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수님은 옳고 그름, 상 하로 나누시지 않고 항상 사람 마다 '다름'을 인정 해주셔서 존경합니다🙏
제 경우는 너무 삶이 힘들고 버거울 때 잠이라는 도피처를 찾게 되는 것 같더라구요 일부러 하기 싫으니 잠이나 자야지가 아니고 예를들어 고등학교 3년 내내 잠이 그렇게 쏟아지더라구요ㅋㅋ 그리고 나중에 돌이켜보면 제가 힘들었던 시기에 잠을 엄청 잤던 것 같아요~^^; 질문자님도 지금 처한 환경이 너무 버거워서 몸이 알아서 살기 위한 몸부림?이 아닐까 생각해봅니다
내 안에 "내가" 없기 때문에, 다른 사람의 인생을 살고있는 우리나라 국민들의 전형적인 특징이라고 생각합니다. 내가 누구인지, 나는 어떨때 가장 불안해 하는지, 무얼 할 때 가장 행복해지는지, 자기 자신에 대해서 깊게 고민해보지 않은 결과라고 생각합니다. 나에 대해서도 잘 알지 못 하는데 어떻게 남 눈치를 안보고 살 수 있겠어요.. 그리고 낮은 자존감도 한 몫 하겠구요. 자기 자신을 들여다보고, 내가 누구인지, 나는 어떤 사람인지 최대한 많이 생각해보고 끊임없이 관찰해야 합니다. 적어도 저는 그렇게 생각합니다.
김경일교수님께서 썸네일에 대해 설명해주신다니 한번 들어와봤는데 머리를 한대 후려 맞으며 정신이 번쩍드는 이야기를 풀어주시네요~역시 제가 봐왔던 인지심리학에서 가장 쉽게 이해가되고 현실에서도 적용할수 인사이트를 잘 풀어 설명해주시는 분은 교수님밖에 없는거 같습니다. 제가 그동안 잠이 부족했던거라는걸 여실히 느끼는 영상 감사합니다.
수면시간을 고려해 주는, 수면의 질이 중요하다는 사실을 더 많은 사람들이 많아진다면 큰 마찰 없이도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좋은 대안이 될 수 있겠네요! 저도 잠이 많은 편인데 집중력을 올리기 위해서 숙면에 더 신경써야겠습니다. 오늘도 재밌고 유익한 이야기 잘 들었습니다. 감사합니다.😄 오늘도 숙면하세요~~
이 세상엔 불변의 진리, 불변의 논리은 없다고 봅니다. 김교수님 말처럼, 상황과 환경에 따라 다르게 특화되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전, 미라클 모닝을 지양하는 건 아니지만 그렇다고 미라클 모닝을 지향하는 건 아닙니다. 다만, 나를 제대로 아는 게 첫번째 시작점입니다. 오늘 영상, 너무도 잘 봤습니다.
저녁만 되면 눈이 말똥말똥 해지는데도 새벽부터 일어나서 모든 일정을 소화하고.. 저녁엔 10시에 꼭꼭 자니... 자꾸 낮에 멍해지는 시간이 늘어나고 있어서... 고민이던 중이었어요. 나자신을 극복해 보겠다고 계속 하고 있던중에 이 영상을 보게 됬네요.. 소오름~~~~~~~~~~~~~~~~~
머리를 띵 했습니다. 저는 진짜 잠을 많이 자는 편이고, 성인 ADHD를 앓고 있기도 합니다. 그래서 깨어있을때 더 많은 집중과 생각으로 편하게 쉬는게 얼마나 중요한지 아는데 잠에 대해서는 한번도 생각해 본적이 없었습니다. 그리고 현재 교대근무로 인해서 시간이 바뀌고 쉬는날도 바뀌는데 빨리 저만의 잠과 패턴을 찾아야 겠네요. 감사합니다 교수님
나 자신이 0순위가 되어 중심을 잡아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자신이 후 순위인 사람들 눈에는 이기적으로 보이겠죠.. 20대 동안은 뭘그리 남 눈치를 봤는지 모르겠네요 ㅠㅠ 하지만 지금은 인지하고 부단히 노력 중입니다! 내가 중심을 잡으면 좋은 인연이 자연 스럽게 따라 오리라 확신합니다
수면의 질을 높이는 호르몬이 있어요. 성장호르몬 멜라토닌 프로스타글란딘 D2. 멜라토닌은 뇌의 송과체에서 분비되는데 자는 동안 몸을 치료하고 재생시키는 역할도 해요. 만약 지속적인 스트레스로 인해 호르몬이 안나오게 되면 잠을 잘 잘수가 없게 되고 시상에서 감정조절이 안되게 되면 본인은 원래 그런 사람이 아니지만 예민해지고 작은일에도 짜증이 나며 식욕조절이 안되어요. 잠을 주무셔야 해요! 밤에요! 그게 첫번째에요.
