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도 운동할 당시 약물 복용, 정말 많이 생각하게 되고 고민도 하게 되었는데 결국 안했습니다. 그때 약물을 안한 이유는 한 가지입니다. 약물을 먹고 뭔 내가 더 발전될 것 같은 느낌, 그 느낌을 이전에 컨디션이 좋았을 때, 성적이 좋았을 때 느껴본거죠. 약물을 먹고 나서도 그런 느낌이 아닐까?라고 생각하며 그 나쁜 유혹을 뿌리쳤습니다.
행복은 도구다 행복함으로 버틸 수 있다
맞다고 생각합니다. 지금 힘들다면 과거에 영광으로 과거에 가장 멋졌던 나를 떠올려보는건 어떨까 싶네요
감사합니다 교수님. 27살까지 하루도 빠짐없이 써오던 일기를 쓰지 않으면서부터 좌절과 시련을 많이 겪었던 것 같습니다. 요즘 다시 쓰고 있는데 일기에 그런 엄청난 힘이 있었다니... 매일 나의 역사를 기록하고 행복한 기억으로 무장해야겠습니다. 정말 감사합니다 교수님🙏 교수님께서도 날마다 행복하시길 바랍니다.
일기는 내 감정의 쓰레기통으로 여겼습니다. 속은 답답하고 남들에게 말하기는 어려울 때 일기를 쓰면서 속을 풀었습니다 .그러다보니 일기를 다시 펼쳐보면 대부분 어둡고 짜증나는 이야기들 뿐이어서 어느 순간 부터는 다시 읽어보는 일이 없어졌습니다. 그런데 오늘 이야기를 듣고 좋은 일 , 성공한 일, 행복한 일도 기록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게 됩니다. 정말 이제부터 제 삶이 조금 달라질 것 같습니다.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사실 지금 군대에 와 있는 22살 청년입니다. 사실 이제 지금 군생활 반 넘게 해왔는데 너무 괴롭고 힘들고 버티기 힘들었습니다. 그래서 상담도 받고 여러가지 방법들을 시도해보고 있는데 도움이 많이 될 것 같은 영상이네요. 저도 앞으로 일기도 써보고 휴가 나갔을 때도 영상 속의 군대 입대 전의 사람들의 사례처럼 정말 재밌고 행복하게 가족들,친구들, 친했던 선후배,선생님들 뵙고 하겠습니다.
추가설명해드리면 행복은 생존과번식을 위한 도구입니다. 행복도 감정중에 하나인데 이런 모든 감정은 생존과번식을 위해서 생기게 되는거죠. 우리몸의 주체는 본인이 아니고 dna입니다. 즉 dna가 주체이고 우리 몸뚱이는 그저 dna를 보관하고 관리하고 운반하는 그런 역할을 하는겁니다. 바이러스의 주 목적이 뭡니까? 퍼트리는 거죠. dna도 똑같습니다. 그런데 우리 몸뚱이가 알아서 가만히 있으면 퍼트려주나요? 보상을 줘야겠죠 그 보상이 행복 만족 쾌락 기쁨 이런걸 줍니다. 그럼 우리 몸뚱이는 힘들어도 그걸 이겨내면서 dna를 위해서 열심히 일을 하겠죠. 대신에 우리 몸뚱아리가 말을 안들으면 어떻케 할까요? 네 반대로 벌을 주겠죠. 외로움 고통 번뇌 우울 스트레스 분노 이런걸 줍니다.
즉 생존과번식에 유리하면 행복 만족 쾌락 기쁨을 얻는거고 생존과번식에 불리하면 스트레스 외로움 고통 우울 분노 이런게 오는 겁니다.
Ps.dna가 생각하는 넘도 아닌데 어떻케 이렇케 진화를 했을까요 그건 자연선택설의 진화의 매커니즘입니다.
@madame_choii 39
2022년 6월 19일 17:34우리 인생은 난중일기다. 그래서 우리는 기록하며 일기를 써야한다. 10개의 행복을 줍고, 기록하는 사람이 되어야겠어요. 감사일기, 감정일기, 행복일기를 꾸준히 기록해야겠습니다. 너무 좋은 동기부여를 주는 영상 감사합니다.
