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에서 본 몰입을 하는 방법은 딱 하나입니다. 나의 수준보다 살짝 높은 목표를 잡는 것. 예를들어 내가 팔굽혀펴기를 보통 10개 한다면, 목표를 11개로 잡으면 몰입을 하게 되는 것이죠. 목표를 15개로 잡으면 포기하게 되고 8개로 잡으면 시시합니다 ㅎㅎ 이런 목표향상을 위한 도전정신은 어떻게 만드냐? 목표를 세우고 성취하는 경험을 많이 가지면 됩니다. 강연사이신 교수님은 이미 목표-달성 경험이 많으셔서 도전정신을 가지고 있는 것이 당연한 것으로 전제를 깔고 강연을 하시기 때문에, 도전정신 부터 가져야 되는 저같은 일반인들에겐 강연내용이 쪼금 와닿지 않을수도 있지요 ㅎㅎㅎ
7:48 걱정할 때는 몰입이 안된다 7:54 결과에 치중하면 몰입이 안된다. 나는 과정에만 집중한다. 8:15 한과목을 진득하게 하고 8:25 잠은 줄이지 안되, 깨어있는 시간은 1초도 쉬지 않고 한다. 9:32 몰입은 ‘도전과 응전’이다. 잘 모르겠는건 해답을 보지 않고 해라. 체크했다가 자투리 시간에 공략을 하면 슬로우띵킹이 된다. 🫐풀리지 않는 문제를 의도적으로 도전과 응전 🫐
성공 경험 반복 -> 도전정신 발달
13:00 ‘생각’을 해야 한다. 열심히 몸만 쓰지 말고 생각을 하라. 17:03 몰입학습: 도전을 줘서 머리를 쓰게해서 발달시킨다.
1. 걱정하는 마음을 비워라 2. 결과는 내 영향력 바깥에 일이다 과정에 최선을 다하자 3.한과목을 진득하니 하자 4. 잠을 충분히 자지만 깨어있는 시간은 1초라도 쉬지 않고 몰입해야한다. 5. 한 십분정도 몰입해도 답이 안나오면 체크를 해놨다가 화장실에서나 걸으면서 문제 해결
공부의 몰입에는 전제조건이 있습니다! 첫째, 논리적인 사고훈련이 되있어야합니다. 새로운 정보에 대한 분류와 구분 이를 토대로 원인과 결과 과정에 대한 추론등을 머리가 진행할 줄 알아야 합니다. 이런 정보의 내재화 과정을 할 줄 알아야 몰입이 가능합니다! 이 교수님의 몰입에 대한 예찬은 단지 몰입의 결과에 대한 예찬일 뿐입니다. 둘째, 논리적 사고를 통한 정보의 분석을 한다음, 자신의 뇌에 효율적 체계적 저장을 시행하는 것입니다. 여기에는 자신만의 암기 노하우가 개입되겠죠. 이런 것이 체계적으로 프로세스가 않되는 분은 절대 몰입을 할 수 없읍니다!
학습에 몰입 적용 하는법 도전하는것 시험에 다가올때 망치면안돼! 하는 수비적 마인드로 접근하면 스트레스 받음 걱정만하다 공부는 미룰 가능성 높음 목표를 세우고 꼭 따내겠다는 공격적마인드를 가지고 능동적으로 시험을 준비하면 준비하는 과정부터 즐거울 것이다 의도적인 도전과 응전
진짜 공평한게 신은 절실하고 간절한 사람에게만 기적과같은 아이디어를줍니다 여기 책보고 영상보고 몰입하고 아이디어를얻고 싶은 분들이 만을꺼 같은데요 너무너무 간절해서 잠들지못하고 생각을 계속 계속 너무절실해서 자나깨나 그 생각뿐. 신은 오직 절실한 사람에게만 기적과같은 아이어디를 줍니다 거히 대부분 해보고 안되서 나가떨어지는 사람들이 대부분이고
도전이 있어야 몰입을 할 수 있다 도전을 성취했을때 행복감 자신감을 얻을 수 있는데 작은 도전부터 성취해서 행복감과 자신감을 차근차근 쌓으면 도전이 점점 고통스럽지않아지고 무뎌져 지속가능해진다 (어쩌면 즐거워질수도..) 다만, 결과에 걱정하게되면 몰입할 수 없으니 과정에 최선을 다하자. 어차피 결과는 자신의 역량밖의 일이니 부담갖을 필요도없다
이전 나의 생각 = 최선을 다하면 성공한다 지금 나의 생각 = 최선을 다하면 전보단 나아진다
교수님 덕분에 숨쉬는 것처럼 자연스레 몰입하고 집중하는 방법을 조금씩 습득하고 있습니다 아직 완벽하진 못하지만 계속해서 연습해보려구요 ㅎㅎ 그리고 또, 자투리시간의 중요성을 교수님 덕분에 다시 깨닫게 되어 그 시간을 활용해서 공부하고 있는데 일과 중에 틈틈히 공부를 하는데도 몰입이 자연스레 되고 있어요..오히려 통으로 시간을 일부러 냈을때보다 더 집중이 잘되어서 너무 신기하네요 ㅎㅎ 여러가지 꿀팁들 감사합니다! ^_^
이걸 할 수 없는 가장 큰 이유는 우리에게 해결해야 할 문제 대비 시간이 절대적으로 부족하기 때문 아닐까...? 몰입해 가면서 공부하면 참 좋지만 당장 1년에 내가 풀수 있어야 하는 문제의 양은 너무 많으니, 몰입이고 자시고 답부터 보고 푸는 방법을 암기하지 않으면 애초에 원하는 점수를 얻을 수 없다는 것..... 몰입해서 완벽한 퀄리티로 30점을 받던지, 빨리 빨리 외우고 반복작업 해서 100점을 맞던 지 선택해야 하는 상황이라면 몰입을 선택하는 게 애초에 불가능한 것 아닐까...?
