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년 당시 강남에 65평짜리 아파트 19억에 산 사람입니다.. 믿기지 않으시겠지만 그때 가격이 8억이나 떨어졌습니다. 옆 아파트는 8억이나 할인분양 한 아파트도 있습니다. 그때 뼈저리게 느꼈죠. 아파트는 심리입니다. 심리가 꺽이면 절대 무주택자들은 매수하지 않습니다. 왜냐면 더 떨어진 다음에 사겠다는 심리가 강하기 때문이죠..
저는 그때 당시 다행히 여유가 있어서 견뎠지만 고금리를 못 견딘 사람들은 망해서 경매물건도 많이 나오고 심한 경우 자살도 한 사람도 있습니다..
혹 자는 이렇게 말할 수 있습니다. "아파트는 어찌피 우상향 아니냐?" 맞습니다. 아파트는 우상향입니다. 현재 그 아파트 호가 40억이 넘습니다. (전 아파트를 매도 했습니다.)
하지만 우상향도 항상 오르는게 아니라 떨어질 땐 떨어집니다. 강남아파트도 떨어집니다. 오른만큼 떨어집니다. 주식이랑 똑같습니다. 지금 팔고 나중에 가격이 쌀때 사면 되는 겁니다. 가격이 떨어지는데 뭐하러 버티십니까?
지금 집 있으신 분들은 무조건 빨리 파시길 바랍니다. 무주택자들은 절대 매수하지 마시길 바랍니다.
마지막으로 한마디만 하겠습니다. '버티지 마십시오. 절대 시장을 이기려고 하지 마시길 바랍니다. 우상향 믿다가 지옥이 펼쳐집니다.'
금리인상이 영원한게 아닌게 팩트. 2008년에 7프로대에서 이자내고 집샀는데 찔끔 떨어지더니 전세역전현상이 발생한후 조금씩 오르더니 제가 산가격으로는 절대 안내려가더라구요. 지금 집안사시고 타이밍을 잡으시려면 집사고 이자내고 사는것처럼 아껴살다가 과감하게 저점에서 매수하샤야합니다. 전월세로 살면서 여유있는 생활에 만족하시면 절대 집 못사더라구요. 다른 재테크하다가 날리실수도있고..또 중요한건 내가 가장 수입이 좋을때 싼집을 매수해서 이자내며 살다보면 금리 내릴거고 아껴가며 내집가지고 사는 안정감을 누릴수 있다는게 장점이구요. 40대 후반이 되면 대출받아 집사는게 부담이 됩니다. 10년주기로 판단하면 내 평생 2~3번정도 밖에 폭락기회가 없는거 같아요~
소장님께서는 부동산 흐름을 잘 분석해 주시는 것 같네요 언론에서 8월에 전세 대란이 온다고 이구동성으로 외칠 때 소장님께서는 대란은 없다고 하셨는데 아파트 전세들 무척 많이 나와있고 비어있는 아파트가 많더라구요 거래가 전혀 안 된다고 부동산 사장님들께서 하소연을 하시더라구요.
잘 아셔야 하는게 이번 부동ㅈ산 정책이 절대 서민들 위한 정책이 아니라 다주택자들한테 유리한 정책이고 지금처럼 가면 조만간 부자와 서민들의 갭차이가 엄청 벌어지는 나라가 됩니다! 생애첫주택 구입자분들 지금 대출규제 완화됐다고 집사시면 평생 집노예가 됩니다! 자알 판단하시고 공부많이 하셔서 현명한 선택하시기 바랍니다!
2억 대출 5프로 금리 연 1200 2년이면 2400 집값 1년에 3000 하락.... 주식으로 따지면 깡통계좌 되는거죠. 그러다가 은행에서 상환 요청 들어오면 경매...그리고 일부는 그 집에서.... 2010년 초반에 많았죠..하지맙 사람이라는게 않좋은거는 빨리 잊어먹는다고..우상향 우상향 하네요. 하락장 경험해 보면 5년은 정신병걸립니다
참 심리적으로 잘 연구 하셨네요 저도 경기도 2016년 고점에 들어가서 6년간 하락장에서 결국은 바닥에 팔아서 지금 까지 잠 못이루는 밤을 보냅니다 지금 또 투자로 아파트 알아 보는데 지금 정말 참고 있는중 왜냐? 8년전 경험으로 이제는 관망후 좀 더 떨어지면 들어 가려고
작년에 팔고 전세 못 구해서 보증금 올려서 월세 60내고 살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게 개꿀이 될 줄은 몰랐네요. ㅋ 제가 샀던 서대문구 아파트는 2016년 4억2천에 매매해서 6억이 올라서 10억2천을 넘었는데 저는 8억8천에 팔았고, 지금은 거래가 없어서 마지막 거래가 9억2천이지만 하락추세는 분명합니다. 거래량 급감이 누가봐도 확실하고 돈이 남아돌면 살까말까하겠지만 빚내서는 절대 안사죠. 지금 전세가격인 5~6억까지는 거의 무조건 빠질 수 밖에 없다고 봅니다. 월세는 사실상 2017년부터 전혀 안 올랐어요. 2008~2014 하락장 경험해본 바로는 전세가격에 매매가격이 반드시 붙게 됩니다. 집없으신 분들은 대출 무리하지 마시고 빨리 월세 선착순으로 달려가세요. 금리 7~8% 넘어가면 월세가 오히려 더 쌉니다. 그리고, 미국이 이번에 1% 올리면 우리나라 금융위기 필연적으로 옵니다. 나중에 경매로 나오는 물건 10억짜리 2억에도 사실 수 있어요. 현금 있으면 개꿀이죠.
