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이라는 경제선진국(?)도 대통령 한번 잘못 뽑았더니 5년만에 휘청거리는데, 종신집권이 가능한 중국은 더한 막장도 가능하지 않을까요? 근거없는 봉쇄, 통계조작, 경제인 탄압, 문화검열등등... 권력은 반드시 부패한다는 말처럼 1당 독재라는것만으로도 중국의 한계는 여기까지라고 생각합니다
중진국 함정을 빠져나온 국가는 대만 한국정도 아닌가요??????????? 중국이 민주화가 이루어 지면 무서워질것 같긴하네요.. 가능할지 모르겠지만. 중국젊은이들중에 민주화를 열망하는 기류가 있는 했는데 지금은 모르겠네요. 다양성이 존재 하지 않으면 중진국을 벗어나지 못할텐데요.
세계 공급망이 재편되는데, 있어서, 어떤 가능성이 있는지, 인도, 베트남, 그리고, 동남아 국가들도 부탁드립니다. 특히, 인도에 대한 심층 분석 부탁드립니다. 좀 애매한 부분이 많아서요. 환율을 감안해서, 투자한다고 볼때, 인도나 베트남, 동남아 국가들에 대한 투자가 어떨지 잘 모르겠네요.
중국을 교육수준으로 분석하신부분 신선합니다. 감사드려요. 제 생각을 한말씀 드리자면..공산당은 국민의 교육수준이 올라가는걸 원치않는걸요.ㅎ 말잘듣는 다수의 인민이 필요할뿐! 너희들은 시키는대로만하면 큰걱정없이 평화롭게 살다 갈수있다! 정지적 체제자체가 근본적으로 자본시장과 괴리율이 너무큽니다. 이제 시장의 눈은 중국을떠나 인도와 베트남으로~
좋은 영상입니다. 그런데 한국 같은 경우에는 지방사립대가 너무 많다라고 비판하는 사람들에 대해선 어떻게 생각하시는지요? 저는 개인적으로 아무리 지방사립대라고 해도 공대를 졸업한 사람이면 그냥 고등학교 졸업한 사람이랑 차이가 많다고 생각하는데, 메뉴얼만 따라하는것은 고졸자도 할수있지만 메뉴얼외의 변수에 대처하는 것은 전문적인 교육을 받아야 하니까요. 또 이렇게 교육 받은 대졸자들이 많아지면 그들의 몸값이 싸지니까 중소기업이나 강소기업에서도 고졸보단 질적으로 뛰어난 직원들을 싼값에 공급받을 수 있기 때문에 그나마 대기업이랑 중소기업의 기술격차가 조금이나 줄어들게 하는것 같아요.
중국까면 조회수는 잘 나오겠지만 사실 내가 돈버는게 더 중요함. 솔까 앞으로의 중국성장률 따윈 관심없음. 지금상황이 어떤가하면 주가가 더 안빠지게 중국정부에서 떠받드는 중임. 우리로치면 연기금이 계속 빠질때마다 매수하는것과 같은 상황. 결국 지금 중국증시가 바닥이란 것. 그리고 머니쌈으로 중국정부를 이길수있는 큰손은 없음. 중국이 싫은거랑 투자랑은 별개문제. 남들은 중국투자해서 돈버는데 중국이 싫다고 투자를 안하고 있으면 바보임. 위 유튜버예상과 달리 내년하반기부터는 중국증시가 좋아질수 밖에 없음. 돈의 흐름이란 것은 아는만큼 보이는것이니까. 위 유투버말은 모르겠고 내말을 참고해서 중국증시 잘 관찰하시면 내년부터는 큰돈벌수있을겁니다.
중진국 함정에 빠진시간이 우리보다 휠씬 빠름. 그만큼 빨리 빠져나올것임. 모든지 다 빨리 격는중 . 20년전에 학자가 중국은 절대 발전못하는구조라고 했었죠. 콩사탕들이 최다 걸림돌이지만 중국가서 살아보세요. 중산층만되도 유치원 한달수업비가 100만원인데. 내 주변에만 몇명이 자식들 미국대학보내고 집팔아서 이민갔었고. 교육열은 우린 지금 쨉도 안됨. 이분 중국 살아보고 중국어 가능한분이심?