진리는 결국 단순하고 대부분 알고있습니다. 몰입을 어떻게 하냐고 묻는 것은 밥을 어떻게 먹냐고 물어보는 것과 같습니다. 우문이죠. 분명 누구든 집중장애가 있지 않은 이상 몰입을 할 수 있습니다. 몰입하는 방법은 그냥 집중하는 것입니다. 그걸 어떻게 하냐고요? 그냥 하는 것입니다. 밥을 그냥 수저로 퍼서 입에 넣고 씹어먹어 삼키듯이 그냥 대상 하나 정하고 집중하면 됩니다. Just Do It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저렇게 하는 것이 어렵다는 것을 알고 그만 뒀을까? 저렇게 할 수 있는 학생은 저렇게 이미 하고 있는 사람이 대부분입니다. 인문학적 사례는 자기에게 이로운 사례만 발표해서 사람들을 현혹합니다. 저런 데이타가 정확할려면 전체에서 몇 명이 낙오하지 않고 끝까지 이루어졌는지란 데이터가 나와야 합니다. 길을 걸을 때는 수학문제를 고민하기보다 어느 pc방이 더 좋을까란 고민을 하는 학생이 거의 대부분인데 참 허공에 떠도는 강의네요.
약 15년전, 교수님께서 오전 9시에 경기도 오산소재 M사에 몰입관련 강의하시고 11시까지 서울대에 가셔야되는 상황을 지켜보았던 사람으로서. 서울대까지 모시고 가는중에 몰입에 대해 사모님께서는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라고 질문한 적이있습니다. ...몰입은 자신과의 싸움이자 가까이 있는 사람과이 싸움이다...라고 생각합니다. 제가 교수님을 서울대까지 모셨었습니다.
최선을 다 하고 안되면 어쩔 수 없다 받아들여라. 깨어 있는 시간에는 1초도 쉬지 않고 하는 것. 도전과 응전. 못할 거 같았던 것을 해낸다. 성공경험을 통해서 성장. 창의력 사고력 도전정신 발전. 생각을 해야 한다. 너무 어려운 건x 5분 10분 정도. 올바른 방식으로 학습하면 지적 능력은 상승시킬 수 있다. 머리를 쓰면 발달한다.
1.도전이 있어야 몰입이 발생한다. 2.최고의 응전상태인 몰입은 삶에서 유익한 경험과 좋은 습관이 될 수 있다. 3. 몰입은 정확한 목표설정, 적절한 난이도, 빠른 피드백, 결과를 벗어나 1과목에 진득히 과정에 최선을 다할때 잘 성립한다. 4. 몰입의 생활화를 위해 적절한 수면과 선잠 5. 끊임없이 생각하고 편안히 생각의 끈을 놓지않는 마음상태로 참선하듯 몰입도 올려라
화학/화학공학과 전공 관련 강의 동영상이 제 Youtube 채널에 많이 있어요. 공부하는데 많은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네요.^^ (There are many lecture videos about chemistry/chemical engineering majors on my YouTube channel. I hope it helps you a lot in studying.)^^
크... 우리나라는 너무 결과중심적으로 가고 있어 저 또한 결과에 몰두하곤 하는데 역시 과정이 중요한 것 같습니다!! 그리고 제일 찔리는 깨어있는 시간을 제대로 활용하자는 말에 이제 유튜브 영상을 멈추고 집중해야겠네요 ㅎㅎ 오늘도 세바시 덕분에 자극받고 갑니다 감사합니다 !! :)
@snuphysics2460 1890
2020년 3월 05일 02:05와 이게 진정한 공부자극이지... 공부 안 하면 어떻게된다 다짜고짜 공부하라고 공부를 안 하니 성적이 안 나오는거라고 말하는 것보다 이렇게 공부할 수 있는 갈피를 잡아주는 게 ㄹㅇ이지... 그런 의미에서 제일 자신없는 수학 뿌시러 가야겠다 이제 할 수 있을 것 같아
@rjsgh8677 1557
2020년 2월 29일 08:23몰입 뇌가 풀파워로 돌아가는 것
도전을 받을 때 몰입한다
걱정 결과에 치중하면 몰입이 안된다
과정에만 최선을 다한다
잠 줄이지 말고 깨어있는 시간을 제대로 쓰자
@ddhru222 1109
2022년 7월 24일 09:487:45 (걱정,결과 생각하면 몰입x)
8:15 (한과목 집중하기, 수면충분히, 깨어있는시간 집중)
11:28 (노력끝에 성공경험이 쌓이면 도전적으로 변함)
you know 908
2020년 2월 28일 21:47사람은 이름대로 산다는게 맞는것 같다. 황'논문' 교수님이라니
@도브도바 880
2021년 1월 08일 16:08- 몰입이란 : 주어진 도전에 최대로 응전 하는 것 . 진정한 몰입은 즐겁고 행복한 상태로 이끈다.
- 위기감의 엄습으로 인한 몰입 예시
EX) 시험기간
- 몰입을 제대로 하기 위해선 주어진 도전에 대해 가장 바람직하게 응전해야 함.
EX) 시험보기 1주일, 2주일 전
- 몰입이란 눈에 보이지 않기에 활용하기 어려운 부분이 있음.
이 때 산에 오르는 것처럼 몰입의 방향을 정해야 한다.
- 걱정을 하면 몰입이 안된다. 마음을 비워야 한다. 결과에 치중하면 몰입이 안된다
- 결과는 내 영향력 밖에 있는 것이다. 과정만이 내가 영향을 끼칠 수 있다.
과정에만 최선을 다해라.
- 잠은 줄이지 않고 깨어있는 시간을 활용해라. 참선을 하듯 쉬지 않고 진행해라.
- "도전"을 하지않으면 몰입이 되지 않는다. 어려운 문제에 봉착하면 고민하는 습관을 잡아라.
단, 10분이상 고민이 된다면 넘기고 여유시간(ex) 대중교통 이용 시간)을 활용하자. 10분 이상넘어가면 몰입이 깨진다.
@리베르테-c4w 748
2021년 8월 23일 10:361. 몰입: 도전에 대한 응전
2. 작은 성공 경험이 모여 발전할 수 있다
3. 결과보단 과정에 집중 (결과는 통제할 수 없다)
@희망피망-i2v 747
2020년 3월 01일 14:48결과에 집착하지말고 과정에만 최선을 다하고 한 과목을 진득하게, 잠은 충분히.