경기도에 1주택자입니다. 금리 상승때메 원리금 부담이 커진건 맞는데 전월세가 그만큼 올라버려서 이걸 팔고 전월세 들어가도 금리 상승 전의 전월세와 원리금 사이 갭과 현재 갭차이가 그리 크게 느껴지지가 않네요. 그리고 진짜 못 버틸 정도로 금리가 오르면 그냥 전세나 반전세 돌리고 다 갚고 남는 돈으로 전월세 들어갈 생각입니다. 차피 대출 많이 나오지도 않아서 보증금으로 갚고 남더라구요. 공급물량이 없다보니 전월세가 나름 잘 나가는거 같더라구요. 인플레 꺽이거나 종전하면 금리도 다시 낮아질테니 딱히 싼 가격에 던지겠단 생각이 안 드네요...2010년 폭락장은 판교 물량 폭탄으로 떨어진거 같구...만약 전월세가 안정되어서 물량도 많고 잘 나가지도 않고 보증금 받아도 대출이 더 많고 공급이 많아서 매매가도 떨어지고 막 그러면 진짜 던져야 하나 고민이 될텐데...그냥 솔직히 아무렇지 않습니다. 전월세가 함께 떡상해주고 있어서요...아마 다른 1주택자 분들도 저랑 비슷하지 않을까 싶네요. 일부 공급이 많은 지역 말구요
휴 2020년 1월의 난 도대체 무슨 생각을 하며 살았던걸까. 열심히 고민하며 일했을텐데 그 열정의 반만이라도 아파트 공부를 했다면 은퇴준비를 끝냈을지도 모른다는걸 네이버부동산 우리 아파트 실거래내역을 보며 깨달았다. 20년 1월부터 미친듯이 산 사람들은 누구이고 21년 8월부터 12월까지 판 사람들은 또 누굴까? 그저 존경스러울뿐이다.
정확하게 보면, 재개발 또는 투자수익을 기대하고 고평가 된 아파트를 구매하고 실거주를 한 사람들이 문제 겪고 있는 것 같습니다. 좋은 입지의 주택 중에서도 저평가된 좋은 아파트를 찾는 수고를 했어야한다고 생각합니다. 저도 운이 좋았지만, 아이가 4살인데 보내고 싶은 초등학교 근처로 졸업할 때 까지 살려고 구매해서 이사갔는데, 너무 급박하게 올라가지 않았지만(1억정도?), 반면에 잘 떨어지지도 않았습니다. 투자를 위한 어쩔 수 없는 실거주자와 진짜 생활을 위한 실거주 구매자 간은 차이가 있습니다. 후자는 집 가격의 유동에 별로 관심이 없네요
1주택 다주택이 중요한 것보다는 무리한 대출이 문제인거죠. 주식도 마찬가지입니다. 투자시에는 절대 무리한 대출을 받으면 안 됩니다. 결국 손절한 물건을 매수하는 자는 돈많은 장기투자자들이고, 결과 부자는 더 부자가 되고, 없는 자는 더 가난해 지는 것 같습니다. 절대 부화뇌동하지 말고, 전략을 짜고 차분히 투자해야 합니다.
최소한 21 ~ 22년은 그 어떤 전문가보다 이현철소장님이 가장 정확했습니다. 정말 거이 완벽에 가깝게.. 21년 말 ~ 현재까지를 1년전에 예측했어요. 당시 분위기로는 이렇게 되리라 아무도 예상못했죠. 그때 자금여력 없다면 1주택이여도 거래가 될 때 팔라고 했었는데.. 21년에 파셨다면 큰돈 버셨겠네요
수도권에 집을 가지고 있다면 하락을 유추는 할수있어도 하락을 강력히 얘기할수없는 것임 틀린말은 아니지만 각자도생 하세요 지방에 아파트 가지고 있는 사람도 절대 하락을 말할수 없어요!!! 주식 폭락, 부동산 폭락이랑 같을까요! 지금 물가를 보세요 안오른게 없어요ㅡㅡ팔수가 없는거죠!!! 파는 것도 어렵고 사는 것도 어렵죠(대출이 안됨)!!! 파는 순간 인플레이션 때문에 거지됩니다
금리 2.2프로에 대출2억4천받아서 강북구 1주택구매했습니다. 사고 운좋게 집값이 좀 올랐는데 아이가 전학을 원하지않아 등하교시키는데 다시 성북구로 가야할것같아요. 지금 팔도 이동해야할지 좀 더 버텨보다가 가야할지.. 지금 팔고 집을 사놓고 저는 빌라월세라도 들어가야할지ㅠ 금리가 비싸니까요. 정말 모르겠어요. 지식을 나눠주세요
본인 자본금이 어느정도 있다면 실거주 한채는 가지고 있는것도 괜찮다 봅니다 분상제 아파트 올해초 분양 받았는데 대출 받아야 할 돈이 크지 않습니다 1억이하로 대출 받으면 잔금까지 치를 수 있는 상황이라 전오히려 실거주한채 가지게 되어서 마음이 편합니다. 본인 상황에 맞게 은행돈 말고 본인돈비율이 어느정도 있다면 실거주한채는 지금상황에도 필요하지 않을까 합니다. 물론 제가 당첨 된 곳은 상급지랑은 거리가 먼곳입니다 경기도 지방 택지지구에 받은거라서 직장이 가까워서 받았습니다. 모두가 다 강남 판교 과천 실거주 해야 하는건 아니지 않나요 본인 상황에 맞게 실거주 한채 사도 된다고 봅니다. 단 지금처럼 이자가 계속 오르는 상황엔 본인자본금이 최소60-80프로는 있으신 경우 가셔야겠죠
저는 3억5천정도 그저그런 아파트 살고 주위 신축 또는 이름있는곳이 6억5천 인데 그럼 저같은 경우는 이사가는 시점이 어느정도 될까요?? 모아둔돈 1억 + 대출 한 2억 받고 아파트 팔고 넘어갈수있는데 좋은아파트도 떨어지고 지금 사는 아파트도 집값 떨어진다고 가정하에...
