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약 인플레를 잡기 위해 금리인상을 이어가다 결국 금리 외적인 문제 이를테면 공급망, 기후변화로 인한 곡물생산 차질, 탈세계화로 인한 수입물가 증가같은 요소가 작용해 인플레는 지속되고 경기침체 우려로 더이상 금리인상 카드를 쓸 수 없는 상황이오면 금값이 급등할 가능성도 있는거 아닌가요? 금가격을 금리와의 상관관계만 놓고보면 당연히 이자수익이 없는 금 가격이 타격을 입겠지만 현재의 경제상황을 보면 고공행진하는 물가가 단순히 시중에 풀린 자금의 유동성만의 이유가 아니라는 생각이 듭니다.
박사님! 궁금한게 있습니다. 미 2년채 국채금리가 이미 2.5%까지 상승한 거는 이미 알고 있었는데요. 이 실질 채권금리가 미리 선반영 되어 있어서 2.5%까지 급격하게 상승했다고 보는데 앞으로 기준금리 인상이 예상대로 6,7월 50bp씩 진행되어도 이 실질 채권 금리 상승이 큰 폭으로 반영되지 못할 거라고 생각 하는게 옳은 방향이 궁금합니다.
스텐리 드러켄밀러 등의 분은 인플레이션을 잡기 위해서 인플레이션 이상의 금리 수준을 유지해야 하며 인플레이션으로 채권의 인플레이션으로 원금의 미래 가치의 하락과 마이너스인 실질 금리로 채권 투자가 위험하다고 합니다. 더불어, 러시아가 유럽을 압박하기 위한 수단으로 천연가스를 이용하는 박사님은 어떤 근거로 인플레이션이 잡힐 것이라 보시는지 궁금합니다. (채권 투자의 전제는 인플레이선을 잡은 후 기준 금리 인하로 이해했습니다)
뭐 한가지 가능성을 알려주신거는 맞는데 현재 금리인상도 침체위기소리까지 나오는데 앞으로 한참남은 금리인상을 할수 있을지 알수없고 공급위기로 온 인플레이션을 금리인상만으로 잡겠다는 연준도 꿈꾸는 소리같은데... 제가 생각하는 방향은 아니네요. 작년부터 사기치던 연준 지금도 어렵지만 할수있다는 희망을 말하고 있지만 대책도 없고 최소한으로 피해로 극복했으면 합니다. 적정비율로 금투자는 좋아보임.
연준이 금리 지금보다 더 올려야 실제 물가 상승율이 될텐데 지금 연준은 쫄보라서 제대로 올릴까요? 주린이라서 nrgu uso는 못하고 usoi 아주 소량 합니다. 배당금으로 일본 주식 망한거 회복해야 할텐데요. 괜히 안전 자산에 투자한다고 하다가 조금 망했읍니다. 마누라 알면 안되는데
@chunukhong 6
2022년 5월 30일 20:35지금은 여러분들의 자산을 지키면서 안정적으로 부를 축적할 수 있는 기회의 시기입니다.
저와 함께 안전 자산에 투자하기 위한 공부를 하실 분은 지금 바로 신청해주세요.
💰https://academy.tantanselect.com/academy?code=84
@pdhfjr 3
2022년 6월 01일 09:26감사합니다 박사님~
요즘같은 격동시기에 딱 맞는 정보입니다
@스니트위 3
2022년 5월 31일 19:25잡음이 많이 들어갑니다. 옷하고 스치는 소리 인거 같은데 몇 회째 계속 그러는 거 같은데요. 나만 신경 쓰이는가 봅니다.
@ordinaryman2120 3
2022년 6월 06일 08:28만약 인플레를 잡기 위해 금리인상을 이어가다 결국 금리 외적인 문제 이를테면 공급망, 기후변화로 인한 곡물생산 차질, 탈세계화로 인한 수입물가 증가같은 요소가 작용해 인플레는 지속되고 경기침체 우려로 더이상 금리인상 카드를 쓸 수 없는 상황이오면 금값이 급등할 가능성도 있는거 아닌가요? 금가격을 금리와의 상관관계만 놓고보면 당연히 이자수익이 없는 금 가격이 타격을 입겠지만 현재의 경제상황을 보면 고공행진하는 물가가 단순히 시중에 풀린 자금의 유동성만의 이유가 아니라는 생각이 듭니다.
@스마일별님 3
2022년 6월 02일 12:17박사님 저는 인플레이션 때도 금리인상기에도 금값은 상승 할거라 생각해요
사실 미래를 예측하고 미리 자산을 사놓고 투자한다는게 무의미하다는걸 깨달아서 그런가봐요
앞으로도 좋은 영상 기대 할께요^^😄👍
@SunggukLim 2
2022년 5월 31일 19:03워렌버핏은 인플레이션에 투자한거였군요
@채니-w7i 2
2022년 5월 31일 21:00오~ 좋은 지혜 나눠 주셔서 감사합니다.
@lightday 2
2022년 5월 31일 19:45아싸! 1등!
@byunghunoh76 2
2022년 6월 01일 13:03하이일드 채권도 좋을 것 같아요.
앞으로 실질금리가 플러스로 유지된다는 가정에 더해 경기침체가 오지 않을 것이라는 가정을 추가한다면
단기국채 보다 더 매력적인 자산이 될 것 같아요.
@cookiechoco1566 2
2022년 5월 31일 19:36gld slv 사러 갑니다 총총
@donnylee3119 2
2022년 6월 01일 22:52박사님 말씀해주신대로 자산배분해서 투자를 시작했습니다.
질문이 있는데요,
1)kosef국채가 십만원단위라서 사기가 힘듭니다. 작은 규모의 채권은 없나요?
