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튜브에서 교수님 강의를 많이 찾아보곤 했는데 ... 드디어 한국에 오셨네요. 교수님의 강의를 듣고 있노라면 한국인으로서 긍지를 느끼고 힘이 솟아납니다. 교수님이 세바시에 출연 하는 정보를 미리 알았다면 강의를 직접 들으러 갔을텐데 ... 샘 리처드 교수님 앞으로도 멋진 강의 부탁드립니다. 건강 하십시요.
멋진 강의 감사합니다! 유튜브에서 보았던 그 교수님이 세바시에 나오다니! 우리나라가 이런 힘이 있다니.. 정작 저희는 잘 모르고 있는것 같습니다! 기후위기에 대해서..정말 어떤 것을 해야하는 것일까 나의 행동이 어떤 영향력을 미치게 될까 생각하는 시간이 되었습니다.. 추가 강의 한번 더 해주시면 좋을것 같아요!!
흥미롭네요:) 교수님께서 한국이 기후 위기를 해결할 실마리를 가지고 있다고 주장하신 4가지 근거(1. 공동체 중심 사회, 2. 효율적인 교육 시스템, 3. 공익을 위한 규칙 준수, 4. 세계적인 소프트파워)는 대부분 현대사회에서 우리의 한계와 과제라고 생각했던 특성들입니다. 약점과 단점이라고 여겼던 것들이, 오히려 강점과 장점이 될 수 있다는 발상의 전환을 하게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첫 단추를 어떻게 끼울 것인가에 대한 고민은 우리의 몫이겠지요.
교수님이 우리 한국 스스로조차 깨닫지 못하는 엄청난 힘을 말씀해주시며 그 힘을 믿으라고, 그리고 그 힘을 세계의 문제 해결에 사용해달라고 요청하는 것 같은 느낌을 받았어요. 우리의 힘이 많은 사람들에게 필요하고 실질적으로 도움이 될 수 있다면, 우리는 틀림없이 그 방법을 찾아낼 것이니까요. 이 영상을 본 사람들이 어떤 생각을 시작하여 어떤 영향력을 줄지 그것을 기대하고 또 이미 바라본 듯하네요. 그 믿음에 너무나 감사하고 또 그에 걸맞는 이 시대의 한 인재로 성장하기 위해 저 개인의 노력도 소홀하지 않겠습니다. 한국을 긍정적으로 바라보는 세계의 수많은 시선 덕에 누릴 수 있는 긍정적인 일들은 더 많아질 것이라고 생각해요. 그것에 자만하고 안주하는 것 또한 우리답지 않죠. 그래서 저는 항상 그 힘에 의심하는 사람이 있는 한국이길 바랍니다. 또한 자신의 도리에 더욱 집중하는 한국인이길 바랍니다. 누군가 내게 거는 기대와 긍정적인 시선을 실망시키고 싶지 않은 그 마음이 때로는 스트레스로 다가올 수 있지만, 그럼에도 우리가 가진 소중하고 핵심적인 마음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렇게 자신에게 계속하여 성장하라고, 충분히 성장했냐고 의심하는 태도와 내가 곧 공동체의 작은 얼굴이라는 공동체적 마인드, 모두를 위한 가치를 찾으려 노력하는 우리다운 우리나라를 계속해서 만들어 갔으면 합니다.
샘 리처드 교수님의 강연 잘 들었습니다. 코로나 펜더믹 사태를 겪으면서 많은 나라들이 한국을 주목하고 있습니다. 국내 언론에서는 이러한 내용을 국민들에게 충분히 알려주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입니다. 이러한 때에 세바시를 통해서 대한민국이 기후 위기의 급박한 환경 속에서 전 세계를 선도할 수 있는 역량을 가지고 있다고 이야기 해주시는 것을 들으며 우리의 모습을 돌아보고 하루 하루 살아갈 때 좀 더 자부심을 가지고 생활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매일 조금씩 이라도 지구를 위해 하지 말아야 하는 일들을 줄여나가는 것이 다음 세대를 위해서 우리가 할 수 있는 최선의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좋은 강연 감사드리며, 샘 리처드 교수님의 이야기처럼 한국이 전 세계를 기후 위기를 극복할 수 있도록 긍정적으로 동기를 부여하는 나라로 거듭나길 기대합니다. 감사합니다.
교수님 관련 영상 벌써 관심이 많아서 한영 자막으로 제 채널애서 다루었습니다. 통찰력이 대단하신 멋진 교수님 감사합니다. Thank you for visiting Korea and let us know what we mifgt not know as Koreans. Your lecture and insightful perspectives have always drawn to listen to your stories more since a few years ago. I am a huge fan of you and once again, I appreciate your lecture and more! Hope you had enjoyed good food and soju if you drank!!!! 감사합니다 😊
우리나라가 이와같은 과분한 평가를 받을만한가 하는 생각을 해보게 됩니다. 아울러 온 세상이 바람직한 롤 모델을 찾고있는 이 세대에 감히 우리 국민 한 사람 한 사람이 그 높은 위치를 목표로 발분해야겠다는 결기를 갖어봅니다. 우리를 더욱 노력하게 하시는 샘 리처드 교수님, 감사합니다.
한국에서 한국인으로 살고있지만 기후파괴문제에 대해 한국이 세계의 리더가 되어서 무언가를 보여주고 이끌준비가 되어있다고 생각한적이 단한번도 없습니다. 어쩌면 제 3자의 관점에서 바라보고 느끼는 많은 한국의 장점들이 그저 당연히 주어진것으로 여기고 누리며 산건은 아닌가 하네요. 덕분에 기후파괴문제에 대해 더 깊에 생각하는 계기가되었으며 작게나마 행동해야 한다는 것을 느꼈습니다 훌륭한 인사이트를 얻고갑니다 감사합니다^^♡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of Korea are a culture that originated from the geopolitical and historical influence of Korea. Since we have lived together for a long time in the peninsula, the consciousness that the whole nation is family has emerged.I hope you will help Korea achieve peaceful reunification and achieve the ideals of the world. Thank you, Professor.
교수님 유툽영상들만 봤는데 세바시에서 뵈니 너무 반갑습니다. 왠지 한국이라는 나라국민으로 그리고 사회의 한 일원으로 더 노력하고 살아야겠단 생각이 드네요. 그게 우리나라를 위한일이고 0.0000000001%라도 세계에 긍정적인 효과에 보탬이 될 수 있다면... 이렇게 찾아와주셔서 감사합니다
강연 잘 들었습니다. 기후 위기에 비추어서 한국인이 그렇게 평가 받을 줄은 몰랐습니다. 사실 기후 위기는 국가나 인종을 넘어서 공동 대응해야 하는 중대한 과제입니다. 그런 차원에서 기후 위기 대응에 공동체 중심과 규칙 준수가 들어가 있는 부분은 매우 타당하다고 생각됩니다. 그 교수 강연대로 한국이 기후 위기에 잘 대응하는 나라가 되었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샘 리처드 교수님은 대한민국이 가지고있는 많은 문화적 영향력 예를들면 bts 그릅이 언젠가 말했던 "여러분 자신을 믿고 사랑하세요"라는 캠페인이 전세계인들의 마음을 울렸던일 또 몇일전 백악관을 방문해 연설하며 아시안 범죄를 멈춰달란 메시지에 미국 내에서 벌어진 현상들 즉 우리의 예술이 전세계에 미치는 엄청난 파워를 알고있기에 기후위기를 알리는 중요한 메신저가 될수있다고 보는거죠~ 거기에 불평 불만도 하지만 공동체를 위해 자신이 좀더 참고 따르려는 한국인의 민족성도 잘 꿰뚫고 있네요~ 비교적 양심적으로 행동하고 높은 교육열로 인한 높은 의식수준 또한 첨단 기술의 발달로 마음만 먹는다면 그 시너지와 효과가 크다는걸 잘 알고 있는겁니다~ 교수님이라 그런지 전달력있는 연설에 달변이시네요
풀영상이 아닐거 같아서 너무 아쉬워요! 15분 맞추느라 잘린 부분이 있다면 풀영상을 보고싶습니다~! 교수님이 단지, 한국을 추앙하는 게 아닌, 한국 밖의 학자의 시선으로 한국을 바라보며 분석하고, 한국인으로서는 잘 느끼지 못했을 부분들을 알려주셔서 많은 생각을 하게 되었습니다. 냉정한 한국 교육에 대한비판과 그걸 넘어서는 한국인들의 인내와, 희생, 공동체를 위한 협조 등에 관한 프라이드도 가지게 됨. 한국인들은 오히려 서양문화를 우월하다 생각하며 따라가기도 하고, 예를들어 이번 k방역을 자랑스러워 하기도 했지만 한편 비판도 많았었는데, 우리의 문화도 다른 나라의 문화 그 이상으로 훌륭하다는 것을 느끼게 되어 정말 뿌듯함. 교수님의 한국에 대한 예리한 분석에 감사드립니다.
