가에서 사탄의 머리를 깨뜨린 참된 왕입니다. 그대가 예수를 믿으면 죄와 사망의 법에서 영원히 해방되며 하나님의 자녀가 됩니다. 예수를 믿고 영접하세요. 예수는 당신을 사랑하고 있습니다.
올해 포함 4년 평균 수익률 50%가 조금 넘는데, 이 분이 하시는 말이 진리입니다. 앞으로 변동성에 큰 장들을 만나 결국은 12~15%의 연평균 수익률에 수렴할 것으로 생각합니다. 참고로 미국주식만 투자합니다.
영상 정리와 더불어 개인적인 경험 기반 코멘트를 붙이자면,
1. 목표 수익률은 S&P500 평균 수익률인 10~12% 이상인 15%만을 목표로 투자합니다. 이 또한 높은 목표라 생각합니다.
2. 종목 선정에 있어 이해가 명백하게 되지 않는 투자처/섹터는 패스합니다. NYSE와 나스닥을 합하면 총 6,000개가 넘는 투자처가 있습니다. 욕심을 버리고 내 자신을 알아야 한다고 자신합니다.
3. 끈질기게 공부합니다. 내 주변에서 찾을 수 있는 종목부터 시작해 같은 섹터 내 경쟁자 TOP4들의 5개년치 재무제표를 모두 분석하고, 앞으로의 시장 전망 등 데이터를 모두 수집하여 리스크를 최소화합니다. 이렇게 공부했음에도 물론 -50%를 맞이하는 종목은 분명 있을겁니다.
4. CEO 인터뷰를 찾아봅니다. 최근, 특정 이슈가 있었을 때, 초창기 시절 인터뷰를 모두 찾아봅니다. 결국은 기업도 사람이기에, CEO 리스크가 가장 큰 리스크라 생각합니다.
5. 항상 현금비중은 30%를 유지합니다. 내가 확신을 가지고 투자한 기업이라도 현금이 없다면 하락장을 끝까지 버텨내지 못합니다. 현금은 쓰레기가 아닙니다. '투자공부를 하지 않고' 무분별한 소비로 빠져버리는 현금이 쓰레기입니다. 10X로 유명한 미국의 억만장자 그랜드 카돈도 현명한 투자자는 1. 돈을 모으고 2. 투자 공부를 하고 3. 모은 돈을 투자한다. 라고 말했습니다.
6. 분산투자합니다. 현재 100개 넘는 종목을 분석했지만, 결국 포트에 담을 수 있었던 것은 5개 종목뿐이었습니다. '분산투자인데 겨우 5개?'라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 많은 종목에 투자하는게 분산투자가 아닙니다. 각 섹터별로 분석해 겹치지 않는 부분을 선별하다보면 정말 많은 기업과 섹터를 분석하더라도 5~15개의 종목만이 필터를 통과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7. 시장을 떠나지 않습니다. 아무리 힘든 장이 찾아오더라도 이기는 사람은 살아남는 사람입니다. 앞서 말한 것과 같이 끈질기게 공부하고 현금을 모으다보면 기회가 찾아오게되어 있습니다. 그 누구도 하락의 끝이 어딘지 모르지만, 역사가 말해주듯 결국 승자는 시장에 끝까지 살아남아 원칙을 지키는 사람들이었습니다.
8. 경청하고 오픈된 마인드로 받아들입니다. 부자의 귀는 항상 열려있습니다. 현명한 CEO는 많은 말을 하지 않습니다. 투자도 마찬가지라 생각합니다. 물론 내 의견을 내비치는 것도 중요하지만, 상대방의 의견을 받아들일 자세가 되어있어야 조금씩 성장한다고 생각합니다.
9. 마지막으로, 자신만의 투자 원칙을 세웁니다. 단타든 스윙이든 장투든 투자 원칙 없이 시간을 보냈다면, 경험이 아니라 헛송세월을 보낸 것이라 생각합니다. 여러 경험을 통해 자신만의 투자 원칙을 세우세요. 직접적인 트레이딩 경험도 좋고, 간접적으로 책이나 영상으로 자신만의 노하우를 만들어보세요.
현재 시장이 어려워 다들 힘들거라 생각하지만, 이 분이 40년간 경험하신 진리는 피터 린치, 워런 버핏도, 그의 스승인 필립 피셔도 동일하게 느껴왔고 후대에게 전하고 있습니다. 뻔한 진리가 가장 지키기 어렵다고 생각합니다.
@affix6347 35
2022년 5월 23일 21:5640대 50대 상위 20퍼에 들어야 수도권 대도시 부채없이 집 갖고 그때되면 이제 늙은 상태고 노후걱정해야하고 인생 ㅈㄴ팍팍허다. 이거도 대한민국 상위 20퍼 30퍼의 인생이다.