이사시점이 ... 이사좀 가볼까 생각하는 찰라에 부동산 폭락 소리가 들려서... 고민중이네요
지금 시점 3억 차이... 나중 폭락때 ?? 차이... 폭락때 지금 살던집이 팔려야 넘어가는데 안팔리는 어떡하나 걱정도있고 ㅎ
주식전업투자자입니다. 부동산은 주식만큼은 모르지만 부동산 공부를 해보면 왜 주식 잘하는 사람들이 부동산을 잘하는지 이유를 알겠네요. 왜냐면 거래가 일어나는 투자는 방식, 환경은 조금 다르지만 원리는 똑같아서 인것 같아요. 주식도 지금처럼 곡소리 날 때 사면 수익내는데 부동산도 이제 하락 시작인거 같은데 갖고 계신분들은 정리 잘 하시고 다시 매수 시점은 미분양이 속출하고 경제부총리가 나와서 대놓고 빚내서 집사세요 할때 입니다. 역사는 반복되고 소위 말하는 사이클이죠.
월세 거주자입니다 12월까지 계약기간이고 집주인이 집을 빼라고 해서 이사를 가야합니다 2살 된 아이도 있고 부인 품에는 아기도 자라고 있습니다 가족의 보금자리를 찾아볼려고 노력중이지만 지식이 부족합니다 인생 선배님들의 조언을 얻고 싶습니다 지방 19년도 완공 된 25평 기준 4.5억 아파트입니다 현재 자금은 2억정도 있고 2.5억을 대출 받아야합니다 아직 부동산과 은행에 문의는 안했습니다만 매매를 해야 할 지 아니면 전월세 집을 알아보다가 급매로 던지는 물건을 얼마 선까지 떨어진 금액으로 매매해야 할 지 궁금합니다 너무 큰 선택이라 모든 건 제가 선택하겠지만 그래도 부동산 고수, 저보다 먼저 경험한 인생 선배님들의 조언을 들어보고 싶습니다 감사합니다
@b1868b 538
2022년 6월 28일 20:22이현철씨는 양심적인 유튜버다
지금 집사라고 하는 비양심적인 부동산업자들은 이현철씨를 보고 양심의 가책을 느끼기를 바란다..
@mydoll8410 377
2022년 6월 28일 20:0220~21년도 폭등장때는 '폭등장이 온다' 라는 저서로 폭등도 이야기 하셨었네요, 객관적으로 분석 잘 하시는듯
@alsrlfkd1127 232
2022년 6월 28일 21:30이분은 2016년도 정도엔 주변 사람들한테도 얼른 집사라고 했던 걸로 아는데 무조건적인 하락론자로 이해하는 사람들 많더라고요ㅋㅋㅋㅋㅋㅋ
이분 다시 사이클 오면 집 사라 할 거임
@힐하우스-n8m 205
2022년 6월 28일 23:12저는 작년 8월에 이런저런 얘기를 듣고 파주집을 고점에 팔고 무주택자가 된 사람입니다. 팔고 번 돈으로 현재 살고 있는 전세대출 상환하고 빚이 없음에 행복하네요. 이제 소장님의 말씀대로 기회만 보고 있습니다. 잘 듣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라딩이-e1z 201
2022년 6월 29일 14:12하락장에서 실거주자로 견딘 1인입니다.
2008년도에 매수해서 30프로하락 ㅠㅠ
하우스푸어로 정말 고통이었습니다.
하락장에선 매매도 되지않아 벗어날 방법도 없더라구요.
@님가지마 196
2022년 6월 29일 22:502008년 당시 강남에 65평짜리 아파트 19억에 산 사람입니다.. 믿기지 않으시겠지만 그때 가격이 8억이나 떨어졌습니다. 옆 아파트는 8억이나 할인분양 한 아파트도 있습니다. 그때 뼈저리게 느꼈죠. 아파트는 심리입니다. 심리가 꺽이면 절대 무주택자들은 매수하지 않습니다. 왜냐면 더 떨어진 다음에 사겠다는 심리가 강하기 때문이죠..
저는 그때 당시 다행히 여유가 있어서 견뎠지만 고금리를 못 견딘 사람들은 망해서 경매물건도 많이 나오고 심한 경우 자살도 한 사람도 있습니다..
혹 자는 이렇게 말할 수 있습니다. "아파트는 어찌피 우상향 아니냐?" 맞습니다. 아파트는 우상향입니다. 현재 그 아파트 호가 40억이 넘습니다. (전 아파트를 매도 했습니다.)
하지만 우상향도 항상 오르는게 아니라 떨어질 땐 떨어집니다. 강남아파트도 떨어집니다. 오른만큼 떨어집니다. 주식이랑 똑같습니다. 지금 팔고 나중에 가격이 쌀때 사면 되는 겁니다. 가격이 떨어지는데 뭐하러 버티십니까?
지금 집 있으신 분들은 무조건 빨리 파시길 바랍니다. 무주택자들은 절대 매수하지 마시길 바랍니다.
마지막으로 한마디만 하겠습니다. '버티지 마십시오. 절대 시장을 이기려고 하지 마시길 바랍니다. 우상향 믿다가 지옥이 펼쳐집니다.'
@K지도리 125
2022년 6월 28일 21:15금리인상이 영원한게 아닌게 팩트. 2008년에 7프로대에서 이자내고 집샀는데 찔끔 떨어지더니 전세역전현상이 발생한후 조금씩 오르더니 제가 산가격으로는 절대 안내려가더라구요. 지금 집안사시고 타이밍을 잡으시려면 집사고 이자내고 사는것처럼 아껴살다가 과감하게 저점에서 매수하샤야합니다. 전월세로 살면서 여유있는 생활에 만족하시면 절대 집 못사더라구요. 다른 재테크하다가 날리실수도있고..또 중요한건 내가 가장 수입이 좋을때 싼집을 매수해서 이자내며 살다보면 금리 내릴거고 아껴가며 내집가지고 사는 안정감을 누릴수 있다는게 장점이구요. 40대 후반이 되면 대출받아 집사는게 부담이 됩니다. 10년주기로 판단하면 내 평생 2~3번정도 밖에 폭락기회가 없는거 같아요~
@빵빵이-i7i 112
2022년 6월 28일 20:44이 분 부읽남에 나오면 좋겠다 ㅋㅋ
만나지 말아야 할 두 사람이 만났다 ..!!
