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문명의 시작 후 국가 시스템에서는 왕정과 귀족이라 하는 기득권 세력이 통제를 위해 가치를 조장하고, 나머지 국민들은 무조건적으로 따르게끔 학습시켰다. 이는 자본주의라는 말이 생기기도 전부터 국가 시스템이 해왔던 일이다. 다만 현대 자본주의에서는 자본이 국가를 뛰어넘었다. 자본가는 끝없는 부를 축적하기 위해 자본으로 국가 시스템의 기득권 세력을 완고히 했고, 종이 조각에 불과했던 화폐에 가치를 심어놓고 가치를 펌프질하며 인간을 물질의 노예로 전락시켰다. 자본주의는 인간의 욕심을 자극했고, 심지어 현대에 들어와서 심리라 하는 인간적인 특성까지 적용시켜 마케팅이라는 말로 현혹해 사람을 실제로 노예화시켰다. 이것 또한 자본주의의 구조적 특징 이외에 우리가 살고 있는 현대 자본주의의 특징이며, 절대로 간과하고 살면 안된다. 특히나 당신이 돈 때문에 괴롭다면 더욱더 그렇다.
2. 당신은 스스로 '왜 돈을 벌어야 하는지', '왜 끊임없이 소비하게 되는 것인지', '왜 돈에 집착을 하고 있는지' 객관적으로 생각해본 적이 있는가. 갓 태어난 아기들을 보면 알겠지만 인간은 태어날 때부터 돈을 벌기 위해, 돈을 쓰기 위해, 탐닉하기 위해 태어난 것이 아니다. 당신은 교육되었다. 당신을 둘러싼 모든 주변 환경이 당신에게 학습되었고, 당신의 사고 방식을 형성하고 있다. '이미 이런 사회에서 태어났으니까?' '남들 다 버니까?' '돈이 없으면 먹고 살 수가 없으니까?' '행복하기 위해?' 라는 말을 믿고 있다면, 당신은 아직 순수하다.
3. 물질을 차고 넘치게 갖고 있어도, 행복하지 않다는 것의 증거는 아주 가까이에 있다. 당신이 살고 있는 사회나 주변만 봐도 그렇다. 자본주의에서 기득권 세력이 부를 통해 행복함을 얻었더라면 사회는 이 모양 이 꼴로 돌아가지 않았을 것이다. 그들은 나서서 불합리와 부조리를 저지른다. 그들은 행복하지 않다. 마음의 여유를 갖고 있지 않다. 그들은 자신의 자본을 통해 움직여지는 세상에서 자아를 찾았으며, 자아가 물질과 동일시되어 오히려 그 자본을 지키기 위한 노력으로 인생을 허비하고 있다.
4. 인간은 언제나 욕구. 그 이상의 행복감을 꿈꾸며 살아왔다. 이는 천국을 꿈꾸게 했고, 술을 만들어냈고, 포르노를 만들어냈고, 돈이 행복을 줄 것이라는 믿음을 만들어냈다. 하지만 물질을 통해 얻을 수 있는 것은 편리함이며, 이 또한 욕구를 충족시켜줄 뿐이다. 욕구 충족은 쾌락이라는 아주 짧은 행복감을 느끼게 하는 행동 중 하나이지만 인간적 특성상 욕구는 한가지로 끝나지 않으며, 질리게 마련이다. 그래서 사회는 경제라는 명목하에 끊임없이 새로운 가치를 부여하며 욕구를 채우라 한다. 사람들의 자살과 생태계 파괴는 이런 지점에서 당연했다.
5. 인류는 약 200만년 동안 돈 없이 잘 살아 왔었으며, 문명은 발현 된지 채 1만년도 되지 않았다. 200만년 동안의 생존 사투가 엄청난 스트레스였다고 문명의 시초들은 말하겠지만 죽는것은 인간의 공통된 숙명이다. 생존을 뛰어넘은 인간은 오히려 자본과 사회에 갖혀 스스로를 죽이고 있다. 지금의 기술과 발전이면 생존의 위협 없이 모두가 상생할 수 있지만 상상과 환상이 우리를 상생하지 못하게 만든다. 돈을 벌면 행복할 수 있다는 사회의 얘기보다 자신이 무엇을 해야 행복한지 생각을 해봐야할 때이다. 이를 모르고 산다면 당신은 돈에 치여 남은 인간계의 삶을 아주 고통스럽게 살 것이다.
여러가지 책이랑 유튜브등 생각해보기에 좋은 자료들이 많아요. 그러나 한편으로 그러한 자료가. 특히 유튜브는 한쪽 성향으로 추천을 계속 해주기 때문에. 극단적이게 될 확률이 높아요. 항상 자신이 틀릴 수도 있다는 생각이 중요하다고 생각해요. 그리고 절대라는 정답은 없다는거.
8:19 이거 진짜 무서운말임 평생동안 일하는 노동력을 제공하는 사람들은 노동력을 고용하는 사람들을 절대 이길수 없음 따라서 부의 양극화는 절대 벗어나지 못함 가난한 이들의 자식들은 높은 확률로 계속 가난함 대부분의 사람들이 대를 이어서 자신의 계층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고착화됨
04:10 판매하지 못한 원두를 먹으며 버티고 있는 C 를 보니 짠하네요;; 결국 A가 일을 하지 않고도 부를 축적해나갈 수 있는 것은 처음부터 자본을 가지고 있었던 덕이고, 노동자는 열심히 노력해서 다른 노동자들을 경쟁에서 이길 수 있지만, 자본가는 이길 수 없다는 게 진짜 정답인 것 같습니다.
이 책의 기본이 되는 내용들은 이미 마르크스가 자본론과 공산당 선언에서 지적한 자본주의의 모순의 일부분과 대공항 이후의 경제학설사가 담겨져 있군요. 경제성장이란 무엇이며 과학과 철학이란 어떤 것일지, 깊이 있게 생각해 보기 위한
가장 작은 단위, 첫 걸음이 되는 기초교양 도서네요. 무관심한 대중에게 쉽고 유익하게 다가가기 위해서 이런 책을 읽는 삶도 필요합니다.
다만 현대사회에서 인구의 폭증이 우연이 아니라 자본주의의 양적 성장을 위한 경제활동력으로서의 생산과 소비를 담당하는 요소, 즉 자본주의 체제에 의해 생산하게 된 부산물이라는 사실을 깨닫게 된다면 자본주의 윤리학의 정체성도 올바로 알게 될 것입니다. 비관적이지만 현실적으로 사회인구의 양적 증대란 이 책에서 간접적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대자본가의 재산축적을 위해 태어나기를 권장되는 인구의 증식이 목적이지 인간다운 삶을 영위하기 위한 인격과 지성의 함양에 국가교육기관은 관심이 없습니다 최소한의 노동자로서 필요한 간단한 생산성 유지를 위한 수준의 지식교육만을 담당하는 위치가 현 신자유주의 체제하에 공교육의 현실이죠.
김영삼 전 대통령이 97년 해외순방 이후 대학교육에서의 신자유주의를 주창했을 때 누가 오늘날 지방대 미달에 학력인구 감소를 예측할 수 있었을까요? 인구의 감소는 정치의 실패요 자본주의의 붕괴를 예언하는 것이나 다름이 없지요. 지식을 통해 세상을 바꾸려는 자들보다 지식을 통해 권력에 봉사하려는 자들이 훨씬 많기 때문에 지금의 체계가 붕괴되지 않고 유지되는 것입니다. 한 마디로 성장을 위한, 앎을 위한 지적 추구가 특정 지식계급에 의해서 독점되고 사유화 되면서 권력에 더 복종적인 성격을 역사적, 사회관계적, 관습적으로 강화시켜 온 것입니다.
노동자 계급이 스스로 지식을 발견하고 깨닫으려는 노력이 없다면 이 사회를 변화시킬 질적인 성장도 기대하기 어렵게 될 것이고 자본주의를 그동안 양적인 성장으로 이끌어 갔던 인구의 증식도 더이상 기대할 수 없는 경제구조가 우리를 기다리고 있을겁니다. 새로운 경제공포가 다가오고 있군요.
A, C의 단점을 한가지 알려드릴게요. 기업의 제 1 목표는 비용절감입니다. 만약 기업의 노동현장에서 사고가 발생해서 노동자가 사망하게 되면 기업은 2가지 계산서를 앞에 놓게 됩니다. 1번 선택지는 막대한 돈을 들여 노동환경을 개선해서 더이상 사망자가 발생하지 않게 한다.... 2번 선택지는 노동환경을 개선은 하지 않고 앞으로 매번 사망자가 발생할때마다 노동자에게 사망 보상금을 지금한다.
인간적인 측면에서는 당연히 1번 선택지를 선택하는게 바람직하겠죠. 하지만 기업은 매우 합리적인 집단입니다. 기업의 선택기준은 인간애가 아니라, 합리성 그자체에 있으며 그 합리성은 어느쪽이 비용을 더 아낄수 있는가가 판단 기준이 됩니다. 그리고 실제 산업현장에서는 1번보다 2번이 비용이 더 절감됩니다. 그러므로 기업은 2번 선택지를 선택하게 됩니다. 막대한 돈을 들여서 노동환경을 개선하고 그 개선된 노동환경을 지속적으로 유지하는데 들어가는 비용보다... 그냥 지금처럼 X같은 노동환경 상태로 유지하면서 사망자 발생할때마다 유가족들한테 보상금 봉투 던져주는 비용이 더 저렴하거든요. 그래서 기업들이 해마다 수많은 산업 재해가 일어나도 구체적으로 노동환경을 개선하지 않고, 그냥 돈 봉투 던져주는 식으로 떼우는 겁니다.
대표적으로 아마존같은 업체가 있습니다. 아마존 창고 노동자들이 사측에 에어컨을 달아달라고 요청했지만.. 아마존은 에어컨 설치 비용 + 앞으로의 전기세 보다... 창고 노동자가 쓰러질때마다 엠뷸런스 불러서 병원보내는 비용이 더 저렴하다는 판단을 했고, 결국 에어컨을 달아주지 않았습니다.
1. 왜 수정 자본주의에서 신자유주의로 갔는가? : 그 사이에 월남전과 2번에 걸친 석유 파동 그리고 소련의 붕괴가 있었고 이 사건들은 결국 값싼 에너지와 무한의 소비라는 두가지 모순이 깨지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세상에 무한한 자원 따위는 없는데 마치 돈도 자원도 무한히 있는 것처럼 사용했고 결국 이 모순을 깨기 위해 기축통화라는 새로운 모순을 만들어낸게 지금의 세상입니다.
2. 한국의 신자유주의화는 원해서 된게 아닙니다. 외환위기에 의해 IMF에서 융자를 받는 조건으로 강제적으로 편입된 것이고 그 여파는 지금까지 오고 있습니다.(임시직이라는 제도가 비상상황 한정이라는 조건으로 통과된게 이때고 그 비상 상황은 지금까지 이어오고 있습니다.)