한국의 교육 시스템은 아직도 시대에 뒤쳐져 있고, 공동체 의식보다는 개인의 선택이, 공공의 이익보다는 개인의 자유가 존중되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기후 문제 해결도 중요하겠지만 각자 생각하고 질문하는 그리고 함께 국력을 키워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결국에는 강자가 약자를 지배하니까요.
유튜브 통해서 샘리차드 교수님이 강의하는 영상들을 종종 봤었는데 한국에 대해서나 한국과 미국,중국 등 다른나라와 다른점이라던가, 요새 소프트파워로 인해 점차 더 확대되어가는 한국의 문화와 한류에 대해서도 잘 파악하고 계신것도 같고 강의 영상들이 정말 너무 유익했어요! 몇년전 처음 BTS 언급할때도 강의실에서 진짜 몇명의 소수 학생들만 알고 있었던 BTS에 대한 발언들이 지금은 불과 몇년 사이에 미국에서 엄청난 탑스타가 됐고 최근 2번의 미국콘서트도 완전 대박난거 보니까 지금보면 교수님이 BTS에 대해 말씀하신 것들이 뭐 거의 예언수준이 됐네요! BTS는 지금 미국내 인기와 영향력으로 한국가수로써 거의 최초&최고로 성공한 인기스타가 됐고 교수님 발언도 BTS의 성공으로 인해 모두 증명이 된 셈이죠!^^ 한국 국민들도 그 당시엔 bts에 대해서 잘 모르는 사람이 많던 시절이었는데.. 교수님이 강의때 말씀하시던 한국을 직접 한국에 오고나서 실제로 보고 듣고 느낀점들이 엄청 궁금하네요! 기사나 인터넷, 한국인 지인들이나 한국 학생들에게 듣기만 하고 교수님이 생각했던거랑 직접 와서 실제로 겪어본거랑 너무 달랐다라던가? 직접 보고 겪어보니까 더 좋았다라던가? 한국과 한국인들,한국문화가 신기한 점? 미국이나 다른나라 문화와 너무 달라서 좀 이상하게 생각됐던거? 교수님이 보실때 직접 본 한국이나 한국인들의 단점으로 느껴지는것? 이런것들은 좀 보완했으면 더 강국이 되겠다? 등 한국에 직접 오셔서 경험하신 많은것들데 대해 어떤 느낌을 받으셨는지 무척 궁금하네요!^^
한마디로 한국이 요즘에 뜨고 여러나라에 인기가 있으니까 그걸 이용해 타국에 모범이 되어 기후문제 해결을 위해 앞장서라는 것 같다. 그 모범을 보여주는 방식으로는 한국인들은 공익을 위해 희생하는 것과 공동체정신, 그리고 효율적인 교육방식을 가지고 있는데 그걸 기후문제 해결하는데 접목시키라는것 같고.
한국의 특징을 나름 잘 분석했고 근거도 타당해 보이는 듯 하지만, 너무 한국의 긍정적인 측면만 강조한 분석 같다. 한국인으로서 위에 언급한 것들이 단점으로 다가오는 부분도 많기 때문이다. 또 개인적으로, 자유와 개인을 중시하는 대부분의 세계인들이 우리의 방식을 따를까 의문이 든다. 오히려 미국과 강대국들에 전세계가 의존하는데, 그런 나라들이 먼저 앞장서는게 더 효과적일거라는 생각이다.
교수님 유튜브에서 보다가 세바시에서 뵈니 또 반갑습니다 :) 말씀해주신 부분들이 한국 사회의 문제가 아닐까 생각하고 살았었는데 이에 반하는 의견을 조목조목 말씀해주시니 그럴수도 있겠다는 생각도 드네요. 아무쪼록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니 다행입니다.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세바시!
샘리처드 교수님 강의는 정말 많이 들어봤는데 그때마다 울림이 있습니다. 한국도 점점 공동체 보다는 개인주의적으로 변하고 있고 다른나마 만큼 점점 다채롭게 변하면서 부작용도 많이 늘어나고 있는데 이번 강의도 정말 많은 분들이 시청했으면 좋겠습니다. 뭉치면 살고 흩어지면 죽거나 아무것도 할수 없는 일들 없는 날들이 있으니 말이죠. 소중한 강의 영상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영광이예요!!^^ 교수님 강연을 직접 보게 되서 행복합니다. 한국의 위상을 높이 평가하시고 그만큼 한국인들의 노력이 세계적 리더 수준으로 올라갔다는 것을 강연을 통해서도 보여주셨는데요. 다음 세대인 청소년들이 이러한 상황을 잘 이어가 한국을 더 발전시키길 바라는 마음입니다. 한국의 청소년들에게 해주시고 싶은 조언이 있을까요?😄
샘 리처드 교수님의 강의 자주 찾아 봤었읍니다. 기후위기 문제는 정말 심각한데 한국이 왜 이 문제의 리더국가가 될수 있는지 4가지 이유를 듣고 나니 공감이 됩니다. 다음번에 구체적으로 우리가 어떻게 행동해야 되는지 꼭 듣고 싶고 그렇게 전세계를 다니시고 여행하면서 사회학을 연구 하셨는데 한국에 이렇게 방문하실 기회가 생겨서 참 다행이네요.~
한국에서 멀리 프랑스에서 도 자주자주 세바시 강연을 보고 있습니다 현재의 이상기후 상황 그에 이어 바로 미래의 우리가 해야 할 행동에 대해서 저렇게 얘기 해 주시니 가슴이 받았지만 동시에 숙연해지고 많은 책임감이 느껴집니다 혼자 작은 한국인이지만 주위에서 늘 한국에 대한 긍정적인 생각을 듣고 있습니다 열심히 노력하겠습니다 세바시 감사합니다
bts 성공이 한국민 각자의 삶에 뭐그리 대단한 일일까? 현상에 휩싸여 떠다니지 말고... 중심잡고 자신을 바라봐야 한다... 내가 여기 온 이유도 모르고 bts 노랫가락만 흥얼거며 그들의 성공이 나의 성공 같은 착각에서 허우적 거리지 말자. 그들은 그들이고 나는 나일뿐. 그들의 성공전략의 가장 중요한 전략은 그들의 성공이 대중의 성공인것 처럼 느끼게 한다는 것이다. 그래야 충성하고 열광하고 몰입하게 되니까.. 명품브랜드의 전략이 그런것처럼. 그래야 pvc로 만든 가방하나 사는데 몇달치 노동의 댓가를 지불해도 허탈하지 않고 프라이드를 갖게되는 마력을 지니게 되니까? 홀림에 당하지말고.. 정신차리자... 깨인 눈으로 보면 그저 플라스틱 수공예품일 뿐이다.
우리나라의 이런 특징이 기후 재앙을 이길 수 있는 힘이 있는 특징인지 몰랐네요 특히 교육 방면에 있어서 회의적이었던 제 입장이 교수님을 통해 다시 한 번 생각해보게 되는 계기가 되었어요 우리 학생들에게 환경의 중요성을 가르치게 된다면 앞으로 기후변화에 좀 더 능숙하게 대처할 수 있겠네요 좋은 강연 감사합니다
이 교수님은 미국에서 아는분들 사이에서 정치적으로 심하게 편향되어있고 PC주의적인 강의와 (예를 들어 학생들 중 랜덤으로 백인들과 흑인들을 뽑아 백인들에겐 그들의 피부색으로 인해 흑인들과는 비교도 안되는 특권을 누린다며 주장하심) 속해 계신 학교의 인종을 기준으로 한 입학 우대정책 (affirmative action)을 옹호하며 논란이 적지않게 있었던 분인데 세바시에서 이런분을 초청하다니 좀 아쉽네요.
교수님의 강연을 이따금씩 찾아보았었는데요. 확실히 우리나라에 대한 인식을 외부인의 시각으로 새롭게 조명하시고 제3자로서 냉철하게 판단해주시는게 너무 좋았습니다. 대한민국의 공동체주의와 사회적신뢰에 대해 강조하시는데 진짜 너무 공감이 갔습니다. 강연을 듣고 정말 다시한번 개인의 사회적책임에 대해 상기하게 되는 시간이었습니다.
교수님의 한국 민족성의 냉철한 분석이 젊은세대들에게 자부심을 높여주는 계기가 될것이며 한나라에서만이 아닌 세계에서 어떤분야에서든 당당한 리더로서 발전할수 있는 원동력이 될것입니다.내가 한국사람이라서가 아니라 해외에서 사는 이민자로서 비교해봐도 한국사람들은 근면성실함과 정직함과 완벽주의로 인해 어떠한 일에든 훌륭한 결과물을 만들어냅니다.너무나 자랑스런 부분이 많습니다.교수님의 훌륭한 강의 감사합니다!