제가 생각하는 포인트는 결과에 대한 불안감, 그로부터 야기되는 우울함을 제거하는 거 같아요.
우울하면 뇌가 멈춘다더군요. 불안하면 집중력이 떨어져서 정보의 연결성이 떨어지고 그 결과 이해력, 기억력 모두 떨어지는 것같습니다.
@ryanpark1107 681
2021년 1월 11일 08:46몰입의 3요소
1.정확한 목표
2.적절한 난이도
3.빠른 피드백
게임이 대표적임.
@고형석-m1h 605
2020년 11월 24일 23:32우리가 건드릴 수 있는 것은 오직 "과정" 뿐이다.
@horangii 374
2020년 3월 01일 15:40공부는 목표 , 습관 , 집중 이게 기본이다
@bookddok 202
2020년 3월 01일 09:48책에서 본 몰입을 하는 방법은 딱 하나입니다. 나의 수준보다 살짝 높은 목표를 잡는 것. 예를들어 내가 팔굽혀펴기를 보통 10개 한다면, 목표를 11개로 잡으면 몰입을 하게 되는 것이죠. 목표를 15개로 잡으면 포기하게 되고 8개로 잡으면 시시합니다 ㅎㅎ 이런 목표향상을 위한 도전정신은 어떻게 만드냐? 목표를 세우고 성취하는 경험을 많이 가지면 됩니다. 강연사이신 교수님은 이미 목표-달성 경험이 많으셔서 도전정신을 가지고 있는 것이 당연한 것으로 전제를 깔고 강연을 하시기 때문에, 도전정신 부터 가져야 되는 저같은 일반인들에겐 강연내용이 쪼금 와닿지 않을수도 있지요 ㅎㅎㅎ
@class-notes-usa 125
2020년 3월 03일 12:36답을 보려고 하지 말고 자기 힘으로 문제를 해결해보기. 10분 정도 고민한 다음에 안되면 나중에 다시 돌아오기. 화장실에 갈 때 길을 걸을 때 계속 생각하기.
조언 감사합니다 교수님
@daylee6381 103
2023년 4월 30일 00:12완벽주의 버리는게 중요함,,, 대충이라도 흉내내고 일단 하면 열심히하게됨
공부하다 딴생각 잡생각 드는거 정상이고 그거 무시하고 하면 할수록 그 간격이 줄어듦 이거 진짜 공통임,,,
@단양장수한의원어지럼 92
2023년 4월 07일 11:43이런분들이 교수가 되어야되고,
교사가 되어야된다.
아름다운 강의 고맙습니다.
Bluejoy 87
2020년 2월 28일 18:48몰입방법에 대한 훈련과정을 좀더 자세히 말씀해 주셨으면 더욱 유익했을거 같습니다.
rose lee 76
2020년 2월 29일 08:15교대에서 강의하셔야할것 같다.선생님들이 아주 필요함.
@기쁨행복행운사랑소망 65
2020년 3월 06일 11:52몰입하라 혼신을다하라 반복하라 교수님강의는 매번 저를 깨웁니다 멋지세요 감사합니다
@baggi684 56
2023년 4월 26일 20:107:48 걱정할 때는 몰입이 안된다
7:54 결과에 치중하면 몰입이 안된다. 나는 과정에만 집중한다.
8:15 한과목을 진득하게 하고
8:25 잠은 줄이지 안되, 깨어있는 시간은 1초도 쉬지 않고 한다.
9:32 몰입은 ‘도전과 응전’이다. 잘 모르겠는건 해답을 보지 않고 해라. 체크했다가 자투리 시간에 공략을 하면 슬로우띵킹이 된다.
🫐풀리지 않는 문제를 의도적으로 도전과 응전 🫐
성공 경험 반복 -> 도전정신 발달
13:00 ‘생각’을 해야 한다. 열심히 몸만 쓰지 말고 생각을 하라.
17:03 몰입학습: 도전을 줘서 머리를 쓰게해서 발달시킨다.
내가 보려고 쓴 댓글~
윤샘다락방 54
2020년 2월 29일 07:32몰입은 행복한 최선이다~는 훌륭한 말씀을 배우고 되네요~^^
크체 52
2020년 12월 22일 02:05결과에 치중해서 불안감 느끼느라 공부도 못하는 거.........지금 내 상탠데 조언 얻고 갑니다
@야생화-t1p 50
2021년 1월 14일 23:29미하이 칙센트미하이 저서 '몰입' 이 책도 읽어보시는거 추천합니다.자기계발에 도움되는 책이에요
@phiaso664 49
2020년 2월 29일 17:29몰입은 도전, 혼신을 다하는 것(최선),희열을 느끼는 것!! 즉 행복감을 느끼는 것.
Stella Lee 42
2020년 2월 29일 01:06너무 뻔한 동어반복을 끝까지 하시다니요ㅜ
어떻게 몰입하는지를 알려주셔야죠
@fresh9649 41
2021년 3월 01일 00:46'결과'중심적사고에서 '과정'중심적 사고로 바꾸라는 것이 핵심이구나
고3이라 결과에 어쩔 수 없이 결과에 집착되는 거 같아요.....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도전... 내가 원하는 삶을 누리려는 노력을 해야겠다
joe ! 38
2020년 3월 08일 16:26몰입학습에 대한 구체적 내용이 있으면 더 좋겠습니다 검색해서 방법을 찾아보겠습니다 강의 감사합니다
ART LAW 36
2021년 1월 15일 02:39“도전이 있어야 몰입이 된다”
@공운 36
2022년 9월 30일 20:371. 걱정하는 마음을 비워라
2. 결과는 내 영향력 바깥에 일이다 과정에 최선을 다하자
3.한과목을 진득하니 하자
4. 잠을 충분히 자지만 깨어있는 시간은 1초라도 쉬지 않고 몰입해야한다.