3. 부는 무조건 많은게 좋지 않냐라고 생각하는 분들이 많을테지만, 분배되지 않는 부는 차라리 없느니만 못한게 부가 많아지면 무조건 적으로 인플레가 발생하게 되어 있습니다.(근데 너무 극단적으로 이야기 해서 돈도 소비가 되면 꼭 그런건 아닙니다) 즉, 가진 사람은 더더욱 많은 잉여 자금이 발생하지만 잉여 자금이 없는 사람은 더더욱 쪼들리게 되는 가장 직접적인 원인이 됩니다.
1. 부는 어떻게 축적되는가. 자본주의의 원칙에 대한 공부 2. 지적대화를 위한 넓고 얕은 지식 '책' -> 나에게 부를 가져다 주는 수단 3. 생산수단을 독점하는 것은 기회를 잡는 것 4. 초기자본주의, 후기자본주의, 신자본주의 3개의 구분 5. 초기자본주의(자유경제) -> 세계 경제대공황과 함께 실패 6. 후기자본주의(정부개입에 의한 자유경제) ->문제점 해결측면(고용과 세금징수) -> 정부실패의 문제 7. 신자유주의 : 미국, 일본, 우리나라 적용 -> 가장 최적의 경제체제 8. 자본가는 더욱더 부자가 되고, 생산수단을 선점하는 구조
정부의 개입 여부를 어떻게 해야 할 것인지를 생각해보았어요 자본주의의 원칙에 대해서도 고민해보았어요 ㅎㅎㅎㅎ 책그림님 영상 잘 봤습니다!!!!
작가의 기본적인 관점이 반시장적인 걸로 보이고 부의 창출이 아니라 고정된 세팅에서 누구 몫이 더 많냐에 주된 관심을 둠 눈에 보이는 것은 확실한 것이므로 그 안에서 비교를 하다보면 그런 식으로 전개됨 물론 이런 식으로 하는게 더 인기가 있겠지만 글쎄 경제공황에 대한 설명도 이견이 있었고 암튼 그런데 새로운 것을 만들어내고 새로운 시장을 창출해야 모두에게 도움이 되지만 그 몫을 담당하는 것은 소수의 사람들이었음 이전에는 울나라가 더 잘사는 나라 따라하기로 겨우 여기까진 왔지만 돌파구를 스스로 찾아내야 하는데 축적된 역량이 부족한 거라고 이해함
'아, 와'만 여러번 감탄하면서 봤습니다. 수요 인플레이션에 대한 통화주의 학파의 비판, AD-AS, IS-LM, 재화의 특성에 따른 수요와 공급의 가격 탄력도 등을 그래프로만 보고 수리적으로 문제만 계산하면서 '개쓸데없네'라고 생각했던 저를 이 10분 영상으로 반성하게 해주신 당신을 존경합니다. 열심히 공부하고 책도 찾아 읽는 사람이 되겠습니다. 영상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맨큐의 경제학 책으로 경제학 공부하던 때가 떠오르네요 영상을 너무 잘 만드셨네요 ㅋㅋㅋㅋㅋ 그때 기억이 떠오를 정도면^^ 근데 그때 책으로 공부할때보다 더 쉽게 이해가 되는 게 신기합니다 ㅋ 예전 용어로 "개천에서 용난다" 이 말이 전에는 전문직과 같은 직업을 얻읆으로써 이루어졌다면 요즘엔 재산의 개념으로 바뀐거 같기도 합니다... 그만큼 사회가 또 많이 변했다는 반증이겠죠
없는 사람은 어딜가나 치이고 죽어요 사회주의 공산주의, 자본주의 어딜가나 가난한가람은 죽을때까지 피눈물 흘려요 그런데 자본주의는 넓게 생각하면 가난한 사람도 부자가 될 수 있어요. 절대로 사회주의 공산주의에 빠지지 마세요 그럼 모두가 가난해 질 수 밖에 없잖아요. 힘들더라도 모두 힘내세요!
자본주의 사회에 살면서 경제체제를 알아야 사회현상을 똑바로 볼 수 있군요. 초기 자본주의, 후기 자본주의, 그리고 지금의 신자본주의 끊임없이 인류의 발달과정이네요. 하지만 성장과 분배가 과연 적절히 이루어지고 있는지? 그래서 부의 양극화와 자본을 쥐고 있는 은행과 금융이 사회를 흔드는 느낌이 듭니다. 도움이 많이 되는 영상입니다. 감사합니다
1. 초기자본주의 노동자들이 사업자가 임금을 낮추면 계속 그일을 했어야 했나요? 다른 더 높은 임금을 주는 곳으로 이동하지 않나요?
2. 왜 노동자는 항상 노동자죠? 현실에서는 노동자도 주식투자등 자본가로 활동하고, 적지만 성공하는 사람도 있습니다. 제가보기에는 어떤 하찮은 일을 하든 누구나 쉽게 부자가 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주식투자자들이 실패하는 이유는 너무 단기적으로 투자하기 때문이고, 기업의 가치를 측정하는 법을 모르고 투자하기 때문이 아닌가 생각합니다.
3. 왜 생산수단을 1인만이 가지고 있지요? 현실에서는 많은 사람들이 생산수단을 소유하고 노동자도 생산수단을 소유하거나 할 수 있다라고 생각합니다. 현실에서는 주식회사들이 많이 있고, 대부분의 큰 회사들은 많은 수의 주식투자자들이 투자한 회사들입니다. 1인이 아니라 많은 사람들이 생산수단을 가지고 있는 것과 같습니다. 이것에도 오류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설명하기 쉽게 단순화했나요?
4. 생산수단을 가지고 있다고 모두가 성공하나요? 생산수단을 가지고 있지만 전세계적으로 경쟁해야 하기 때문에 실패하는 사람도 많다고 생각합니다.
5. 우리나라가 신자유주의 국가인가요? 아닌 것 같습니다. 여러가지가 있을 것 같지만, 1) 해고를 자유롭게 할 수 없습니다.(미국, 싱가포르는 해고가 자유롭고, 싱가포는 모르지만, 미국은 해고율이 높지 않다고 합니다. 재교육등 비용문제가 있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기타나라는 잘모지만 국제기구는 우리나라가 노동고용제도가 너무 경직되어 있어서 유연화해야 한다고 권장하고 있다고 합니다.) 2) 최저임금제가 있습니다. (싱가포르는 최저 임금제가 없습니다. 그러나 우리보다 소득수준이 2배이상 높아졌습니다. 아시아의 4마리용중 하나) 3) 부동산정책을 봐도 정부의 간섭이 너무 많아서 문제가 있었습니다. 4) 기타 많은 규제들이 있다고 합니다.
해고법, 최저임금제등이 노동자를 위해서 만들어졌다고 하지만...실제로 노동자를 위한 것이 되었나요? 아니지 않을까요? 해고법이 있기 때문에 일자리가 줄어들었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고용하려고 하는데 내가 망해도 해고할 수 없다면 기업이 과연 쉽게 고용하려고 할까요? 이번정부 최저임금법으로 최저임금 올려서 일자리가 많이 사라졌다고 합니다. 이렇게 노동자에게 유리한? 법이 많으면 투자자들이 과연 우리나에 투자하려들까요? 지금의 법들은 노동자에게 이익이 될 것 같다고 생각되는 법이 많다고 생각합니다. 노동법은 실제적으로 노동자에게 도움이 되는 법이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 기업의 사회 공헌 ] 대부분의 사람들은 기업하기 좋은 법이 만들어지면 노동자가 손해다라고 생각하는 것 같습니다. 그렇지만 일자리는 기업들이 잘 되어야 생기는 것이 아닐까요? 1. 기업은 일자리를 만들고 2. 세금을 국가에 내고 3. 소비자들에게 해마다 더 좋은 제품을 더 싸게 내놓습니다. 실제로는 더 높은 가격에 팔려고 하지만... 장기적으로 더 싸진다는 이야기입니다.(핸드폰 가격이 과거에는 1천만원?이었다고 합니다. 지금은 그때보다 성능도 훨씬 좋아졌고, 가격도 20~150만원선으로 많이 떨어졌습니다. 같은 150만으로 가격이 떨어지지 않았다하더라도 성능은 해가 갈수록 좋아지고 성능대비 가격이 하락하는 것입니다.
가격이 떨어진다는 것은 소비자들을 더 부유하게 만드는 것입니다.(가지고 있는 돈 + 앞으로 노동해서 벌 돈의 가치를 향상시켜주기 때문입니다) 기업이 만들어내는 제품때문에 생활수준도 해마다 발전합니다. 과거 임금도 할 수 없던 일을 가난한 사람도 할 수 있게 된 사회로 발전했습니다.
기업은 기업을 소유한 사람만을 위한 것이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노동자와 소비자, 투자자를 위해서도 필요한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기업하기 어려운 나라가 될 수록 모두가 힘들어지는 나라가 될 것이라 생각합니다.
[ 노동자를 위한 사회 ] 노동자를 위한 마음은 좋습니다. 그러나 그것이 실제로 노동자를 위한 것이어야 합니다. 공산당도 노동자를 위해 만들어졌습니다. 그러나 실제로는 노동자가 가장 힘든 나라가 되었고, 노동자가 가장 많이 수탈당하는 나라가 되었습니다. 노동자를 위한 마음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실제로 노동자를 위한 것이 되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
한가지 질문이 있습니다. 위 영상의 예시에서는 바리스타 3명이 단합해 해고나 임금 감소를 막는 것을 후기 자본주의의 문제처럼 나왔지만 사실 초기 자본주의에서도 똑같은 일이 일어날 수 있지 않나요? 그게 유일한 문제점이라면 후기 자본주의가 더 낫다고 할 수 있지 않을까요?
설명 흥미롭네요. 다만 아쉬운 부분이 있다면 신자유주의 예시에서 수요가 줄어든게 아니라 커피콩 값이 비싸졌다든지 등의 공급에 차질이 생긴걸 들어주셨다면 오일쇼크 내용을 더 잘 반영할 수 있었지 않나 합니다. 그리고 신자유주의 신조로 이어진 금융계의 행보로 2008년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가 일어났고 이로 인해 요즘은 신자유주의도 엄청난 회의론에 빠져있다는 점을 짚어주셨으면 더 좋았을 것 같아요.
아주 잘 정리된 영상이네요. 책 내용에 몇 가지 딴지를 걸자면, 자본가는 아무 것도 안하고 부만 늘려가는 존재로 묘사했는데 그렇지 않다고 봅니다. 어마어마한 자본과 기술력으로 어마어마한 생산성을 갖춘 삼성이 있습니다. 그런 자본, 조직력, 첨단 기술이라는 생산 수단 없이 단순히 삼성에 일하는 훌륭한 노동자들이 작은 회사나 프리랜서로 열심히 노동한다고 지금과 같은 부가 창출될까요? 그 생산된 부의 총액의 차이가 그 삼성이라는 생산 수단의 소유주가 기여하는 부분입니다. 다른 말로 기업가들의 사회적 기여입니다. 그들이 쌓는 어마어마한 부만큼 분명 사회 전체 노동자에 큰 경제적 기여도 하는 셈입니다. 이것을 부정하면, 사회 분위기는 좌파적 사고에 매몰되어 반시장적 정책에 힘을 실어주게 됩니다. 지금 문재인 정부 처럼요. 세상에 모든 사람들이 절대적 중산층이 되는 세상은 현실에 없습니다. 부의 불평등과 전체 부의 크기는 함께 갑니다. 부의 불평등을 강제로 억제해 나간다면 우리 사회 전체 부의 크기도 점점 줄어갈겁니다. 베네수엘라나 북한은 그 극단에 있는 예입니다. 세상에서 가장 불평등한 미국에서 사시겠습니까? 세상에서 가장 평등한 북한에서 사시겠습니까?