지금 한국은 노인세대와 중년 청년세대의 충돌이 있습니다. 정말 안타깝게도 각자의 주장이 너무 강하기 때문에 분열이 심합니다. 각 세대가 혐오가 아닌 서로 어울려 지낼수 있는 시대가 왔으면 좋겠습니다. 대한민국의 과도기가 왔으며, 세대 교체가 절실히 필요한 때가 왔다고 생각합니다. 좀 더 젊은 공동체를 위한 생각을 할 수 있는 힘을 가진 세대가 필요한것 같습니다.
교수님 강연을 듣고 제일 먼저 떠오르는 단어는 역시 홍익인간이었습니다. 우리 민족의 의식의 저변에 깔려있는 이타심, 홍익인간의 정신의 확산이야말로 지구촌이라는 인류공동체가 앞으로 다가올 기후위기뿐만 아니라 전쟁등 인류의 공멸을 초래할 수도 있는 위기들을 해결해나갈수 열쇠라고 생각이 듭니다
대한민국의 3번째, 4번째 의견은 저도 동의합니다. 하지만 첫 번째, 두 번째 의견은 절대로 동의하지 않습니다. 대한민국은 교육이 아니라 교육의 탈을 쓴 전쟁입니다. 한 설문에서 대한민국의 학생들에게 물었더니 80퍼센트가 넘게 전쟁이라고 답을 선택했지요. 실제로 학생이 한 해 150명이 자살을 합니다. 어느다른 나라도 이렇지 않습니다. 대한민국의 학생들이 스트레스를 받으며 열심히 공부하는 이유는 살아남을려고 하는 것 입니다. 전문대, 지잡대를 가면 사회적 낙오자 딱지가 20대부터 생기는 사회에 어떻게 살아갑니까? 또 전쟁에서 승리한 1퍼센트 엘리트는 민주주의 사회의 성숙한 시민이 아니라 권위주의, 능력주의, 오만함에 빠진 미숙한 엘리트를 양성합니다. 작년 코로나사태 때 의사들의 데모, 정치계를 보면 거의 모두 좋은 학벌의 사람들이지만 하는 짓 보세요. 그리고 이런 교육으로 시작하여 사회적 불평등도 심각합니다. 대한민국은 정당,이념,남녀,학벌,세대,종교,빈부갈등이 전세계 1등으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이런 불평등으로 사회적 연대는 끊어졌습니다. 다른 아파트 아이들이 자기네 아파트 놀이터에서 놀지도 못하게 하고, 장애인 학교 지을려고 하니까 아주그냥 데모를 해대고, 난민 몇 명 받는다고 또 난리를 치고 이렇게 개인주의로 혼란해진 사회에 너무 교수님이 칭찬만 하신 것 같아서 저의 생각을 살짝 적어봅니다.
아마 세계인들이 우리가 특히 경기도 일반 아파트에서 분리수거하는 레벨을 본다면 정말 깜놀할듯요 ㅎㅎ 교수님 말씀을 들으니 뭔가 우리에게 기회와 위임이 동시에 주어진 것 같네요! 교수님 말씀처럼 우리가 인류를 위해 헌신할 수 있는 기회가 아마 한국 문화의 힘을 통해 오지 싶네요~~ 문화 컨텐츠 제작자들이 이 영상을 많이 보게 되기를 바라요!
훌륭한 강의 잘 들었습니다. 우리 스스로는 잘 느끼지 못했던 한국과 한국인들의 장점들을 교수님의 시선을 통해 새롭게 알게 된 것이 많습니다. 정말 감사하게 생각합니다. 그리고, 이렇게 한국에서 한국 사람들을 대상으로 한 강연을 보니 무척 감회가 새롭습니다.
한 가지 질문을 드리고 싶습니다. 한국이 불과 반세기 전에 전쟁의 폐허더미에서 이렇게까지 발전한 것은 교육의 힘이라는 것을 느끼고 있습니다. 하지만, 그러한 뜨거운 교육열의 부작용으로 많은 아이들이 지옥을 경험하고 있는 것도 사실입니다. 사회적으로 교육의 성취를 압박하고 교육의 기반을 경쟁으로 보는 관점이 우세하기 때문에 벌어지는 일이기도 합니다.
그 핵심에는 서열화 되어 있는 대학이 존재한다고 생각합니다.
물론 미국 역시 대학의 서열화가 존재하고 부의 대물림만큼이나 교육의 대물림이 심하다고 알고 있습니다. 사회학자로써 대학의 서열화와 학업성취의 경쟁에 대해 어떤 관점으로 보시는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이것을 극복하기 위해 어떤 방향으로 나가야 하는지에 대한 생각도 말씀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한국이 기후위기에 중요한이유 공통체문화와 아이의 교육에 쏟아붙는것 공통체로 개인의행동이상을 할수가있고 교육하듯 규칙을세워 억지로 시켜도 잘들을수만있다면 우리의 세계적인 소프트웨어로 전이가 가능하다 금모으기 때처럼 심각한 상태라면 우리는 모두가 나서지않을까 개인의 행동이 공동에 이익에 도움이될거라는 믿음 그게 큰힘
해박한 사회학적인 관점에서 시대적인 정확한 해석이 놀랍습니다. 동아시아 한국에 대한 식견은 그의 지식의 깊이를 이해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한국에 관련한 그동안의 강의가 이번 기회에 빛을 발하는 것 같아서 감동적이었습니다. 생각지 못한 교수님의 강의였습니다. 앞으로도 좋은 강의 기대합니다.
Thank you Mr. Professoerp for your great lecture about the some country of communitarian. For example, educating for youths, cultural of obedience, and regular methodical system and habits etcetera...... we want see another lecture again another day. God bless you and your family!!!!! Mamy thanks. Xxxxxxxx
Well elaborated. However, I think there seems to be a need to study the other sides of each of 4 virtues of Korean society you mentioned. Take, for instance, Koreans tend to put importance in the well-being of community than that of the individual. This particular Korean culture can sometimes be manipulated by bad actors, particularly by bad politicians. Just like what they did in 2016 when Koreans, believing that it was for the good of the country, kicked out an innocent president for "blunder and corruption" without enough or reasonable evidences.
리처드교수님 덕분에 한국 문화의 위대함과 앞으로 나아갈 이유에 대해 알게 되었습니다. 우연하게 예전에 비티에스 이야기를 샘 리처드 교수님 영상을 통해 본 적이 있는데!! 진짜 그때부터 우리나라의 프라이드를 느낄 수 있었고 좀 더 세계가 바라보는 우리나라에 대해 알 수 있었습니다!!!!!!! 너무너무 감사합니다.
저는 리차드샘 교수님의 강의를 들으며 이건 아니다 싶으면 그렇게 이야기를 하고싶었는데 강의를 들어보니 4가지 (1. 공동체 중심 사회, 2. 효율적인 교육 시스템, 3. 공익을 위한 규칙 준수, 4. 세계적인 소프트파워)가 실제 우리한국이 가지고 있고 여기에 더불어 강력한 IT power 가 덧붙여져서 이런일이 가능하겠구나 하는 논리적 ? 생각이 들었습니다. 평소 우리가 생각하지 못하고 지나간것을 들을수있는 기회가 되어 좋았습니다.
방탄소년단의 오랜 팬으로서 정말 감동적이고, 매일 매 순간, 순간이 영화 같습니다. 쌤 리처드 교수님께서도 언급하시는 방탄소년단... 정말 너무나 감사하고, 영광입니다. 방탄소년단의 성공이유의 강점은 노력과 단합력입니다. 당연히 모든 것에는 운이 따라야 하지만, 노력과 단합력이 정말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그 어떤 팀보다 이 만큼의 단합력과 노력을 보여주는 그룹은 없다고 생각합니다.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한국인이 서구 가치관에서 보면 상대적으로 정부 말 아주 잘 듣고 규범을 지키려고 하니 다가올 글로벌 신전체주의 사회에 모범이 되도록 만들고 싶다는거네. 개인의 자유를 최고로 여기던 자유 민주주의 시대는 지고 이제는 대를 위해 개인의 자유는 당연히 희생해야 한다는 거냐? 가만 듣고 있으면 소름끼치네. 설마 국뽕으로 착각하는 건 아니지? 얼마든지 키워지고 이용하고 버릴 수 있음이다. 정신 똑바로 차려야 함
미국 사람은 한국에 와서도 미안한 마음 하나도 없이 영어로 강연한다. 한국 사람이 미국에서 강연하려면 엄청 스트레스 받으며 영어로 준비한다. 현재 영어는 마치 토지를 소유한 지주같은 언어다. 남들이 외국어로 열나게 영어에 시간과 열정 쏟을 때 영어권 사람들은 취미 생활하거나 영어 학습이나 시험으로 쉽게 돈 번다. 한국어나 중국어가 국제 패권 언어가 되어봐야 영어권 사람들도 전혀 다른 외국어 배우는 스트레스를 알 것이다.
