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목차 중심으로 읽어라. 본문 내용과 동기화한다.(저자와 질문 대화하듯이) 인풋과 아웃풋의 일체화 2. 만들어진 뼈대를 위주로, 수치, 통계, 이름 등 구체적 정보 획득, 암기한다 👍👍👍 비문학을 제대로 읽고 기억하는 독서법입니다. 굉장히 명쾌하고 유용하네요. 고맙습니다!!
👍 😊 와~~우~~ 변호사님 말씀! 너~~무 감명깊게! 반복해서 잘 경청 했어요~ 이제, 부터는 꼭 그렇게 해 보겠습니다. 아주 오래전 초등(국민)학교 세대인데, 고전읽기 대회가 있어서 독서를 하고, 느낀 감상문을 발표! 하였던 추억이 되살아 나서 너무 흐뭇합니다. 감사합니다~~
오늘도, 고군분투 하시는 스터디언님들 덕분에 유익한 공부 잘 하였습니다. 감사합니다~~ ^ ^ 🌻 🌻 🌻
저자에게 예명을 지어서 계속 질문하고 답변을 찾는다 빠르게 넘기며 목차 보는것만 30분정도 -> 다음에 무슨얘기 할지 감이올때까지, 저자가무슨 얘기하는지 알겠을때까지 -> 목차의 대답에 줄그으며 그부분만 먼저 읽기(input이나 output/test 한다는 느낌으로 읽어야 집중력 살아남) -> 그 후에 두번 전체 읽기 이때 아주 빠르고 순조롭게 읽을 수 있다
나 원래 살면서 책제대로 본게 유아기때랑 군대에서 읽은것뿐인데 그외에 내가 책 읽는 방식이랑 비슷하네 책보자마자 표지 앞뒤면 보고 가격보고 출판일보고 저자 약력보고 저자 사진보고 목차보고 맺는말보고 아 대충 이사람이 이런말을 하고싶은거구나 짐작하고 세부내용은 대충 휘리릭 넘겨 보는데 목차에 내용이 거의 함축되있어서 대충 느낌을 알수가 있어서 그런대로 이해하고 좀 신박한 목차가 있으면 그쪽부분만 좀 읽는데 내가 이해하기 좋은 독서법의 전제조건이였다니 감회가 새롭네. 책보는게 귀찮아서 그렇게 봤는데 거기다가 목차안의 세부내용만 좀더 읽어주면 어느정도 완벽한 현대인의 독서법이 되겠군
@다해-m8n 27
2022년 7월 05일 12:471. 처음 30분동안 목차 보기/동기화
2. 저자의 스토리 발견하기
3. 목차에 물음표를 달아 그 답을 찾아 읽으면서 밑줄치기. 나머지 내용은 천천히 읽어보기
4. 신뢰성 높이기 위해서는 통계, 수치, 사람 이름에 집중하기
@yonggo2153 23
2022년 7월 10일 19:53규야, 여기는 왜 밑줄친거야? 저자 : 뀨?
@리브로맨스 18
2022년 7월 05일 12:2830분 1-2회 목차만
스토리 생기면 읽기 시작, 목차 뒤 물음표에 대한 답만 밑줄치며 1-2회 읽기
원래 방식대로 읽기, 1회 수치 고유명사 집중
@minjungkim8609 18
2022년 7월 10일 21:301. 목차 중심으로 읽어라. 본문 내용과 동기화한다.(저자와 질문 대화하듯이) 인풋과 아웃풋의 일체화
2. 만들어진 뼈대를 위주로, 수치, 통계, 이름 등 구체적 정보 획득, 암기한다
👍👍👍
비문학을 제대로 읽고 기억하는 독서법입니다. 굉장히 명쾌하고 유용하네요. 고맙습니다!!
@mementomori0911 18
2022년 7월 05일 12:37첫30분 목차만 여러번 본다/동기화 시킨다.
스토리를 발견하려는 노력 해볼게요!!
잘 기억하고 집에 잠자고 있는 책들 좀 꺼내겠습니다. 고맙습미다🕊🙏🏻
@이민우-q2o 16
2022년 7월 15일 22:171. 목차를 여러 번 읽으며 골격 세우기 / 스토리를 발견해야 함.