@kdtv_youtube 14
2022년 6월 19일 16:36저도 운동할 당시 약물 복용, 정말 많이 생각하게 되고 고민도 하게 되었는데 결국 안했습니다. 그때 약물을 안한 이유는 한 가지입니다. 약물을 먹고 뭔 내가 더 발전될 것 같은 느낌, 그 느낌을 이전에 컨디션이 좋았을 때, 성적이 좋았을 때 느껴본거죠.
약물을 먹고 나서도 그런 느낌이 아닐까?라고 생각하며 그 나쁜 유혹을 뿌리쳤습니다.
행복은 도구다
행복함으로 버틸 수 있다
맞다고 생각합니다.
지금 힘들다면 과거에 영광으로 과거에 가장 멋졌던 나를 떠올려보는건 어떨까 싶네요
영상 정말 잘보았습니다.
많은걸 느끼고 갑니다~^^
@yeo_hae 10
2022년 6월 20일 03:11"행복은 목표가 아니라 도구다. 따라서 행복의 총량보다 빈도가 훨씬 중요하다"
"내일을 이겨내는 것은 오늘의 행복이다."
수많은 시련을 종류별로 이겨낼 노하우를 쌓기 위해서 우리는 매일같이 우리의 난중일기를 적어야 한다는 의미군요.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jinkyung kwon 8
2022년 6월 19일 19:03행복은 목표가 아니라, 도구다!
@user-ms9tb9cq2g 8
2022년 6월 19일 16:21난중일기 충무공 사랑합니다 구국의 영웅께서 진정 우리 오만원권의 주인공 이십니다.
@user-xq7mk9cu5k 7
2022년 6월 19일 20:36150개의 난중일기를 쓰신 이순신 장군님은 세계최강의 어벤져스셨군요❤️👍👍👍
매일 pds를 작성하고 인증하는데 그날 리뷰에 제 감정도 담아 감사일기도 작성해야겠습니다
지금의 행복이 내년 1년을 버티게 하고 2년후를 내년의 행복으로 버틸 수 있게된다
뭉클해지는 말씀에 지금의 저를 돌아봅니다
김경일 교수님❤️ 주옥같은 강의 감사합니다❤️👍👍👍
@user-nr6lj4se6t 6
2022년 6월 20일 09:12감사합니다 교수님. 27살까지 하루도 빠짐없이 써오던 일기를 쓰지 않으면서부터 좌절과 시련을 많이 겪었던 것 같습니다. 요즘 다시 쓰고 있는데 일기에 그런 엄청난 힘이 있었다니... 매일 나의 역사를 기록하고 행복한 기억으로 무장해야겠습니다. 정말 감사합니다 교수님🙏 교수님께서도 날마다 행복하시길 바랍니다.
@TV-ub7wl 5
2022년 6월 19일 18:48잊고 있었네요 빈도! 작은 행복! 다시 깨워주셔서 감사합니다!
Kong Z 4
2022년 6월 19일 16:26와... 감사합니다.
선풍기 틀고 대충 보다가 선풍기 끄고 귀를 토끼귀 만들고 들었네요.
@user-qp8kt1ss5v 4
2022년 6월 19일 20:06일기쓰기 다시 시작하며 사소한 것에 행복을 느끼려고 노력하고 있었는데 정말 일기쓸 때와 아닐 때 평소에 이루는 것, 실천하는 것, 에너지가 다르다는 것을 느낍니다:) 역시 일기 최고에요 명확하게 알고나니 앞으로 틈날 때마다 더 자주 끄적여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초코슈 4
2022년 6월 19일 16:33너무 좋다 ㅎㅎ
@user-sq7ve9iu7i 4
2022년 6월 19일 17:10쩐다
@user-un8px7jp9f 3
2022년 6월 20일 06:18일기는 내 감정의 쓰레기통으로 여겼습니다. 속은 답답하고 남들에게 말하기는 어려울 때 일기를 쓰면서 속을 풀었습니다 .그러다보니 일기를 다시 펼쳐보면 대부분 어둡고 짜증나는 이야기들 뿐이어서 어느 순간 부터는 다시 읽어보는 일이 없어졌습니다. 그런데 오늘 이야기를 듣고 좋은 일 , 성공한 일, 행복한 일도 기록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게 됩니다. 정말 이제부터 제 삶이 조금 달라질 것 같습니다.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TV-wx9fd 3
2022년 7월 01일 17:24김경일 교수님 영상 엄청 많이 봤는데..... 유튜브 동기부여 영상 정말 많이 봤는데.... 이 영상을 보고, 팔에 소름이 돋네요.
감사합니다.