롱스립저네요 전 첫회사다닐떄부터 롱슬립을 해왔던사람인데..숏슬립이 절대 안되더라구요 자기아까워서 12시까지 폰을 만지기보다는 그날할껄 빨리하고 10시에 바로자려고 하고 저 많이자기위해서.. 회사와 5분거리의 방을잡아서 일찍일어나교통하는거보다.. 1시간이라도 더자기위해 숙면을 투자했어요 확실히 스트레스도 없으 일업무율도 좋고 이제 회사에서 일하는거보다 프리랜서로 버는게 더 많아서 집에서 그 페이스를 지키며 숙면하고있어요 요즘은 조금 늦어서 12시에 자는데 ㅜ 10시나 11시에 일어나요 항상
저도 질문자님이랑 비슷한 상황인데, 순서해석이 좀 다른거 같네요 남 눈치를 보다보니 생각도 많아지고 하루종일 온 신경이 거기에 쏠려서 에너지가 방전된 상태로 집에 오면 그때부터 아무것도 하기 싫고 생각도 하기 싫어서 잠을 자기 시작하죠 자면 아무것도 안해도 되니까요 근데 또 일상 시작되면 반복이니 지치고 .. 그럴땐 남 신경안쓰는 성격이 이기적으로 보이면서도 한편으로는 부러운거에요 속편해보이고 그걸 말씀하시는거 같아요 태생적으로 남 눈치 신경 관심없는 사람이 있느냐 그런 사람들은 생각의 전환을 어떻게 하느냐 이게 질문이 아닐까요? 잠을 못자서 문제가 아니라 잠이 현실도피와도 같은걸로 인식한다는거죠
서로의 잠자는 패턴과 정신이 깨어있는 시간을 존중해준다에 깊은 공감을 느낍니다 여전히 가족임에서 충분히 언제 자고 있고 언제 일어나있는지 알면서도 배려없이 자기 시간에만 딱딱 전화해서 깨우고 할 말 길게 하는사람이 있는데 그걸 받아주는 사람이 착한건지 상대는 아직도 자냐면 핀잔주기 바쁘더군요ㅎ 자신의 시간에 상대가 맞춰주기만 바라고 소중히 여기지않는 그 태도나 행동이 저도 좋아질 수 없게 만드네요ㅋㅋ
@bono-i8d 266
2022년 6월 01일 16:58자기자신보다 남이먼저고 남에 평판에 휘둘리다보니 에너지고갈되 아무것도못하고 무기력해지니 잠만자게되는 이기적이고 싶다는말은 넘 타인을먼저생각하니 이기적으로라도 자기자신에게 충실하고싶다는 맘이 아닐까 싶네요
@쁘띠샤-h7o 124
2022년 6월 01일 20:53남의 눈치를 보니 삶이 피곤해지고 지쳐 자게 된다는 뜻인듯 ..그리고 이기적인 멘탈을 가진 사람은 사는게 편하겠다 라는 뜻 같아요
@suekim521 70
2022년 6월 01일 17:09롱 슬리퍼와 저녁형 인간을 인정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
@미운오리-l8s 55
2022년 6월 02일 15:10교수님은 옳고 그름, 상 하로 나누시지 않고 항상 사람 마다 '다름'을 인정 해주셔서 존경합니다🙏
제 경우는 너무 삶이 힘들고 버거울 때 잠이라는 도피처를 찾게 되는 것 같더라구요
일부러 하기 싫으니 잠이나 자야지가 아니고 예를들어 고등학교 3년 내내 잠이 그렇게 쏟아지더라구요ㅋㅋ
그리고 나중에 돌이켜보면 제가 힘들었던 시기에 잠을 엄청 잤던 것 같아요~^^;
질문자님도 지금 처한 환경이 너무 버거워서 몸이 알아서 살기 위한 몸부림?이 아닐까 생각해봅니다
@_Media_Literacy 44
2022년 6월 04일 22:07내 안에 "내가" 없기 때문에, 다른 사람의 인생을 살고있는 우리나라 국민들의 전형적인 특징이라고 생각합니다. 내가 누구인지, 나는 어떨때 가장 불안해 하는지, 무얼 할 때 가장 행복해지는지, 자기 자신에 대해서 깊게 고민해보지 않은 결과라고 생각합니다. 나에 대해서도 잘 알지 못 하는데 어떻게 남 눈치를 안보고 살 수 있겠어요.. 그리고 낮은 자존감도 한 몫 하겠구요. 자기 자신을 들여다보고, 내가 누구인지, 나는 어떤 사람인지 최대한 많이 생각해보고 끊임없이 관찰해야 합니다. 적어도 저는 그렇게 생각합니다.