중국이 고등학교 필업생 적다 인구대비 그럴수 있죠 그래도 대학교 필업생이 1000만명이 되여요 전세계에서 일년에 대학생 1000만명이 넘는 배출하는나라가 몇명이나 될까요 그리고 중국이 미국 수출 줄고 베트남,일본,한국 수출늘었다고 하는데 베트남,일본,한국 중국 수출 보세요 매년마다 늘었어요 그리고 지금 중국의 GDP가 16조달러나 되는데 어떻게 10%씩 성장할수 있나여 그래서 중국이 고부가 가치 산업을 성장시키려고 하는데 성공할지는 모르죠
@tomlee9736 18
2022년 5월 27일 10:59기본적인 학교 교육이 기업 입장에선 아주 중요한 거군요...하긴 청일전쟁때도 당시 일본군은 중졸이 35%나 되었는데 ..청군은 학교를 가본 사람이 1%밖에 안되서.. 벌써 인적 자원에서 상대가 안됐다고 했는데...아직도 중국은 고졸자도 많지 않다니 정말 놀랍네요...
@Matou-Sakura 13
2022년 5월 29일 00:22한국이라는 경제선진국(?)도 대통령 한번 잘못 뽑았더니 5년만에 휘청거리는데, 종신집권이 가능한 중국은 더한 막장도 가능하지 않을까요? 근거없는 봉쇄, 통계조작, 경제인 탄압, 문화검열등등... 권력은 반드시 부패한다는 말처럼 1당 독재라는것만으로도 중국의 한계는 여기까지라고 생각합니다
@rnc3249 11
2022년 5월 27일 19:55근데 고학력의 비율보다는, 고학력의 수가 더 중요하지 않을까요? 중국고학력인구가 1퍼센트라해도 한국인구의 30퍼센트니. 그리고 피라미드식 교육력이 오히려 외국인 저임금노동력 수혈없이 사회 곳곳의 노동 니즈를 충족시켜줄수 있을것같기도 하구요.
@무령이-z2l 11
2022년 5월 26일 22:43중진국 함정을 빠져나온 국가는 대만 한국정도 아닌가요??????????? 중국이 민주화가 이루어 지면 무서워질것 같긴하네요.. 가능할지 모르겠지만. 중국젊은이들중에 민주화를 열망하는 기류가 있는 했는데 지금은 모르겠네요. 다양성이 존재 하지 않으면 중진국을 벗어나지 못할텐데요.
@hphong696 9
2022년 5월 26일 21:36고등교육은 고등학교 교육 이상이 아니라, 대학이상의 교육을 말합니다.
@부끄러운줄알아야-z9o 8
2022년 5월 26일 22:45세계 공급망이 재편되는데, 있어서, 어떤 가능성이 있는지, 인도, 베트남, 그리고, 동남아 국가들도 부탁드립니다. 특히, 인도에 대한 심층 분석 부탁드립니다. 좀 애매한 부분이 많아서요. 환율을 감안해서, 투자한다고 볼때, 인도나 베트남, 동남아 국가들에 대한 투자가 어떨지 잘 모르겠네요.
@chunukhong 8
2022년 5월 26일 20:36지금은 여러분들의 자산을 지키면서 안정적으로 부를 축적할 수 있는 기회의 시기입니다.
저와 함께 안전 자산에 투자하기 위한 공부를 하실 분은 지금 바로 신청해주세요.
💰https://academy.tantanselect.com/academy?code=84
@선녀와약초꾼 6
2022년 5월 27일 00:57김영익 교장선생님은(?) 툭하면 중국가서 국부를 늘리자고 하는데,,,,,과연?
저는 중공이 지구에서 사라지기를 바라는데,,, 과연 ㅋㅋ
@행인2-w1x 5
2022년 5월 26일 21:30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박사님 아니면 어디서 이런 이야기를 들을 수 있을까?? 생각됩니다. 정말 고맙습니다
@gunnerskk82 4
2022년 5월 26일 20:45중국에.대한 관심 아직은 시기상조다!
@vanpark6108 4
2022년 5월 30일 15:52사실 중국인구의 30%면 어마어마한 인구라서 다른나라보다 고등교육인구보다 훨씬 많을거라서 딱히 문제는 안될거 같습니다…
@MoneyThinker 3
2022년 5월 27일 10:58중국을 교육수준으로 분석하신부분 신선합니다. 감사드려요. 제 생각을 한말씀 드리자면..공산당은 국민의 교육수준이 올라가는걸 원치않는걸요.ㅎ 말잘듣는 다수의 인민이 필요할뿐! 너희들은 시키는대로만하면 큰걱정없이 평화롭게 살다 갈수있다! 정지적 체제자체가 근본적으로 자본시장과 괴리율이 너무큽니다. 이제 시장의 눈은 중국을떠나 인도와 베트남으로~
@KD-gz3hx 3
2022년 5월 26일 22:27좋은 영상입니다. 그런데 한국 같은 경우에는 지방사립대가 너무 많다라고 비판하는 사람들에 대해선 어떻게 생각하시는지요? 저는 개인적으로 아무리 지방사립대라고 해도 공대를 졸업한 사람이면 그냥 고등학교 졸업한 사람이랑 차이가 많다고 생각하는데, 메뉴얼만 따라하는것은 고졸자도 할수있지만 메뉴얼외의 변수에 대처하는 것은 전문적인 교육을 받아야 하니까요. 또 이렇게 교육 받은 대졸자들이 많아지면 그들의 몸값이 싸지니까 중소기업이나 강소기업에서도 고졸보단 질적으로 뛰어난 직원들을 싼값에 공급받을 수 있기 때문에 그나마 대기업이랑 중소기업의 기술격차가 조금이나 줄어들게 하는것 같아요.
