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연신청 & 제휴 및 광고문의 : ssid@dpnstud.io * 이 영상은 투자판단에 대한 조언일 뿐, 투자에 대한 가치 상승하락을 보장하지 ......
전체 보러가기 유튜브 공감 댓글 보기
영상이랑 직접적으로 관련없는 어그로성 썸네일 제목좀 그만 써주세요
인플에 돈 버는 사람은 개미가 아닌 돈 많은 사람이다....
공급을 늘리는 것이 부동산 가격에 별 영향이 없다고 하시는 부분은 좀 이해가 안 가네요
다른 시각을 갖게 해주셔서감사합니다.굉장히 좋은 내용입니다.👍
그래서 이번 인플레이션에 부자가 될 기회가 어떻게 온다는 거?
충분히 근거있는데 악플이 많네요좋은 인사이트 잘 들었습니다악플이 많은것을 보니 이제 투자할 때가 왔나봅니다
와 정말 우리가 놓치고있는 부분을 잘 설명해주셔서 감사합니다.
부자들에게 기회가 온듯
투자야 자기 책임이니까 그거가지고 뭐라고 하는것은 아닌데...이분같은 '인플루언서'들이 공신력 있는 언론에 나와서 여론을 주도하여 많은 사람들에게 피해를 주는것은 질책 받아 마땅한 일 아닐까요? 예전 방송 보니 예측 많이 틀리셨던데 적어도 자기가 내뱉은 발언에 대해 인정하고 작게나마 사과정도는 해야지 않을까 싶습니다.
너무 좋은데 제목이 잘못 달린 거 아닌가요? ㅋㅋ
전문가가 자신의 생각을 근거를들고 설명하는데 ㅋㅋ방구석전문가들이 난리네
노동과 자본의 가치가 떨어지고, 토지(부동산)가치만 높아진다면..중세시대로 돌아가는거다. 하,, 부동산이 토지였네요.
현금많이 보유자, 현금흐름이 좋은 사람이 더욱 부자될수있는 기회가 오고있다.
가계대출이 높아서 위험하다는데에는 동의하기가 어렵네요. 가계대출 중 전세대출 비중이 어마어마한것으로 알고 있어서요.
이분 무슨... 금리는 주식이나 채권 등 투자된 자금 회수해서 인플레 방지하는게 목적인데 무슨 부동산... 부동산은 묶인 자금인데 무슨 물가와 인플레에 영향이 있어... 기본적인 경제학 개념도 안 나오네...
가게 대출이 견디질 못하는게 아니라 갚을 수 없는 사람한테 은행놈들이 돈을 막 빌려주고 그걸 투자자한테 리스크를 전가해서 서브프라임 모기지가 발생한건데 이런 간단한 설명도 제대로 못하는 사람이 전문가 맞는지 의심스럽니다.
교수님 저는 이해가 않되는 부분이 독일의 잘나가는 큰 기업들이 상장도 하지 않거나 가족경영기업이 꽤 있습니다. 보쉬, 리들,알디가 그런걸로 알고 있습니다. 이 부분은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궁금합니다.
인플레이션에서 돈버는 사람은 돈많은사람이지. 그건 진리.
새로운 관점을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설명도 쉽게 잘해주셔서 좋아요.
교수님 말씀대로 미국은 우리보다 금리에대한부동산가격 변동이 셉니다.10년 국채금리가 바로 장기대출 금리연동이 되어있기때문입니다.이자증가는 소득이 줄어드는효과주거비 상승은 소비감소로 경기침체와 연결됨
국내주식 저평가는 수십년째 듣고 있는 얘기.거버넌스 문제와 친주주화 해결 안되면 영원히 저평가 받죠. 국내주식 포션을 S&P 대비 많이 가져갈 이유가 없음.
서준식 교수님 쵝오!!! ^^b
이 기회는 아무도 모르게 빠르게 지나갈 것입니다..