@편자남편의점에서자기 40
2022년 6월 01일 19:37김경일교수님께서 썸네일에 대해 설명해주신다니 한번 들어와봤는데 머리를 한대 후려 맞으며 정신이 번쩍드는 이야기를 풀어주시네요~역시 제가 봐왔던 인지심리학에서 가장 쉽게 이해가되고 현실에서도 적용할수 인사이트를 잘 풀어 설명해주시는 분은 교수님밖에 없는거 같습니다. 제가 그동안 잠이 부족했던거라는걸 여실히 느끼는 영상 감사합니다.
@김프로-k4m 28
2022년 6월 01일 20:13수면시간을 고려해 주는, 수면의 질이 중요하다는 사실을 더 많은 사람들이 많아진다면 큰 마찰 없이도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좋은 대안이 될 수 있겠네요! 저도 잠이 많은 편인데 집중력을 올리기 위해서 숙면에 더 신경써야겠습니다. 오늘도 재밌고 유익한 이야기 잘 들었습니다. 감사합니다.😄 오늘도 숙면하세요~~
@jeju.five_puppy_family 27
2022년 6월 01일 21:21엄청난 질문
(잠이 부족해서 지치고 눈치본다ㆍ
그래서 이기적이지 못한 나ㆍ)
잠 잘자는 분 너무 부러워요ㆍ
@재밌는짤짤이 25
2022년 6월 03일 00:18제가 롱슬리퍼인데 20대때 직장다니는데 8시부터 오후2시까지진짜 너무 졸려서 힘들었어요...그래서 직장다니는 내내 기면증인가 싶어서 기면증검사도 받아볼 정도 였습니다 저녁형 인간인가보다 했는데 인정해주는 사람이 없었어요 ㅠ 뭔가 위로가 되었어요 감사하고요 이제부터 우리 딸이 어떤형인지 알아볼 차례인것 같아요 우리나라에 교수님같은 분이 계셔서 다행이라는 생각이 드네요
@노란타월 22
2022년 6월 01일 21:28개인적으로 질문의 내용이 타인에게 너무 휘둘려서 조금 이기적인 사람이 되어 마음챙김을 하고 싶다는 방향의 고민 같아서,
이번의 집필하신 도서의 내용중 <2부> 2강 남의 인정보다 더 중요한것의 내용을 풀으셨다면 어땠을까 생각되네요.
요즘 잠을 많이 자서 죄책감이 심했는데 잠에 대한 관점을 새롭게 보게 됐습니다.
김경일 교수님도 너무 무리하지 마시고 푹주무시는 안온한 밤되세요.
@JH-bz6nf 19
2022년 6월 01일 22:18질문이 잠이 메인이아닌거같은데요 일이힘들고 지쳐고 의욕이없어서 잠잘때가 가장 편하다? 이런거같아요
@ooooeee33 19
2022년 6월 04일 17:08잠에 진심인 사람
기질에 진심인 사람
참되고 가치있는 사람
@valueexplorer 17
2022년 6월 15일 09:02수험생이고 롱스립퍼인데 매일 잘 떄마다 죄책감 느끼고 스스로 자학했는데 롱스리퍼는 창의적이란말 듣고 참 위로많이 받았어요 엄청 엄청 감사합니다.
@future_plant 16
2022년 6월 01일 23:19이 세상엔 불변의 진리, 불변의 논리은 없다고 봅니다.
김교수님 말처럼, 상황과 환경에 따라 다르게 특화되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전, 미라클 모닝을 지양하는 건 아니지만
그렇다고 미라클 모닝을 지향하는 건 아닙니다.
다만, 나를 제대로 아는 게 첫번째 시작점입니다.