5. 한 십분정도 몰입해도 답이 안나오면 체크를 해놨다가 화장실에서나 걸으면서 문제 해결
미래부의 32
2021년 1월 31일 16:517:45 (걱정,결과 생각하면 몰입x), 8:15 (한과목 집중하기, 수면충분히, 깨어있는시간 집중), 11:28 (노력끝에 성공경험이 쌓이면 도전적으로 변함)
한시아 32
2020년 3월 02일 16:288:08
결과에 집착 x 마음 비우고
과정에 최선을 다하고
과목 바꾸지말고 한과목을 진득하게
1초라도 쉬지말고 안되면 흉내라도 내야
참선하는것이 몰입연습방법임
10분이상 뭐 하나에 집중하면 몰입도 떨어짐
이건 짜투리시간에 생각해보기 슬롯띵킹
걸어가거나 하는 버리는시간에 생각
성공하는 경험을 늘릴수록 몰입도 발달
생각을 해라 무작정 하지만 말고
문제를 읽고 어케 풀지 모르는 문제만 골라서 푸는데
너무 어려운 문제말고 10분안에 풀리는거 푸는연습
Bourne Ethan 32
2021년 1월 09일 19:01끊임없이 몸을 좌우로 흔드시고 문장에 서두가 항상 어~로 시작되셔서
몰입은 좀 힘들지만 끝까지 봤습니다
은모닥불 32
2020년 3월 08일 21:53성공사례보다는 몰입의 방법을
알고싶은데 아쉽네요.
@Lilimeihua 31
2022년 9월 06일 08:29몰입 하려면
1.도전
2.최대한의 노력
3.결과로 희열을 느낌
주어진 도전에 대해
❤️몰입:행복한 최선
@초이짜라트스 30
2021년 6월 17일 12:20공부의 몰입에는 전제조건이 있습니다! 첫째, 논리적인 사고훈련이 되있어야합니다. 새로운 정보에 대한 분류와 구분 이를 토대로 원인과 결과 과정에 대한 추론등을 머리가 진행할 줄 알아야 합니다. 이런 정보의 내재화 과정을 할 줄 알아야 몰입이 가능합니다! 이 교수님의 몰입에 대한 예찬은 단지 몰입의 결과에 대한 예찬일 뿐입니다. 둘째, 논리적 사고를 통한 정보의 분석을 한다음, 자신의 뇌에 효율적 체계적 저장을 시행하는 것입니다. 여기에는 자신만의 암기 노하우가 개입되겠죠. 이런 것이 체계적으로 프로세스가 않되는 분은 절대 몰입을 할 수 없읍니다!
필로어스함께 철학하자 27
2020년 3월 01일 23:03몰입할 수 있는 자신만의 환경을 만든는게 중요할 것 같군요!!!! 바로 책상부터 정리했습니다.
@maekjin 25
2021년 10월 21일 03:03어떠한 분야에서 성공한 사람들을 보면 공통적으로 몰입하고 끊임없이 더 나아지려고 노력하고 있더군요. 해법을 찾기 위해 영상
시청하고 저에게 맞게 적용해보려고 합니다.
[공부하는 힘 몰입, 황농문 교수] 개인요약 ✍
※몰입, 삶에서 마주치는 크고 작은 도전에 몰입 활용
- 몰입의 방향을 적용하면 즐겁다
- 걱정•결과에 집착하면 몰입이 어렵다
과정에 최선을 다한다. (결과는 내 영역 밖)
- 잠은 충분히 깨어있는 순간에는 1초도 쉬지않고 생각하라 (집중하는척 흉내라도 내서 활성화 시키기)
- 몰입을 통해 성공경험이 성장하여 성취감 맛보기
부의미래 23
2022년 1월 30일 11:317:45 (걱정,결과 생각하면 몰입x)
8:15 (한과목 집중하기, 수면충분히, 깨어있는시간 집중)
11:28 (노력끝에 성공경험이 쌓이면 도전적으로 변함)
김수민 23
2020년 2월 29일 00:31이걸 이제 알다니 ㅠ 늦었다는 생각이 들지만 이제라도 도전해보려고 합니다!ㅠㅠㅠ
Rae DF 23
2020년 3월 01일 08:24그래서 방법이 뭐라는거야
참 답답한 강연이네..
Hj Roh 22
2020년 2월 29일 11:32카메라 셔터소리때문에 영상 몰입 방해하네요 ㅠㅠㅋㅋㅋ
David Choi 21
2020년 12월 28일 11:27맞습니다. 저런 경험과 훈련이 잘 되면 서울대 갑니다. 성인도 자신이 하는 일이나 연구를 저렇게 할 수 있으면 많은 것을 이룰 수 있을 것 같습니다.
jh kim 19
2020년 2월 29일 18:43아니 몰입 사례를 메일로 밖에 확인이 안되는데 뭘 믿고 책을 쓰고 강연을 하는거지요? 적어도 증거를 제시해줘야 하는거 아닌가요??
steelsteak 19
2020년 2월 29일 05:49좋아하는 공부를 하면 간단하지
@주동인-c7b 15
2020년 3월 13일 02:21학습에 몰입 적용 하는법
도전하는것
시험에 다가올때 망치면안돼! 하는 수비적 마인드로 접근하면 스트레스 받음 걱정만하다 공부는 미룰 가능성 높음
목표를 세우고 꼭 따내겠다는 공격적마인드를 가지고 능동적으로 시험을 준비하면
준비하는 과정부터 즐거울 것이다
의도적인 도전과 응전
도전정신 >>성공경험 >>나도 할수 있겠구나
>> 도전정신>>성공경험이 쌓이면 >>불가능이란 없다
성공경험의 반복은 나의 성장과 도전정신을 더욱 고양시킴
@이민우-q2o 15
2022년 9월 19일 22:561. 몰입의 필요조건 도전
2. 결과는 내가 통제할 수 없는 것. 과정에만 신경쓰자
3. 한 과목만 하자
4. 1초도 쉬지 않고 생각, 흉내라도 내자
5. 10분 이상 안 풀리는 것은 자투리 시간에
Erin. P 12
2020년 11월 28일 10:43하루전날이나 당일에 준비해서 성공하는 경험이 많아져서 맨날 미뤄서 돌겠어요ㅠㅠ
김재형 12
2020년 2월 28일 18:45이번년도에 수능보는 02년생이에요. 이번 강의 너무 잘 들었어요. 감사합니다^^
@정광-n6r 12
2020년 12월 01일 08:07존경하는 분이 나오셨네요. 고맙습니다
몰입은 도전이 있어야 한다. 즉 어려움이 있으야 한다. 도전과 최대의 응전. 희열을 느낀다. 행복한 최선.