한국에 정말 오셨네요 교수님 정말 반갑습니다 저는 지금 인류가 누리고 있는 이 찬란한문명? 은 지구를 파괴 하면서 성장한 문명이라 생각됩니다 이 문명의 성장동력은 지구파괴가 되겠네요 굉장히 폭력적인 문명이라 할수 있는데 지구가 파괴되야 성장을 할수 있는 구조입니다 맞습니다 애초에 이 문명은 지구와 공존이 불가능한 문명인거죠 지구는 이렇게 폭력적인 문명을 상대로 더이상 버틸힘을 잃어가는 것 같습니다 찬란한 문명이 어쩌다 이렇게 찬란하게 사라질 문명이 되었을까요? 인류는 이 현대문명의 발전이 지속 가능하지 않고 실패한 문명임을 하루 빨리 자각하는게 중요해보여요 지구의 자원은 한정적인데 언제까지 대량소비 대량생산의 시대를 계속 누리며 살아갈수 있겠습니까 다른 행성에서 수입해 올것도 아닌데 지구와 공존이 가능한 비폭력문명으로의 전환이 시급할 뿐이라 생각됩니다
샘리처드 교수님 방한하셔서 감사드립니다. 평소 강의 영상을 너무 많이 봐서 너무 친숙합니다. 한국에 오신만큼 그동안 교수님께서 전해들었던 소프트파워와 하드파워를 직접 경험도 하시고 더 많은 가능성이 있는 나라인거 느끼고 조심히 귀국하시길 바랍니다. 기후 환경 개선 및 현재 우리나라의 국제교류에 대한 스탠스를 어떻게 취하는게 좋을지 궁금합니다.
Korean teacher alice 796
2022년 6월 08일 21:08외부인의 시각이라 어느정도는 객관적이라고 믿고 싶지만ᆢ사실 샘 교수님의 견해는 매우 낙천적인 면이 있는 것 같습니다.그럼에도 불구하고 세계 공동 이슈를 해결하는데에 한국인의 실행력을 믿고, 긍정적인 행동의 결과를 우리가 이 분의 말씀처럼 끌어낼수 있기를 바랍니다! 🙏
jm love 596
2022년 6월 10일 11:18정말 교수님 말씀처럼 한국의 문화가 좀더 선하고 깨어있는 의식으로 세계로 뻗어나가길 바랍니다. 세계가 하나로 뭉쳐 기후위기를 극복하길 간절히 바랍니다.
joonsoo kim 433
2022년 6월 10일 01:17유튜브에서 교수님 강의를 많이 찾아보곤 했는데 ... 드디어 한국에 오셨네요.
교수님의 강의를 듣고 있노라면 한국인으로서 긍지를 느끼고 힘이 솟아납니다.
교수님이 세바시에 출연 하는 정보를 미리 알았다면 강의를 직접 들으러 갔을텐데 ...
샘 리처드 교수님 앞으로도 멋진 강의 부탁드립니다.
건강 하십시요.
아날프 415
2022년 6월 08일 18:30교수님 이야기를 들으니 자랑스럽기도하고 정말인가? 라는 생각도 드네요 우리민족의 잠재력이 전세계에 선한 영향력을 발휘하도록 기대해봅니다
Juhee Kim 367
2022년 6월 08일 18:33멋진 강의 감사합니다! 유튜브에서 보았던 그 교수님이 세바시에 나오다니!
우리나라가 이런 힘이 있다니.. 정작 저희는 잘 모르고 있는것 같습니다!
기후위기에 대해서..정말 어떤 것을 해야하는 것일까 나의 행동이 어떤 영향력을 미치게 될까 생각하는 시간이 되었습니다.. 추가 강의 한번 더 해주시면 좋을것 같아요!!
김 349
2022년 6월 14일 12:21교수님 강의를 들으니 우리나라에 대한 자긍심에 기쁨도 있지만 무거운 책임감도
함께 드네요.
이렇게 세계가 바라보고 있으니
정말 선한 영향력을 끼치기 위해서 우리 한사람 한사람이 바른 가치관 속에서 삶을 살아내야겠다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
감사합니다.
sonya 271
2022년 6월 08일 19:07흥미롭네요:) 교수님께서 한국이 기후 위기를 해결할 실마리를 가지고 있다고 주장하신 4가지 근거(1. 공동체 중심 사회, 2. 효율적인 교육 시스템, 3. 공익을 위한 규칙 준수, 4. 세계적인 소프트파워)는 대부분 현대사회에서 우리의 한계와 과제라고 생각했던 특성들입니다. 약점과 단점이라고 여겼던 것들이, 오히려 강점과 장점이 될 수 있다는 발상의 전환을 하게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첫 단추를 어떻게 끼울 것인가에 대한 고민은 우리의 몫이겠지요.
반민초 250
2022년 6월 08일 22:25교수님이 우리 한국 스스로조차 깨닫지 못하는 엄청난 힘을 말씀해주시며 그 힘을 믿으라고, 그리고 그 힘을 세계의 문제 해결에 사용해달라고 요청하는 것 같은 느낌을 받았어요. 우리의 힘이 많은 사람들에게 필요하고 실질적으로 도움이 될 수 있다면, 우리는 틀림없이 그 방법을 찾아낼 것이니까요. 이 영상을 본 사람들이 어떤 생각을 시작하여 어떤 영향력을 줄지 그것을 기대하고 또 이미 바라본 듯하네요. 그 믿음에 너무나 감사하고 또 그에 걸맞는 이 시대의 한 인재로 성장하기 위해 저 개인의 노력도 소홀하지 않겠습니다. 한국을 긍정적으로 바라보는 세계의 수많은 시선 덕에 누릴 수 있는 긍정적인 일들은 더 많아질 것이라고 생각해요. 그것에 자만하고 안주하는 것 또한 우리답지 않죠. 그래서 저는 항상 그 힘에 의심하는 사람이 있는 한국이길 바랍니다. 또한 자신의 도리에 더욱 집중하는 한국인이길 바랍니다. 누군가 내게 거는 기대와 긍정적인 시선을 실망시키고 싶지 않은 그 마음이 때로는 스트레스로 다가올 수 있지만, 그럼에도 우리가 가진 소중하고 핵심적인 마음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렇게 자신에게 계속하여 성장하라고, 충분히 성장했냐고 의심하는 태도와 내가 곧 공동체의 작은 얼굴이라는 공동체적 마인드, 모두를 위한 가치를 찾으려 노력하는 우리다운 우리나라를 계속해서 만들어 갔으면 합니다.
100 A 216
2022년 6월 09일 23:21국뽕에 취하지 말자. 개개인 성장에 힘쓰면 그게 진짜 국가를 위한 길.
세바시 강연 Sebasi Talk 191
2022년 6월 08일 18:25[책이벤트 당첨자] @가비 @jm love @김선미 @반민초 @영연 황 @joonsoo kim, @에일락, @ggam lim
*이벤트 당첨자분들께서는 배송을 위해 개별 답글의 공지사항을 반드시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샤벳 190
2022년 6월 11일 08:36미국 대학강의를 빠짐없이 거의 봤는데 이렇게 세심하고 분석적으로 한국에 대한 강의를 보니 왜 한국을 그렇게 좋게 강의하시는지를 이해할 수 있었습니다 저희가 느끼지 못했던 장점을 명확히 이야기해주셔서 너무 감사합니다
golden time 165
2022년 7월 03일 11:38이나라을 지키기위해
목숨받친 옛조상들에게 감사한맘 임니다
영연 황 161
2022년 6월 10일 00:19샘 리처드 교수님의 강연 잘 들었습니다.
코로나 펜더믹 사태를 겪으면서 많은 나라들이 한국을 주목하고 있습니다.
국내 언론에서는 이러한 내용을 국민들에게 충분히 알려주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입니다.
이러한 때에 세바시를 통해서 대한민국이 기후 위기의 급박한 환경 속에서 전 세계를 선도할 수 있는 역량을 가지고 있다고 이야기 해주시는 것을 들으며 우리의 모습을 돌아보고 하루 하루 살아갈 때 좀 더 자부심을 가지고 생활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매일 조금씩 이라도 지구를 위해 하지 말아야 하는 일들을 줄여나가는 것이 다음 세대를 위해서 우리가 할 수 있는 최선의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좋은 강연 감사드리며, 샘 리처드 교수님의 이야기처럼 한국이 전 세계를 기후 위기를 극복할 수 있도록 긍정적으로 동기를 부여하는 나라로 거듭나길 기대합니다. 감사합니다.
정희수 160
2022년 6월 10일 16:58교수님 강연을 들으니 자긍심 보다는 잘해야겠다는 책임감이 앞서네요.