오늘 영상, 너무도 잘 봤습니다.
@몽실-s6t 15
2022년 6월 01일 16:34롱슬리퍼라 죄책감이 들었었는데 위안이 됩니다
@user-dj83daa 14
2022년 6월 02일 07:25저두 지금 상황이 비슷해요 ~12시간 근무에 출 퇴근시간이 3시간이라 너무 피곤해요 모든일에 의욕이 없어요 교수님의 이야기를 듣으면 저자신에 대해 생각하는 시간을 갖게 되는것 같아요
@맘재한 13
2022년 6월 01일 17:07교수님 너무 재치있으세요
와이프랑 쳐잔다는 말에 빵 터젔습니다
@게으름과귀차니즘 13
2022년 6월 01일 19:19저녁만 되면 눈이 말똥말똥 해지는데도 새벽부터 일어나서 모든 일정을 소화하고.. 저녁엔 10시에 꼭꼭 자니... 자꾸 낮에 멍해지는 시간이 늘어나고 있어서... 고민이던 중이었어요. 나자신을 극복해 보겠다고 계속 하고 있던중에 이 영상을 보게 됬네요.. 소오름~~~~~~~~~~~~~~~~~
@jeny7088 13
2022년 6월 05일 21:12잠을 많이 자면 게으른거 같아서 마음이 편하지 않았는데요 근데 잠이 부족 하니 또 예민하고 지치고.....힘들었는데요.
잠에 대해 알고나서는 일단 잠부터 챙깁니다.
@weugq1837 12
2022년 6월 11일 02:04ㅜㅜ 위로받았어요 저도 롱 슬립퍼에 저녁형 인간인데 저희 부모님은 아침형인간이시거든요 항상 죄인이었고 죄의식 죄책감에 시달리고 자책 하며 살았는데... 부모님께 보여드려야겠네요 정말 감사합니다 ㅜ
사람 12
2022년 6월 04일 09:00눈치 보느라 지치고,
우울해서 잠으로 회피.
저요....
@bora2123 10
2022년 6월 05일 15:20머리를 띵 했습니다. 저는 진짜 잠을 많이 자는 편이고, 성인 ADHD를 앓고 있기도 합니다. 그래서 깨어있을때 더 많은 집중과 생각으로 편하게 쉬는게 얼마나 중요한지 아는데 잠에 대해서는 한번도 생각해 본적이 없었습니다. 그리고 현재 교대근무로 인해서 시간이 바뀌고 쉬는날도 바뀌는데 빨리 저만의 잠과 패턴을 찾아야 겠네요. 감사합니다 교수님
@goldengoose5333 10
2022년 6월 06일 16:14아- 저는 전형적인 저녁형 인간이었어요. 거기에 대해 더이상 죄책감 갖지 않기로 했어요 ㅎㅎ 감사합니다. 똑 같이 7-8시간 자고도 늦게자고 늦게 일어난다는 이유만으로 스스로를 게으른 인간, 한심한 인간이라고 생각해왔거든요...
@hyeonkim2230 10
2022년 6월 08일 22:25교수님 팬입니다!! 항상 건강하시고~
조은 강의 감사합니다^^
@뎡-v6d 9
2022년 6월 01일 16:31늘 힘이 되는 영상~^^ 감사드려용❤
K E 9
2022년 6월 02일 03:20좋은 팁이네요. 상대의 바이오리듬을 존중하는 것.
@jongdojo9691 8
2022년 6월 08일 07:37들어갈때 주무시고 계시고, 나올때도 주무시고 계시면.. 확실히 싸울일이 없습니다.
마주보고 얘기를 할 시간조차 없는거 아닐까요 ㅋㅋㅋㅋ
@ON-gd2sr 7
2022년 6월 15일 12:47우울증과 불면증, 그로 인한 각종 정신질환들을 앓아보면 잠이 정말 얼마나 중요한 지 알 수 있게 됩니다...