E 11
2020년 12월 30일 07:59진짜 좋은 말씀이니까 여러분 댓글요약본 보지 마시고 교수님이 20분에 걸쳐 설득해나가는 과정에 "몰입"해서 보세요
요약본을 읽는 거랑은 차원이 다른 감동을 느낄 수 있을 거예요
Jason Y 10
2020년 10월 21일 00:306:39 스윙스 거기서 모하노
choo ah 9
2020년 2월 28일 22:14임고때 교수님책보고 느끼는바가 많았는데.... 세바시에서보니까 기쁘고 뿌듯하네요🙆♀️👏☺️덕분에 좋은결과로 합격해서 교단에섰습니다.감사해요
전지적 부동산 시점 9
2020년 3월 17일 11:06몰입이 쉽나요 ㅠ.ㅠ
임성민 8
2020년 3월 19일 18:59어 ~를 만회하시네
@바디마술사 7
2021년 5월 28일 12:24진짜 공평한게 신은 절실하고 간절한 사람에게만 기적과같은 아이디어를줍니다
여기 책보고 영상보고 몰입하고 아이디어를얻고 싶은 분들이 만을꺼 같은데요
너무너무 간절해서 잠들지못하고 생각을 계속 계속 너무절실해서 자나깨나 그 생각뿐. 신은 오직 절실한 사람에게만 기적과같은 아이어디를 줍니다
거히 대부분 해보고 안되서 나가떨어지는 사람들이 대부분이고
@바른생각-t8n 7
2022년 12월 04일 21:5606:47 공부가 즐겁다니. 어떻게 그럴 수 있지? 나도 지금 내 모습이 꿈만 같다. 지금 이 순간이 행복하다. 그리고 앞으로도 더 행복할 것이다. 고맙고 사랑해. 세상아.
Martin KIM 7
2021년 1월 30일 10:37도전이 있어야 몰입을 할 수 있다
도전을 성취했을때 행복감 자신감을 얻을 수 있는데
작은 도전부터 성취해서 행복감과 자신감을 차근차근 쌓으면
도전이 점점 고통스럽지않아지고 무뎌져 지속가능해진다 (어쩌면 즐거워질수도..)
다만, 결과에 걱정하게되면 몰입할 수 없으니
과정에 최선을 다하자.
어차피 결과는 자신의 역량밖의 일이니 부담갖을 필요도없다
이전 나의 생각 = 최선을 다하면 성공한다
지금 나의 생각 = 최선을 다하면 전보단 나아진다
dark and blue 7
2020년 12월 18일 11:10성함부터 농문... (논문) 대체 공부를 얼마나 잘하시는겨 ㅋㅋ
챙. 6
2021년 1월 08일 16:466:39 스윙스 닮으심
6
2020년 12월 04일 22:116:57
여기서부터 읽어주시는 내내 미소가 지어지네요. 네, 방금 그 여성 분처럼 말이에요. "내가 이렇게 된다면 정말 행복할거야"라는 마음이에요 ㅎㅎ
수수 6
2021년 5월 17일 19:17교수님 덕분에 숨쉬는 것처럼 자연스레 몰입하고 집중하는 방법을 조금씩 습득하고 있습니다 아직 완벽하진 못하지만 계속해서 연습해보려구요 ㅎㅎ
그리고 또, 자투리시간의 중요성을 교수님 덕분에 다시 깨닫게 되어 그 시간을 활용해서 공부하고 있는데 일과 중에 틈틈히 공부를 하는데도 몰입이 자연스레 되고 있어요..오히려 통으로 시간을 일부러 냈을때보다 더 집중이 잘되어서 너무 신기하네요 ㅎㅎ 여러가지 꿀팁들 감사합니다!
^_^
락락스마일 5
2020년 12월 28일 08:05신기한 건 이런 강좌에 비공감이 120개 ㅋㅋㅋ
김한준 5
2020년 3월 06일 22:38교수님 강의 잘 들었고요 교수님 말씀에 따라 유튜브에 몰입 잘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퍼플문 5
2020년 3월 03일 17:28예비고1인데 많은 깨달음을 얻었습니다. 감사합니다.
sh Lee 5
2020년 11월 26일 18:52이걸 할 수 없는 가장 큰 이유는 우리에게 해결해야 할 문제 대비 시간이 절대적으로 부족하기 때문 아닐까...? 몰입해 가면서 공부하면 참 좋지만 당장 1년에 내가 풀수 있어야 하는 문제의 양은 너무 많으니, 몰입이고 자시고 답부터 보고 푸는 방법을 암기하지 않으면 애초에 원하는 점수를 얻을 수 없다는 것..... 몰입해서 완벽한 퀄리티로 30점을 받던지, 빨리 빨리 외우고 반복작업 해서 100점을 맞던 지 선택해야 하는 상황이라면 몰입을 선택하는 게 애초에 불가능한 것 아닐까...?
황의설 5
2021년 1월 25일 05:57생각을 해야 된다. 이거 진짜 중요한데 평생 모르는 사람들이 있드라. 생각하는 능력이 중요한 시대지
김원준 4
2020년 3월 07일 18:51진짜 짜증난다니깐 어떻게 저말을 19분동안 말할수가 있지? 2배속 해서 다행이다. 몰입은 도전과 난이도에 따라 달라지는거 맞아 그말을 19분이나 한다고?? 아니 위키백과에 몰입 그래프 쳐봐 ted 몰입 강연 마지막부분 몰입 그래프 봐봐라고 그것만 보여주면 될걸 19분이나..;;
바진구 4
2020년 2월 28일 19:33Flow 몰입
Veritas 4
2020년 10월 06일 16:31진리는 결국 단순하고 대부분 알고있습니다. 몰입을 어떻게 하냐고 묻는 것은 밥을 어떻게 먹냐고 물어보는 것과 같습니다. 우문이죠. 분명 누구든 집중장애가 있지 않은 이상 몰입을 할 수 있습니다. 몰입하는 방법은 그냥 집중하는 것입니다. 그걸 어떻게 하냐고요? 그냥 하는 것입니다. 밥을 그냥 수저로 퍼서 입에 넣고 씹어먹어 삼키듯이 그냥 대상 하나 정하고 집중하면 됩니다. Just Do It
Artran k /아트란 k 4
2021년 1월 04일 07:18올해는 몰입의기쁨을 느껴봐야겠네요 좋은강의 감사합니다.