브신삼촌:경훈아 나다 22
2022년 5월 23일 18:03너무 뻔한 얘기, 원론적인 얘기, 다아는 에프엠만 얘기 하시는데...머리로는 이렇게 해야 돈을번다는걸 아는데..마음은 급하기만하고..반대로함 ㅜ.ㅜ
@tmj4361 16
2022년 5월 23일 18:36김작가님질문너무잘하시네요~^^진영호대표님도말을구수하게너무잘하네요~^^도움되는영상너무감사드립니다~^^
@허구한날-c5t 12
2022년 5월 24일 07:11예수는 하나님 만나는 유일한 길입니다. 예수는 당신의 죄와 저주를 해결하신 참된 제사장입니다. 예수는 십자가에서 사탄의 머리를 깨뜨린 참된 왕입니다. 그대가 예수를 믿으면 죄와 사망의 법에서 영원히 해방되며 하나님의 자녀가 됩니다. 예수를 믿고 영접하세요. 예수는 당신을 사랑하고 있습니다.
@mizual 11
2022년 5월 26일 18:51올해 포함 4년 평균 수익률 50%가 조금 넘는데, 이 분이 하시는 말이 진리입니다. 앞으로 변동성에 큰 장들을 만나 결국은 12~15%의 연평균 수익률에 수렴할 것으로 생각합니다. 참고로 미국주식만 투자합니다.
영상 정리와 더불어 개인적인 경험 기반 코멘트를 붙이자면,
1. 목표 수익률은 S&P500 평균 수익률인 10~12% 이상인 15%만을 목표로 투자합니다. 이 또한 높은 목표라 생각합니다.
2. 종목 선정에 있어 이해가 명백하게 되지 않는 투자처/섹터는 패스합니다. NYSE와 나스닥을 합하면 총 6,000개가 넘는 투자처가 있습니다. 욕심을 버리고 내 자신을 알아야 한다고 자신합니다.
3. 끈질기게 공부합니다. 내 주변에서 찾을 수 있는 종목부터 시작해 같은 섹터 내 경쟁자 TOP4들의 5개년치 재무제표를 모두 분석하고, 앞으로의 시장 전망 등 데이터를 모두 수집하여 리스크를 최소화합니다. 이렇게 공부했음에도 물론 -50%를 맞이하는 종목은 분명 있을겁니다.
4. CEO 인터뷰를 찾아봅니다. 최근, 특정 이슈가 있었을 때, 초창기 시절 인터뷰를 모두 찾아봅니다. 결국은 기업도 사람이기에, CEO 리스크가 가장 큰 리스크라 생각합니다.
5. 항상 현금비중은 30%를 유지합니다. 내가 확신을 가지고 투자한 기업이라도 현금이 없다면 하락장을 끝까지 버텨내지 못합니다. 현금은 쓰레기가 아닙니다. '투자공부를 하지 않고' 무분별한 소비로 빠져버리는 현금이 쓰레기입니다. 10X로 유명한 미국의 억만장자 그랜드 카돈도 현명한 투자자는 1. 돈을 모으고 2. 투자 공부를 하고 3. 모은 돈을 투자한다. 라고 말했습니다.
6. 분산투자합니다. 현재 100개 넘는 종목을 분석했지만, 결국 포트에 담을 수 있었던 것은 5개 종목뿐이었습니다. '분산투자인데 겨우 5개?'라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 많은 종목에 투자하는게 분산투자가 아닙니다. 각 섹터별로 분석해 겹치지 않는 부분을 선별하다보면 정말 많은 기업과 섹터를 분석하더라도 5~15개의 종목만이 필터를 통과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7. 시장을 떠나지 않습니다. 아무리 힘든 장이 찾아오더라도 이기는 사람은 살아남는 사람입니다. 앞서 말한 것과 같이 끈질기게 공부하고 현금을 모으다보면 기회가 찾아오게되어 있습니다. 그 누구도 하락의 끝이 어딘지 모르지만, 역사가 말해주듯 결국 승자는 시장에 끝까지 살아남아 원칙을 지키는 사람들이었습니다.
8. 경청하고 오픈된 마인드로 받아들입니다. 부자의 귀는 항상 열려있습니다. 현명한 CEO는 많은 말을 하지 않습니다. 투자도 마찬가지라 생각합니다. 물론 내 의견을 내비치는 것도 중요하지만, 상대방의 의견을 받아들일 자세가 되어있어야 조금씩 성장한다고 생각합니다.
9. 마지막으로, 자신만의 투자 원칙을 세웁니다. 단타든 스윙이든 장투든 투자 원칙 없이 시간을 보냈다면, 경험이 아니라 헛송세월을 보낸 것이라 생각합니다. 여러 경험을 통해 자신만의 투자 원칙을 세우세요. 직접적인 트레이딩 경험도 좋고, 간접적으로 책이나 영상으로 자신만의 노하우를 만들어보세요.
현재 시장이 어려워 다들 힘들거라 생각하지만, 이 분이 40년간 경험하신 진리는 피터 린치, 워런 버핏도, 그의 스승인 필립 피셔도 동일하게 느껴왔고 후대에게 전하고 있습니다. 뻔한 진리가 가장 지키기 어렵다고 생각합니다.
다들 파이팅입니다. 성투하세요 :)
@Joonime 11
2022년 5월 24일 02:04사람도 일하면서 쉬듯이 돈도 쉬는시간이필요하다. 좋은말이네요
@안길동-l5h 10
2022년 5월 23일 17:25😀😀😀👍👍👍👍👍
@jblee5424 10
2022년 5월 23일 17:14감사합니다 .
