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님 덕분에 저는 5년전과 비교해서 완전히 다른 사람이 되었습니다. 독서와 성장의 즐거움을 알아버린 저는 절대 과거의 삶으로 돌아갈 수 없습니다. 힘드실텐데 늘 동기주유 해주시고 약속 지키는 모습 보여주셔서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5년뒤 같은 질문에 더 자신있게 대답하기 위해 더 열심히 하겠습니다!
박사님 덕분에 제 마음의 코어 근육을 만들어나가고있습니다~ 얼마안되었지만 기계적으로 꾸준히 책읽기를 하며 글쓰기를 통해 제 일상이 많이 변해가려노력중입니다~늘 평안하시고 더욱더 많이 건강해지셔서 하시고자하시는 일에서도 더욱더 승승장구하시길 바라며 다시한번 감사합니다~^^
지식. 즉 안다는건 책이 제일 좋지만 시간적으로 아끼고싶다면 동영상도 좋습니다. 물론 질좋은 동영상이겠죠. 그걸 선별해서 볼 수 있는것도 능력이죠. 따분한 여러 책보다 이런 동영상 한편이 더 나을수도 있습니다. 저같은 경우는 삶, 관계,심리에 대한 내용보다는 전문지식쪽으로 넘어갔습니다.. 잡다한 여러지식을 보면 집중도 잘 안되다보니, 관심분야에 관해서 전문적 지식으로 공부하면 더 집중하게되죠 예를들면 유튜브 만들고싶다면 동영상제작관련 전문지식, 촬영카메라 및 녹음장치 관련지식 같은거 말이죠. 낚시가 하고싶으면 낚시관련 책보다는 유튜브나 블로그만 검색해서 공부하셔도 전문가가 될수 있습니다. 책에도 안나오는 지식이 유튜브동영상으로 알 수 도 있습니다.
폭넓은 다독은 초보때 도움이 되는것 같고 고레벨로 갈수록 진짜 핵심양서들을 제대로 소화하고 배우고 익혀 내것으로 만드는것이 더 필요함을 느낀다.
정보의 홍수 시대에 너무 곁가지 같은 책&정보가 너무 많고 다읽을수도 없을뿐더러 효율이 너무 떨어지는것이 아닌가 생각이 든다.
뿌라지식이라 할만한 양서들을 읽으면 결국 가지나 잎은 파생이다. 관통하는 보편적 진리들을 습득한다면 같은 책을 읽어도 더 뽑아내기도 쉽고 진짜와 가짜도 구분할 수 있지 않을까?
서양의 영향을 엄청 받은 교육체계에서 교육받고 자랐기때문에 동양인이면서 사고는 서양식 사고를 하는 부분이 익숙한것 같은데.. 서양의료시스템과 같이 과도한 분과 나누기는.. 답이 딱나오는 전문분야에서는 우수할지 모르나 미지의 문제 또는 복잡한 문제를 풀어내는 것은 매우 취약한 것 같다. 그런부분에서는 동양의 고전이나 철학들이 매우 우수하다고 생각한다. 분과학적이고 지엽적인 부분만 파고들지 말고 밸런스있게 전체를 아우를수 있는 뿌리지식이 무엇일지 고민해보고 파고들어보는 것도 좋지 않을까..?
@user_repeat 19
2022년 5월 29일 17:44박사님 덕분에 저는 5년전과 비교해서 완전히 다른 사람이 되었습니다. 독서와 성장의 즐거움을 알아버린 저는 절대 과거의 삶으로 돌아갈 수 없습니다. 힘드실텐데 늘 동기주유 해주시고 약속 지키는 모습 보여주셔서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5년뒤 같은 질문에 더 자신있게 대답하기 위해 더 열심히 하겠습니다!
@ranima8794 10
2022년 5월 29일 21:33독서만큼 리스크가 적고 리턴이 큰게 없다.안티프래질 ~ 짝짝짝
@강아지똥-d9b 10
2022년 5월 29일 18:24감사합니다.