JinahEnglish 159
2022년 6월 09일 22:28교수님 관련 영상 벌써 관심이 많아서 한영 자막으로 제 채널애서 다루었습니다. 통찰력이 대단하신 멋진 교수님 감사합니다. Thank you for visiting Korea and let us know what we mifgt not know as Koreans. Your lecture and insightful perspectives have always drawn to listen to your stories more since a few years ago. I am a huge fan of you and once again, I appreciate your lecture and more! Hope you had enjoyed good food and soju if you drank!!!! 감사합니다 😊
益壯老人 158
2022년 6월 25일 10:14우리나라가 이와같은 과분한 평가를 받을만한가 하는 생각을 해보게 됩니다. 아울러 온 세상이 바람직한 롤 모델을 찾고있는 이 세대에 감히 우리 국민 한 사람 한 사람이 그 높은 위치를 목표로 발분해야겠다는 결기를 갖어봅니다. 우리를 더욱 노력하게 하시는 샘 리처드 교수님, 감사합니다.
서경훈 138
2022년 6월 08일 20:58한국의 교육과 문화에 있어 향유와 발전을 위해 어떠한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지 궁금증을 갖게 되고 생각을 해보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이해주 120
2022년 6월 08일 22:06한국에서 한국인으로 살고있지만 기후파괴문제에 대해 한국이 세계의 리더가 되어서 무언가를 보여주고 이끌준비가 되어있다고 생각한적이 단한번도 없습니다. 어쩌면 제 3자의 관점에서 바라보고 느끼는 많은 한국의 장점들이 그저 당연히 주어진것으로 여기고 누리며 산건은 아닌가 하네요. 덕분에 기후파괴문제에 대해 더 깊에 생각하는 계기가되었으며 작게나마 행동해야 한다는 것을 느꼈습니다 훌륭한 인사이트를 얻고갑니다 감사합니다^^♡
선백제일 111
2022년 6월 10일 08:42The cultural characteristics of Korea are a culture that originated from the geopolitical and historical influence of Korea. Since we have lived together for a long time in the peninsula, the consciousness that the whole nation is family has emerged.I hope you will help Korea achieve peaceful reunification and achieve the ideals of the world. Thank you, Professor.
Homeros 102
2022년 6월 08일 23:04교수님 유툽영상들만 봤는데 세바시에서 뵈니 너무 반갑습니다. 왠지 한국이라는 나라국민으로 그리고 사회의 한 일원으로 더 노력하고 살아야겠단 생각이 드네요. 그게 우리나라를 위한일이고 0.0000000001%라도 세계에 긍정적인 효과에 보탬이 될 수 있다면... 이렇게 찾아와주셔서 감사합니다
꿈마루 황상하 79
2022년 6월 08일 21:18이 영상을 보면서 대한민국 사람들의 인구 대비 86.1%가 백신을 맞은 이유와 마스크 착용을 잘 따라준 이유를 명쾌하게 알려주신 것 같습니다ㅎㅎ
SS 75
2022년 6월 09일 00:07강연 잘 들었습니다. 기후 위기에 비추어서 한국인이 그렇게 평가 받을 줄은 몰랐습니다. 사실 기후 위기는 국가나 인종을 넘어서 공동 대응해야 하는 중대한 과제입니다. 그런 차원에서 기후 위기 대응에 공동체 중심과 규칙 준수가 들어가 있는 부분은 매우 타당하다고 생각됩니다. 그 교수 강연대로 한국이 기후 위기에 잘 대응하는 나라가 되었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J E-S 68
2022년 6월 09일 09:41샘 리처드 교수님은 대한민국이 가지고있는 많은 문화적 영향력 예를들면 bts 그릅이 언젠가 말했던 "여러분 자신을 믿고 사랑하세요"라는 캠페인이 전세계인들의 마음을 울렸던일 또 몇일전 백악관을 방문해 연설하며 아시안 범죄를 멈춰달란 메시지에 미국 내에서 벌어진 현상들 즉 우리의 예술이 전세계에 미치는 엄청난 파워를 알고있기에 기후위기를 알리는 중요한 메신저가 될수있다고 보는거죠~ 거기에 불평 불만도 하지만 공동체를 위해 자신이 좀더 참고 따르려는 한국인의 민족성도 잘 꿰뚫고 있네요~ 비교적 양심적으로 행동하고 높은 교육열로 인한 높은 의식수준 또한 첨단 기술의 발달로 마음만 먹는다면 그 시너지와 효과가 크다는걸 잘 알고 있는겁니다~ 교수님이라 그런지 전달력있는 연설에 달변이시네요
C K 38
2022년 6월 09일 00:15풀영상이 아닐거 같아서 너무 아쉬워요! 15분 맞추느라 잘린 부분이 있다면 풀영상을 보고싶습니다~!
교수님이 단지, 한국을 추앙하는 게 아닌, 한국 밖의 학자의 시선으로 한국을 바라보며 분석하고, 한국인으로서는 잘 느끼지 못했을 부분들을 알려주셔서 많은 생각을 하게 되었습니다. 냉정한 한국 교육에 대한비판과 그걸 넘어서는 한국인들의 인내와, 희생, 공동체를 위한 협조 등에 관한 프라이드도 가지게 됨. 한국인들은 오히려 서양문화를 우월하다 생각하며 따라가기도 하고, 예를들어 이번 k방역을 자랑스러워 하기도 했지만 한편 비판도 많았었는데, 우리의 문화도 다른 나라의 문화 그 이상으로 훌륭하다는 것을 느끼게 되어 정말 뿌듯함. 교수님의 한국에 대한 예리한 분석에 감사드립니다.
감사합니다 34
2022년 6월 11일 15:19교수님의 강의를 듣고 우리나라의 영향력이 전세계에 뻗어나가길 소망합니다! 강연 잘 경청하였습니다
감사합니다 교수님!
원두막 24
2022년 6월 11일 21:01샘 리처드 교수님 한국사람보다 한국을 더 잘 아시고 일깨워 주시네요. 뛰어난 혜안에 감복했습니다.
교수님 강의 잘 보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빠세 PASÉ 23
2022년 6월 08일 18:40한국의 교육 시스템은 아직도 시대에 뒤쳐져 있고, 공동체 의식보다는 개인의 선택이, 공공의 이익보다는 개인의 자유가 존중되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기후 문제 해결도 중요하겠지만 각자 생각하고 질문하는 그리고 함께 국력을 키워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결국에는 강자가 약자를 지배하니까요.
시선생의 시편지 21
2022년 6월 12일 09:54감사합니다^^ 교실에서 아이들과 함께 보며 서로의 생각을 나누기에 좋은 영상이네요. 고맙습니다~♡
이지 20
2022년 6월 09일 23:49우리보다 우리를 더 잘 아는 분이 나오셨네요. 한국인이라는것에 자부심을 가져야겠어요. 세바시 덕분에 명강의 들었습니다. 감사합니다.
HEE KIM 19
2022년 6월 11일 20:59유튜브 통해서 샘리차드 교수님이 강의하는 영상들을 종종 봤었는데 한국에 대해서나 한국과 미국,중국 등 다른나라와 다른점이라던가, 요새 소프트파워로 인해 점차 더 확대되어가는 한국의 문화와 한류에 대해서도 잘 파악하고 계신것도 같고 강의 영상들이 정말 너무 유익했어요! 몇년전 처음 BTS 언급할때도 강의실에서 진짜 몇명의 소수 학생들만 알고 있었던 BTS에 대한 발언들이 지금은 불과 몇년 사이에 미국에서 엄청난 탑스타가 됐고 최근 2번의 미국콘서트도 완전 대박난거 보니까 지금보면 교수님이 BTS에 대해 말씀하신 것들이 뭐 거의 예언수준이 됐네요! BTS는 지금 미국내 인기와 영향력으로 한국가수로써 거의 최초&최고로 성공한 인기스타가 됐고 교수님 발언도 BTS의 성공으로 인해 모두 증명이 된 셈이죠!^^ 한국 국민들도 그 당시엔 bts에 대해서 잘 모르는 사람이 많던 시절이었는데.. 교수님이 강의때 말씀하시던 한국을 직접 한국에 오고나서 실제로 보고 듣고 느낀점들이 엄청 궁금하네요! 기사나 인터넷, 한국인 지인들이나 한국 학생들에게 듣기만 하고 교수님이 생각했던거랑 직접 와서 실제로 겪어본거랑 너무 달랐다라던가? 직접 보고 겪어보니까 더 좋았다라던가? 한국과 한국인들,한국문화가 신기한 점? 미국이나 다른나라 문화와 너무 달라서 좀 이상하게 생각됐던거? 교수님이 보실때 직접 본 한국이나 한국인들의 단점으로 느껴지는것? 이런것들은 좀 보완했으면 더 강국이 되겠다? 등 한국에 직접 오셔서 경험하신 많은것들데 대해 어떤 느낌을 받으셨는지 무척 궁금하네요!^^
킴오앵 19
2022년 6월 08일 18:40한마디로 한국이 요즘에 뜨고 여러나라에 인기가 있으니까 그걸 이용해 타국에 모범이 되어 기후문제 해결을 위해 앞장서라는 것 같다. 그 모범을 보여주는 방식으로는 한국인들은 공익을 위해 희생하는 것과 공동체정신, 그리고 효율적인 교육방식을 가지고 있는데 그걸 기후문제 해결하는데 접목시키라는것 같고.