@sskim7690 1496
2020년 3월 12일 16:13자본주의에 살면서 자본주의를 모른다.
빨갱이를 욕하면서 공산주의를 모른다.
지금의 사회가 뭔지 모른다.
무지+민주주의= 개판
@Ithinkmore 662
2020년 3월 08일 16:09근로소득 보단 자본소득이 더 높다. 그리고 생산자가 되어라 .
@그마음알아주기방송 654
2020년 3월 09일 13:46자본주의를 이해하기 쉽게 카페운영으로 설명한 부분이 좋았네
@raedf7197 346
2020년 3월 11일 12:44최근 본 영상중에 젤 유익함ㅇㅇ
@twins0507 337
2020년 3월 11일 08:17한줄요약:돈이 돈을 번다!
mojochoi 259
2020년 3월 04일 06:35< 돈 때문에 마음이 고통스러운 사람에게 >
1. 문명의 시작 후 국가 시스템에서는 왕정과 귀족이라 하는 기득권 세력이 통제를 위해 가치를 조장하고, 나머지 국민들은 무조건적으로 따르게끔 학습시켰다. 이는 자본주의라는 말이 생기기도 전부터 국가 시스템이 해왔던 일이다. 다만 현대 자본주의에서는 자본이 국가를 뛰어넘었다.
자본가는 끝없는 부를 축적하기 위해 자본으로 국가 시스템의 기득권 세력을 완고히 했고, 종이 조각에 불과했던 화폐에 가치를 심어놓고 가치를 펌프질하며 인간을 물질의 노예로 전락시켰다. 자본주의는 인간의 욕심을 자극했고, 심지어 현대에 들어와서 심리라 하는 인간적인 특성까지 적용시켜 마케팅이라는 말로 현혹해 사람을 실제로 노예화시켰다. 이것 또한 자본주의의 구조적 특징 이외에 우리가 살고 있는 현대 자본주의의 특징이며, 절대로 간과하고 살면 안된다. 특히나 당신이 돈 때문에 괴롭다면 더욱더 그렇다.
2. 당신은 스스로 '왜 돈을 벌어야 하는지', '왜 끊임없이 소비하게 되는 것인지', '왜 돈에 집착을 하고 있는지' 객관적으로 생각해본 적이 있는가.
갓 태어난 아기들을 보면 알겠지만 인간은 태어날 때부터 돈을 벌기 위해, 돈을 쓰기 위해, 탐닉하기 위해 태어난 것이 아니다. 당신은 교육되었다. 당신을 둘러싼 모든 주변 환경이 당신에게 학습되었고, 당신의 사고 방식을 형성하고 있다. '이미 이런 사회에서 태어났으니까?' '남들 다 버니까?' '돈이 없으면 먹고 살 수가 없으니까?' '행복하기 위해?' 라는 말을 믿고 있다면, 당신은 아직 순수하다.
3. 물질을 차고 넘치게 갖고 있어도, 행복하지 않다는 것의 증거는 아주 가까이에 있다. 당신이 살고 있는 사회나 주변만 봐도 그렇다. 자본주의에서 기득권 세력이 부를 통해 행복함을 얻었더라면 사회는 이 모양 이 꼴로 돌아가지 않았을 것이다. 그들은 나서서 불합리와 부조리를 저지른다. 그들은 행복하지 않다. 마음의 여유를 갖고 있지 않다. 그들은 자신의 자본을 통해 움직여지는 세상에서 자아를 찾았으며, 자아가 물질과 동일시되어 오히려 그 자본을 지키기 위한 노력으로 인생을 허비하고 있다.
4. 인간은 언제나 욕구. 그 이상의 행복감을 꿈꾸며 살아왔다. 이는 천국을 꿈꾸게 했고, 술을 만들어냈고, 포르노를 만들어냈고, 돈이 행복을 줄 것이라는 믿음을 만들어냈다. 하지만 물질을 통해 얻을 수 있는 것은 편리함이며, 이 또한 욕구를 충족시켜줄 뿐이다. 욕구 충족은 쾌락이라는 아주 짧은 행복감을 느끼게 하는 행동 중 하나이지만 인간적 특성상 욕구는 한가지로 끝나지 않으며, 질리게 마련이다. 그래서 사회는 경제라는 명목하에 끊임없이 새로운 가치를 부여하며 욕구를 채우라 한다. 사람들의 자살과 생태계 파괴는 이런 지점에서 당연했다.
5. 인류는 약 200만년 동안 돈 없이 잘 살아 왔었으며, 문명은 발현 된지 채 1만년도 되지 않았다. 200만년 동안의 생존 사투가 엄청난 스트레스였다고 문명의 시초들은 말하겠지만 죽는것은 인간의 공통된 숙명이다. 생존을 뛰어넘은 인간은 오히려 자본과 사회에 갖혀 스스로를 죽이고 있다. 지금의 기술과 발전이면 생존의 위협 없이 모두가 상생할 수 있지만 상상과 환상이 우리를 상생하지 못하게 만든다. 돈을 벌면 행복할 수 있다는 사회의 얘기보다 자신이 무엇을 해야 행복한지 생각을 해봐야할 때이다. 이를 모르고 산다면 당신은 돈에 치여 남은 인간계의 삶을 아주 고통스럽게 살 것이다.
내 경우에 행복은 모두가 꿈꾸는 먼 미래의 성공보다 아주 가까운 지금에 있었다.
부디 모두가 돈 때문에 고통스럽지 않길 바라며.
Sikoo w 236
2020년 4월 01일 09:02중요한 것은 A가 어떻게 자본가가 되었나 입니다.
넘버99 217
2020년 3월 12일 18:55진짜 이해하기 쉽다.. 이게 바로 경제 쉽게 이해하기다... 와 최고다...
@drawthebook 210
2020년 5월 11일 14:01'지적 대화를 위한 넓고 얕은 지식' 1권 중 경제 챕터를 소개합니다!
보다 자세한 내용은 책을 통해 확인해보세요:)
https://coupa.ng/bB5CGK
@hyeonlee 193
2020년 3월 10일 06:41여러가지 책이랑 유튜브등 생각해보기에 좋은 자료들이 많아요. 그러나 한편으로 그러한 자료가. 특히 유튜브는 한쪽 성향으로 추천을 계속 해주기 때문에. 극단적이게 될 확률이 높아요. 항상 자신이 틀릴 수도 있다는 생각이 중요하다고 생각해요. 그리고 절대라는 정답은 없다는거.
@youtubeisdead2180 179
2020년 4월 15일 05:09결국 돈있던사람은 돈벌고 돈없던사람은 하루하루 지들끼리 박터지게싸우면서 산다.
김종민 124
2020년 4월 03일 13:397:34 ???: 누나가 구해주러 왔구나?
???: 아니 나도 잡혔어
타이밍이중요 123
2020년 3월 05일 23:20자본가가 되어야한다.
노동으로 열심히 일하면 월급을 더 많이 받겠지만 자본가는 2배이상 돈을 더 번다.
제블로그에도 경제적 자유에 관한 글들이(신사임당님 포함)많이 있습니다~ 경제적 자유에 관심이 없으시면 그냥 넘어가시면 됩니다
https://m.blog.naver.com/PostList.nhn?permalink=permalink&blogId=yjyyj1004
@듀스-c2b 103
2022년 9월 22일 19:02이런걸 초등학교 교육과정부터 넣어야 한다
어릴때부터 경제교육을 받아야한다
채사장 책중 제일 읽기쉽고 이해하기 쉬운책이다
고민해결해주는남자_고해남TV 102
2020년 3월 08일 19:48나래이션은 직접 하시는거아니죠?
목소리도 너무좋은데
기획도, 영상도 너무좋아요.
이해가 쏙쏙됩니다!!^^
책읽어주는남자 시온 92
2020년 3월 03일 21:37오래전 직접 겪어본 일인데
경쟁사들이 가격을 계속 내리니 많이 팔아도 계속 마이너스였죠; 정말 잘되면 본전
그래서 회사들도 많이 망하고 근무하던곳도 다른곳으로 인수되고;
직원들은 당연히 다른 일자리 찾고;
경쟁이 너무 심하면 결국 제살 깎아먹기가 되더라구요;;
Captain Guts 92
2020년 3월 04일 07:14☭ 갑분사 (갑자기 분위기 사회주의)
@제이트리캠퍼스 79
2021년 11월 16일 13:11책그림님의 그림을 보고있으면 항상 머릿속에 잘 들어오게 잘 정리해주셔서 부러워지더라구요...!
저희 콘텐츠도 책그림님의 그림처럼 잘 정리하는 역량을 길러서 좋은 내용을 세상에 널리 알려야겠습니다.
무한한 영감을 주셔서 감사합니다 :)
@dolchoi7093 71
2021년 6월 02일 21:49똑똑한 사람은 주식을 소유하면서 노동자인 동시에 자본가가 될 수 있죠
Play Guitar 70
2020년 3월 09일 20:29뭐야 목소리 무슨일이야
포스 61
2020년 6월 14일 23:288:19 이거 진짜 무서운말임
평생동안 일하는 노동력을 제공하는 사람들은 노동력을 고용하는 사람들을 절대 이길수 없음 따라서 부의 양극화는 절대 벗어나지 못함 가난한 이들의 자식들은 높은 확률로 계속 가난함 대부분의 사람들이 대를 이어서 자신의 계층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고착화됨
@Level__up__ 56
2022년 12월 26일 02:50진짜 이 책 꼭 읽어보시길 추천드려요 특히 이 책 읽고 나면 내가 정치관련 투표를 해야할 때 내가 진보를 지지할지 보수를 지지할지 판단하기 쉽게 도와줍니다 자신에게 도움이 되는 쪽이 어떤 쪽인지 선택하기가 더 수월해져요
@플라워킹-c1m 55
2020년 3월 11일 03:14상계동 4억8천 짜리 아파트가 6억2천이 되더니 1달쯤지나서 7억2천
해서 기막히네요......3개월동안 보았는데 부동산업자들이 허위매물로 장난질하는것을 포착했습니다 그곳 실거래는 최고가 4억8천 이구요 수수로 조금 벌려고 허위매물로 올리고 주민들 선동시키고 실제로 살사람들한테 사기치네요
@kangs1121 48
2020년 5월 20일 03:24자본주의에서 살아남는건 금융시장을 이해하는겁니다
Go Go Hong Kong (고고홍콩) 45
2020년 3월 20일 02:55와... 10분짜리 영상 넘기지 않고 본거 오랜만이네요! 쉽고 명료한 설명 감사합니다
@딱대-d1y 41
2020년 3월 08일 07:40요즘 시대는 유튜브만봐도 알수있음 자신이가진 지식,정보로 돈을버는 시대임.. 나온지 얼마되지도 않았음... 내 지식을 팔아먹어야함 그래서 배움이 더 중요한 시대고..