@화무십일홍-b5r 101
2022년 6월 28일 19:56빚 빨리 정리하고
분수에 맞게 살면서 미래 계획을 철저하게 하면서 아끼면서 열심히 살아갑시다.
@dukkukuk 91
2022년 6월 29일 22:05이분이 제일 정확햇음 결과적으로 폭등장 예견도 확실했고 저는 그때 라이트하우스 이런애들 보던때라서
@종은박-e8o 89
2022년 6월 28일 20:57오늘도 급등때 집못사서 우울한 저에게 잠시나마 회심의 미소를 짓게 만들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후리지아-l4t 89
2022년 6월 30일 09:52소장님께서는 부동산 흐름을 잘 분석해
주시는 것 같네요 언론에서 8월에 전세 대란이 온다고 이구동성으로 외칠 때
소장님께서는 대란은 없다고 하셨는데
아파트 전세들 무척 많이 나와있고
비어있는 아파트가 많더라구요 거래가
전혀 안 된다고 부동산 사장님들께서
하소연을 하시더라구요.
@kcop777 82
2022년 6월 28일 22:23겪어본자는 금리의 무서움을 안다.
@푸른하늘-f9s5c 70
2022년 6월 29일 01:55실거주자를 위해 영끌로 어렵게 집을 구매한 젊은이들의 아픔과 고통이 느껴집니다 사회가 흙수저들에게 주는 큰 충격을 어찌하면 좋을까요?
앞으로 전개 될 일들이 심히 염려됩니다~~
오늘도 정확하고 예리한 판단에 감사드립니다~^^
@이남길-z1x 68
2022년 6월 28일 21:35이현철 소장님 의견 귀 담아 듣고 있습니다ㆍ감사합니다ㆍ
@user-vj4ps8kv5l 67
2022년 6월 29일 12:36잘 아셔야 하는게
이번 부동ㅈ산 정책이 절대
서민들 위한 정책이 아니라
다주택자들한테 유리한 정책이고
지금처럼 가면 조만간 부자와
서민들의 갭차이가 엄청 벌어지는
나라가 됩니다!
생애첫주택 구입자분들 지금 대출규제
완화됐다고 집사시면 평생 집노예가
됩니다! 자알 판단하시고 공부많이
하셔서 현명한 선택하시기 바랍니다!
@현실주의-c8j 58
2022년 6월 29일 12:13신사임당님은 이미 정답을 알고 계십니다.
오늘도 실감나는 리액션에 무릎을 탁치고 갑니다
2023아몰랑 57
2022년 6월 28일 19:412억 대출 5프로 금리 연 1200
2년이면 2400
집값 1년에 3000 하락....
주식으로 따지면 깡통계좌 되는거죠.
그러다가 은행에서 상환 요청 들어오면 경매...그리고 일부는 그 집에서....
2010년 초반에 많았죠..하지맙 사람이라는게 않좋은거는 빨리 잊어먹는다고..우상향 우상향 하네요.
하락장 경험해 보면 5년은 정신병걸립니다
mememm 56
2022년 6월 29일 18:08이현철 소장님 부동산관련 전문가중 제일 냉철하고 정확한 분석만 해주셔서 늘 감탄만 합니다
@eun7866 56
2022년 6월 28일 20:00실거주 이자도 집값이 적어도 보합은 되야 갚는 맛이 있는거지
집값 떨어지면 못먹고 못입고 집으로만 수익의 거의가 나가는데 하락폭만큼 공중에 돈 뿌린 기분...이걸 감당을 못함. 피폐의 끝 ㅇㅇ
@토끼관리인 54
2022년 6월 28일 20:29금리 상승기에 하락하는게 당연합니다.
이성찬의 방식 45
2022년 6월 29일 11:38참 심리적으로 잘 연구 하셨네요 저도 경기도 2016년 고점에 들어가서
6년간 하락장에서 결국은 바닥에 팔아서 지금 까지 잠 못이루는 밤을 보냅니다
지금 또 투자로 아파트 알아 보는데 지금 정말 참고 있는중 왜냐? 8년전 경험으로 이제는 관망후 좀 더 떨어지면 들어 가려고
내면&경제적자유 나오TV[재테크&행복&북튜버] 42
2022년 6월 29일 18:22하락장에서 1주택보다는 오히려 다주택자가 나을수 있음. 다만 세금 문제등은 고려할 필요가 있음
오늘 영상도 도움이 많이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_^
@aetem6806 42
2022년 7월 03일 14:59작년에 팔고 전세 못 구해서 보증금 올려서 월세 60내고 살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게 개꿀이 될 줄은 몰랐네요. ㅋ
제가 샀던 서대문구 아파트는 2016년 4억2천에 매매해서 6억이 올라서 10억2천을 넘었는데 저는 8억8천에 팔았고,
지금은 거래가 없어서 마지막 거래가 9억2천이지만 하락추세는 분명합니다.
거래량 급감이 누가봐도 확실하고 돈이 남아돌면 살까말까하겠지만 빚내서는 절대 안사죠.
지금 전세가격인 5~6억까지는 거의 무조건 빠질 수 밖에 없다고 봅니다.
월세는 사실상 2017년부터 전혀 안 올랐어요. 2008~2014 하락장 경험해본 바로는 전세가격에 매매가격이 반드시 붙게 됩니다.
집없으신 분들은 대출 무리하지 마시고 빨리 월세 선착순으로 달려가세요.
금리 7~8% 넘어가면 월세가 오히려 더 쌉니다.
그리고, 미국이 이번에 1% 올리면 우리나라 금융위기 필연적으로 옵니다.
나중에 경매로 나오는 물건 10억짜리 2억에도 사실 수 있어요.