@이하늘-c3g 2
2022년 5월 31일 20:02중국이 2021년에 고령사회 도달, 2022년에 인구감소가 시작되었다는 점을 생각하면 힘들듯 싶네요.
@말뚝이-h1w 2
2022년 5월 26일 23:27올해 중국 대학 졸업생이 1천만명이라고 하는데 이건 어떻게 생각하시는지요?
2015년 자료라 벌써 10년 가까이 되었기도 한데다 양으로만 생각했을 때 절대적인 고급인력 숫자가 많은 건 고려해야 하지 않을까요?
Liquid Fire 2
2022년 5월 31일 13:39중국까면 조회수는 잘 나오겠지만 사실 내가 돈버는게 더 중요함. 솔까 앞으로의 중국성장률 따윈 관심없음. 지금상황이 어떤가하면 주가가 더 안빠지게 중국정부에서 떠받드는 중임. 우리로치면 연기금이 계속 빠질때마다 매수하는것과 같은 상황. 결국 지금 중국증시가 바닥이란 것. 그리고 머니쌈으로 중국정부를 이길수있는 큰손은 없음. 중국이 싫은거랑 투자랑은 별개문제. 남들은 중국투자해서 돈버는데 중국이 싫다고 투자를 안하고 있으면 바보임. 위 유튜버예상과 달리 내년하반기부터는 중국증시가 좋아질수 밖에 없음. 돈의 흐름이란 것은 아는만큼 보이는것이니까. 위 유투버말은 모르겠고 내말을 참고해서 중국증시 잘 관찰하시면 내년부터는 큰돈벌수있을겁니다.
성영선 2
2022년 6월 13일 10:39한국이 중국경제 걱정할 때인가 싶네요.🐷
@ssibjadorayiba9367 2
2022년 6월 12일 01:35니 나라 경제나 걱정해라
@중국이모저모-q5h 2
2022년 5월 30일 15:12개인정로.....박사님은 안경을 끼시는게 더 푸근한거 같아요 ㅎㅎㅎㅎ
@onesoo 1
2022년 6월 13일 04:00중진국 함정에 빠진시간이 우리보다 휠씬 빠름. 그만큼 빨리 빠져나올것임. 모든지 다 빨리 격는중 . 20년전에 학자가 중국은 절대 발전못하는구조라고 했었죠. 콩사탕들이 최다 걸림돌이지만 중국가서 살아보세요. 중산층만되도 유치원 한달수업비가 100만원인데. 내 주변에만 몇명이 자식들 미국대학보내고 집팔아서 이민갔었고. 교육열은 우린 지금 쨉도 안됨. 이분 중국 살아보고 중국어 가능한분이심?
@nana__home3045 1
2022년 5월 27일 11:51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
머니메이커 1
2022년 5월 26일 21:09세금에 대해 호구가 될 각오를 하고 연금계좌에 코스피200etf 담을것이냐 아니면 중국리스크 감수하고 신흥국etf를 담느냐의 고민이겠네요. 아 물론 우리나라가 선진국지수에 포함되면 어쩔수없이 모든계좌에 코스피200대신 신흥국etf를 담아야겠지만요
@playstarcat 1
2022년 5월 26일 21:42👍👍👍
@lightday 1
2022년 5월 26일 20:36아싸! 1등!
@TSDmoai 1
2022년 5월 26일 23:56안녕하세요. 돈좀 굴려봅시다 서적 내용에 대한 질문을 홍박사님께 드리고자 글을 남깁니다.
책 전반부에 스위칭 전략에 대한 테스트 내용들이 많이 담겨있더라구요. 제가 이해하기로는 스위칭 전략이라는건 스위칭 대상이 되는 자산끼리 일정시점에 리밸런싱 없이 서로 100프로 교체하는 전략으로 이해가 됩니다... 이게 맞는지 궁금합니다.
그게 아니라면 해당 수익률 테스트 결과가 스위칭 대상이 되는 자산군의 비율을 얼마로 유지하며 리밸런싱한 결과인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내수주, 수출주 파트 에서 테스트에 사용한 etf를 각각 2개씩 소개해주셨는데 어떤 비율로 조합해서 테스트 하신걸까요?