이성찬 40
2020년 3월 09일 10:06A를 보니까 백종원님이 생각나네요 ㅎㅎ
@bookcafe902 39
2023년 4월 02일 17:17이해하기 쉬운 설명과 아기자기 하면서도 깔끔한 그림체가 너무 좋네요!
@user-wt8cg8lq8w 36
2023년 11월 29일 08:46정말 훌륭합니다. 아주 기본적인 논쟁이지만 사람들이 아직도 인식하지 못했던 꼭 알아야할 내용입니다
김창성 36
2020년 3월 09일 19:48Ge라는 미국 회사를 보면 돈 많아도 안된다. 결국 저 a라는 친구는 아무 일도 안하고 돈을 많이 가져 간다고 하지만. 시장이 가만히 있을리 없지
G.C Jin 35
2020년 5월 13일 14:34그냥 자본주의 자체가 어떤 한계점에 봉착한거 같네요.
미래 학자들이 말하는 기술특이점이 빨리 도래해서 인류 문명이 다음 단계로 넘어가지 않는한 현 단계에서는 큰 정부든 작은 정부 체제든 계속해서 문제점이 발생할 겁니다.
이진서 33
2020년 3월 03일 22:36내용 잘 정리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책 읽고 싶은 마음이 팍팍 드네요 ㅎㅎ
JUSTICE 31
2020년 3월 11일 06:29와우! 단 10분의 영상만으로도 완전 유익하네요. 좋아요와 구독 꾸욱~하고 갑니다.
Niker 31
2020년 4월 05일 01:41이 책 진짜 좋음 사람이라면 한번은 읽어야 됨
5분상식 세계사 31
2020년 3월 06일 06:3304:10 판매하지 못한 원두를 먹으며 버티고 있는 C 를 보니 짠하네요;;
결국 A가 일을 하지 않고도 부를 축적해나갈 수 있는 것은 처음부터 자본을 가지고 있었던 덕이고,
노동자는 열심히 노력해서 다른 노동자들을 경쟁에서 이길 수 있지만, 자본가는 이길 수 없다는 게 진짜 정답인 것 같습니다.
@wavewook 31
2020년 3월 05일 02:48예전에는 뭔가에 꽂히면 미친듯이 빠져들었었는데 요즘은 의욕이 생기지를 않습니다. 이게 어떻게 부를 축적할 것인지를 고민 하는 것 보다 더 심각한 문제 같네요ㅜㅜ 책을 읽으면 다시 의욕이 생길까요? 절실함이 필요한데.... 무뎌지고 익숙해져서 자극이 되지를 않네요.
김성공TV 성공사관학교 29
2020년 3월 03일 20:15부자가 되려면 돈공부 경제공부는 기본이지요 정말 이해하기 쉽게 잘 설명한 책인거 같네요^^ 초보가 접근하기에 너무 좋을거 같습니다 좋은책소개 감사합니다
@꿈꾸는파란뮤즈 27
2023년 2월 19일 19:07깔끔한 정리 감사합니다!!
요약 능력자 이시네요👍
@김기한-m9k 27
2021년 5월 20일 15:28이 책의 기본이 되는 내용들은 이미 마르크스가 자본론과 공산당 선언에서
지적한 자본주의의 모순의 일부분과 대공항 이후의 경제학설사가 담겨져 있군요.
경제성장이란 무엇이며 과학과 철학이란 어떤 것일지, 깊이 있게 생각해 보기 위한
가장 작은 단위, 첫 걸음이 되는 기초교양 도서네요.
무관심한 대중에게 쉽고 유익하게 다가가기 위해서 이런 책을 읽는 삶도 필요합니다.
다만 현대사회에서 인구의 폭증이 우연이 아니라
자본주의의 양적 성장을 위한 경제활동력으로서의 생산과 소비를 담당하는 요소,
즉 자본주의 체제에 의해 생산하게 된 부산물이라는 사실을 깨닫게 된다면
자본주의 윤리학의 정체성도 올바로 알게 될 것입니다.
비관적이지만 현실적으로 사회인구의 양적 증대란
이 책에서 간접적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대자본가의 재산축적을 위해 태어나기를 권장되는 인구의 증식이 목적이지
인간다운 삶을 영위하기 위한 인격과 지성의 함양에 국가교육기관은 관심이 없습니다
최소한의 노동자로서 필요한 간단한 생산성 유지를 위한 수준의 지식교육만을 담당하는 위치가
현 신자유주의 체제하에 공교육의 현실이죠.
김영삼 전 대통령이 97년 해외순방 이후 대학교육에서의 신자유주의를 주창했을 때
누가 오늘날 지방대 미달에 학력인구 감소를 예측할 수 있었을까요?
인구의 감소는 정치의 실패요 자본주의의 붕괴를 예언하는 것이나 다름이 없지요.
지식을 통해 세상을 바꾸려는 자들보다
지식을 통해 권력에 봉사하려는 자들이 훨씬 많기 때문에
지금의 체계가 붕괴되지 않고 유지되는 것입니다.
한 마디로 성장을 위한, 앎을 위한 지적 추구가 특정 지식계급에 의해서 독점되고 사유화 되면서
권력에 더 복종적인 성격을 역사적, 사회관계적, 관습적으로 강화시켜 온 것입니다.
노동자 계급이 스스로 지식을 발견하고 깨닫으려는 노력이 없다면
이 사회를 변화시킬 질적인 성장도 기대하기 어렵게 될 것이고
자본주의를 그동안 양적인 성장으로 이끌어 갔던 인구의 증식도 더이상 기대할 수 없는
경제구조가 우리를 기다리고 있을겁니다. 새로운 경제공포가 다가오고 있군요.
필로어스 함께 철학하자 26
2020년 3월 05일 03:25오래 전에 지대넓얕을 읽었었는데 영상으로 보니 또 새롭고 이해도 잘 되네요!! 일러스트의 역할도 큰 것 같아요. 영상 감사합니다 :)
영프로페셔널네트워킹그룹 25
2020년 3월 14일 13:57자본주의. 돈이 없으면 살아가기 힘든 시대입니다. 많지는 않더라도 불편없이 살아가야 하기때문에 돈은 굉장히 중요해요
줄리엣 24
2020년 6월 22일 15:52목소리~~너무 또랑또랑 귀에 쏙쏙
@opjang0320 24
2020년 4월 11일 01:50유익하다..
@skfdkrkwk 23
2021년 6월 24일 19:13자본가는 갈수록 배가 불어가는데, 노동자는 노동자끼리 먹고 살려고 싸우고 있는게 현실이네요,,
피보나지 23
2021년 3월 19일 06:126:00 한국 현재상황
이상인 23
2020년 3월 10일 23:41잘 정리된 지식 감사합니다.
성장과 분배중 하나를 선택하는것이 아니라..
하나에 치우치는것이 아니라 합의점을 찾아야지요. ㅎ
미래엔 더 멋진 자본주의를 기대해봅니다.
COLORNOTE 컬러노트 22
2020년 3월 03일 21:00성장과 분배의 딜레마, 시사하는 바가 크네요..! 자본가들이 스스로 분배를 하는 사회가 되길 기원합니다..! 우리부터가 그런 마인드를 가집시다~:D
hyung kim 22
2020년 6월 19일 10:51제가 절대적으로 믿는거
부를 얻고 싶으면 부자들과 어울려라.
주식에서 돈을 벌고 싶으면 부자들이 노는 주식에서 놀아라.
하프타임 21
2020년 3월 03일 20:18나레이션도 잘 들리고 내용도 좋네요!
@기쁨조최고아웃풋리설 20
2022년 11월 20일 16:25서울대 카이스트 나오면 그냥 자본가 입장에서는 성능좋은 기계인거임. 자본가가 소유한 공장에 성능좋은 기계로 쓰이는거지ㅡ 성능좋은 기계가 많은 회사는 더더욱 수익이 많이 발생하고 자본가는 결국 더 부유해지는...
HDong kim 20
2021년 1월 08일 20:19이렇게 재밌는걸 학교에선 10시간 동안 지루하게 주구장창 설명하니 공교육이 망하는거지
milton jeong 20
2020년 5월 08일 00:15그런데 .. 수십,수백억 가지고도 사업이나 장사하다가 망하는경우가 다수 있다는건 잊지마세요. 자기 제품의 시장. 상권에서 1,2등 되어야 살아남을 거에요.
알림판 19
2020년 3월 09일 19:24예전에는 권력의 독재화였지만 지금은 자본의 독재화라는 말이 생각나네요.
아기돼지 19
2021년 1월 16일 20:12지금 이마트만 가도 하루종일 물건 팔고 시식코너 운영하고 계산해주는 사람보다
마트에는 오지도 않는 사장만 돈 엄청 벌고 있음
@novemberrain6690 19
2021년 10월 24일 07:54소유주는 가장 많은 부의 축척이 이루어지기도 하지만, 사업의 모든 리스크를 짊어지고 있습니다.
카페가 망하면 직원이 망하나요?
직원은 다시 취직하면 되겠지요.
하지만, 망한 소유주는 재기가 힘들지요.
이런 리스크를 감내하며 부를 축적하는 것입니다.
@Mahalik_L 19
2020년 4월 08일 08:26건물주는 임대료 지출이 없지만 그 공간을 대여해서 임대수익을 낼 수 있으므로 임대수익만큼 투자한 개념이 되는거죠. 반쪽짜리 지식.
@Noble.6 18
2020년 5월 13일 16:02A, C의 단점을 한가지 알려드릴게요.
기업의 제 1 목표는 비용절감입니다. 만약 기업의 노동현장에서 사고가 발생해서 노동자가 사망하게 되면 기업은 2가지 계산서를 앞에 놓게 됩니다.
1번 선택지는 막대한 돈을 들여 노동환경을 개선해서 더이상 사망자가 발생하지 않게 한다.... 2번 선택지는 노동환경을 개선은 하지 않고 앞으로 매번 사망자가 발생할때마다 노동자에게 사망 보상금을 지금한다.
인간적인 측면에서는 당연히 1번 선택지를 선택하는게 바람직하겠죠.
하지만 기업은 매우 합리적인 집단입니다. 기업의 선택기준은 인간애가 아니라, 합리성 그자체에 있으며 그 합리성은 어느쪽이 비용을 더 아낄수 있는가가 판단 기준이 됩니다.
그리고 실제 산업현장에서는 1번보다 2번이 비용이 더 절감됩니다. 그러므로 기업은 2번 선택지를 선택하게 됩니다.