백신 맞지 마세요 4
2020년 2월 28일 19:11정말 유익한 강연인 것 같습니다!
이야기 굽는책빵 3
2021년 1월 09일 02:07강의 감사합니다.
사례를 듣다보면 구체적인 몰입 실천 방법이 알고 싶어집니다.
dogman 3
2020년 3월 04일 23:48음..예전에 얼룩말이 사자에게 쫓길때 최상의몰입이다라고 예를들었는데..인간이 목숨이걸린문제에는 가장 몰입할수있는디..공부..목숨걸고하는 사람..음..가장좋은방법으론 철도에 쇠사슬 걸어두고 문제를맞쳐야풀려난다면..최고의몰입이될듯 ㅎㅎㅎ
@둘링-b6h 3
2022년 2월 04일 00:43자투리 시간의 활용 중요성, 몰입... 생각을 해라. 일주일동안 생각을 하면 깨닫는게 많다 왜냐면 그것에만 오로지 집중하니까
도로롱도로롱 3
2020년 2월 28일 19:58시험전날 두뇌풀가동!
외정하 3
2020년 12월 29일 15:22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저렇게 하는 것이 어렵다는 것을 알고 그만 뒀을까? 저렇게 할 수 있는 학생은 저렇게 이미 하고 있는 사람이 대부분입니다. 인문학적 사례는 자기에게 이로운 사례만 발표해서 사람들을 현혹합니다. 저런 데이타가 정확할려면 전체에서 몇 명이 낙오하지 않고 끝까지 이루어졌는지란 데이터가 나와야 합니다. 길을 걸을 때는 수학문제를 고민하기보다 어느 pc방이 더 좋을까란 고민을 하는 학생이 거의 대부분인데 참 허공에 떠도는 강의네요.
Kan칸Louis루이 3
2020년 9월 16일 04:35도전만 있으면 되는거군
루비나찌 3
2020년 12월 04일 18:14서울대 교수님이 하시는 말씀이다. 새겨들어라 ㅋ
hh 3
2020년 3월 06일 14:21잠은 충분히 명심하겠습니다.....
루비나찌 3
2020년 12월 04일 18:19그니까 어떻게 몰입을 하냐구요..아놔..낚였네
에제르다이어트성공비결 3
2020년 3월 29일 22:14어..를 너무 매번 하셔서 몰입에 방해가 됩니다만ㅠㅡㅜ 제 집중력의 문제겠지요..?
손순영 3
2020년 8월 22일 02:30약 15년전, 교수님께서 오전 9시에 경기도 오산소재 M사에 몰입관련 강의하시고 11시까지 서울대에 가셔야되는 상황을 지켜보았던 사람으로서. 서울대까지 모시고 가는중에 몰입에 대해 사모님께서는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라고 질문한 적이있습니다. ...몰입은 자신과의 싸움이자 가까이 있는 사람과이 싸움이다...라고 생각합니다. 제가 교수님을 서울대까지 모셨었습니다.
블루베리스무디 3
2020년 3월 01일 22:44해답보지말고 10분 이상 매달리지 말고
Kr 2
2020년 3월 04일 01:32좋은 강연 감사합니다.!
백서 2
2021년 1월 23일 23:12교수님 시각에서 본 학생들 :시험을 항상 잘 못본다 ㅋㅋㅋ
송재범 2
2020년 12월 29일 01:04와 ㅋㅋㅋ 박사과정 하는분도 오랫동안 안해본건 헷갈릴 수 있구나ㅋㅋ
김주남 2
2021년 3월 23일 17:196:40 기가찬 모습 ㅋㅋ
Lupita Kim 2
2021년 1월 23일 19:05난 이 유튜브 조차 몰입이 안되서 1:55 부터 계속 다시 다시 재생 다시 되감기 다시 재생 재생 재생 다시재생 , 공부하긴 글렀나 보다 ㅠㅠ
@bong봉 2
2024년 4월 08일 18:56학교에서 정해준 커리큘럼만 따라가다, 생에 처음으로 오롯이 공부를 하게 되어 헤매던 중 좋은 영상을 발견했네요. 한 번 몰입에 도전해보겠습니다^^
박형준 2
2020년 11월 25일 14:01허리아파서 몰입이 안돼 시발
김민우 2
2020년 3월 03일 23:24최선을 다 하고 안되면 어쩔 수 없다 받아들여라. 깨어 있는 시간에는 1초도 쉬지 않고 하는 것. 도전과 응전. 못할 거 같았던 것을 해낸다. 성공경험을 통해서 성장. 창의력 사고력 도전정신 발전. 생각을 해야 한다. 너무 어려운 건x 5분 10분 정도. 올바른 방식으로 학습하면 지적 능력은 상승시킬 수 있다. 머리를 쓰면 발달한다.
Michael Jordan 2
2021년 1월 18일 04:45본인 이거보고 몰입하다 시간가는 지 모르고 밤새버림
오늘 하루 완전히 망치겠구만 허허
Jay Song 2
2021년 3월 13일 06:07목소리 개꿀~
haro ihcri 2
2020년 12월 10일 05:3412:50 생각을해야한다
동부 2
2021년 4월 15일 09:50근데 이 세미나에 몰입이 안되는 나는 대체..
동부 2
2021년 4월 15일 09:50근데 이 세미나에 몰입이 안되는 나는 대체..