한국의 특징을 나름 잘 분석했고 근거도 타당해 보이는 듯 하지만, 너무 한국의 긍정적인 측면만 강조한 분석 같다. 한국인으로서 위에 언급한 것들이 단점으로 다가오는 부분도 많기 때문이다. 또 개인적으로, 자유와 개인을 중시하는 대부분의 세계인들이 우리의 방식을 따를까 의문이 든다. 오히려 미국과 강대국들에 전세계가 의존하는데, 그런 나라들이 먼저 앞장서는게 더 효과적일거라는 생각이다.
새옹지마 17
2022년 6월 09일 03:57코로나 이후 내가 살고 있는 이 땅에 지구에 대해 좀더 공부하고 있어요 아이들과 학교에서 생활하는 제게 많은 고민과 미래의 과제를 안겨준 느낌이에요 이번 강의가 비계가 되어 많은 이들에게 울림이 되었으면 합니다
토끼님아 16
2022년 6월 10일 10:193. 공익을 위한 규칙 준수... 아주아주 공감이 됩니다
mayhaha 14
2022년 6월 11일 10:48교수님 유튜브에서 보다가 세바시에서 뵈니 또 반갑습니다 :) 말씀해주신 부분들이 한국 사회의 문제가 아닐까 생각하고 살았었는데 이에 반하는 의견을 조목조목 말씀해주시니 그럴수도 있겠다는 생각도 드네요. 아무쪼록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니 다행입니다.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세바시!
LuckyBlue 14
2022년 6월 11일 07:36샘리처드 교수님 강의는 정말 많이 들어봤는데
그때마다 울림이 있습니다. 한국도 점점 공동체
보다는 개인주의적으로 변하고 있고 다른나마 만큼 점점 다채롭게 변하면서 부작용도 많이
늘어나고 있는데 이번 강의도 정말 많은 분들이
시청했으면 좋겠습니다. 뭉치면 살고 흩어지면
죽거나 아무것도 할수 없는 일들 없는 날들이
있으니 말이죠. 소중한 강의 영상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신희수 13
2022년 6월 10일 21:53영광이예요!!^^
교수님 강연을 직접 보게 되서 행복합니다.
한국의 위상을 높이 평가하시고 그만큼 한국인들의 노력이 세계적 리더 수준으로 올라갔다는 것을 강연을 통해서도 보여주셨는데요. 다음 세대인 청소년들이 이러한 상황을 잘 이어가 한국을 더 발전시키길 바라는 마음입니다. 한국의 청소년들에게 해주시고 싶은 조언이 있을까요?😄
H.R. Kang 13
2022년 6월 11일 17:28샘 리처드 교수님의 강의 자주 찾아 봤었읍니다.
기후위기 문제는 정말 심각한데 한국이 왜 이 문제의 리더국가가 될수 있는지 4가지 이유를 듣고 나니 공감이 됩니다. 다음번에 구체적으로 우리가 어떻게 행동해야 되는지 꼭 듣고 싶고 그렇게 전세계를 다니시고 여행하면서 사회학을 연구 하셨는데 한국에 이렇게 방문하실 기회가 생겨서 참 다행이네요.~
오종환 13
2022년 6월 08일 18:13응 지금은 아닙니다. 5년 기다려봅시다.
MJ P 12
2022년 6월 09일 23:14유튜브로보면서 교수님이언제 한국에오시나 기대하고 기다려왔읍니다~
항상 유튭으로 우리나라를 자랑스럽게 만들어주셔서감사합니다. 세바시에서강연해 주신것처럼 되길 믿습니다 . 한국에계시는동안 기쁘고즐거운 날 이되길바랍니다.~
김수연 10
2022년 6월 10일 15:31와우~~♧ 감사합니다.교수님. 모두 함께 힘을 합쳐 지구에 처한 위기와 문제를 신속히 극복해 나가고 발전적이며 지구 환경의 보호와 세계인 모두에게 사랑과 평화가 있도록 기도드립니다.♡
노래하는사이렌 10
2022년 6월 08일 19:07우리국민들 힘들게 살아왔는데 인류 좀 구원합시다. 정말 감사합니다 🙏
이지현 10
2022년 6월 10일 07:48한국에서 멀리 프랑스에서 도 자주자주 세바시 강연을 보고 있습니다 현재의 이상기후 상황 그에 이어 바로 미래의 우리가 해야 할 행동에 대해서 저렇게 얘기 해 주시니 가슴이 받았지만 동시에 숙연해지고 많은 책임감이 느껴집니다 혼자 작은 한국인이지만 주위에서 늘 한국에 대한 긍정적인 생각을 듣고 있습니다 열심히 노력하겠습니다 세바시 감사합니다
JYS 10
2022년 6월 14일 13:20유익한 강연 감사합니다. 해외에 사는 한국인으로, 그 위상을 느꼈던 경험이 있어서 무슨 이야기인지 알아듣겠습니다. 다만, 국제 사회가 한국의 이 좋은 에너지와 능력을 밖으로 꺼내는 역할을 해줘야 할 것이라는 첨언을 남깁니다.
flower garden 8
2022년 6월 11일 17:42bts 성공이 한국민 각자의 삶에 뭐그리 대단한 일일까? 현상에 휩싸여 떠다니지 말고... 중심잡고 자신을 바라봐야 한다... 내가 여기 온 이유도 모르고 bts 노랫가락만 흥얼거며 그들의 성공이 나의 성공 같은 착각에서 허우적 거리지 말자. 그들은 그들이고 나는 나일뿐. 그들의 성공전략의 가장 중요한 전략은 그들의 성공이 대중의 성공인것 처럼 느끼게 한다는 것이다. 그래야 충성하고 열광하고 몰입하게 되니까.. 명품브랜드의 전략이 그런것처럼. 그래야 pvc로 만든 가방하나 사는데 몇달치 노동의 댓가를 지불해도 허탈하지 않고 프라이드를 갖게되는 마력을 지니게 되니까? 홀림에 당하지말고.. 정신차리자... 깨인 눈으로 보면 그저 플라스틱 수공예품일 뿐이다.
서앨리스 8
2022년 6월 12일 19:03우리나라의 이런 특징이 기후 재앙을 이길 수 있는 힘이 있는 특징인지 몰랐네요 특히 교육 방면에 있어서 회의적이었던 제 입장이 교수님을 통해 다시 한 번 생각해보게 되는 계기가 되었어요 우리 학생들에게 환경의 중요성을 가르치게 된다면 앞으로 기후변화에 좀 더 능숙하게 대처할 수 있겠네요 좋은 강연 감사합니다
PureSoul 8
2022년 6월 10일 22:57교수님 말씀 들으니 정말 뿌듯 하기도 하고 감개무량 하고 또한 대한민국 국민 개개인 모두가 사명감을 가지고 더욱더 모범적인 자세로 살아야 하겠다는 생각이 드네요!
윤경희 8
2022년 6월 13일 01:15샘 리처드의 강연이 객관적으로 우리나라를 볼 수 있는것 같아요. 강연이 지금 우리를 보는 것 같아 너무 좋았습니다.
임정란 8
2022년 6월 10일 07:48가끔은 유튜브로 쌤리처드교수님 🥳
강의를 보고 있는데 ~ 한국에 대한
긍정적이며, 분석적인 설명에 깜짝깜짝 놀랄뿐아니라, 오히려 한국인 보다 더 찐한국인같은 교수님 🙏
Min Jeong Ahn 8
2022년 6월 12일 06:57이분 영상을 여러개 보고들어서 익히 한국에 대한 생각은 알았지만 이번 강의를 보니 깊은 통찰력과 연구가 있었네요 .해외에 오래 살며 여러 나라를 경험해보니 정말 우리 나라같은 나라가 없더라구요 . 우리가 가진 포텐셜을 잘 사용해야겠습니다.
국민 연료 썬연료 7
2022년 6월 08일 19:03이 교수님은 미국에서 아는분들 사이에서 정치적으로 심하게 편향되어있고 PC주의적인 강의와 (예를 들어 학생들 중 랜덤으로 백인들과 흑인들을 뽑아 백인들에겐 그들의 피부색으로 인해 흑인들과는 비교도 안되는 특권을 누린다며 주장하심) 속해 계신 학교의 인종을 기준으로 한 입학 우대정책 (affirmative action)을 옹호하며 논란이 적지않게 있었던 분인데 세바시에서 이런분을 초청하다니 좀 아쉽네요.
llIlIllIlllIIl 7
2022년 6월 08일 18:16네? 저희가여?
쓸모있는것만리뷰하는범랑이 7
2022년 6월 13일 02:05교수님의 강연을 이따금씩 찾아보았었는데요. 확실히 우리나라에 대한 인식을 외부인의 시각으로 새롭게 조명하시고 제3자로서 냉철하게 판단해주시는게 너무 좋았습니다. 대한민국의 공동체주의와 사회적신뢰에 대해 강조하시는데 진짜 너무 공감이 갔습니다. 강연을 듣고 정말 다시한번 개인의 사회적책임에 대해 상기하게 되는 시간이었습니다.