막대한 돈을 들여서 노동환경을 개선하고 그 개선된 노동환경을 지속적으로 유지하는데 들어가는 비용보다... 그냥 지금처럼 X같은 노동환경 상태로 유지하면서 사망자 발생할때마다 유가족들한테 보상금 봉투 던져주는 비용이 더 저렴하거든요.
그래서 기업들이 해마다 수많은 산업 재해가 일어나도 구체적으로 노동환경을 개선하지 않고, 그냥 돈 봉투 던져주는 식으로 떼우는 겁니다.
대표적으로 아마존같은 업체가 있습니다.
아마존 창고 노동자들이 사측에 에어컨을 달아달라고 요청했지만.. 아마존은 에어컨 설치 비용 + 앞으로의 전기세 보다... 창고 노동자가 쓰러질때마다 엠뷸런스 불러서 병원보내는 비용이 더 저렴하다는 판단을 했고, 결국 에어컨을 달아주지 않았습니다.
그게 A입니다. 참.. 합리적이죠?
Stay Fit Keep Traveling 17
2020년 3월 11일 22:32생산수단을 가져야 한다. 노동사용자가 되어야 한다. 노동복지가 좋아졌다고 해도, 노동자는 착취 당한다.
김도헌 16
2020년 4월 19일 22:00고등학교 때 막연히 배우고, 익히기만 했던 것을 이렇게 10분 만에 정리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알고 있는 것과 다른 사람에게 설명하는 건 또 다르다는 것도 깨달았네요. 감사합니다.
다윗과 포도나무농부 16
2020년 3월 07일 02:13그래서 워렌버핏이 부자인거군요!!!
@시사원정대-q5e 15
2021년 6월 03일 09:40이미 태어날때 부터 계층은 만들어져 있다....
문제는 계층간 이동을 할수 있는지 없는지이고 이걸 풀어야할 숙제 또한
각자의 몫인듯 .....
그냥 오늘하루 행복할렵니다....
좋은하루 되세요!!!!
javaxer jack 14
2020년 8월 17일 16:39너무 간략화 시킨 내용이라 조금 더 보태자면
1. 왜 수정 자본주의에서 신자유주의로 갔는가? : 그 사이에 월남전과 2번에 걸친 석유 파동 그리고 소련의 붕괴가 있었고 이 사건들은 결국 값싼 에너지와 무한의 소비라는 두가지 모순이 깨지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세상에 무한한 자원 따위는 없는데 마치 돈도 자원도 무한히 있는 것처럼 사용했고 결국 이 모순을 깨기 위해 기축통화라는 새로운 모순을 만들어낸게 지금의 세상입니다.
2. 한국의 신자유주의화는 원해서 된게 아닙니다. 외환위기에 의해 IMF에서 융자를 받는 조건으로 강제적으로 편입된 것이고 그 여파는 지금까지 오고 있습니다.(임시직이라는 제도가 비상상황 한정이라는 조건으로 통과된게 이때고 그 비상 상황은 지금까지 이어오고 있습니다.)
3. 부는 무조건 많은게 좋지 않냐라고 생각하는 분들이 많을테지만, 분배되지 않는 부는 차라리 없느니만 못한게 부가 많아지면 무조건 적으로 인플레가 발생하게 되어 있습니다.(근데 너무 극단적으로 이야기 해서 돈도 소비가 되면 꼭 그런건 아닙니다) 즉, 가진 사람은 더더욱 많은 잉여 자금이 발생하지만 잉여 자금이 없는 사람은 더더욱 쪼들리게 되는 가장 직접적인 원인이 됩니다.
따뜻한 하루DAILY&BOOK 14
2020년 3월 05일 21:551. 부는 어떻게 축적되는가. 자본주의의 원칙에 대한 공부
2. 지적대화를 위한 넓고 얕은 지식 '책' -> 나에게 부를 가져다 주는 수단
3. 생산수단을 독점하는 것은 기회를 잡는 것
4. 초기자본주의, 후기자본주의, 신자본주의 3개의 구분
5. 초기자본주의(자유경제) -> 세계 경제대공황과 함께 실패
6. 후기자본주의(정부개입에 의한 자유경제) ->문제점 해결측면(고용과 세금징수) -> 정부실패의 문제
7. 신자유주의 : 미국, 일본, 우리나라 적용 -> 가장 최적의 경제체제
8. 자본가는 더욱더 부자가 되고, 생산수단을 선점하는 구조
정부의 개입 여부를 어떻게 해야 할 것인지를 생각해보았어요
자본주의의 원칙에 대해서도 고민해보았어요 ㅎㅎㅎㅎ
책그림님 영상 잘 봤습니다!!!!
aran kang 14
2020년 4월 09일 21:57그래서 이 영상은 소득주도성장을 옹호하는 책인가.
꼭 쌍용 ,gm군산,현대차 등의 강성 귀족노조가 떠오르네요
적폐라던 대기업 망하면 우리나라는 과연 지금의 국제위상을 가질 수 있을까요.
강국 중에 대기업없는 나라가 없는거 보면
중요한 선진국 요인으로도 보이는데....
@jun_smath 14
2023년 11월 05일 23:31이번 강의는 자본주의에 대해서, 돈에 대해서 정말 잘 만들어진 영상이네요!. 저도 막 자세히는 잘 몰랐었는데, 기본 원리랑 개념들에 대한 설명이 이해하기 쉽도록 잘 구성되어 있고 자료도 잘나와있어 유익하고 재밌게 시청했습니다.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이용호 14
2020년 3월 08일 21:14참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을 잘 해주네요감사합니다.
홍이파파 13
2020년 3월 12일 09:28그림까지 있으니 귀에 쏙쏙 들어오네요!
늘푸른참나리 13
2020년 3월 08일 08:02노동수익을 금융수익으로 돈이 일하게 하라
@SSOO776 13
2023년 1월 24일 22:59초등학교 아이들에게 추천해주고
싶은 책입니다~
어려운 정치.경제 용어라도 쉽게 써주시고 풀어주셔서 재미있게 봤습니다
감사합니다♡
김주찬 13
2020년 5월 14일 09:43"과연 돈이 사람의 것인가?"
"사람이 돈의 것인가?"
아보카도 12
2020년 6월 26일 13:58사업가들도 계속부가 유지되기도 힘들지 않나요?이렇게 단편적으로보면 편가르기가 되어어 오히려 무서운거죠
Joon Koh 12
2020년 3월 08일 17:58자본의 내재적 충동 ..... 나중에는 돈이 사람을 부리지.... 막스...
내구독자수드립 그만좀 11
2020년 3월 05일 10:23곧 대공황이 다시 올것만 같은 느낌...
simzo u 11
2021년 11월 08일 21:02Good job~ 10분에 자본주의 3종 심플 설명!
1:09 8:40 역시, 생산수단이 있는자와 없는자!
이 기본적인 출발의 차이가
기하급수적인 누적효과와 네트워크 효과로
나중에 엄청난 차이를 낳게함, 이것이 자본이자 권력이다
/ 창업정신과 경영철학의 기본!
레드불레이싱 10
2021년 5월 15일 22:54대한민국에서 산다면 자본주의에 대해서 제대로 공부하고 살아가자 ~~~ 국영수 잘한다고 다 잘 사는 시대는 끝이났다 돈을 알아야 돈을 잘 벌고 잘산다 !!!
@브랜드뉴-p8x 10
2023년 2월 09일 15:19보수와 진보 까지이해하게되는 좋은 내용이네요
Hy7c 10
2021년 1월 11일 14:48아파트가 아파트를 번다..
나는야노구 10
2020년 3월 11일 04:01책보고 한 번 놀라고
우리나라사람들 생각하는거 보고 두 번 놀라고
코팬채널 9
2020년 3월 04일 00:31뭔가 현재의 자본주의 체제에 대한 경고의 메세지 처럼 들리네요... 왠지 굉장히 무서운 사실을 알아버린 거 같네요... 마치 이번 영상은 영화 “조커”를 본거 같다는 느낌이 듭니다! 책그림님 감사합니다~^^
Woo Jac 9
2020년 3월 11일 10:12와 편집 능력 . 최고다!!!
이노도리 9
2020년 7월 29일 07:55저걸 불합리하다고 불평불만하기보다는 저 불합리를 자기가 어떻게 유리하게 이용할 수 있을지 고민하는 사람이 더 많아졌으면 좋겠네요
@Anjuuydhjjiskjhyys 9
2020년 3월 16일 14:47결국 신자본주의에서는 돈이 돈을 번다는 거네요. 예전에 누군가 했던 말이 생각나네요. 1000만원의 자산을 2000만원으로 만드는 것은 노력과 절약정신이 필요하지만, 100억이 200억되는것은 시간문제다. 같은 맥락이네요.
황세웅 9
2020년 3월 11일 18:48신자유주의는 국가의 최소한의 시장개입으로 알고있었는데..어느 하나의 경제체제가 좋다 보다는 유동적으로 조율하는게 좋을거같네요
@leonheart7576 8
2020년 6월 05일 01:50결국, 자본가와 노동자의 경제구조에서 노동자가 얻을 수 있는 무령의 가치 자산은 “무엇을 직장에서 배웠느냐” 입니다; 로버트 키요사키가 한 말ㅇ지요.
똑띠아줌마 8
2020년 3월 10일 17:17자본주의를 설명하른 최고의 영상입니다~👍
인성왕 8
2020년 4월 14일 10:35결론은 건물주 아들. 즉, 금수저가 취업난,흙파먹을일은 절대 없다. 대한민국에서는 .
랑그릿사 8
2020년 4월 11일 02:27와 역대급 유익한 영상이네....... 진짜 이런 댓글 안 다는데 최고인듯
@조성호-z2c 8
2023년 11월 24일 18:18좋은 내용 공유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Noiz_ 8
2020년 4월 12일 01:24탄력적으로 운영해야지요. 경기가 어려울땐 고용의 유연화와 세금 감면으로, 경기가 좋을땐 세수확보 하며 리세션때 쏠 총알을 확보해야합니다.
편리한형제 8
2020년 3월 18일 03:34와!우연히 이영상 보고 정말 잘보았습니다.
저는 책도 안보고 아이디어 하나만으로 월3억 벌고있지만
이영상을보고 이제부터라도 책을 봐야겠습니다.
콥붕이 8
2020년 3월 15일 12:12진짜 오랜만에 유튜브 알고리즘이 맨날 썸네일낚시영상만 주구장창 보여주다가
알차고 유익한 영상을 소개해주네
뚠뚜니 7
2020년 12월 29일 19:44결론:알바생은 건물주가 못된다. 자식,손주도
나니 7
2020년 6월 17일 04:561000만원이 5000만원이 되는 것은 어렵지만,
1억이 2억되는 건 쉽다.
@죄우기 7
2020년 3월 11일 00:46물가는 계속올라 2.30년 뒤면
10억이 5억 되고 1억이 5000 또는
그 이하로 계속 떨어질수 있습니다.