촉팅 1
2021년 4월 24일 19:48어쩌다가 공부에 몰입해서 집중이 완전 잘될때 집중하고 나서 생각해보면 너무 뿌듯하고 뭔가 하얗게 불태웠지만 행복하다는 느낌이 들었어요. 아무리 다가오는 시험이 걱정되더라도 제 자신이 걱정하는 상태로 시험기간을 임하면 결과는 안좋은 것 같아요!
서브채널 1
2022년 1월 20일 17:377:45 (걱정,결과 생각하면 몰입x)
8:15 (한과목 집중하기, 수면충분히, 깨어있는시간 집중)
11:28 (노력끝에 성공경험이 쌓이면 도전적으로 변함)
@강땡땡-t1r 1
2021년 5월 02일 07:43몰입을 하기 위해서는 도전이 있어야 한다?
몰입은 주어진 도전에 대해서 최대로 응전하는 상태 = 행복한 최선
걱정을 하면 몰입이 안된다 + 결과에 치중해도 몰입이 안된다
몰입의 키워드=도전과 응전/ 생존을 위한 위급한 상황의 전투
몰입훈련=의도적인 도전과 응전
(처음에는 도저히 못할 줄 알았는데 혼신의 노력 끝에 결국 해냈다
ex, 하루 10시간 공부) = 성공경험의 반복 / 이런 경험을 한 번 할 수록 불헌듯이 성장한다
혼신의 노력을 할 수록 계속 발달이 된다
의도적인 도전과 응전
처음에는 "무의식"의 방해아래 고통을 감행해야 하나, 그것을 타파하면 할 수록 성공의 경험이 누적되어
근본적인 무의식 변화가 긍정적으로 일어난다
머리를 써야한다 (단순노동x)
Humane 1
2021년 5월 07일 14:01어디서 봤던 이름이라고 생각했는데 지금 정확히 제 오른쪽 위에 이분이 쓴 책이 있었네요ㄷㄷ
조항권 1
2020년 12월 22일 08:05결과에 대한 마음을 비우자
오뚜기_ 1
2021년 1월 10일 15:29창의력 사고력이 증가된된다
슬로우 싱킹..
아이교육에있어서 매우 중요한
부분 같네요.
의도적인 도전과 응전을하고 혼신을 다해서 성공경험을 할수록 더 향상되고 변화되어간다. 나도할수있겠구나.. 불가능이란 없다는 자신감
창의력 사고력 발달, 도전정신발달,
대부분 생각없이 몸만쓴다.
우리나라 입시점수중심 교육이 문제다.
이창근 1
2020년 8월 02일 21:27최고의 강연 위빠사나
다음으로 감동 건강하세요
1C 장지원 1
2021년 3월 20일 22:19도전이 없으면 몰입을 못한다
조항권 1
2020년 12월 22일 08:06결과에대한 것을 집착하지말고 과정에 대해서만 힘을쓰자
@J_7179 1
2024년 2월 06일 13:201.도전이 있어야 몰입이 발생한다.
2.최고의 응전상태인 몰입은 삶에서
유익한 경험과 좋은 습관이 될 수 있다.
3. 몰입은 정확한 목표설정, 적절한 난이도, 빠른 피드백, 결과를 벗어나 1과목에 진득히 과정에 최선을 다할때 잘 성립한다.
4. 몰입의 생활화를 위해 적절한 수면과 선잠
5. 끊임없이 생각하고 편안히 생각의 끈을 놓지않는 마음상태로 참선하듯 몰입도 올려라
쏘냐임당 1
2020년 3월 01일 16:09진짜 맞는말
쪼꼬미 1
2021년 6월 05일 22:28역시 교수는 교수네요.
학습법 뿐만 아니라, 행복의 본질까지 담겨있네요.
덕분에 학습법과 인생철학을 배우고 갑니다.
감사합니다 교수님.
황형진의 화학공학 이야기 1
2021년 10월 30일 12:54화학/화학공학과 전공 관련 강의 동영상이 제 Youtube 채널에 많이 있어요. 공부하는데 많은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네요.^^
(There are many lecture videos about chemistry/chemical engineering majors on my YouTube channel. I hope it helps you a lot in studying.)^^
촉팅 1
2021년 4월 24일 19:48어쩌다가 공부에 몰입해서 집중이 완전 잘될때 집중하고 나서 생각해보면 너무 뿌듯하고 뭔가 하얗게 불태웠지만 행복하다는 느낌이 들었어요. 아무리 다가오는 시험이 걱정되더라도 제 자신이 걱정하는 상태로 시험기간을 임하면 결과는 안좋은 것 같아요!
Humane 1
2021년 5월 07일 14:01어디서 봤던 이름이라고 생각했는데 지금 정확히 제 오른쪽 위에 이분이 쓴 책이 있었네요ㄷㄷ
1C 장지원 1
2021년 3월 20일 22:19도전이 없으면 몰입을 못한다
MS J 1
2021년 4월 04일 22:13얘기듣다가 얼핏 삼매와 비슷한 과정아닌가 싶었는데 중간쯤에 참선을 언급하시는 걸 듣고 뼈가있는 말이라는게 느껴졌네요.
N-H K 1
2021년 2월 02일 12:19부자가 되려면 돈을 모으면 되죠.. 알바를 해서 한 번 돈을 벌어보면 희열이 생기는데 이것이 반복되면 부자가 되는겁니다.
je ti 1
2020년 12월 30일 00:35몰입 강연 감사합니다. 존경합니다 교수님.
steak steel
2020년 3월 17일 17:17나도 성공해서 저런 강연 해보고 싶다
Wen Park
2020년 12월 17일 21:30죄송하지만 어~ 때문에 듣는데 몰입이 안돼요
youjung hur
2020년 12월 19일 09:15하나 의문이 있네요. 몰입해서 문제의 해답을 찾는건 이해가 가는데 왜 한국 규모의 경제규모에서 엔론머스크나 잡스 같은 사람이 왜 안나오는 거죠?
한국 주식시장이 엄청 커져서 갈돈이 투자할만한 회사가 없다고 하는데...