덕분에 영독단도 66챌린지도 나이 50에 신청했습니다.~^^
@할머니타샤 5
2022년 5월 30일 10:12저를 살게한 책!!생명의 의인같은 책!!지금은 눈으로 보기 힘든 나이가되어 고맙게도 듣을수 있는 유튜브 채널 덕분에 되새김질 할수 있어 고맙답니다!!영상 고맙습니다!!❤
@it-9015 5
2022년 6월 01일 12:18오전운동의 생활습관화에 성공하였습니다. 독서의 습관화 시도해보겠습니다.
@jeongeup.return 5
2022년 6월 05일 09:43한달에 3-4권을 꾸준히 읽고 있습니다. 졸꾸러기 기준에 최대한 맞추려고 노력하고 있습니다. 3년전부터 시작했지만 확실히 달라졌습니다. 글도 조금씩 쓰고요. 습관도 개선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김홍연-p1r 5
2022년 6월 01일 22:12공부와 독서는 같은 원리이죠 메타인지는 후천적으로 키울수 있죠
@500개팀엘리트 5
2022년 5월 30일 12:09저도 빡독으로 졸꾸해보면서 독서의즐거움과 유익함을 몸으로 실전으로 체득해버린사람입니다~^^ 이젠 책안읽는삶은 마치 형벌이라 여겨질정도로 인생에서 풍요를주는일이라 인식합니다 모두 고영성 신영준님의 조언을 따라 본인이 가능한만큼부터 따라가면 ~누구든 독서의 기쁨을 알껍니다 늘열정과놀라운 에너지 깊은감사드리고 저도 괄목할만한 성과이룬후 세상에 보답할일을 하고자합니다~^^
@조이쌤TV 4
2022년 6월 02일 13:19와~~~~부산부터 시작하신다는 말씀에
저절로 환호성이 나옵니다^^
@이준성-o4b 4
2022년 5월 29일 21:17최근에 유학과 동시에 첫 독립을 하면서, 바쁘다는 핑계로 책을 소홀히 했었습니다.
앞으로 하루에 조금씩이라도 읽으며, 다시 습관화 해보도록 노력해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dream004 3
2022년 5월 30일 11:00박사님 덕분에 제 마음의 코어 근육을 만들어나가고있습니다~ 얼마안되었지만 기계적으로 꾸준히 책읽기를 하며 글쓰기를 통해 제 일상이 많이 변해가려노력중입니다~늘 평안하시고 더욱더 많이 건강해지셔서 하시고자하시는 일에서도 더욱더 승승장구하시길 바라며 다시한번 감사합니다~^^
@고수미-v3n 3
2022년 5월 29일 19:02좋은챡들을권해주셔서
읽고삶에적용하며
지혜를얻기도합니다.
공감하게되고감사하게됩니다~~
@추미선-x5b 3
2022년 5월 30일 11:19책을 안 읽던 내가 이젠 책을 가까이하고 생각도 많이 바뀌었습니다
좋은책들 알려주셔서 너무 감사드립니다
강의와 책들로 바뀌어가는 제 모습이 좋습니다
고맙습니다^^
@tv-ks4kg 3
2022년 5월 30일 22:335년전보다 모든게 후퇴했네요 ㅠㅠ
@유유-u8s8t 3
2022년 5월 30일 00:45예전에는 한달에 4~7권,
최근엔 한달에 2.5권으로,
많이 못 읽었다고 하시는 말씀에서 반성합니다ㅠ
"양서들을 꾸역꾸역 읽어놨기 때문에
5년전보다 현재 2ㅡ3배 나아졌다.
사각지대가 줄어들고 매타인지도 up되었고 등등. 지금으로부터 5년뒤 써먹을 것을 위해 양질의 독서 및 실천과 학습을 또 해야한다는 것."
맑은공기 3
2022년 6월 06일 13:13지식. 즉 안다는건 책이 제일 좋지만 시간적으로 아끼고싶다면 동영상도 좋습니다. 물론 질좋은 동영상이겠죠. 그걸 선별해서 볼 수 있는것도 능력이죠.
따분한 여러 책보다 이런 동영상 한편이 더 나을수도 있습니다.
저같은 경우는 삶, 관계,심리에 대한 내용보다는 전문지식쪽으로 넘어갔습니다..
잡다한 여러지식을 보면 집중도 잘 안되다보니, 관심분야에 관해서 전문적 지식으로 공부하면 더 집중하게되죠
예를들면 유튜브 만들고싶다면 동영상제작관련 전문지식, 촬영카메라 및 녹음장치 관련지식 같은거 말이죠.