이영주 7
2020년 3월 03일 21:01정말 알기쉽게 설명해 주시네요~~
감사합니다^^
@이재형-w3b 7
2023년 10월 31일 19:53와.. 거시경제학과 신자유주의를 너무 쉽게 설명해주셨네요..
대단합니다..!
@7mikekim2 7
2020년 7월 06일 14:40작가의 기본적인 관점이 반시장적인 걸로 보이고 부의 창출이 아니라 고정된 세팅에서 누구 몫이 더 많냐에 주된 관심을 둠 눈에 보이는 것은 확실한 것이므로 그 안에서 비교를 하다보면 그런 식으로 전개됨
물론 이런 식으로 하는게 더 인기가 있겠지만 글쎄
경제공황에 대한 설명도 이견이 있었고 암튼
그런데 새로운 것을 만들어내고 새로운 시장을 창출해야 모두에게 도움이 되지만 그 몫을 담당하는 것은 소수의 사람들이었음
이전에는 울나라가 더 잘사는 나라 따라하기로 겨우 여기까진 왔지만 돌파구를 스스로 찾아내야 하는데 축적된 역량이 부족한 거라고 이해함
@쵸파에몽 7
2020년 3월 03일 21:02근데 사람들은 생산물을 더 선호하는것같아요
처음 이야기한 전제는 같은돈일때죠
생산수단은 돈이 많이 필요하지만 생산물은 적은돈으로도 구할수있죠
nap midday 7
2020년 3월 04일 08:30자본주의 의 단면을 잘 이해하기 쉽게 설명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대한민국 국민의 80%가 월200을 못벌고 있다죠
@june-p9y 7
2021년 5월 18일 04:24여기서 더 나아가 보수와 진보의 차이를 말하자면
보수는 전통적인 것을 그대로 유지하며 시장에 개입을 최소화하고 진보는 사회적 개혁, 즉 정부가 시장에 적극 개입한다는 특성이 있죠
권병준 6
2020년 3월 31일 11:21정말 이해하기 쉽게 잘 풀어주신것같습니다
방랑자 6
2020년 3월 27일 12:35와 미쳤다.. 내용이 너무 고퀄이라
J J 6
2020년 4월 11일 08:48계속 진지하게 보다가
마지막 `지대넓얕`에서 빵 터졌네 ㅋㅋㅋ
@자기암시 6
2021년 8월 19일 21:08자본주의의 가장 기본은 주식인데....한국은 주식을 도박으로 생각함......절대 부를 축적못한다....
@가전수리맨 6
2023년 12월 25일 13:49아주 잘들었습니다 부의축적 이루워봅시다
그프 6
2020년 3월 07일 15:04오랜만에 들어보는 책그림 영상인데 콧소리가 많이 없어지셧네요 ㅎ 덕분에 좋은정보알아갑니다. 지대넓얕 책이 어려워보엿는데 한번 도전해봐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문현우 6
2020년 6월 21일 16:17너무 쉽게 이해가게 설명 해 줘서 자식들에게도 공유하게 되었네요~ 감사^^
Sun Gil Cho 6
2020년 5월 13일 13:46후기 자본주기가 빈부 격차를 줄였다 라는 이야기는 잠시 그랫다 정도로 . 결론은 모두가 그지이거나 몇몇 기업가 자본가들만 부자로 되는거죠.
Cataclysm HW 6
2020년 3월 03일 22:27깔끔하게 책을 소개 해 주셨네요
요즘은 인구가 늘어나고 기술의 발전함에 따라 자본주의 시스탬이 한계에 달했다고들 하더군요
기존의 자본시스탬을 뛰어 넘을 새로운 시스탬이 나와야 한다던데 어떻게될까요?
미국이 그래서 우주로 진출할려고 하나 싶기도합니다.
명탐정 6
2021년 5월 16일 14:09아무리 책홍보라고 해도 양질의 콘텐츠 영상이네요
하태하태 6
2020년 3월 12일 15:30이분 배우신 분이네
김 준명 5
2020년 3월 12일 07:47영상보니까 혁명 마렵다
김일환 5
2021년 3월 15일 10:29부를 늘리고 싶으면 LH가 답임ㅋㅋㅋ
@taisoonkim4071 5
2022년 7월 15일 23:21감사드립니다.
Jin Kim 5
2020년 3월 15일 05:59역시 건물주!
이성원 5
2020년 3월 06일 22:11굉장한 컨텐츠네요... 정말 잘 봤습니다 :)
Lua-Log 5
2020년 12월 18일 11:00와 영상 너무좋아요. 감동하고 갑니다.
10000music(Ten Thousand Music) 5
2020년 3월 12일 11:20와 이해가 쏙쏙되네요
오뉴월 5
2020년 3월 09일 02:113:05 고급화해서 돈을 올려버리기...
독거게이머 5
2020년 7월 31일 11:00성장과 분배의 문제라기 보단 부패와 비도덕의 문제가 더 심각.
Charles Jang 4
2020년 3월 09일 14:20최대한 빨리 내가 돈의 흐름을 지배할수있는 위치로올라가야할듯
서이 4
2020년 3월 03일 20:011빠
uno 4
2020년 4월 07일 00:22최고의 광고 ㅋㅋㅋ 너무 사고싶어 지게 하는 영상이네요
경돈 4
2020년 4월 16일 09:39아마존이 바로 생각나네요 ㅋㅋ
Stephanie Williams 4
2020년 4월 20일 19:50영국으로 시집와서 영국인 시아버지가 그러더군요... 뭐하러 열심히 일하느냐고...회사 사장만 부자되게 만드는데... 그러시는 걸 오늘에야 이해하게 되었네요...ㅎㅎㅎㅎ
배오리 4
2020년 3월 05일 03:17최고다 이 영상
왕손이여행스토리 4
2020년 9월 11일 14:02좋은 강의 잘 듣고 갑니다. 늘 건강하시고 행복하세요^^
Clark 4
2020년 3월 16일 21:18아...기승전 건물주자너ㅋ
내가누군가의첫사랑이였으면좋겠다 4
2020년 4월 08일 10:31나 왜 빵 선택했냐?
seon kim 4
2020년 3월 03일 23:07이해가 쏙쏙되네요~~ 좋은 내용 감사합니다~
장기봉 4
2020년 4월 12일 20:43이 책 군대에서 읽었는데 딱 이 부분만 다시 읽고 싶었는데 요약 감사합니다 유익하네요
비평가 4
2021년 11월 13일 11:33'아, 와'만 여러번 감탄하면서 봤습니다. 수요 인플레이션에 대한 통화주의 학파의 비판, AD-AS, IS-LM, 재화의 특성에 따른 수요와 공급의 가격 탄력도 등을 그래프로만 보고 수리적으로 문제만 계산하면서 '개쓸데없네'라고 생각했던 저를 이 10분 영상으로 반성하게 해주신 당신을 존경합니다. 열심히 공부하고 책도 찾아 읽는 사람이 되겠습니다. 영상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k Y 3
2020년 4월 07일 20:55이분 성우인가요..?? 프로 같은데..
Joonsoo Shin 3
2020년 10월 27일 13:40사람 농락하는 최고의 정보 ㅎㅎ
김명진 3
2020년 3월 04일 23:12성장과 분배, 자본주의와 신자유주의 등 경제 개념을 짧게 배우고 갑니다. 지적 대화를 위해 책 읽어봐야겠네요 :)
숙박은원픽 3
2020년 12월 17일 10:20이렇게 잘 요약해주시다니 너무 감사합니다. 최고
전창 3
2020년 3월 11일 20:33너무 재밌는데?
마랑가뚜TV-marangatu 3
2021년 11월 08일 19:56단 10분만에 영상과 나레이션으로 이해하기 쉽게 설명해 주셔서 좋았습니다..... 너무 귀한 영상 감사드립니다.... 응원해 드리겠습니다...
문동준 3
2020년 3월 17일 18:01와 브리핑끝내준다
답글달지말아주세요피곤해요 3
2020년 5월 31일 13:09재밌게 설명해주셔서 너무 좋다
전지현 3
2021년 5월 03일 12:09원두를 먹으며 존버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무작정루어 3
2021년 2월 21일 05:35그 책을 읽는다고 내가 자본가가 될 순없다 ㅋㅋㅋㅋ
정민재 3
2020년 5월 10일 23:35이책 읽어보길 추천해요. 특히 청소년한테. 정말 유익한 내용이 많은 책입니다
lalala 3
2021년 4월 11일 11:48요즘은 경제적 자유를 얻어 모두 자본가가 되어라고 독촉하는 분위기.. 하지만 분명 누군가는 자본가를 위해 일하는 노예로 살아야하는 구조
leon heart 3
2020년 6월 05일 01:48자본주의의 장점, 단점, 소유권과 임대의 차이, 칼 마르크스의 문제제기, 마르크스주의가 자본가와 노동자 사이의 긴장에서 노동을 중요하게 여기는 배경 등이 잘 정리되었습니다. 땡유.
차히 로그 chahee 2
2021년 11월 11일 11:46목소리 내용 전달력 다 모든게 완벽한 영상이에요 출근길에 들으면서 가기에 너무 좋네요 유익한 영상 감사해요❤️
Eunice북런치 2
2020년 3월 05일 05:29책그림님 영상 처음 보는데 설명을 너무 잘해주시네요~ 대단하시고 감사합니다.
m g 2
2021년 6월 22일 15:598:20 어이없네.
오공주네일 2
2020년 4월 05일 17:29역대 봤던 최고의 지식프로다~!!
냉파 2
2020년 6월 24일 22:24노동자와 자본가는 역전될수 없는 구조네요...부를 손에 쥐려면 결국엔 잉여상품이 아닌 즉 생산을 할수있는 자본이 핵심이니까요
@Project25-s9u 2
2023년 2월 14일 19:39뉴딜은 현재 미국 경제학계에서 실패한 정책으로 평가되고 있고 뉴딜이 없었으면 경제공황이 더 빨리 극복 됬을꺼란게 주류 의견인데 여긴 진짜 짧고 얉은 지식을 알려주는 채널 이구나;; 처음 말한게 그냥 빈말이 아니라 팩트였음;;;
@uuiko10 2
2023년 2월 17일 15:24우리는 은행의 노예 입니다.
연어초밥 2
2020년 12월 06일 01:4510분 순삭이었습니다 감사합니다
@jybJyb-r3y 2
2024년 2월 02일 11:47정말 잘 만드셨네요~~~ 대단해요!
Luc k 2
2020년 3월 11일 19:12우오 어제 읽던 책이여서 듣다가 놀랐네요
고양이 키우고 싶은 사람 2
2020년 4월 05일 10:03ㄹㅇ 이시대의 띵저임... 무조건 필독서로 1년에 한 번씩 읽어야함
최성현 2
2020년 3월 12일 21:45영상이 참 깔끔하고 보기 좋습니다 !!