유영돈(N07) 🔥 7
2022년 6월 03일 07:01교대근무 하는 사람들이 우울증이 많은 이유가 있었네요
@topper_king 7
2022년 6월 13일 00:23교수님 진짜 최고👍👍👍👍
@Demo_K 6
2022년 6월 09일 08:41나 자신이 0순위가 되어 중심을 잡아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자신이 후 순위인 사람들 눈에는 이기적으로 보이겠죠.. 20대 동안은 뭘그리 남 눈치를 봤는지 모르겠네요 ㅠㅠ 하지만 지금은 인지하고 부단히 노력 중입니다! 내가 중심을 잡으면 좋은 인연이 자연 스럽게 따라 오리라 확신합니다
인영이랑연지랑 6
2022년 6월 01일 16:05감사합니다
@미니미니-h1e7x 5
2022년 6월 03일 17:58오늘부터 수면시간 체크해봐야겠어요!! 롱슬리퍼 숏슬리퍼는 정말 처음들어봤는데,너무 유용하네요! 감사합니다. 박사님
@송이-m6r 4
2022년 6월 23일 22:41교수님!
저녁형.롱슬리퍼인데 아침에 늦잠자려니 스스로가 너무 게으르다는 생각에 죄책감 시달리면서 잠이부족하니 항상 피곤해 하고 삶이 행복하지가 않았어요.
그이유를 이제서야 알았어요.
이영상은 저에게 최고의 영상입니다! 지금이라도 알게되서 기쁘고
진심으로 감사합니다~!!
@하뉴나 4
2022년 6월 08일 23:19타인을 신경쓰지 않고 나 자신을 되찾고 싶어요. 그런데 처음엔 좀 막막하네요. 그리고 나서 그 길로 자신의 특기를 찾고, 그것을 또 귀이 여길 수 있으면 참 좋겠어요.
@빵떡이-y6d 4
2022년 6월 12일 12:54질문과 내용이 다릅니다... 질문은 정신적으로 인간관계가 지치는 거를 잠으로 회피한다라는 이야기 인데....멘탈강화에 대해서 여쭤본거 같은데요
@LEE.SE. 4
2022년 6월 01일 22:52이분 너무재밌어요
RYUL PARK 4
2022년 6월 09일 19:59맞아요 마니 자야되는사람 못자면 예민합니다
@연시-n7u 4
2022년 6월 12일 00:14ㅋㅋㅋㅋ..아이고 교수님이 얼마나
잘해주셨으면 사모님이 그리 맘 편하게 잘 주무시나요? 대단하십니다~ㅎㅎㅎ
@임맵시 4
2022년 6월 11일 06:21교수님~
강의 찾아다니며듣고
치유받고 있습니다
호탕하면서도 절제된 웃음소리도 좋습니다
감사합니다
@ararararar-ar 4
2022년 6월 11일 04:21잠을 자는것에 대해 그렇게 깊게 생각해 본적이 없는데 아! 싶네요~ 잘 이해하고 갑니다~ 감사합니다
@SkullListening 4
2022년 6월 05일 09:39수면의 질을 높이는 호르몬이 있어요. 성장호르몬 멜라토닌 프로스타글란딘 D2. 멜라토닌은 뇌의 송과체에서 분비되는데 자는 동안 몸을 치료하고 재생시키는 역할도 해요. 만약 지속적인 스트레스로 인해 호르몬이 안나오게 되면 잠을 잘 잘수가 없게 되고 시상에서 감정조절이 안되게 되면 본인은 원래 그런 사람이 아니지만 예민해지고 작은일에도 짜증이 나며 식욕조절이 안되어요. 잠을 주무셔야 해요! 밤에요! 그게 첫번째에요.
@homebody6514 3
2022년 6월 15일 12:46저는 이기적인 멘탈이 본 멘탈인것 같습니다, 하나 성장하며 눈치를보며 주눅들어 살수밖에없어읍니다. 그래 사람을 피하게 됬습니다.....
다시 이기적인 사람이 될렵니다 (나룰 챙기는 나가 먼저인 사람이 될렵니다) 그리고 사람을 피하지 않을렵니다...