2)rebalancing은 몇개월마다 하나요?
3)주식과 채권이 같이 빠지고 있는것같은데 제가 본게 맞나요?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16poundSpin 1
2022년 10월 20일 06:15금리가 오르면 예금 금리오르고 은행은 몰린자금을 동결 시점이 온다 안그러면 은행에 자금은 이자따라 변동하고 결국 부실이터지기에 동결시점을 잘파악해야한다
@윤경미-r9f 1
2022년 5월 31일 19:52굉장히 유익한 영상이었습니다
@한창호-k8z 1
2022년 6월 19일 01:22닉슨땐 금본위 때입니다
금 아닌 은값을 보세요
@상식사회-c6w 1
2022년 6월 18일 11:47쉽고 시원하고 유익한 강의입니다. 감사합니다. ^^
@leeultimatum 1
2022년 5월 31일 18:34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jiungshim208 1
2022년 5월 31일 20:16박사님! 궁금한게 있습니다. 미 2년채 국채금리가 이미 2.5%까지 상승한 거는 이미 알고 있었는데요. 이 실질 채권금리가 미리 선반영 되어 있어서 2.5%까지 급격하게 상승했다고 보는데 앞으로 기준금리 인상이 예상대로 6,7월 50bp씩 진행되어도 이 실질 채권 금리 상승이 큰 폭으로 반영되지 못할 거라고 생각 하는게 옳은 방향이 궁금합니다.
@신서진-d4x 1
2022년 5월 31일 19:45채권은 몇년짜리가 좋은가요
@gkic1209 1
2022년 6월 24일 01:42왠지 금에 부정적이신 듯한 느낌이 듭니다.ㅠㅠ 물론 데이터에 근거 하시지만...
@kanggadin.201 1
2022년 5월 31일 22:24홍박사님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시글래스아티스트 1
2022년 5월 31일 23:48그럼 KOSE#국고채 10년 . TIGE#미국채
10년 선물 사놓으면 미국이 경기침체되고
금리 내리는 시점에서 코로나때의 전고점을
돌파하겠군요..그렇죠? 제가 잘 이해산건가요?
@수염고래-u3t 1
2022년 6월 06일 10:57실질금리는 2년만기 국채 금리 - cpi로 구하는건가요?
@주식책방
2022년 6월 06일 19:29박사님! 감사합니다!
오늘도 잘 배우고 공부하고 합니다!
항상 응원할께요 빠이팅!
@정솜결
2022년 6월 01일 06:38영상감사합니다ㆍ솜결
@GoodGuyDream
2022년 6월 21일 05:29스텐리 드러켄밀러 등의 분은 인플레이션을 잡기 위해서 인플레이션 이상의 금리 수준을 유지해야 하며 인플레이션으로 채권의 인플레이션으로 원금의 미래 가치의 하락과 마이너스인 실질 금리로 채권 투자가 위험하다고 합니다. 더불어, 러시아가 유럽을 압박하기 위한 수단으로 천연가스를 이용하는 박사님은 어떤 근거로 인플레이션이 잡힐 것이라 보시는지 궁금합니다. (채권 투자의 전제는 인플레이선을 잡은 후 기준 금리 인하로 이해했습니다)
@user-fl8xr3mx6o
2022년 7월 04일 05:05뭐 한가지 가능성을 알려주신거는 맞는데
현재 금리인상도 침체위기소리까지 나오는데 앞으로 한참남은 금리인상을 할수 있을지 알수없고
공급위기로 온 인플레이션을 금리인상만으로 잡겠다는 연준도 꿈꾸는 소리같은데...
제가 생각하는 방향은 아니네요. 작년부터 사기치던 연준 지금도 어렵지만 할수있다는 희망을 말하고 있지만
대책도 없고 최소한으로 피해로 극복했으면 합니다. 적정비율로 금투자는 좋아보임.
@맑고상쾌한주말아침
2022년 6월 24일 18:40그래프를 만든 사람에게 노벨상을 줘야한다
@배추머리맘
2022년 6월 25일 23:03투자할 돈이 없네요 ㅠ
그샹 살기도 만만치 않아요
@hkj3379
2022년 5월 31일 20:13채권 ETF 추천도 가능하실까요?
@minuto3008
2022년 6월 03일 08:17박사님 2:13부터 나오는 실질금리와 실질금값 그래프를 이해하기 어려워서요. 도와주세요. 실질금리는 역축으로 표시되어 있는데 그렇다면 금값과 정의 상관관계로 움직여야 하는 거 아닌가요? 그래프로는 반대로 움직이는 것 같던데요.
그리고 실질금리는 10년물국채 수익률에서 10년 기대인플레(bei)를 빼는거인가요? 그렇다면 실질금리는 TIPS10년 수익률이네요.
@폴리매스-w6o
2022년 7월 03일 23:04인간지표
@jadenlee3379
2022년 6월 02일 18:59연준이 금리 지금보다 더 올려야 실제 물가 상승율이 될텐데 지금 연준은 쫄보라서 제대로 올릴까요? 주린이라서 nrgu uso는 못하고 usoi 아주 소량 합니다. 배당금으로 일본 주식 망한거 회복해야 할텐데요. 괜히 안전 자산에 투자한다고 하다가 조금 망했읍니다. 마누라 알면 안되는데
@다리찢기
2024년 4월 05일 22:27원자재ᆢㅋㅋ
@은가누-z8n
2022년 6월 29일 20:57형 흥미롭네요
@다오-t5m
2022년 6월 03일 11:37이상하네요. 미국은 주택가격 4배 올랐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