K북 큐레이터 2
2021년 2월 20일 08:24책도 쉽고 재미있게 읽었는데 영상은 더 쉽게 만드셨어요. 잘 봤어요 ^^
Daniel Jang 2
2021년 1월 14일 22:52맨큐의 경제학 책으로 경제학 공부하던 때가 떠오르네요
영상을 너무 잘 만드셨네요 ㅋㅋㅋㅋㅋ 그때 기억이 떠오를 정도면^^
근데 그때 책으로 공부할때보다 더 쉽게 이해가 되는 게 신기합니다 ㅋ
예전 용어로 "개천에서 용난다" 이 말이 전에는 전문직과 같은 직업을 얻읆으로써 이루어졌다면
요즘엔 재산의 개념으로 바뀐거 같기도 합니다... 그만큼 사회가 또 많이 변했다는 반증이겠죠
@Choi_yun 2
2023년 11월 01일 23:24필요할때마다 번갈아가면서 사용하면 되지 뭐 한쪽으로 치우칠 필요는 없지 그렇게 하기 위해서는 국민들이 많이 배워야겠지만
김민지 2
2020년 7월 23일 17:36시험 1주일남기고 이제 경제공부하고 있다니... 근데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100점 맞아오겠습니다
달려라최배우 2
2020년 12월 29일 15:25마지막 신자유주의 A의 시장독점 설명에서 백종ㅇ씨가 확 떠오르네요~
커피, 술, 고기 등 뭐 손안댄대가 없으니~
yesign lee 2
2020년 3월 04일 21:37나레이션이 바껴서 어색 했지만 바로 적응 했습니다. 언제나 좋은 책 좋은 내용 감사드립니다.
박태준 2
2021년 5월 17일 20:38영상 자체로 본다면 자본주의 이해의 기본이 되는 영상이네요
이 내용을 포함하는 책인 지대넓얍 시리즈 자체가 모든 분야에 의미있는 내용을 다루고 있어서 뭔가 안정장치가 마련된 느낌이 드네
@Happy-i1w4c 2
2024년 4월 28일 23:31감사합니다 정주행중입니다
인생은한번뿐 2
2020년 5월 29일 22:58자본가!
한인희 2
2020년 4월 13일 08:31정말 정리를 잘 해주신 것 같습니다.
낙수효과를 기대하느냐 분수효과를 기대하느냐에서 딜레마가 오는 것 같네요. 위와 비슷 한 내용의 책이 "부자의 경제학, 빈민의 경제학"인데 이 책도 리뷰해주셨으면 합니다 ㅎㅎ
레고쏘니 1
2020년 3월 11일 11:16wow~ 이해가 쉽게 되는군요~! 목소리도 좋으시고 영상도 너무 좋습니다. 많은 도움이 됐습니다. ^^ 구독 누르고 갑니다~~
엘리트복싱MASTER 1
2020년 3월 13일 19:11슬픈현실이네...
Y Kenny 1
2020년 4월 28일 18:05후기자본주의랑 신자유주의를 적절히 섞으면 될 것 같은데요.
사해는모두형제 1
2020년 5월 22일 05:20이게 지금까지의 경제공식이었지만 이제 점점 노동력이 필요가 없어지는 사회가 올것인데 그때는 경제체제가 어떻게 개편이 될까요?
Overkill 1
2020년 5월 29일 23:46요약하면 그냥 돈이 돈을 번다 없는자는 그냥 죽으라는거
우나 1
2022년 8월 04일 22:30와 진짜 자본주의에 대해 이해가 쉽게 되었습니다
진짜 최고입니다 짱짱! 감사합니다
객석 1
2020년 4월 20일 22:01결론= 부동산 하라
sakurapcj 1
2020년 3월 13일 02:12지대넓얕이 제목그대로 기본적인 소양을 알기는 좋은책이라고봐여. 이해안가면 팟캐스트 팟빵도 들어보세요.
이동현 1
2021년 6월 11일 02:158:01~8:51 이게 핵심
미용실도 저 설명 그대로 운영되고있다.ㅋ
스팸마요덮밥 1
2020년 3월 12일 00:51지대넓얉 정말 좋은 책이죠 2권도 읽어보시길 강추합니다
별사탕아저씨 1
2021년 10월 22일 19:53한번에 이해되는 설명 오랜만입니다 감사합니다
L. Daniel 1
2020년 3월 07일 16:37좋은 영상감사합니다.👍👍
써드콘 1
2020년 9월 12일 12:54자본주의른 알기쉽게 이해했어요
고맙습니다
서미도 1
2020년 12월 03일 10:39너무 좋은 개념 !! 고마워요 책그림!!
빚에서빛으로 1
2020년 4월 11일 19:59건물주가 최고지
vsmst vsmst 1
2020년 7월 12일 06:31자본주의 기본원리를 핵심적으로
설명해 주셨네요
최고입니다
유튭ᄇᄂᄇ 1
2020년 4월 16일 11:14나래이션 전문가급이네요...ㄷㄷ
이재찬 1
2020년 3월 09일 17:01.참 좋은글이네요 ㅠㅜㄴ
RedBlue Dolby 1
2020년 3월 07일 20:59너무 재밌네요....
@성공의비결 1
2024년 9월 07일 23:00정말 귀한 영상, 만들어주셔서 감사합니다.
DongJu Kang 1
2020년 4월 15일 11:24쉽게 성장과 분배에 대해서 이야기 해주셨네여.
가츠야마하 1
2020년 3월 12일 23:07재밌네요
Fighting Korea 1
2020년 3월 15일 00:33후기 자본주의 같은 건 우리나라 노인 일자리만 만들고 있다.
@inyo715 1
2020년 3월 24일 13:19모든것은 그것을 시장에 내놓기 전 즉 가치를 매기기전에는 한낮 물건에 불과하다. 그것에 어떻게 가치를 매기냐 어떻게 사람들에게 그것의 가치를 알리냐에 모든것이 달라진다.
꿀벌이 1
2020년 7월 24일 18:46없는 사람은 어딜가나 치이고 죽어요
사회주의 공산주의, 자본주의 어딜가나 가난한가람은
죽을때까지 피눈물 흘려요
그런데 자본주의는 넓게 생각하면 가난한 사람도 부자가 될 수 있어요.
절대로 사회주의 공산주의에 빠지지 마세요
그럼 모두가 가난해 질 수 밖에 없잖아요. 힘들더라도 모두 힘내세요!
figmarion 1
2021년 1월 11일 17:36힘의 균형은 유지되어야 한다.
SJ OH 1
2020년 4월 09일 14:23단순 비교로 자본주의를 논할 수는 없다. 합리주의와 탐욕주의와 인간의 본능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자본주의의 해결책이 나온다..
블랙스완(BlackSwan)TV 1
2020년 10월 30일 19:16좋은 내용 인사이트 있게 소개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Xenos X 1
2020년 3월 08일 22:53외줄타기를 할때에 우리는 오른쪽, 왼쪽 계속해서 왔다 갔다 흔들리면서 앞으로 나아간다. 한쪽으로만 몸의 중심을 기울여서 바닥으로 떨어지는 바보같은 선택을 하는 베테랑 곡예사는 없다..
cho sy.
2021년 6월 04일 13:37지대넓얕은 약간 자유시장에 대해 회의적인 관점으로 보고있다고 느껴짐
당신의시간을아껴드립니다
2021년 12월 24일 09:14항상 좋은 이야기 들려주셔서 감사드립니다 ^^
임선생tv
2020년 7월 25일 07:18저도 이런컨텐츠 만들고 싶네요ㅜㅜ
ONLY JESUS축복합니다
2020년 3월 19일 21:35유익합니다. 감사합니다
구현회
2020년 3월 05일 15:08와~요약 및 설명 멎지네요. 잘보고 갑니다~건강하시길 바랍니다
리본
2020년 8월 22일 22:35대기업이 잘나갈 수 밖에 없는 이유군요..
주식투자 어디에 해야할지 좋은 통찰인 것 같습니다.
조준교
2020년 3월 09일 19:35근시일안에 꼭 읽어봐야 할듯합니다 !!! 좋은 영상 감사드려요 !
김보섬
2021년 3월 08일 11:37늘 감사합니다
성공명언 : 하루 5분 인생 혁명
2021년 4월 22일 18:35깔끔한 정리, 유익한 시간이었습니다^^
Fine J
2020년 3월 11일 10:53영상 좋아요~
윤인선
2022년 1월 27일 00:35공부할수록 어려운 경제를..기초를 이렇게 쉽게 또 짧은시간안에 이해할 수 있게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구독을 누르게합니다.
무적권
2021년 11월 22일 09:33너무잘배웠습니다! 감사합니다!
색보
2020년 4월 17일 12:05책잃는건 시른데 이런걸 알고싶을때 이런거 너무 좋아여
Junseob Lee
2020년 5월 17일 18:57이 책 재밋엇죠..
와따시
2020년 4월 15일 20:23과정보다 결과가 중요한 줄 알지만 현실은 과정이 더 중요한게 세상의 흐름인듯..
sam j
2020년 4월 15일 06:04감사.페북공유.
AaronK Playground
2020년 4월 10일 04:36자세한 설명 감사합니다
박동성
2020년 5월 18일 22:09경제를 까페에 비유한게 정말 경제를 이해하기 되게 쉬웠습니다.
Haber Gezi
2021년 3월 26일 02:47와 ... ㅂㅏ바티ㅂㅣ 실화냨ㅋㅋㅋ 진짜 개쩌네 ;;
gerrard park
2020년 3월 11일 01:31와우.. 대박..
v ous
2021년 5월 07일 17:20마태복음 : 부자는 더 부자가 될것이요..가난한 자는 지금 있는것마저 뺏기리라..
이애경 - 경스토리 (힐링하는 삶)
2021년 3월 22일 05:12스테그 플레이션^^ 배우고 갑니다^^
summer_ B 여름비
2022년 1월 25일 00:03제가 과제제출 때문에 필사를 썼는데...이 영상이 딱 맞아요. 너무 좋아요.
혹시 이걸 카페에 공유해도 될까요?
Merhabalar AQQ
2021년 3월 26일 02:46아닠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나만 알고 싶었는데 죽인다 ㅂㅏ바티ㅂㅣ
송화인터내셔널
2020년 7월 24일 17:06와 성우님 목소리 귀에 쏙쏙박히네요,.....
Miss E
2020년 4월 05일 04:29이런영상 너무 좋아요 많이 많이 올려주세요!!! 💝💝💝
Ee D
2021년 4월 30일 07:02바로앞에 펼쳐놓고있던 책이여서 깜짝놀랐네 ㄷ
김용은
2020년 3월 11일 21:36좋은 장보 감사
@부돈남
2024년 7월 12일 12:37목숨보다 안아까운 나의 자식들 추후에 바램을 좀 더 믿어봅니다 자식들도 부모를위해 희생해줄수있는 세대로 태어낫기를 ㅠㅠ !