행복은 도구다.
@user-us1eq6lv7r 3
2022년 6월 19일 16:32드디어 동기부여 영상 나왔다 드디어 나왔다 드디어!!!!!
@user-gi8zk2qp3u 3
2022년 6월 19일 22:00우와 알겠네요.... 진짜 감사한 영상이네요. 감사합니다.
@user-pw7ni2mr6e 3
2022년 6월 19일 21:17아..눈물 나네요...저에게 빈도를 느낄 수 있는 여러 패턴들이 이미 많이 있음에 너무나 감사함이 느껴지네요. 영상 감사드립니다!
@user-us1eq6lv7r 3
2022년 6월 19일 16:32기다리느라 미치는 줄 알았네
@user-eh6xs6mm6w 3
2022년 6월 19일 21:18좌절과 자책이 틈타 들어오던 시기에 이 영상을 보게 되니 참 감사합니다👍
올 22년 상반기 6개월 동안 무엇을 했느냐고 뭘 이뤄냈냐는 질문을 받는다면 뭘 말할 수 있는 게 있기나할까라며 목표없는 듯한 그저 열심히만 한 게 아닐까 라는 생각이 들던 찰나
거의 매일 밤 쓰려고 노력해온 일기의 힘을 일깨워주는 영상을 보게 되어서 정말 와 대박이다라는 말이 절로 나왔습니다🤗
좋은 동기부여 영상으로 일깨워주시고 도움주셔서 감사합니다!!^^
@user-mj7ci5co7u 3
2022년 6월 19일 21:59교수님 감사합니다. 제가 일기를 썼던 때는 종종 우울할 때 썼던 거 같습니다. 이제부터는 행복할 때 꼭 일기를 써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행복합니다. 교수님을 축복합니다.
@jblee5424 3
2022년 6월 19일 16:55감사합니다 .
@user-vg6vy7uf5v 3
2022년 6월 20일 07:03와 말씀 너무너무 감사합니다 !!!!!!!!!!!!!!!!!
@qct1 2
2022년 6월 20일 00:11"작성이 시작되면 어떨까? 싶습니다" 하는데 뭐지하고 툭! 건드는 기분이 드네요
@user-ol7zt7gw3e 2
2022년 6월 19일 17:02와... 플랜두시 사고 드문드문 적었는데 이 동기부여를 들으니 다시 제대로 적어야겠네요 ㅎ
@whenidream-ek2rx 2
2022년 6월 19일 19:46명쾌히 동의 합니다~!
@indie_yang 2
2022년 6월 19일 19:50아.내용 너무좋네요~~!!!
@user-cz4tj1tg6e 2
2022년 6월 21일 21:02사실 지금 군대에 와 있는 22살 청년입니다. 사실 이제 지금 군생활 반 넘게 해왔는데 너무 괴롭고 힘들고 버티기 힘들었습니다. 그래서 상담도 받고 여러가지 방법들을 시도해보고 있는데 도움이 많이 될 것 같은 영상이네요. 저도 앞으로 일기도 써보고 휴가 나갔을 때도 영상 속의 군대 입대 전의 사람들의 사례처럼 정말 재밌고 행복하게 가족들,친구들, 친했던 선후배,선생님들 뵙고 하겠습니다.
@user-jt2mh9ix6r 2
2022년 6월 19일 21:49감사합니다~~
@MyTemperature 2
2022년 6월 19일 20:46근데 궁금한점
살아남은 유태인의 공통점이
이전에 행복한 경험이 많은 사람일수록 더 생존확률이 높았다...
이거 연구내용 궁금해요
(진짜 연구 과정 자료도출 결과 입증 등등 그런 객관적 자료들이요 원래 이런 얘기 좋아해서 ^^;)
두번째 궁금증
비합리적 신념에 대한 얘기가 간단히 지나가는데 좀 더 자세한 보충 설명 듣고 싶어요
딴지거는거 진짜 아니고^^;
제가 원래 넘 좋아하고 궁금해하는 주제라서
집중해서 보다보니
좀 더 자세히 알고 싶어지네요
@AppaDo 1
2022년 6월 20일 08:14나는 행복하다. 나를 둘러싼 모든 일들은 긍정의 방향으로 나아가는 중이다. 즐기자.
@outputman. 1
2022년 6월 23일 08:18관련도서: 행복의기원, 행복의조건, 빅터프랭클의 죽음의수용소에서, 경제전쟁시대 이순신을 만나다
@yeoni919 1
2022년 6월 20일 09:22내일을 이겨내는 것은 오늘의 행복이다.