2. 목차를 이용해 질문 던지고 답(핵심 문장) 찾기
3. 설득력 높이기 : 수치와 고유명사 암기
안정은 15
2022년 7월 05일 16:43이분은 볼 때마다 참 인재라는 생각이 든다
나도 저분처럼 신뢰감 있는 지혜로운 사람이 되고 싶다
@꿈을찾아서-p9k 9
2022년 7월 05일 13:27"읽는인간 리터러시를 경험하라" 라는 책에서 저자와 대화하듯이 읽으라는 말이있던데..같은 맥락인거 같습니다.
@김현숙-o2l9z 8
2022년 7월 05일 12:57👍 😊
와~~우~~
변호사님 말씀! 너~~무
감명깊게! 반복해서 잘 경청 했어요~ 이제, 부터는 꼭 그렇게 해 보겠습니다. 아주 오래전 초등(국민)학교 세대인데, 고전읽기 대회가 있어서 독서를 하고, 느낀 감상문을 발표!
하였던 추억이 되살아 나서 너무 흐뭇합니다. 감사합니다~~
오늘도, 고군분투 하시는 스터디언님들 덕분에 유익한
공부 잘 하였습니다.
감사합니다~~ ^ ^
🌻 🌻 🌻
@채니-w7i 8
2022년 7월 05일 12:27저도 목차가 중요하다는 걸 알고 있었지만 내용이 궁금해서 얼른 넘겼는데 이제 꼼꼼히 봐야겠어요.
@daviddaniyoo 7
2022년 7월 07일 21:271. 하루에 30분을 봐라. (본다면)
2. 표지, 목차를 통해 충분히 저자의 의도를 파악하라. 특히 output 중심의 독서를 하라 (많은 질문을 던지고 대답을 찾음)
3. 수치, 통계, 고유명사, 사람이름을 잘 기억해라.
@studian365 6
2022년 7월 05일 08:27✨이윤규 변호사님 영상 보러가기
1부👉https://youtu.be/UhMGcLmnE2w
2부👉https://youtu.be/nT61izyJ6W4
@다잘될거야-d4n 5
2022년 7월 05일 13:43이윤규 변호사님 좋은 내용 감사합니다
앞으로 독서에 적용해볼게요^^
@colicovy307 4
2022년 7월 06일 10:53책의 표지와 저자설명을 통해 핵심주제 및 대상을 관통,
목차를 통해 책의 스토리 파악
목차와 본문 목차의 구조를 이해 및 동기화시켜 익숙하게 만들고
본문 목차에 해당하는.답만 밑줄치기.
이렇게 생선에서 뼈와 살을 발라내듯 뼈를 발라내면
나머지 살은 천천히 음미하게될 것.
궁금하다. 과연 어떤 효과가 있을까?
그리고 잘못된 방법으로 강제성 부여라는 말이 조금 인상깊다. 올바른 방법에 건강한 강제성을 부여해야겠군 !
일단 한번 해보자 !
@susanrainbow-w3p 4
2022년 7월 05일 12:44유익한 추천 👍
@alxososnddux 3
2022년 7월 15일 00:30작가와 대화한다는 느낌으로 접근
"그래서 어떤 말을 하고 싶은건지"
목차를 보면서 뒷내용과 동기화
작가가 그리려는 서사 알아내기
목차에서의 물음표에 답하면서 본문 읽기
년도와 고유명사를 집중해서 보면 지식 풍부해짐
하루에 30분
두줄정리
작가와 대화할 것
목차,물음표,답변
yu sang 3
2022년 7월 05일 12:09감사합니다
목차가 중요하다는건 어렴풋이 알면서 매번 넘겼는데, 영상대로 적용하여 읽어봐야 겠어요
@fabiokim2430 3
2022년 7월 05일 14:54꼭 실행해 보겠습니다.
@keem_selec 2
2022년 7월 09일 18:20독서법 꼭 실천해 볼게요~!!
