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자기계발에 대한 이야기를 좋아하며, 운전할 때도 틀어놓고, 자기 전에도 틀어놓고 그렇게 라디오 듣는 듯이 여러 이야기를 들어왔곤 했습니다.
듣는 것만으로도 그 순간 편해지는 부분도 있습니다.(->그래 맞아..) 하지만, 실질적으로 내 삶이 변했다거나, 만족하다는 생각이 들었던 적은 거의 없었던 거 같았습니다. "좋은 이야기를 듣고 했는데, 실질적으로 변한 게 없네" 그런 괴리감이 더욱 그렇게 만들었던 거 같습니다. (->행동을 해야하는데..) 이런 게 반복되다보니, 무감각해진 거 일수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 오늘, 이 영상도 정말 좋은 이야기지만. 또 시간이 지나면 잊혀지거나 그러겠지.. )
저는 나름 생각도 많고, 저의 대한 질문을 많이 한다고 생각하지만, 그리고 일 끝나면 오늘 한거에 대해 복기도 하며 메모도하고 글도 쓰고 그러면서도 이게 맞는 지 싶었던 생각이 종종 들었습니다.
이 영상을 보고, 내가 정말 어떤 과녁판을 원하는 지 내게 10점은 뭐고 8점은 뭔지 내 카렌시아를 평가했을 때, 순조롭게 되고 있는 지? 그럼에도 불구하고 힘들어 하는 지.. ( 오랫동안 반복되어 왔던 힘들었던 이유.. 그 말과 내 삶 이야기를 함께 보는.. )
아무쪼록, 좋은 영감을 주셔서 감사합니다. 이 영감을 토대로, 이제 행동으로 이어졌으면 하는 바램을 작성해 보았습니다. 또 흘러갈까봐.. 잊혀질까봐.. 타이핑도 하면서 시청해 보았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00:12 질문을 한다는 것은 화살을 던지는 것 00:20 질문에 따라서 내가 생각하고 답을 만든다 00:56 과녁판을 보면 무조건 10점 받으려고 한다 01:59 내가 원하는 과녁판 만든다는 것은 나의 기준이 있어야 한다 02:42 좋고 나쁜 질문은 없다 03:12 [01.] 감정 / 내가 뭘 느끼지? / 내가 뭘 못 느끼지? 03:30 [02.] 욕구 / 내가 뭘 원하지?/ 내가 뭘 원하지 않지? / 내가 왜 원하지? 03:44 [03.] 가치 / 우선순위 / 지금 나한테 뭐가 더 중요하지?/ 이게 중요한데 이건 왜 못하고 있지? 04:10 [04.] 신념 / 내가 생각하는 바람직한 기준은 뭘까? / 정답은 뭐라고 생각하는걸까? 04:42 [05.] 강점 / 내가 뭘 잘하지? / 내가 어떤 힘으로 여기까지 왔지? 05:21 이번 한달은 나를 위해서 무슨 질문을 해볼까? 06:48 타인지향 시나리오인지, 내부 지향 시나리오 인지 07:06 카렌시아 (나만의 공간을 확보하는) 07:46 투우사를 겁먹게 만드는 소 08:06 자기만의 카렌시아가 있는 소 08:29 우리에겐 그 카렌시아가 있을까? 08:59 내 시간을 어떻게 쓰이는 지 보고 싶다면 분류를 해야한다 09:42 상대적으로 카렌시아를 회복한다는 거 나를 위한 시간 10:13 쉬고 비워내고, 멈추는 시간 그 시간은 균형은 어떻게 되는 가 10:35 '아, 나의 카렌시아가 부족하다' 그래서 내가 이렇게 힘들었나? 11:07 말이라는 것은 입으로 나옴(->출구) 11:30 그 말과 내 삶에 이야기를 함께 봐야(내 삶에서 오랫동안 반복되어 왔던 힘들었던 이유) 11:43 이후 시나리오를 선택할 수 있다.(이 시나리오를 계속 할 것인가, 멈출 것인가) 11:52 우리한테 늘 선택이 있다. 바꾸고 싶다면, 자기감 기반을 만들어서 바꿀 수 있는 기회가 우리에게 있다. 말과 내 삶에 이야기를 함께 보면 좋겠다. 12:16 '자기감'이 단단한 사람의 말은 이리저리 흔들리지 않고, 나를 닮은 모습으로 곧게 뻗어간다.
스터디언을 통해 김윤나 소장님을 처음 뵈었는데 말씀이 너무 듣기 좋습니다. 설거지 하며 귀로 한 번 듣고, 인생에 있어 정말 필요한 질문들이 아닐까 싶어, 눈으로 한 번 더 들으며 내 과녁판을 만들기 위한 기초 질문들을 따라 적었습니다. 제 카렌시아를 점검 할 수 있는 시간과 지혜를 전해주셔서 감사합니다! 김윤나 tv도 구독하고 자주 경청하도록 하겠습니다! 스터디언 늘 애정합니다♡
@생각저장소 12
2022년 6월 26일 20:35안녕하세요. 자기계발에 대한 이야기를 좋아하며,
운전할 때도 틀어놓고, 자기 전에도 틀어놓고
그렇게 라디오 듣는 듯이 여러 이야기를 들어왔곤 했습니다.
듣는 것만으로도 그 순간 편해지는 부분도 있습니다.(->그래 맞아..)
하지만, 실질적으로 내 삶이 변했다거나, 만족하다는 생각이 들었던 적은 거의 없었던 거 같았습니다.
"좋은 이야기를 듣고 했는데, 실질적으로 변한 게 없네" 그런 괴리감이 더욱 그렇게 만들었던 거 같습니다.