@요술양양이 9
2022년 5월 23일 17:23감사합니다
@mulkogee 8
2022년 5월 23일 19:57전형적인 기금고갈 시키는 관료의 모습을 보아서 재미도 감동도 없는 특별한 영상이었습니다. 채권에 투자하는 성향의 분 같네요. 기금은 거둬들인 자산만 많지 운용능력이나 마인드는 떨어지죠.
@mumama1955 6
2022년 5월 23일 17:15👍
@lucky_tv 5
2022년 5월 23일 17:13🌟 『진영호 대표_3부작 영상』 바로 보러 가기
👉 1부. https://www.youtube.com/watch?v=I9qa29z9_kE&t=18s
👉 2부. https://www.youtube.com/watch?v=uoecfD_bxZM&t=637s
👉 3부. https://www.youtube.com/watch?v=hXUgTG5-1Is
📚 김작가 『럭키』 양장 특별판: https://bit.ly/3mnVYDq
🌟 김작가 『자기계발』 강좌: https://bit.ly/3LbB5oE
tom 5
2022년 5월 23일 19:25와..
수학의정석느낌
@user-fy1fc5gj5s 4
2022년 5월 23일 23:01주린이입니다 선생님 주식을 보면 몇주를 사는지나오는데 그 주식을 1주를샀다고하면
1주동안만 가지고있는건가요???
@rudals2 4
2022년 5월 23일 17:021빠
@카이카-y8s 3
2022년 5월 23일 19:41투자의 정석!
@soyounkim7813 3
2022년 5월 24일 09:42散ら。ちらし찌라시
疎ら。まばら마바라
일본어가 주식시장에서
쓰이는군요..
내용이 참좋아요.
투자의 정석 👍
@좀쉬고싶다-j7d 3
2022년 5월 25일 21:48제가 좋아하는 김작가님ᆢ많이 배우고 있어요ᆢ저는ᆢ월봉으로 보고ㆍ10 년정도의 차트보고 외인들기관들 수급이 어느정도 드러오면 투자 하는 방법ᆢ대신너무욕심부리지 않아요ᆢ장기ㆍ단타 두가지 방법으로활용ᆢ미장은배당위주로ᆢ
배당으로경제적자유 3
2022년 5월 24일 19:25저도 한 2~3년동안 전체비중의 95프로이상을 종목으로 다가지고있었지만 몇달전부터 수익이 줄어들더라도 기회가오면잡으려고 25프로정도는 현금으로 항상두고있습니다 그중에 10프로정도는 가격이 정말괜찮으면 트레이딩하구요
@dahun1226 3
2022년 5월 26일 18:05아주 당연한얘기 잘들었습니다,,, 그당연한걸 못하는 저를 반성하고갑니다,,,
@TV6494 3
2022년 5월 24일 08:39뻔한 교과서같은 이야기
도움 1도 안되는 ㅋ
@나답게-k3u 2
2022년 5월 23일 19:4800:29 나이별 부동산
GeorgeLee 2
2022년 5월 25일 00:13뻔한 이야기로 들리는 이유가,
원칙을 지키기가 그만큼 힘든 것.
@hy_k_ 1
2022년 5월 25일 12:01시장노출도를 낮출 것. 추세가 유리할 때만 참여하기.
시장에 계속 참여하는게 더 불리하다는 것이네요.
@deluxsg 1
2022년 5월 24일 09:13잘보고 있습니다
@tv-5004 1
2022년 6월 19일 17:42도움이 되는 영상 잘 시청하였습니다. 감사합니다 :)
@goorilee3236 1
2022년 5월 26일 22:31누군가 했더니 어른의재미 작가님이시군요
책 유익하게 읽었습니다 ~! 이렇게 유튜브로 뵈니 반갑습니다
@햇살-q7l 1
2022년 6월 01일 12:12대표님 말씀이 주변에 보니 전부 맞습니다
돈을 생각하는 남자 1
2022년 5월 24일 14:37고구마 먹고 목메이는 듯한 이 느낌은 무엇..ㅎ 좋은영상감사합니다.
@saybiron 1
2022년 5월 24일 17:101감사합니다
@aloning_ 1
2022년 5월 25일 21:48결국 보면 SPY 장기투자가 정답이네
@charmingchch
2022년 5월 26일 07:21선생님 6분 44쯤에 나오는 bsp? 는 무엇을 말씀하신건가요??
@cusia2002
2022년 5월 29일 10:49실제로 연기금이 2021년 초에 다 팔고 달라 들고 있었죠. 거기서도 어마어마한 수익이 났네요. 결론적으로는
탁월함
2022년 5월 23일 19:00예상했던 내용, 뻔한 말 ㅋㅋㅋㅋ 근데 더없이 정론이라 추천과 반성밖에 할게 없네요 ㅠ
@zhengdejin89
2022년 5월 25일 14:50ㆍㄷㄷㄹㄹㄷㄹㄹㄹㄹㄹㄹㄷㄹㄹㄹㄹㄷㄹ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