현금 있으면 개꿀이죠.
@Terra-smile 41
2022년 6월 28일 23:54경기도에 1주택자입니다. 금리 상승때메 원리금 부담이 커진건 맞는데 전월세가 그만큼 올라버려서 이걸 팔고 전월세 들어가도 금리 상승 전의 전월세와 원리금 사이 갭과 현재 갭차이가 그리 크게 느껴지지가 않네요. 그리고 진짜 못 버틸 정도로 금리가 오르면 그냥 전세나 반전세 돌리고 다 갚고 남는 돈으로 전월세 들어갈 생각입니다. 차피 대출 많이 나오지도 않아서 보증금으로 갚고 남더라구요. 공급물량이 없다보니 전월세가 나름 잘 나가는거 같더라구요. 인플레 꺽이거나 종전하면 금리도 다시 낮아질테니 딱히 싼 가격에 던지겠단 생각이 안 드네요...2010년 폭락장은 판교 물량 폭탄으로 떨어진거 같구...만약 전월세가 안정되어서 물량도 많고 잘 나가지도 않고 보증금 받아도 대출이 더 많고 공급이 많아서 매매가도 떨어지고 막 그러면 진짜 던져야 하나 고민이 될텐데...그냥 솔직히 아무렇지 않습니다. 전월세가 함께 떡상해주고 있어서요...아마 다른 1주택자 분들도 저랑 비슷하지 않을까 싶네요. 일부 공급이 많은 지역 말구요
올보넷 40
2022년 6월 29일 11:27얼마전부터 한마디 한마디 잘 새겨듣고 있습니다. 항상 유익한 영상 정말 감사드립니다
C O O L 37
2022년 6월 28일 20:18하락장에 빚쟁이들은 답없다.
하루우 36
2022년 6월 28일 21:56어쩜이리 논리적이고 명쾌하실까요. 많이 배우고 갑니다.
DJ LEE 35
2022년 6월 30일 03:02휴 2020년 1월의 난 도대체 무슨 생각을 하며 살았던걸까. 열심히 고민하며 일했을텐데 그 열정의 반만이라도 아파트 공부를 했다면 은퇴준비를 끝냈을지도 모른다는걸 네이버부동산 우리 아파트 실거래내역을 보며 깨달았다. 20년 1월부터 미친듯이 산 사람들은 누구이고 21년 8월부터 12월까지 판 사람들은 또 누굴까? 그저 존경스러울뿐이다.
raulie 35
2022년 6월 28일 23:43올해, 그리고 향후 몇 년간 상승한다던 너나위, 부읽남님 입장 듣고 싶네요
하하하 35
2022년 6월 28일 23:18이분은 진짜 전문가네?
@NPHGlobal 34
2022년 6월 29일 15:37공감합니다. 아파트 가격은 조정을 보이지만, 수익형 부동산의 월세 및 전세는 지속상승해서 대출이자가 올라도 큰 걱정이 없네요....
@phase1tv 33
2022년 6월 30일 12:37이현철소장님 통찰력 너무 좋으십니다 출근길에 정주행하면서 왔네요 ㅋㅋ
@딸부자집딸 32
2022년 6월 29일 11:38이분이 현실적으로 접근해서 쉽게이해할수있도록설명해준다.
감사해요
@뚝따기 30
2022년 6월 29일 02:04저는 ㅎㅎ 집 구매했습니다. 실거주 인데 대출 받고 해도 크게 부담이 없네여 실거주는 보금자리론으로 해서 고정금리라서 금리 올라도 크게 신경이 안쓰이네여
TSP 27
2022년 6월 29일 16:22귀에 속속 들어오게 설명을 잘하시네요.
부자할매 되고싶어 27
2022년 6월 28일 20:58실거주하는데 집값이 오르던 내리던 무슨... 집장사하는거 아니라면...
이사비용.복비등...
세를 살면 얼마나 불편하고 서러운데요..
박찬영 26
2022년 6월 28일 21:00향후 5년 동안은 조금씩 집값 떨어지겠군요. 금리도 계속 오르겠고. 3년 뒤에는 집 사야겠네요.
기동대동 24
2022년 6월 30일 02:33가장 보편 타당한 설명으로 보여요.
Yyy Kkk 24
2022년 6월 28일 22:56산 사람 특히 실거주 는 절대팔지 마라
악착같이 돈벌어서 빚을 갚아라
그럼 나중에 그게 효자된다
집 팔고 무주택되면 나이 들수록 힘들어진다
@sangsu45980 23
2022년 6월 29일 08:15우리나라 1인가구 급속도로 증가추세전체인구 30~40%이고 미분양도 속출하는데...
부동산은 거품이 꺼지면 나중에 팔리는것도 머리아프고 쉽지 않을듯 합니다.
@영앤리치-r2c 23
2022년 7월 01일 10:341년정도 쪽 지켜보니까 이분말이 잘 맞음
예전부터 보신분들 말에 의하면 옛날에도 잘 맞았다고 함
DSIL AA 23
2022년 6월 28일 20:24실거주자가 풀 레버리지로 땡겼으면(당연히 그럴 수 밖에 없었을 거고) 이자내는 게 지옥일 듯
@ari1409 22
2022년 6월 29일 00:35금리도 금리지만 여기저기서 떨어질거라고 폭락할꺼라고 공포조성 하니까 살능력있는 사람도 안사게됨.. 하도 떠들어서 초딩도 아는것 같음. 바닥잡아서 집사려다 이번 버스는 더 멀리가버릴수도 있으니 상승도 하락도 너무 목매지 말아야함.
답정너만 찾아다니다간 닭쫓던개 지붕처다볼수 있음.
샤샤 20
2022년 6월 28일 19:47좋아요 누르고 봅니당!
@황우일-y6f 19
2022년 6월 29일 00:01나는 전월세 사는게 훨씬 큰 리스크라고 생각한다.