(->행동을 해야하는데..) 이런 게 반복되다보니, 무감각해진 거 일수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 오늘, 이 영상도 정말 좋은 이야기지만. 또 시간이 지나면 잊혀지거나 그러겠지.. )
저는 나름 생각도 많고, 저의 대한 질문을 많이 한다고 생각하지만,
그리고 일 끝나면 오늘 한거에 대해 복기도 하며 메모도하고 글도 쓰고 그러면서도
이게 맞는 지 싶었던 생각이 종종 들었습니다.
이 영상을 보고, 내가 정말 어떤 과녁판을 원하는 지 내게 10점은 뭐고 8점은 뭔지
내 카렌시아를 평가했을 때, 순조롭게 되고 있는 지? 그럼에도 불구하고 힘들어 하는 지..
( 오랫동안 반복되어 왔던 힘들었던 이유.. 그 말과 내 삶 이야기를 함께 보는.. )
아무쪼록, 좋은 영감을 주셔서 감사합니다.
이 영감을 토대로, 이제 행동으로 이어졌으면 하는 바램을 작성해 보았습니다.
또 흘러갈까봐.. 잊혀질까봐.. 타이핑도 하면서 시청해 보았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00:12 질문을 한다는 것은 화살을 던지는 것
00:20 질문에 따라서 내가 생각하고 답을 만든다
00:56 과녁판을 보면 무조건 10점 받으려고 한다
01:59 내가 원하는 과녁판 만든다는 것은 나의 기준이 있어야 한다
02:42 좋고 나쁜 질문은 없다
03:12 [01.] 감정 / 내가 뭘 느끼지? / 내가 뭘 못 느끼지?
03:30 [02.] 욕구 / 내가 뭘 원하지?/ 내가 뭘 원하지 않지? / 내가 왜 원하지?
03:44 [03.] 가치 / 우선순위 / 지금 나한테 뭐가 더 중요하지?/ 이게 중요한데 이건 왜 못하고 있지?
04:10 [04.] 신념 / 내가 생각하는 바람직한 기준은 뭘까? / 정답은 뭐라고 생각하는걸까?
04:42 [05.] 강점 / 내가 뭘 잘하지? / 내가 어떤 힘으로 여기까지 왔지?
05:21 이번 한달은 나를 위해서 무슨 질문을 해볼까?
06:48 타인지향 시나리오인지, 내부 지향 시나리오 인지
07:06 카렌시아 (나만의 공간을 확보하는)
07:46 투우사를 겁먹게 만드는 소
08:06 자기만의 카렌시아가 있는 소
08:29 우리에겐 그 카렌시아가 있을까?
08:59 내 시간을 어떻게 쓰이는 지 보고 싶다면 분류를 해야한다
09:42 상대적으로 카렌시아를 회복한다는 거 나를 위한 시간
10:13 쉬고 비워내고, 멈추는 시간 그 시간은 균형은 어떻게 되는 가
10:35 '아, 나의 카렌시아가 부족하다' 그래서 내가 이렇게 힘들었나?
11:07 말이라는 것은 입으로 나옴(->출구)
11:30 그 말과 내 삶에 이야기를 함께 봐야(내 삶에서 오랫동안 반복되어 왔던 힘들었던 이유)
11:43 이후 시나리오를 선택할 수 있다.(이 시나리오를 계속 할 것인가, 멈출 것인가)
11:52 우리한테 늘 선택이 있다. 바꾸고 싶다면, 자기감 기반을 만들어서 바꿀 수 있는 기회가 우리에게 있다. 말과 내 삶에 이야기를 함께 보면 좋겠다.
12:16 '자기감'이 단단한 사람의 말은 이리저리 흔들리지 않고, 나를 닮은 모습으로 곧게 뻗어간다.
@박-주현 4
2022년 6월 30일 08:10나만의 인생과녁을 위해 꾸준히 생각해보면 좋을 질문 5가지
3:15 뭘 느끼지? (감정)
3:30 뭘 원하지? (욕구)
3:45 뭐가 더 중요하지? (우선순위)
4:10 뭘 믿지? (신념)
4:40 뭘 잘하지? (강점)
@김인철-p4y 3
2022년 6월 26일 16:42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
@시집올래 3
2022년 6월 26일 18:42오늘도 잘보고갑니다!^^
@notthings6443 3
2022년 6월 26일 18:13감사합니다
@studian365 2
2022년 6월 25일 20:10김윤나 소장 [말의 시나리오]📘
👉 http://www.kyobobook.co.kr/product/detailViewKor.laf?ejkGb=KOR&mallGb=KOR&barcode=9791168270428&orderClick=LAG&Kc=
유튜브 [김윤나TV]
👉 https://www.youtube.com/channel/UC4uzVnKVNxn8cEahuwvc4kg
네이버 블로그 [김윤나 작가와 함께하는 말 마음 상담소]
👉 http://blog.naver.com/enself
@jblee5424 2
2022년 6월 27일 06:32감사합니다 .
@뎅뎅군
2022년 6월 27일 12:58부담되요
@keepgojin
2022년 6월 29일 20:42스터디언을 통해 김윤나 소장님을 처음 뵈었는데 말씀이 너무 듣기 좋습니다. 설거지 하며 귀로 한 번 듣고, 인생에 있어 정말 필요한 질문들이 아닐까 싶어, 눈으로 한 번 더 들으며 내 과녁판을 만들기 위한 기초 질문들을 따라 적었습니다. 제 카렌시아를 점검 할 수 있는 시간과 지혜를 전해주셔서 감사합니다! 김윤나 tv도 구독하고 자주 경청하도록 하겠습니다! 스터디언 늘 애정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