JHB 7
2022년 6월 08일 18:58국뽕 오래 맞으면 정신건강에 안 좋아요. 냉정한 시각으로 세상을 바라보시기를.
Hyechin Kim 6
2022년 6월 12일 23:28교수님의 한국 민족성의 냉철한 분석이 젊은세대들에게 자부심을 높여주는 계기가 될것이며 한나라에서만이 아닌 세계에서 어떤분야에서든 당당한 리더로서 발전할수 있는 원동력이 될것입니다.내가 한국사람이라서가 아니라 해외에서 사는 이민자로서 비교해봐도 한국사람들은 근면성실함과 정직함과 완벽주의로 인해 어떠한 일에든 훌륭한 결과물을 만들어냅니다.너무나 자랑스런 부분이 많습니다.교수님의 훌륭한 강의 감사합니다!
공정하지 못하면 죄악이다 6
2022년 6월 08일 21:23지금 한국은 노인세대와 중년 청년세대의 충돌이 있습니다. 정말 안타깝게도 각자의 주장이 너무 강하기 때문에 분열이 심합니다. 각 세대가 혐오가 아닌 서로 어울려 지낼수 있는 시대가 왔으면 좋겠습니다. 대한민국의 과도기가 왔으며, 세대 교체가 절실히 필요한 때가 왔다고 생각합니다. 좀 더 젊은 공동체를 위한 생각을 할 수 있는 힘을 가진 세대가 필요한것 같습니다.
장경선 6
2022년 6월 10일 12:34항상 우리나라를 긍정적으로 바라보니 참고마운 교수님이네요~~우리도모르는 우리의힘을 여기서 듣게됩니다~~
Pastello Park 6
2022년 6월 11일 23:47교수님 강연을 듣고 제일 먼저 떠오르는 단어는 역시 홍익인간이었습니다. 우리 민족의 의식의 저변에 깔려있는 이타심, 홍익인간의 정신의 확산이야말로 지구촌이라는 인류공동체가 앞으로 다가올 기후위기뿐만 아니라 전쟁등 인류의 공멸을 초래할 수도 있는 위기들을 해결해나갈수 열쇠라고 생각이 듭니다
NOYFB 6
2022년 6월 08일 19:18네...? 대한민국 100년안에 사라질 국가 1순위인데요,,
안드로메다 5
2022년 6월 08일 21:06지금 출산율 0.4프로 찍고 있는 나라가 무슨.. 몇십년뒤 망할지도 모르는 나라를 우얘 이리 모르실까
jy 5
2022년 6월 08일 20:47대한민국의 3번째, 4번째 의견은 저도 동의합니다. 하지만 첫 번째, 두 번째 의견은 절대로 동의하지 않습니다. 대한민국은 교육이 아니라 교육의 탈을 쓴 전쟁입니다. 한 설문에서 대한민국의 학생들에게 물었더니 80퍼센트가 넘게 전쟁이라고 답을 선택했지요. 실제로 학생이 한 해 150명이 자살을 합니다. 어느다른 나라도 이렇지 않습니다. 대한민국의 학생들이 스트레스를 받으며 열심히 공부하는 이유는 살아남을려고 하는 것 입니다. 전문대, 지잡대를 가면 사회적 낙오자 딱지가 20대부터 생기는 사회에 어떻게 살아갑니까? 또 전쟁에서 승리한 1퍼센트 엘리트는 민주주의 사회의 성숙한 시민이 아니라 권위주의, 능력주의, 오만함에 빠진 미숙한 엘리트를 양성합니다. 작년 코로나사태 때 의사들의 데모, 정치계를 보면 거의 모두 좋은 학벌의 사람들이지만 하는 짓 보세요. 그리고 이런 교육으로 시작하여 사회적 불평등도 심각합니다. 대한민국은 정당,이념,남녀,학벌,세대,종교,빈부갈등이 전세계 1등으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이런 불평등으로 사회적 연대는 끊어졌습니다. 다른 아파트 아이들이 자기네 아파트 놀이터에서 놀지도 못하게 하고, 장애인 학교 지을려고 하니까 아주그냥 데모를 해대고, 난민 몇 명 받는다고 또 난리를 치고 이렇게 개인주의로 혼란해진 사회에 너무 교수님이 칭찬만 하신 것 같아서 저의 생각을 살짝 적어봅니다.
봄강 5
2022년 6월 12일 21:57아마 세계인들이 우리가 특히 경기도 일반 아파트에서 분리수거하는 레벨을 본다면 정말 깜놀할듯요 ㅎㅎ 교수님 말씀을 들으니 뭔가 우리에게 기회와 위임이 동시에 주어진 것 같네요! 교수님 말씀처럼 우리가 인류를 위해 헌신할 수 있는 기회가 아마 한국 문화의 힘을 통해 오지 싶네요~~ 문화 컨텐츠 제작자들이 이 영상을 많이 보게 되기를 바라요!
TheBlackStone 5
2022년 6월 10일 07:35밖에서 바라보는 생각들이 다 이분과 같지는 않습니다 특히 지금은...
Gun 5
2022년 6월 08일 18:50이분은 항상 국뽕이 투머치함,
지극히 피상적으로만 이해하고 계심
국뽕도 뽕임 오래 맞음 안좋음
국뽕한사발 4
2022년 6월 10일 08:02교수님이 홍익인간을 이해하시면 기절하실듯
sh 4
2022년 6월 10일 20:55훌륭한 강의 잘 들었습니다.
우리 스스로는 잘 느끼지 못했던 한국과 한국인들의 장점들을 교수님의 시선을 통해 새롭게 알게 된 것이 많습니다.
정말 감사하게 생각합니다. 그리고, 이렇게 한국에서 한국 사람들을 대상으로 한 강연을 보니 무척 감회가 새롭습니다.
한 가지 질문을 드리고 싶습니다.
한국이 불과 반세기 전에 전쟁의 폐허더미에서 이렇게까지 발전한 것은 교육의 힘이라는 것을 느끼고 있습니다.
하지만, 그러한 뜨거운 교육열의 부작용으로 많은 아이들이 지옥을 경험하고 있는 것도 사실입니다.
사회적으로 교육의 성취를 압박하고 교육의 기반을 경쟁으로 보는 관점이 우세하기 때문에 벌어지는 일이기도 합니다.
그 핵심에는 서열화 되어 있는 대학이 존재한다고 생각합니다.
물론 미국 역시 대학의 서열화가 존재하고 부의 대물림만큼이나 교육의 대물림이 심하다고 알고 있습니다.
사회학자로써 대학의 서열화와 학업성취의 경쟁에 대해 어떤 관점으로 보시는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이것을 극복하기 위해 어떤 방향으로 나가야 하는지에 대한 생각도 말씀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건강하시고 앞으로도 좋은 강의 잘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이즈야 놀자 4
2022년 6월 11일 21:09아..일개 지방의 전업주부인 저도 이 강연을 들으니 세계 기후에 뭐라도 도움이 되고 싶은 생각이 마구마구 듭니다 ~ㅎㅎ
찬우 3
2022년 6월 08일 19:37한국이 기후위기에 중요한이유
공통체문화와 아이의 교육에 쏟아붙는것
공통체로 개인의행동이상을 할수가있고
교육하듯 규칙을세워 억지로 시켜도 잘들을수만있다면
우리의 세계적인 소프트웨어로 전이가 가능하다
금모으기 때처럼 심각한 상태라면
우리는 모두가 나서지않을까
개인의 행동이 공동에 이익에 도움이될거라는 믿음
그게 큰힘
펠츠만 효과 3
2022년 6월 08일 18:35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승송티비 3
2022년 6월 11일 17:58해박한 사회학적인 관점에서 시대적인 정확한 해석이 놀랍습니다. 동아시아 한국에 대한 식견은 그의 지식의 깊이를 이해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한국에 관련한 그동안의 강의가 이번 기회에 빛을 발하는 것 같아서 감동적이었습니다. 생각지 못한 교수님의 강의였습니다. 앞으로도 좋은 강의 기대합니다.
인제뉴러티 3
2022년 6월 10일 00:59지난번 강의를 보았고, 세바시를 통해 다시한번 세계 기후에 대해 한국의 중요성을 강조하시는 모습이 인상적입니다.
효율적인 교육시스템이라기 보다는 교육을 통한 수준이 높아진 한국이 선도해야 된다는 말로 들립니다.
샘리처드교수님강연 잘 듣고 있습니다
잉여 2
2022년 6월 08일 19:48대외로 나가서 하는 활동은 진취적이고 진보적인데 내부에서 하는건 죄다 국수적이고 퇴행적인데...
헤인스제러미 2
2022년 6월 10일 20:51교수님 좋은 강연 너무 감사드립니다.