지방 이상한대 아니고 수도권 왠만한대는 시간 지나면 물가상승율 만큼은 오른다.
전월세 살면 그건 대안인가? 전세 대출도 대출 받아야지 월세 살면 월세는 월세대로 내야지
나는 이것보다 실거주 한채는 꼭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보다멋질내일 18
2022년 6월 28일 22:40안오른지역, 지방 구축건도
해당되나요?
김동현 18
2022년 6월 29일 16:31출연자의 의견에 동의하진 않지만 균형감을 갖기 위해 경청했습니다. 감사합니다.
멋쟁이 필 17
2022년 6월 28일 22:41벌써 경매 많이 나오고 있네요…
줍줍 타이밍 봅시다. ^*
너무덥다 17
2022년 6월 28일 21:11대박 생각하고 레버리지 빚내서 샀으면 금리 상승기에 망하는거지 뭐...
@JM-ck7ux 17
2022년 6월 28일 22:48대출없이 실거주 한 채는 괜찮은 걸로
@othink 16
2022년 7월 03일 13:47전문가니 유튜버니 하는말들 뭐든 그대로 믿지 말고 스스로 판단하세요. 누구도 미래를 대신 책임져주지 않습니다.
@mensa4553 15
2022년 6월 30일 03:35헌법을 개정해서 주택만큼은 소유권을 제한해야 한다고 봄. 1가구 2주택까지만...2주택분은 세금 왕창 때리고..
@spadageuranado1775 15
2022년 6월 29일 19:56어디 이현철 소장님을 라이트하우스나 김종갑이랑 동일 선상에서 비교하냐 내가 볼때 가장 시장 정확하게 맞추는 분이다 오를 때 오른다고 하고 떨어질 때 떨어진다고 한다
@youngihm 13
2022년 6월 29일 07:38대출5년은 고정금리 일텐데...
5년후 이자는 어떻게 될까?
과연~ 실거주자가 어려울까,
무주택자가 어려울까:)
익명 13
2022년 6월 28일 19:431인 1주택자인데 실거주 2년안한상태입니다.
대출받아 전세금 내줘야하는 상황인데
전 임차인의 5%이내로 올리면 실거주 인정해준다하다는데 그러기엔 너무 낮게 전세를 내줘야하고 그렇다고 팔기엔 실거주를 안해서 세금내야하고 또 그렇다고 월세하기위해 임차인 전세대금 내주려 대출받자니 주담대가 너무 부담되고 뭐가가장 최선의 선택일까요
@고라파덕-m5r 12
2022년 6월 30일 03:06사람마다 사정이 다 다른데 이분은 너무 극단적으로 전제를 깔고 무~조건 절~대로 사지 말라고 사면 다 죽는 것처럼 얘길 하시는 듯
집값 하락해도 자기가 버틸 수 있으면 되는 거고 일정 손해를 보더라도 지금 사야될 사정이 있는 사람도 있음
Jang YouLi 11
2022년 6월 28일 22:241주택자인데 보금자리론 고정금리라 문제없네요ㅎㅎ
@youngaekim2003 11
2022년 7월 04일 16:29작년 10월에 매매하고 전세 살고 있습니다. 그뒤로 제가 살던 아파트 매매가 한 건도 없더군요..전 막차 탔던 것같아요~
@ilovekoreamariella6345 10
2022년 7월 10일 04:05이분이 부동산 대책을 세운다면, 서민들이 행복한 삶을 살 수 있을 것 같다!
킴제니 10
2022년 6월 29일 21:29좋은내용감사합니다
@브랜드장이 10
2022년 7월 13일 17:16정확하게 보면, 재개발 또는 투자수익을 기대하고 고평가 된 아파트를 구매하고 실거주를 한 사람들이 문제 겪고 있는 것 같습니다. 좋은 입지의 주택 중에서도 저평가된 좋은 아파트를 찾는 수고를 했어야한다고 생각합니다. 저도 운이 좋았지만, 아이가 4살인데 보내고 싶은 초등학교 근처로 졸업할 때 까지 살려고 구매해서 이사갔는데, 너무 급박하게 올라가지 않았지만(1억정도?), 반면에 잘 떨어지지도 않았습니다. 투자를 위한 어쩔 수 없는 실거주자와 진짜 생활을 위한 실거주 구매자 간은 차이가 있습니다. 후자는 집 가격의 유동에 별로 관심이 없네요
@shielderkin1247 9
2022년 7월 05일 18:01개인적인 의견은 앞으로 우상향은 없다 입니다.
다음세대에 현 가격을 받쳐줄 매수자가 없습니다.
@minsuja8257 8
2022년 7월 01일 00:51똘똘한1채 ...세뇌 풀어주시니 감사합니다
안녕 8
2022년 6월 28일 22:40하락한다니 성의없이 네네 하는게 느껴지네요..한참 상승장때 업되서 침튀기며 리액션 하셨었는데..ㅎ
@sunrise-f3q 8
2022년 7월 09일 22:251주택 다주택이 중요한 것보다는 무리한 대출이 문제인거죠. 주식도 마찬가지입니다. 투자시에는 절대 무리한 대출을 받으면 안 됩니다.
결국 손절한 물건을 매수하는 자는 돈많은 장기투자자들이고, 결과 부자는 더 부자가 되고, 없는 자는 더 가난해 지는 것 같습니다.
절대 부화뇌동하지 말고, 전략을 짜고 차분히 투자해야 합니다.
델루나 7
2022년 6월 28일 22:46빚 무서움를 처절하게 배우는 시기가 되겠네요 ,대출 갚을 능력 없으면 지르는건 지옥행 , 내 푼수대로 살고 열심히 살면 되는것이데 ...욕심은 금물 ,
@빵쟌 7
2022년 7월 18일 00:13최소한 21 ~ 22년은 그 어떤 전문가보다 이현철소장님이 가장 정확했습니다.
정말 거이 완벽에 가깝게.. 21년 말 ~ 현재까지를 1년전에 예측했어요.