이수정
2020년 11월 18일 08:566:37
바들바들떠는개미
2020년 12월 11일 07:537:44 다시보기
임종윤
2021년 4월 01일 18:19이분을 교육부 장관으로서 추천하고
이분 때문에 한국 과학의 미래가 밝습니다.
twogather
2021년 4월 04일 23:062:03 깨알 귀여움 ㅋㅋㅋㅋ
Black Bean
2021년 3월 23일 23:14몰입을 정확히 정의해주셔서 감사합니다. 그냥 집중하는 것인 줄 알았어요
삼십느낌
2020년 12월 29일 23:51크... 우리나라는 너무 결과중심적으로 가고 있어 저 또한 결과에 몰두하곤 하는데 역시 과정이 중요한 것 같습니다!! 그리고 제일 찔리는 깨어있는 시간을 제대로 활용하자는 말에 이제 유튜브 영상을 멈추고 집중해야겠네요 ㅎㅎ 오늘도 세바시 덕분에 자극받고 갑니다 감사합니다 !! :)
낑깡
2021년 3월 08일 06:20잘보고갑니다
weareall1
2020년 11월 26일 15:27뭔 땡중 같지?
코스모스
2020년 11월 29일 04:406분 40 초
Jimmy Noiz
2020년 7월 24일 20:42문과고 수학이랑 상관없는데 수학학습법처럼 느껴져서 괴리감이 생겨요 ㅠ
pa ul
2020년 3월 23일 20:58요즘 몰입 두번째이야기 읽고있는데......
art is Universal
2020년 11월 25일 10:16근데 아무리들어도 수학 과학 이렁거만 하는방법만 가르치시네 사십이 넘었는데 일상사에서 부딪치는 인문학적인거에 몰입하는방법도 좀 가르쳐주시지
youtube 성원
2020년 9월 08일 21:24벌써100만이네 100만축하드립니다
대체로무해함
2020년 12월 02일 10:42공부의 끝판왕 나오셨다
morpheus hs
2020년 12월 04일 05:21감사합니다 🙏
복지를말하다
2021년 1월 12일 11:2219:07
크리미TV
2021년 1월 12일 07:137:45
Prodo Prodo
2021년 1월 08일 11:1220분 강의내용이 완전 몰입이 되네요 ㅎㅎ
Layback
2021년 1월 01일 12:35감사합니다
김대호
2021년 1월 01일 12:44요즘 주가가 너무 높아져 급락할까봐 무서워 주식 공부에 몰입하려는데 도움이 많이 될거 같아요
CumulativeEffect_서른넷 영어회화도전
2020년 11월 28일 21:191초도 쉬지 않고 몰입하는 연습 반복. 도전.
최호정
2021년 5월 10일 11:2322살에 행정고시 합격한 내 친구 왈
'7시간 자고 깨어있는 시간 동안 집중하면 된다.'
말은 쉽지만 절대 쉽지 않은 방법ㅋㅋㅋ
최호정
2021년 5월 10일 11:2322살에 행정고시 합격한 내 친구 왈
'7시간 자고 깨어있는 시간 동안 집중하면 된다.'
말은 쉽지만 절대 쉽지 않은 방법ㅋㅋㅋ
백지윤
2021년 4월 29일 15:37시험 끝났으니 물리를 하러 가볼까
남상학
2020년 5월 01일 19:58새해에는 지혜를 많이 발휘하여 모든일에 성공 하시길 바랍니다.
지혜는 이성뿐 아니라 감성에도 내포되어 있습니다. 감성적 지혜는
스스로 감정 조절을 할 줄 아는 정도와 수준을 결정할 만큼 중요합니다.
감성적 지혜를 지닌 사람은 업무든 인간관계에서든 성공을 얻습니다.
성경의 잠언서는 우리에게 이런 깨닫음을 줍니다. "함부로 화를 내지
않는 사람은 총명하고, 성격이 거친 사람일수록 거만하고 어리석다"
지혜야말로 여러분의 감정을 다스리는 약임을 잊지 마시고 새해에는
지혜스러움과 총명스러움을 함께 발휘하여 부디 성공하시길
이에스돈
2020년 12월 18일 14:09교수님의 말시작마다 "어" 하는 불필요한 접두어에 몰입이 되어 듣기가 너무 짜증난다 하ㅜ
박제형일반인여친
2020년 3월 05일 00:42해강 친구들 없니... 외롭따
박지영
2020년 10월 11일 13:09어찌. .. 피시험자들이 서울대생인지. ...ㅡㅡ
재능은 타고난게 아니라고 하지만 .. 타고난 애들을 상대로 팩트를 가지고오면 99프로의 다른 집단 아이들이 어떻게 이해하죠?
J Jj
2020년 3월 03일 23:48몰입도 중요한데 대한민국의 경쟁 분위기에서 고3애들이 자유로울 수 있을까?
김성진
2020년 3월 02일 09:51개지린다.....유튜브, 교수님 감사합니다
Meen Seong
2020년 10월 18일 11:17전달력이 너무 떨어짐 책이나 강연이나
족제비날아간다🐿
2020년 3월 26일 20:50에호 학교숙제로 이거 듣는 나 코로나 망해라 !!
@옥소페이트
2023년 4월 03일 02:5310:33 해답을 최대한 보지말고 생각해라 생각하는 능력, 창의성을 길러야 한다
앉아서는 10분이상 고민하지 말고 체크해뒀다 걸어가거나 산책하는 (버리는 시간)에 다시 봐라
이영빈
2020년 3월 04일 09:24박사 과정 이야기... 교수님도 대단하시고 그에 열심히 한 학생도 대단하다...눈물이 난다
Zoey Lee
2022년 5월 22일 12:45와.. 진짜 너무 좋은 강의입니다.. 감사합니다!! 실천해 보겠습니다!!!
피묻은고라니 Bloody Water Deer
2020년 5월 13일 20:40어 어 거리는거 때문에 집중이 안됨 ㅠ
병아리돛단배
2021년 4월 29일 15:38정말로, 생각을 이끌어내는 분이 최고이시다
최원석
2021년 1월 30일 01:54Kbs에서 강의해주셨으면 좋겠습니다. 몇부작으로해서 모르는사람들이 너무 많습니다.
호랑이는 사냥을 혼자하죠. 고양이과동물이죠.
그리고 잠을 잘때는 자는거에만 몰입하는게 숙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