김민석
2021년 10월 04일 20:20자본주의 사회에 살면서 경제체제를 알아야 사회현상을 똑바로 볼 수 있군요. 초기 자본주의, 후기 자본주의, 그리고 지금의 신자본주의 끊임없이 인류의 발달과정이네요. 하지만 성장과 분배가 과연 적절히 이루어지고 있는지? 그래서 부의 양극화와 자본을 쥐고 있는 은행과 금융이 사회를 흔드는 느낌이 듭니다. 도움이 많이 되는 영상입니다. 감사합니다
Remind PC
2020년 7월 27일 22:21어느 하나 모든 사람을 만족시킬 수 없다....결국 장단점을 골고루 취하여 최대한 많은 사람이 누릴 수 있게 계속 시도하는 ...........
멘탈쌤 - 멘탈관리&케어
2020년 3월 03일 20:10오~ 2등~~^---------^ V
방탄최고
2021년 1월 14일 00:13설명을 참 잘하세요.학교 선생님들이 이렇게 설명하시면 참 좋겠어요
@cm-bl6gn
2021년 8월 08일 14:49다음은 질문일 수도 있고, 오류가 있다고 생각되는 것입니다.
1. 초기자본주의 노동자들이 사업자가 임금을 낮추면 계속 그일을 했어야 했나요?
다른 더 높은 임금을 주는 곳으로 이동하지 않나요?
2. 왜 노동자는 항상 노동자죠? 현실에서는 노동자도 주식투자등 자본가로 활동하고, 적지만 성공하는 사람도 있습니다.
제가보기에는 어떤 하찮은 일을 하든 누구나 쉽게 부자가 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주식투자자들이 실패하는 이유는 너무 단기적으로 투자하기 때문이고, 기업의 가치를 측정하는 법을 모르고 투자하기 때문이 아닌가 생각합니다.
3. 왜 생산수단을 1인만이 가지고 있지요?
현실에서는 많은 사람들이 생산수단을 소유하고 노동자도 생산수단을 소유하거나 할 수 있다라고 생각합니다.
현실에서는 주식회사들이 많이 있고, 대부분의 큰 회사들은 많은 수의 주식투자자들이 투자한 회사들입니다.
1인이 아니라 많은 사람들이 생산수단을 가지고 있는 것과 같습니다. 이것에도 오류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설명하기 쉽게 단순화했나요?
4. 생산수단을 가지고 있다고 모두가 성공하나요?
생산수단을 가지고 있지만 전세계적으로 경쟁해야 하기 때문에 실패하는 사람도 많다고 생각합니다.
5. 우리나라가 신자유주의 국가인가요?
아닌 것 같습니다. 여러가지가 있을 것 같지만,
1) 해고를 자유롭게 할 수 없습니다.(미국, 싱가포르는 해고가 자유롭고, 싱가포는 모르지만, 미국은 해고율이 높지 않다고 합니다. 재교육등 비용문제가 있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기타나라는 잘모지만 국제기구는 우리나라가 노동고용제도가 너무 경직되어 있어서 유연화해야 한다고 권장하고 있다고 합니다.)
2) 최저임금제가 있습니다. (싱가포르는 최저 임금제가 없습니다. 그러나 우리보다 소득수준이 2배이상 높아졌습니다. 아시아의 4마리용중 하나)
3) 부동산정책을 봐도 정부의 간섭이 너무 많아서 문제가 있었습니다.
4) 기타 많은 규제들이 있다고 합니다.
해고법, 최저임금제등이 노동자를 위해서 만들어졌다고 하지만...실제로 노동자를 위한 것이 되었나요?
아니지 않을까요? 해고법이 있기 때문에 일자리가 줄어들었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고용하려고 하는데 내가 망해도 해고할 수 없다면 기업이 과연 쉽게 고용하려고 할까요?
이번정부 최저임금법으로 최저임금 올려서 일자리가 많이 사라졌다고 합니다. 이렇게 노동자에게 유리한? 법이 많으면 투자자들이 과연 우리나에 투자하려들까요?
지금의 법들은 노동자에게 이익이 될 것 같다고 생각되는 법이 많다고 생각합니다. 노동법은 실제적으로 노동자에게 도움이 되는 법이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 기업의 사회 공헌 ]
대부분의 사람들은 기업하기 좋은 법이 만들어지면 노동자가 손해다라고 생각하는 것 같습니다. 그렇지만 일자리는 기업들이 잘 되어야 생기는 것이 아닐까요?
1. 기업은 일자리를 만들고
2. 세금을 국가에 내고
3. 소비자들에게 해마다 더 좋은 제품을 더 싸게 내놓습니다.
실제로는 더 높은 가격에 팔려고 하지만...
장기적으로 더 싸진다는 이야기입니다.(핸드폰 가격이 과거에는 1천만원?이었다고 합니다. 지금은 그때보다 성능도 훨씬 좋아졌고,
가격도 20~150만원선으로 많이 떨어졌습니다. 같은 150만으로 가격이 떨어지지 않았다하더라도 성능은 해가 갈수록 좋아지고 성능대비 가격이 하락하는 것입니다.
가격이 떨어진다는 것은 소비자들을 더 부유하게 만드는 것입니다.(가지고 있는 돈 + 앞으로 노동해서 벌 돈의 가치를 향상시켜주기 때문입니다)
기업이 만들어내는 제품때문에 생활수준도 해마다 발전합니다. 과거 임금도 할 수 없던 일을 가난한 사람도 할 수 있게 된 사회로 발전했습니다.
기업은 기업을 소유한 사람만을 위한 것이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노동자와 소비자, 투자자를 위해서도 필요한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기업하기 어려운 나라가 될 수록 모두가 힘들어지는 나라가 될 것이라 생각합니다.
[ 노동자를 위한 사회 ]
노동자를 위한 마음은 좋습니다. 그러나 그것이 실제로 노동자를 위한 것이어야 합니다.
공산당도 노동자를 위해 만들어졌습니다. 그러나 실제로는 노동자가 가장 힘든 나라가 되었고, 노동자가 가장 많이 수탈당하는 나라가 되었습니다.
노동자를 위한 마음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실제로 노동자를 위한 것이 되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
김민철
2021년 10월 12일 08:26성장도 필요하고 분배도 필요하지만 성장이 훨씬 어렵고 분배는 나눠주기만 하면되니 훨씬 쉽다 중요성면에서 이둘은 비교가 안됨
PTR L
2020년 7월 10일 00:53일부이지만 책의 내용을 정말 잘 설명했네요! 가끔 책의 내용을 지멋대로 해석하는 책튜버들 때문에 ㅂㄷㅂㄷ...
1퍼센트
2022년 2월 22일 11:27이렇게 쉽게 설명해주시다니 저같이 지식이 많이 부족한 사람도 잘 알아들을 수 있게 만들어주셨네요 감사합니다 ㅎㅎ
사주페이트TV
2020년 9월 30일 18:28쉽게 이해했습니다.
강비둘
2020년 5월 25일 01:18격차에 대한 설명은 자본가에 의한 자본쏠림에다가 화폐시스템으로 인한 통화량 증가도 더해져야한다
인생박살
2020년 9월 01일 13:15우와... 책으로 보는것보다 더 뽝!! 오네요!!
돈미새
2020년 5월 02일 23:44ㅋㅋㅋㅋ
투자의 모든것
2020년 3월 18일 10:26이 책은 책을 많이안본 제가 접하기엔 조금 어려웠는데 이렇게 영상으로 보니 이해가 한결쉬워졌네요 감사합니다
s보름달
2020년 5월 27일 09:12슬픕니다ㅠ
All For One
2021년 4월 25일 12:04부에 관한 영상! 감사합니다! ㅎㅎ
구레이
2021년 3월 20일 10:23한가지 질문이 있습니다.
위 영상의 예시에서는 바리스타 3명이 단합해 해고나 임금 감소를 막는 것을 후기 자본주의의 문제처럼 나왔지만 사실 초기 자본주의에서도 똑같은 일이 일어날 수 있지 않나요? 그게 유일한 문제점이라면 후기 자본주의가 더 낫다고 할 수 있지 않을까요?
Bc A
2021년 2월 21일 11:46요약 : 내가 스타크래프트에서 Show me the money치면 이영호, 이제동이 와도 못이긴다는 뜻
AI Song Master
2021년 3월 26일 02:51ㅂㅏ바티ㅂㅣ 들어가서 영상봐라 ㅋㅋ 후회없다;; 여캠영상 개지린다
JJA MI
2020년 4월 13일 21:52설명 흥미롭네요. 다만 아쉬운 부분이 있다면 신자유주의 예시에서 수요가 줄어든게 아니라 커피콩 값이 비싸졌다든지 등의 공급에 차질이 생긴걸 들어주셨다면 오일쇼크 내용을 더 잘 반영할 수 있었지 않나 합니다. 그리고 신자유주의 신조로 이어진 금융계의 행보로 2008년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가 일어났고 이로 인해 요즘은 신자유주의도 엄청난 회의론에 빠져있다는 점을 짚어주셨으면 더 좋았을 것 같아요.
Nana Kim
2020년 3월 26일 21:30책을 읽어 본 적이 있는데 이렇게 보니 더 이해가 잘되는 느낌이네요. 잘 보고 갑니다!!! :)
TANY CAN DO
2020년 3월 18일 02:30쉽게 설명한 영상이네요 잘보고 가요
clover 815
2020년 9월 03일 01:25아주 잘 정리된 영상이네요. 책 내용에 몇 가지 딴지를 걸자면, 자본가는 아무 것도 안하고 부만 늘려가는 존재로 묘사했는데 그렇지 않다고 봅니다. 어마어마한 자본과 기술력으로 어마어마한 생산성을 갖춘 삼성이 있습니다. 그런 자본, 조직력, 첨단 기술이라는 생산 수단 없이 단순히 삼성에 일하는 훌륭한 노동자들이 작은 회사나 프리랜서로 열심히 노동한다고 지금과 같은 부가 창출될까요? 그 생산된 부의 총액의 차이가 그 삼성이라는 생산 수단의 소유주가 기여하는 부분입니다. 다른 말로 기업가들의 사회적 기여입니다. 그들이 쌓는 어마어마한 부만큼 분명 사회 전체 노동자에 큰 경제적 기여도 하는 셈입니다. 이것을 부정하면, 사회 분위기는 좌파적 사고에 매몰되어 반시장적 정책에 힘을 실어주게 됩니다. 지금 문재인 정부 처럼요. 세상에 모든 사람들이 절대적 중산층이 되는 세상은 현실에 없습니다. 부의 불평등과 전체 부의 크기는 함께 갑니다. 부의 불평등을 강제로 억제해 나간다면 우리 사회 전체 부의 크기도 점점 줄어갈겁니다. 베네수엘라나 북한은 그 극단에 있는 예입니다. 세상에서 가장 불평등한 미국에서 사시겠습니까? 세상에서 가장 평등한 북한에서 사시겠습니까?
Takla Çocuk
2021년 3월 26일 02:46ㅂㅏ바티ㅂㅣ 들어가서 영상봐라 ㅋㅋ 후회없다;; 여캠영상 개지린다
십전제
2020년 3월 12일 20:02영상 감사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