당시 분위기로는 이렇게 되리라 아무도 예상못했죠.
그때 자금여력 없다면 1주택이여도 거래가 될 때 팔라고 했었는데.. 21년에 파셨다면 큰돈 버셨겠네요
전세가 알고싶다TV 6
2022년 7월 05일 13:22지금은 집 살 때가 아니죠ㅠ 지켜봐야할 때입니다. 무주택자 장기전세 들어가면 세금도 안 내고, 20년 거주가 가능하다는데...
@mce146 6
2022년 6월 29일 10:25싸이클이라면 어차피 다음 싸이클은 올것이고 그때까지 버티냐 못버티냐 겠지요 절대 못버티는 이유는 몬가요 모두 사정이 다를텐데
영 6
2022년 7월 02일 02:04다른전문가 얘기 안하는거 해주니 재밌네요, 경제공부 좋아요
@rjqnrdl73 6
2022년 6월 30일 12:14결론적으로 "영끌하면 위험하다"라는 뜻
JB lee 6
2022년 6월 29일 17:05감사합니다 .
@춘희-r2l 5
2022년 6월 30일 18:58일주택자 보고 집 팔라고요??? 그럼 전세 월세 살라는 뜻인가요?? 그게 더 위험한듯
홍홍홍 5
2022년 6월 28일 23:56대구 달서구에 아파트 매도하고 수성구쪽 갈려구 부동산에 문의 했는데 진짜 한숨뿐이 안나와요...ㅠㅠ 나름 브랜드아파트에 층도 괜찮은데 부동산에서 연락도 없네요 어떻게 해야 될까요???대구는 당분간 답이 없을까요???
로리안 5
2022년 6월 30일 11:41수도권에 집을 가지고 있다면 하락을 유추는 할수있어도
하락을 강력히 얘기할수없는 것임
틀린말은 아니지만 각자도생 하세요
지방에 아파트 가지고 있는 사람도 절대 하락을 말할수 없어요!!!
주식 폭락, 부동산 폭락이랑 같을까요! 지금 물가를 보세요
안오른게 없어요ㅡㅡ팔수가 없는거죠!!! 파는 것도 어렵고 사는 것도 어렵죠(대출이 안됨)!!!
파는 순간 인플레이션 때문에 거지됩니다
얼른마스크 5
2022년 6월 29일 01:49서울에 아파트 2채, 경기도에 아파트 2채 가진 다주택자다. 다주택자도 전세가격 떨어져봐라…
일주택자보다 훨씬 위험하다…
전세가격 10%씩만, 3천만원만 떨어져봐라..
3가구만 떨어져도 거의 1억 현금을 마련해야 한다..
현상이 아닌 본질을 보라 4
2022년 7월 11일 00:37이현철 소장님이 부동산전문가로서 고수가 아닌듯 합니다.
달인수준인듯 합니다. 정말 존경합니다. 👍👍👍
@평가-h9z 4
2022년 6월 30일 01:26미국인플레에 의한 국내금리인상이 가장 큰 위기의 주흐름인데 한국은행 국제금융센터 2군데 보고서 봐라 앞으로 엄청 심각해지는걸 집값 올라간다고하는 놈들 자중해라
gol knu 4
2022년 6월 29일 02:24저는 참 공감이 안되는게 1주택실거주자가 하락장온다고 집팔고 전월세 사는 사람을 주위에서 본적이 없거든요 혹시 소장님은 주위에 그런사람들이 엄청 많았을까요?? 정말 궁금합니다
ᄀᄋᄀ 4
2022년 6월 28일 22:51능력한도 내에서 감당되면 분위기보고 한채정도는 사놓으란거구만. 어차피 머리꼭대기서 팔고 발목서 산다는건 혼자생각일뿐 시류에 따라 자기 능력선에서 해라.
오!수피셔스 3
2022년 6월 30일 22:02진짜 대출금리 0.5%p만 올라도 몇 십만원 더 내야하던데.... 부담이 많~이 될 것 같아요ㅠㅠ
@조이해피니스 3
2022년 8월 14일 10:32이게 한달전이니 더 박살났겠군요.존경합니다. 소장님
소금돌이 TV - 짠테크 & 주식 3
2022년 6월 28일 21:08잘 보고 갑니다…!
환타 3
2022년 6월 28일 23:1899%의 사람들은 자기집이 가장 똘똘한 한채라 여김.
격노조절장애인 3
2022년 6월 28일 22:54무주택자가 말하는거면 ㅇㅈ
김진영 2
2022년 6월 28일 21:22금리 2.2프로에 대출2억4천받아서 강북구 1주택구매했습니다. 사고 운좋게 집값이 좀 올랐는데 아이가 전학을 원하지않아 등하교시키는데 다시 성북구로 가야할것같아요.
지금 팔도 이동해야할지 좀 더 버텨보다가 가야할지.. 지금 팔고 집을 사놓고 저는 빌라월세라도 들어가야할지ㅠ 금리가 비싸니까요. 정말 모르겠어요. 지식을 나눠주세요
김요한 2
2022년 7월 05일 17:20본인 자본금이 어느정도 있다면 실거주 한채는 가지고 있는것도 괜찮다 봅니다 분상제 아파트 올해초 분양 받았는데 대출 받아야 할 돈이 크지 않습니다 1억이하로 대출 받으면 잔금까지 치를 수 있는 상황이라 전오히려 실거주한채 가지게 되어서 마음이 편합니다. 본인 상황에 맞게 은행돈 말고 본인돈비율이 어느정도 있다면 실거주한채는 지금상황에도 필요하지 않을까 합니다. 물론 제가 당첨 된 곳은 상급지랑은 거리가 먼곳입니다 경기도 지방 택지지구에 받은거라서 직장이 가까워서 받았습니다. 모두가 다 강남 판교 과천 실거주 해야 하는건 아니지 않나요 본인 상황에 맞게 실거주 한채 사도 된다고 봅니다. 단 지금처럼 이자가 계속 오르는 상황엔 본인자본금이 최소60-80프로는 있으신 경우 가셔야겠죠
스텝바이스텝 2
2022년 7월 01일 14:01감사합니다
@koonchoi1572 2
2022년 7월 11일 22:48대단히 합리적인 이야기로 들립니다. 근데 정말 궁금한게 이분 부동산 부자 인가요? 상승 하락 다 진단 잘하시니까 되게 부자가 되셨어야하고 이분이 되게 부자면 어 신뢰가 갈것 같아서요. 혹시 아는분 있으면 알려주세요!