해당 전략으로 포트를 꾸릴 예정입니다. 답변 부탁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cookiechoco1566 1
2022년 5월 26일 22:055:13 '심천'
@코히마르 1
2022년 5월 28일 18:35중국의 특허,논문 등 과학기술의 발전속도는 세계최고 아닌가요?
고도 자본주의 세계에서 평균교육수준 보다 천재가 먹여살리는 사회라 보는대요,
시간의 문제라고 봅니다. 정치.사회는 후진적인게 맞죠 아직도 공산당...
@이경기궁예 1
2022년 6월 13일 12:57이번에 커창형이 주석되야지 또 진핑이형되면 중국은 진짜 망한다..ㅋ
@최연지-j8j 1
2022년 5월 26일 22:41반갑습니다 😁
@jblee5424 1
2022년 5월 27일 06:40감사합니다 .
@NADA-nu7dk 1
2022년 6월 02일 14:32중국이 고등학교 필업생 적다 인구대비 그럴수 있죠 그래도 대학교 필업생이 1000만명이 되여요 전세계에서 일년에 대학생 1000만명이 넘는 배출하는나라가 몇명이나 될까요 그리고 중국이 미국 수출 줄고 베트남,일본,한국 수출늘었다고 하는데 베트남,일본,한국 중국 수출 보세요 매년마다 늘었어요 그리고 지금 중국의 GDP가 16조달러나 되는데 어떻게 10%씩 성장할수 있나여 그래서 중국이 고부가 가치 산업을 성장시키려고 하는데 성공할지는 모르죠
@user-bo9fp3op8m
2022년 6월 02일 08:51폴로머의 내생적 성장이론으로 보면 자본 지식 인적자본의 축적이 중요한데 교육수준이 낮다고하니 중국 경제에 미래는 없어보입니다
@Lavion0
2022년 6월 09일 00:14ㅋㅋㅋㅋㅋㅋㅋ
아티스White
2022년 5월 26일 20:37아싸 2등
@buffettinbusan
2022년 6월 12일 12:25중국에 포지션을 크게 잡고 있지만
귀한 의견 감사합니다^^
@Dronenam
2022년 5월 26일 20:37일빠!
@김제용-c2d
2022년 6월 12일 08:21감사합니다
^~^
@sally-hb2hs
2022년 6월 08일 18:04안경을 벗으셨네요???? 다른 분 같아요
@NexaTrade
2022년 5월 26일 22:10마이크 브러싱이 심해서 부지직 부지직 들려요 😀
@하파데이-l9w
2022년 7월 05일 17:45맛다~~~^^
@종만김-q9p
2022년 8월 27일 19:52그러게 신용중요
@hs-mx4qz
2022년 10월 28일 18:35중국펀드 손절해야 하나요
박사님 고견을 듣고 싶습니다
@D한량
2022년 5월 28일 07:34이제 중국도 중진국들의 통과의례인 대공황 한번 나오겠네요
@미하엘-u9h
2022년 5월 27일 10:07잘봤습니다. 거시적인 안목은 확실히 홍춘욱님이 뛰어나다고 봅니다. 앞으로의 베트남 인도 농산물 채권 투자는 어떻게 생각하는지 궁금합니다
----채권관련은 지난영상에 있네요. 잘봤습니다
@연잎-f2n
2022년 6월 30일 17:44한국보다는 낫지않을까요 ? 맞는 말씀인지 지켜보겟습니다 요즘 한국만 떨어지고 잇거든요
@순돌이-n4p
2022년 8월 13일 22:00탈중국은 당장 하지 않겠지만 그 대신 베트남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인도 호주 태국등 경제적인 친선관계를 맺고 우리나라는 일본 중국 러시아 주변 3국 때문에 그걸을 따돌리고 친미 친동남아시아 정책을 수립해야 한다고 댓글을 올립니다!
@johnnychiva1001
2022년 5월 30일 00:05요즘 상해 확진자수가 두자리수로 줄었고 6월말이면 봉쇄도 풀린다는데 그때쯤 되면 중국 주식시장이 다시 오르지 않을까요?
@chaiun2517
2022년 5월 27일 17:33말씀 잘 들었습니다. 감사합니다.
@chhbang
2022년 8월 16일 19:19사실, 중국 요즘 사정이 안 좋은 거 맞아요. 이번 외교장관회의에서 중국측 톤이 이전과 많이 달라졌음을 알 수 있습니다. (언론은 아주 소수만 이것에 관심있는 듯)
@nsryu9501
2022년 5월 28일 00:08중국 싫어 하시는 건 확실한듯 ㅎㅎ
그래서 걸러서 듣습니다
꼬르륵
2022년 6월 04일 13:01무섭네요 14억인구가 일인당 1만불이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