LJW 2
2022년 6월 12일 16:39교수님 강의 잘 들었습니다 이렇게 세바시에서 뵙게 되다니 감동이고 영광입니다 앞으로도 좋은 말씀해주세요 감사합니다
친절한 2
2022년 6월 08일 21:51다 옛날 같네요
Keun Jung 2
2022년 6월 14일 06:01Thank you Mr. Professoerp for your great lecture about the some country of communitarian. For example, educating for youths, cultural of obedience, and regular methodical system and habits etcetera...... we want see another lecture again another day. God bless you and your family!!!!! Mamy thanks. Xxxxxxxx
Gyungtaek Kenny CHA 2
2022년 7월 01일 14:08Well elaborated. However, I think there seems to be a need to study the other sides of each of 4 virtues of Korean society you mentioned. Take, for instance, Koreans tend to put importance in the well-being of community than that of the individual. This particular Korean culture can sometimes be manipulated by bad actors, particularly by bad politicians. Just like what they did in 2016 when Koreans, believing that it was for the good of the country, kicked out an innocent president for "blunder and corruption" without enough or reasonable evidences.
snowmanll 2
2022년 6월 09일 01:28음.. 평소 선넘는걸(국뽕넘치는걸) 좋아하는 저이지만 이번 세바시 강연은 너무 오그라드네요.. 과다자찬이 치사량을 넘기는 수준이라 보는내내 불편했습니다. 한국인으로 지금껏 살아오면서 응?! 저렇다고? ! 공감되지않는 부분이 섞여있어 주최측이 너무 속보이게 한국 좀 오셔서 칭찬해주세요. 출연료 두둑히 챙겨드리고 BTS기획사건물도 보시고 관광좀하세요.라고 했을것같은 기분이 듭니다.
올리브 2
2022년 6월 08일 18:45동해물과백두산이 마르고닿도록
하나님이 보호하사 우리나라만세
무궁화 삼천리 화려강~산
대한사람 대한으로 길이 보존하세~
조은아 2
2022년 6월 08일 19:56선한영향력👍
할튜브 2
2022년 6월 12일 21:57리처드교수님 덕분에 한국 문화의 위대함과 앞으로 나아갈 이유에 대해 알게 되었습니다. 우연하게 예전에 비티에스 이야기를 샘 리처드 교수님 영상을 통해 본 적이 있는데!! 진짜 그때부터 우리나라의 프라이드를 느낄 수 있었고 좀 더 세계가 바라보는 우리나라에 대해 알 수 있었습니다!!!!!!! 너무너무 감사합니다.
박승미 2
2022년 6월 08일 21:45좋은 강연 감사합니다.
Jason K 1
2022년 6월 08일 23:21이사뢈 교수보다 약장수구먼..국뽕을 팔고 있잖아..ㅎㅎ
steady slow 1
2022년 6월 18일 11:39저는 리차드샘 교수님의 강의를 들으며 이건 아니다 싶으면 그렇게 이야기를 하고싶었는데 강의를 들어보니 4가지 (1. 공동체 중심 사회, 2. 효율적인 교육 시스템, 3. 공익을 위한 규칙 준수, 4. 세계적인 소프트파워)가 실제 우리한국이 가지고 있고 여기에 더불어 강력한 IT power 가 덧붙여져서 이런일이 가능하겠구나 하는 논리적 ? 생각이 들었습니다. 평소 우리가 생각하지 못하고 지나간것을 들을수있는 기회가 되어 좋았습니다.
Project Ignition 1
2022년 6월 08일 23:01와 국뽕튜브 불나겠네 ㅋㅋㅋㅋㅋ
아를 1
2022년 6월 08일 23:51방탄소년단의 오랜 팬으로서 정말 감동적이고, 매일 매 순간, 순간이 영화 같습니다. 쌤 리처드 교수님께서도 언급하시는 방탄소년단... 정말 너무나 감사하고, 영광입니다. 방탄소년단의 성공이유의 강점은 노력과 단합력입니다. 당연히 모든 것에는 운이 따라야 하지만, 노력과 단합력이 정말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그 어떤 팀보다 이 만큼의 단합력과 노력을 보여주는 그룹은 없다고 생각합니다.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햇살 1
2023년 8월 06일 10:33샘 리처드 교수님 감사합니다 ~^^
홍바울 1
2022년 6월 08일 22:15교수님, 대한민국의 극심한 저출산율에 대한 사회학적 관점에서의 기대할만한 대안을 좀 부탁드립니다.
듣고야 1
2022년 6월 08일 22:10세상은 점점 더 우리를 필요로 하는 것 같습니다.
lea0390able 1
2022년 6월 08일 22:36한국인이 서구 가치관에서 보면 상대적으로 정부 말 아주 잘 듣고 규범을 지키려고 하니 다가올 글로벌 신전체주의 사회에 모범이 되도록 만들고 싶다는거네. 개인의 자유를 최고로 여기던 자유 민주주의 시대는 지고 이제는 대를 위해 개인의 자유는 당연히 희생해야 한다는 거냐? 가만 듣고 있으면 소름끼치네. 설마 국뽕으로 착각하는 건 아니지? 얼마든지 키워지고 이용하고 버릴 수 있음이다. 정신 똑바로 차려야 함
이럴수가 1
2022년 6월 09일 00:05국뽕 한사바리 거하게 하신듯....
수가
2022년 6월 15일 22:40감사 합니다 ~
리처드교수님!
우리가 몰랐던 아니 아직은 아니라고
인정하지 못하는 우리들의 강점을 일깨워주시네요
Juho sky
2022년 6월 09일 00:56뭘 좀 아는양반이네
Smart Power
2022년 6월 09일 01:40미국 사람은 한국에 와서도 미안한 마음 하나도 없이 영어로 강연한다. 한국 사람이 미국에서 강연하려면 엄청 스트레스 받으며 영어로 준비한다. 현재 영어는 마치 토지를 소유한 지주같은 언어다. 남들이 외국어로 열나게 영어에 시간과 열정 쏟을 때 영어권 사람들은 취미 생활하거나 영어 학습이나 시험으로 쉽게 돈 번다. 한국어나 중국어가 국제 패권 언어가 되어봐야 영어권 사람들도 전혀 다른 외국어 배우는 스트레스를 알 것이다.
ksy7348
2022년 6월 08일 19:17국뽕넘치는 제목에 이끌려 나도 모르게 클릭을...
S J
2022년 6월 08일 21:07이게 뭔 ...
seogi
2022년 6월 09일 01:45한국에 정말 오셨네요 교수님 정말 반갑습니다
저는 지금 인류가 누리고 있는 이 찬란한문명? 은 지구를 파괴 하면서 성장한 문명이라 생각됩니다
이 문명의 성장동력은 지구파괴가 되겠네요
굉장히 폭력적인 문명이라 할수 있는데
지구가 파괴되야 성장을 할수 있는 구조입니다
맞습니다
애초에 이 문명은 지구와 공존이 불가능한 문명인거죠
지구는 이렇게 폭력적인 문명을 상대로 더이상 버틸힘을 잃어가는 것 같습니다
찬란한 문명이 어쩌다 이렇게 찬란하게 사라질 문명이 되었을까요?
인류는 이 현대문명의 발전이 지속 가능하지 않고 실패한 문명임을 하루 빨리 자각하는게 중요해보여요
지구의 자원은 한정적인데 언제까지 대량소비 대량생산의 시대를 계속 누리며 살아갈수 있겠습니까
다른 행성에서 수입해 올것도 아닌데
지구와 공존이 가능한 비폭력문명으로의 전환이 시급할 뿐이라 생각됩니다
승건 이
2022년 6월 08일 20:11한국인은 순종하고 복종하고 따르는 순한 민족이다 ~~~ 남에게 베풀기 좋아 하고..자비와사랑이 넘치는 대한 민국이 되어서 세계의 리더 국가로 거듭나야 한다.~~~유대인보다도 머리가 좋다는 한국인 ..자랑스럽다.
Amyen Gomu
2022년 6월 09일 01:59걍 국뽕 같아요.. 국까는 아닌데 이런 내용 공감하기 힘듭니다. 자살률 oecd 1위에 대표적인 갑갑한 사회 아닌가요. 미세먼지도 중국에 요구 못하는 나라인데 무슨 기후위기를 해결하나요
정재승
2022년 6월 08일 18:53그러하기를 바라고 또 바랍니다
훨훨 나빌레라
2022년 6월 08일 18:12우옹!
브로
2022년 6월 13일 01:09샘리처드 교수님 방한하셔서 감사드립니다. 평소 강의 영상을 너무 많이 봐서 너무 친숙합니다. 한국에 오신만큼 그동안 교수님께서 전해들었던 소프트파워와 하드파워를 직접 경험도 하시고 더 많은 가능성이 있는 나라인거 느끼고 조심히 귀국하시길 바랍니다. 기후 환경 개선 및 현재 우리나라의 국제교류에 대한 스탠스를 어떻게 취하는게 좋을지 궁금합니다.
This is f*ck you sound
2022년 6월 08일 23: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