@berlepsch7355 2
2022년 7월 27일 11:33내가 왜 공부에 효율이 안나고 시험결과에 좌절하고 독서에 결실을 맺지 못했는지 알것같아요. 지금부터라도 찬찬히 바꿔봐야지요.
@뜻-b1c 2
2022년 7월 23일 01:14오늘 생긱하던거였는데 깔끔히 정리해주셔서 감사합니다^^
@notthings6443 2
2022년 7월 07일 10:14감사합니다
@tomadream 2
2022년 7월 06일 14:27목차를 중심으로 여러 번 읽기
@페리부활 2
2022년 7월 22일 07:25와~정말 좋은 방법이에요~
꼭 활용해 보겠습니다~^^
책도 구입해서 읽어 보고 싶네요~
@임권환 2
2022년 7월 10일 12:25감사합니다
@이현정-z4x 2
2022년 7월 20일 12:48앞으로 독서를 하는데에 있어 너무 도움이 될 것 같아요
전공서적을 읽는 저자님만의 팁도 궁금해지네요
@꼬치꼬치-i8y 1
2022년 7월 15일 08:08유익한 정보 감사합니다.
외모뿐만 아니라 설명도 깔끔하시네요~~
@여니-l2m1e 1
2022년 11월 21일 12:46너무 궁금한게 있는데요.
목차 공부하고.(하루
목차에 대한 답(이틀
그리고 마지막에는 글을 전체적으로 다 읽나요?
제가 맞게 이해했나요?
@rillajia2574 1
2023년 1월 13일 21:10저자에게 예명을 지어서 계속 질문하고 답변을 찾는다
빠르게 넘기며 목차 보는것만 30분정도 -> 다음에 무슨얘기 할지 감이올때까지, 저자가무슨 얘기하는지 알겠을때까지 -> 목차의 대답에 줄그으며 그부분만 먼저 읽기(input이나 output/test 한다는 느낌으로 읽어야 집중력 살아남) -> 그 후에 두번 전체 읽기 이때 아주 빠르고 순조롭게 읽을 수 있다
@user-gk1wq5jx4r 1
2022년 7월 07일 10:03제목, 띠지로 말하고자 하는 바 추론
@민석-x6z
2023년 10월 28일 03:57정보가 담겨있는 책은 감상하는 것이 아니라 캐내야 한다.
방법이 잘 못 됐는데 결과를 내기 위해서 억지를 부린다면 효율 x
책은 저자와의 대화이다.
정보성 책은 저자가 무슨말을 할지를 인지하고 들어가야지 서문부터 보면 지루하다.
앞,뒷 표지를 읽고 어떤 내용이 담겨있는지 유추를 하고 목차를 살펴보면서 책을 이루고 있는 지식의 뼈대를 세워본다.
그리고 책을 읽는데 문단을 이루고 있는 제목만 읽으면서 넘긴다. 그렇게 책이 익숙해지면 제목에 ?를 치고 말하고자 하는 핵심문장을 문단에서 찾는다.
이러한 반복과정을 통해 책이 익숙해지면 그때 책을 읽는다. 회를뜨는데 가시와 장기를 제거하는 작업이랄까?
@부공-v4t
2023년 5월 19일 18:38나 원래 살면서 책제대로 본게 유아기때랑 군대에서 읽은것뿐인데 그외에 내가 책 읽는 방식이랑 비슷하네
책보자마자 표지 앞뒤면 보고 가격보고
출판일보고 저자 약력보고 저자 사진보고 목차보고 맺는말보고 아 대충 이사람이 이런말을 하고싶은거구나 짐작하고 세부내용은 대충 휘리릭 넘겨 보는데 목차에 내용이 거의 함축되있어서 대충 느낌을 알수가 있어서 그런대로 이해하고
좀 신박한 목차가 있으면 그쪽부분만 좀 읽는데 내가 이해하기 좋은 독서법의 전제조건이였다니 감회가 새롭네.
책보는게 귀찮아서 그렇게 봤는데
거기다가 목차안의 세부내용만 좀더 읽어주면 어느정도 완벽한 현대인의 독서법이 되겠군
@jaejunjang4535
2023년 3월 15일 00:11눈물나게 감사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