낚시가 하고싶으면 낚시관련 책보다는 유튜브나 블로그만 검색해서 공부하셔도 전문가가 될수 있습니다.
책에도 안나오는 지식이 유튜브동영상으로 알 수 도 있습니다.
@coachgunny-5890 2
2022년 6월 14일 06:49나는 할 수 있다. 사랑해요.
@수금-n1r 2
2022년 5월 30일 20:17머니맵 통해 신박사님 알게되었는데 이채널 영상은 첨 보네요.
5년후에 더 나은 사람이 되어 있겠습니다~~^^
@강아지똥-d9b 2
2022년 5월 29일 18:25안그래도 라이브 기다리고 있었는데
한달에 한번도 감사합니다~^^
@꾸준히-b7m 2
2022년 5월 29일 18:32맞아요 mbti에 너무 매몰되어있는 거 같아서 너무 힘들어요 ㅋㅋㅋㅋ 남의 mbti를 보고 성격을 판단해버리게 돼서.. 미안하기도 하고 그래요 성격을 팝니다 한번 읽어봐야겠네요
@NaYon-God-bless-you 2
2022년 8월 23일 08:145년동안 상처를 산처럼 쌓았습니다.ㅠㅠ
@jinsim1004 2
2022년 6월 01일 00:50폭넓은 다독은 초보때 도움이 되는것 같고 고레벨로 갈수록 진짜 핵심양서들을 제대로 소화하고 배우고 익혀 내것으로 만드는것이 더 필요함을 느낀다.
정보의 홍수 시대에 너무 곁가지 같은 책&정보가 너무 많고 다읽을수도 없을뿐더러 효율이 너무 떨어지는것이 아닌가 생각이 든다.
뿌라지식이라 할만한 양서들을 읽으면 결국 가지나 잎은 파생이다. 관통하는 보편적 진리들을 습득한다면 같은 책을 읽어도 더 뽑아내기도 쉽고 진짜와 가짜도 구분할 수 있지 않을까?
서양의 영향을 엄청 받은 교육체계에서 교육받고 자랐기때문에 동양인이면서 사고는 서양식 사고를 하는 부분이 익숙한것 같은데.. 서양의료시스템과 같이 과도한 분과 나누기는.. 답이 딱나오는 전문분야에서는 우수할지 모르나 미지의 문제 또는 복잡한 문제를 풀어내는 것은 매우 취약한 것 같다. 그런부분에서는 동양의 고전이나 철학들이 매우 우수하다고 생각한다. 분과학적이고 지엽적인 부분만 파고들지 말고 밸런스있게 전체를 아우를수 있는 뿌리지식이 무엇일지 고민해보고 파고들어보는 것도 좋지 않을까..?
@500개팀엘리트 1
2022년 5월 30일 12:05얼른 부산에서 빡독으로 뵙고싶네요~^^
@박선애-j9x 1
2022년 5월 30일 01:42건강 챙기세요
@candykim9302 1
2022년 6월 01일 22:42부산오시면 저는 꼭 참석입니다. 좀더 디테일한 사항들 요청합니다. 공지를 놓치지않도록 꼭 참여할수있도록 부탁드립니다
@user-gk1wq5jx4r 1
2022년 5월 29일 18:44요약좀
@zgler6813. 1
2022년 6월 05일 19:27주옥같은 말씀이 너무 많네요.. 명심하겠습니다
@박선애-j9x 1
2022년 5월 30일 01:43요즘
영상 볼때 마다 걱정돼요
@박선애-j9x 1
2022년 5월 30일 01:42박사님
@candykim9302 1
2022년 6월 18일 13:01오늘 부산빡독 너무 좋았습니다. 박사님 감사합니다
@jblee5424 1
2022년 5월 30일 14:19감사합니다.
@공태웅-m1q 1
2022년 7월 16일 12:50부산에서 기다리겠습니다!!
@웜큐티 1
2022년 5월 29일 17:01😍
@꾸러기-q6b
2022년 11월 29일 01:29썩은 데이터는 필요 없다.
@박선애-j9x
2022년 5월 30일 01:42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