행복의 빈도를 늘리자!♡
행복한 감정으로 일기를 써봐야겠어요.
감사일기도 더 자주 쓰구요.
@user-tk6ws5im2t 1
2022년 6월 20일 02:29감사합니다
@user-ir3oe8ym9i 1
2022년 6월 20일 11:48너무 좋아요
@user-xe4mx5fs9m 1
2022년 6월 20일 09:52좋은 영상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당
덕분에 재밌게 들었어요
@whereisiam 1
2022년 6월 20일 12:10김경일 교수님 자주 불러주시고 주전부리 좋아하시니 잘 챙겨주시면 좋은 이야기 더 잘 들을 수 있을거에요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jonhykim3768 1
2022년 6월 19일 19:29난 군대가기전까지 게임만했는데 그게 행복했었나보다 ... 군대 잘버텨서 전역한걸보니.. ㅋ
@MyTemperature 1
2022년 6월 19일 20:35좋네요
스터디언을 통해 듣고 싶었던 이야기
@박진오J1NO
2022년 6월 21일 16:54너무 좋은 말씀들이네요🥰
@user-yq5st2ee2n
2022년 8월 12일 16:45아니 공부도 해야하고 책도 읽어야되고 일기도 써야하고 ㅠㅜ
@jeongpilkim4968
2022년 10월 16일 15:06명강사.명필가 맞네요.
마지막한마디에 정리해뿌네
@pwquant788
2022년 6월 25일 11:20중간에 슬랙 울려서 회사에서 주말에 슬랙한줄... 내용 너무 좋습니다! 감삼다!
@failagainfailbetter
2022년 6월 20일 09:47좋은영상 감사합니다.
오늘부터 아주 사소한 행복도 메모해서
일년동안 어떤 변화가 생기는지 보고, 가능하면 댓글로 또 남기겠습니다.
@user-gh1si1il4z
2022년 6월 26일 14:18행복의 빈도가 중요하고 일기에 이를 활용하는 것이 최적의 방법 중 하나다
@destinychoi2046
2022년 6월 24일 21:34배경음악이 없으면 참 좋을 것 같아요!
@user-nv5fg7rg3i
2022년 6월 20일 06:01이런 뻔한얘기
내 시간 뺏는 테러
@TV-nk6cq
2022년 7월 13일 07:23추가설명해드리면 행복은 생존과번식을 위한 도구입니다.
행복도 감정중에 하나인데 이런 모든 감정은 생존과번식을 위해서 생기게 되는거죠.
우리몸의 주체는 본인이 아니고 dna입니다.
즉 dna가 주체이고 우리 몸뚱이는 그저 dna를 보관하고 관리하고 운반하는 그런 역할을 하는겁니다.
바이러스의 주 목적이 뭡니까?
퍼트리는 거죠.
dna도 똑같습니다.
그런데 우리 몸뚱이가 알아서 가만히 있으면 퍼트려주나요?
보상을 줘야겠죠 그 보상이 행복 만족 쾌락 기쁨 이런걸 줍니다.
그럼 우리 몸뚱이는 힘들어도 그걸 이겨내면서 dna를 위해서 열심히 일을 하겠죠.
대신에 우리 몸뚱아리가 말을 안들으면 어떻케 할까요?
네 반대로 벌을 주겠죠.
외로움 고통 번뇌 우울 스트레스 분노 이런걸 줍니다.
즉 생존과번식에 유리하면 행복 만족 쾌락 기쁨을 얻는거고
생존과번식에 불리하면 스트레스 외로움 고통 우울 분노 이런게 오는 겁니다.
Ps.dna가 생각하는 넘도 아닌데 어떻케 이렇케 진화를 했을까요
그건 자연선택설의 진화의 매커니즘입니다.
@user-ye1hc1ii5i
2023년 3월 10일 14:52집집마다 사정은 다 있습니다.하지만 그것이 핑계가 될수는 없습니다.자수성가 라는 결과가 존재 하기 때문 이지요
@user-mz4ef6km4l
2022년 6월 23일 13:47아 이런 좋은 영상을 .. 고맙습니다
@user-ud5le9cj3h
2022년 6월 20일 11:03이냥반의 설득력있는 목소리 싫어요 ㅠㅠ 또 당해버렸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