@내가그린기린그림-s5d 3
2022년 6월 08일 11:40롱스립저네요 전 첫회사다닐떄부터 롱슬립을 해왔던사람인데..숏슬립이 절대 안되더라구요
자기아까워서 12시까지 폰을 만지기보다는 그날할껄 빨리하고 10시에 바로자려고 하고 저 많이자기위해서.. 회사와 5분거리의 방을잡아서 일찍일어나교통하는거보다.. 1시간이라도 더자기위해 숙면을 투자했어요 확실히 스트레스도 없으 일업무율도 좋고 이제 회사에서 일하는거보다 프리랜서로 버는게 더 많아서 집에서 그 페이스를 지키며 숙면하고있어요 요즘은 조금 늦어서 12시에 자는데 ㅜ 10시나 11시에 일어나요 항상
@ykyoon5137 2
2022년 6월 04일 12:17선생님 사랑해요 힘이 돼요
@生生라이프 2
2022년 6월 10일 08:38자기일을 즐겁게하세요. 말만 조심히하고. 예의를 갖추면서 상대를 대하면되지 더 무엇을 해준다고 좋은게 아님. 그래놓고 가스라이팅 운운하지말고요~
나 줌 냅또 2
2022년 6월 18일 14:30저도 질문자님이랑 비슷한 상황인데, 순서해석이 좀 다른거 같네요
남 눈치를 보다보니 생각도 많아지고 하루종일 온 신경이 거기에 쏠려서 에너지가 방전된 상태로 집에 오면 그때부터 아무것도 하기 싫고 생각도 하기 싫어서 잠을 자기 시작하죠 자면 아무것도 안해도 되니까요 근데 또 일상 시작되면 반복이니 지치고 .. 그럴땐 남 신경안쓰는 성격이 이기적으로 보이면서도 한편으로는 부러운거에요 속편해보이고 그걸 말씀하시는거 같아요 태생적으로 남 눈치 신경 관심없는 사람이 있느냐 그런 사람들은 생각의 전환을 어떻게 하느냐 이게 질문이 아닐까요?
잠을 못자서 문제가 아니라 잠이 현실도피와도 같은걸로 인식한다는거죠
anne Choi 2
2022년 6월 03일 14:05감사합니다
정nana 2
2022년 6월 01일 16:08전 롱슬립퍼라서 위로 받습니닷!
동생이 죽었나하고 확인하러 온 적도 있습니다^^;
하선생의 生生인생이모작 1
2022년 6월 10일 08:39선생님은 재밌게 말씀하시는 달변가세요~
@딸기식빵-x2g 1
2022년 7월 10일 13:36서로의 잠자는 패턴과 정신이 깨어있는 시간을 존중해준다에 깊은 공감을 느낍니다 여전히 가족임에서 충분히 언제 자고 있고 언제 일어나있는지 알면서도 배려없이 자기 시간에만 딱딱 전화해서 깨우고 할 말 길게 하는사람이 있는데 그걸 받아주는 사람이 착한건지 상대는 아직도 자냐면 핀잔주기 바쁘더군요ㅎ
자신의 시간에 상대가 맞춰주기만 바라고 소중히 여기지않는 그 태도나 행동이 저도 좋아질 수 없게 만드네요ㅋㅋ
@날마다축복박미경 1
2022년 6월 09일 19:25와 잠이 많은 사람중에 한명이었는데, ㅋㅋ
감사합니다.
JB lee 1
2022년 6월 02일 17:37감사합니다 .
@귀부자-p8m
2022년 6월 11일 23:33잠ㆍ잘때 ㆍ아무생각 안할수 있어서 편하고 자고 나면 회복이 좀 되어서 좀 편하고...
하루를 살다보면 배려ㆍ 감정 ㆍ생각 ㆍ참을인ㆍ
등등ᆢ 잘시간이되면 아무생각 없게 빨리 자고 싶다ㆍ저는 그렇습니다~
@JacobSmith-cg7pq
2022년 7월 13일 15:15그러고 보니 우리 딸도 세 아이 중에 너무 많이 자는데...창의성이 뛰어나긴 합니다. ...위로가 되네요.
@해피-o5z
2022년 6월 13일 09:32맞아요.구독중을 여기에서 눌렀습니다.사랑해요.교수님^ㅇ^
@gyuhyeonlee2922
2022년 6월 11일 11:31감사합니다. 새로운 시각에서 저를 볼 수 있었습니다
정수 김
2022년 6월 11일 11:31지성적이십니다...
HS
2022년 6월 29일 12:27저는 이번에는 교수님 생각과 다른데요
눈치를 많이 봄->금방 지쳐서 잠옴->이기적인 멘탈을 갖고 싶음
이거 같아요
@youngeunjeong2133
2022년 11월 14일 07:59교수님 너무 재미있으시다 😂😂😂
@은실-d1n
2022년 6월 30일 08:24교수님 강의듣고 속이 꽉찬느낌였는데요 요즘은 뵙기만해도 힐링이 되어요 교수님 👍
@한성애-d8r
2022년 7월 12일 12:34많이 쳐자는 롱슬리퍼인데 위로가 일단 되네요~
근데 나이가드니 잠이 줄던데요.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