판래용 1
2022년 6월 29일 00:40이분 항상 예상에 확신이 차있는데...그 동안 그 예상과 확신들로 돈은 많이 버셨는지 궁금
@atlantisssssssss 1
2022년 7월 07일 03:34실거주는 소비의 성향이 상당부분 섞여있기 때문에 이자비용이 올라가면 본인의 거주 "소비"가 늘어나는 효과가 있어서 힘든느낌이 더 들수도 있을것 같네요.
@구름따라-n6h 1
2022년 12월 09일 17:39다주택자는 갭투자이므로 팔아봐야..건질게 없어서 일단은 버티는겁니다. 그러나, 2년 전세만기 돌아오면..전세가격 하락으로 답이없죠. 버티는 최대 기한이 2년이죠. 이미 전세계약은 작년 고점에서 했기때문에 앞으로 1년안에 다주택자들 못버티고 던지게됩니다.
Min Park 1
2022년 6월 29일 00:55빚내서 집 사는 순간 지옥이다. 지금은 현금 가지고 있는 사람이 오야지다
김자유 1
2022년 6월 28일 20:58이런때일수록 근생용지에 투자해야죠
심퉁이
2022년 7월 18일 12:16여윽시 김현철 소장님
작년에 모두 상승 외칠때 김현철 소장님만 하락 준비하라고해서 사람들에게 욕 많이 먹었던때 기억합니다 역시 인사이트가 정확하세요 화이팅!
yaloo
2022년 6월 29일 01:41월 수익 300에 월 80내고 원룸 월세사는 친구가
월 수익 3000에 원리금 상환 150내면서 수도권 역세권 국평 브랜드 아파트 실거주를 보며 ㅉㅉ 하며 정신승리 하고있는 현 상황ㅋㅋㅋㅋㅋㅋㅋ
best top
2022년 7월 09일 02:01투자에 있어 중립적인 마인드가 중요함을 느낍니다
1982sky syh
2022년 6월 29일 01:20저는 3억5천정도 그저그런 아파트 살고
주위 신축 또는 이름있는곳이 6억5천 인데
그럼 저같은 경우는 이사가는 시점이 어느정도 될까요??
모아둔돈 1억 + 대출 한 2억 받고 아파트 팔고 넘어갈수있는데 좋은아파트도 떨어지고 지금 사는 아파트도 집값 떨어진다고 가정하에...
이사시점이 ...
이사좀 가볼까 생각하는 찰라에 부동산 폭락 소리가 들려서... 고민중이네요
지금 시점 3억 차이... 나중 폭락때 ?? 차이...
폭락때 지금 살던집이 팔려야 넘어가는데 안팔리는 어떡하나 걱정도있고 ㅎ
유금생
2022년 6월 29일 02:03개인적으로 경상도 포항에 살고있는데 지방에 대한 얘기들이 너무 없어 판단이 안섭니다ㅠ
a
2022년 6월 29일 01:54꼭 하락한다는 사람이 나와야 "진짜 전문가시고 객관적이시네요^^" 라고 댓글달리는 이유가 궁금함 ㅋㅋ
인소울P
2022년 6월 29일 01:48주식전업투자자입니다. 부동산은 주식만큼은 모르지만 부동산 공부를 해보면 왜 주식 잘하는 사람들이 부동산을 잘하는지 이유를 알겠네요. 왜냐면 거래가 일어나는 투자는 방식, 환경은 조금 다르지만 원리는 똑같아서 인것 같아요. 주식도 지금처럼 곡소리 날 때 사면 수익내는데 부동산도 이제 하락 시작인거 같은데 갖고 계신분들은 정리 잘 하시고 다시 매수 시점은 미분양이 속출하고 경제부총리가 나와서 대놓고 빚내서 집사세요 할때 입니다. 역사는 반복되고 소위 말하는 사이클이죠.
rov beer
2022년 7월 25일 00:23월세 거주자입니다 12월까지 계약기간이고 집주인이 집을 빼라고 해서 이사를 가야합니다 2살 된 아이도 있고 부인 품에는 아기도 자라고 있습니다 가족의 보금자리를 찾아볼려고 노력중이지만 지식이 부족합니다 인생 선배님들의 조언을 얻고 싶습니다 지방 19년도 완공 된 25평 기준 4.5억 아파트입니다 현재 자금은 2억정도 있고 2.5억을 대출 받아야합니다 아직 부동산과 은행에 문의는 안했습니다만 매매를 해야 할 지 아니면 전월세 집을 알아보다가 급매로 던지는 물건을 얼마 선까지 떨어진 금액으로 매매해야 할 지 궁금합니다 너무 큰 선택이라 모든 건 제가 선택하겠지만 그래도 부동산 고수, 저보다 먼저 경험한 인생 선배님들의 조언을 들어보고 싶습니다 감사합니다
정민 유
2022년 7월 23일 09:32도움이 많이 되었어요 맞는 말씀!!
앨리스 재밌다
2022년 6월 29일 02:50제 이야기네요 똘똘한입지에 살려니dsr로 못버티고 잠못자고 살고있는걸 딱 알려주시네요
YJ S
2022년 6월 29일 10:35혹시 그럼 지금 증여 받는것도 미루는게 좋을까요? 분당 입니다. 가격이 안빠지고 있어서요
모두의 경제적자유
2022년 6월 29일 02:4022년 선대인 선생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