코로나 초기에 마스크 가격 엄청 올랐죠ㅎㅎ 장당 사오천원에도 사고 그랬는데요 수요대비 공급이 부족해서ㅎㅎ
부동산만 바라보고 있는게아니라 인간의본능입니다..로또 10번되면 뭐할거같나요 열이면 열 좋은집 먼저사고 그다음이 부수적인겁니다.유동자산에 투자하는게분명 중요하지만 부자중에 한가지만 하는 사람은 없습니다.
우리나라 주식이 저평가가 될 수 밖에 없는 이유는 전쟁 휴전국가라 외국인 자금 유입의 유동성이 심한거 아닌가라는 생각을 조심스레 말해봅니다.흔히 말해 단타치기만 좋은거죠 장투보단
전에 JP모건인지 메르치인지 이사급사람이 재벌들 주식장난치는거 보고 F*** Korea 거렸다는 인터뷰 개욱겼는데 ㅋㅋ
미국의 부동산과 물가지수간 관계는 많이 도움이 되었습니다
부동산이 물가에 큰 영향을 주긴 하지만 그렇다고 소비증가나 공급부족이 인플레이션에 영향 안주는건 아님. 반도체 부족과 유가상승만 보더라도 알 수 있음
이렇게 생각하는 사람도 있네요
좋은 내용 감사합니다…!
미국 부동산 가격 그래프 볼려면 어디가 보기에 편한가요? 정정 미국 cpi 지수에 연동되는 미국부동산 가격 지수그래프 볼려면 어떤걸 봐야 가장 정확한가요?
선택적 인용을 많이 하신다.
자산 시장 분위기가 안 좋긴 한가봐요. 이런 분들이 욕 많이 먹는거 보면 ㅎ
전혀 생각못한 관점이군요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우리나라는..소비경향에선 주거비가 렌트(월세)보다는 전세로 하려는 경향이 강하기 때문이라 비율이 다른거지… 전세문제는 자산격차로 나타나니깐 이러나 저러나 넋놓고 남들처럼 살면 다같이 거지꼴도 됨.
좋은 분이라 생각은 하나..4월에 인플레 정점 친다고 헛발질 하심 ㅡㅡ그래도 마바라들 보다는 믿고 들을만하다고.. 채권형 투자라고..따라는 하지 않음..
좋은내용 감사합니다!! 잘 배웠습니다
서울 1주택에 부산 1주택자. 나는 지금 집 왜 사냐는 다수를 보면서 규제 풀리는거만 기다리고 있다. 현금 있으면 지금부터 몇 년간 뷔페지. 전세는 십년 후에도 전세 살면서 경제탓 하고 있겠지ㅉㅉ
부동산 가격이 한국은행 금리와 연관이 크다는 얘기는 동의하기 어렵네요 최근빼고 금리와 집값에 대한 그래프를 한번 보셨는지 묻고 싶습니다
제목 어그로인가
가계 대출을 풀어준적이 없는데 뭘 잘못알고 계시네요
무주택자들 몰려와서 발끈하네 ㅋㅋ
너무너무 감사합니다.훌륭한강의 덕분에 많은 도움이 되었네요^^
미국인 대다수가 50% 주식에 투자하는걸로 알고있는데 부동산은 리먼사태를 보면은 빚을내서 부동산거래가 되는거 같고요. 근데 그 미국의 자본주위가 신흥국들한테 피해가 몇배로 간다는거죠 경기가 좋아지면 알아서 금리 동결하고 내릴겁니다. 그래야 미국이 패권권력을 남용하니까
꺄
벤쿠버선봉장님이신가..
꾸준히 성장하고 싶으신가요? 평소 좋아하는 크리에이터분들이 있으신가요? 지금 바로 회원가입을 하시고, 크리에이터들을 구독해주세요! 동기부여가 될 다양한 글들과 상품을 추천해드려요!
챠우챠우 47
2022년 7월 17일 14:22영상이랑 직접적으로 관련없는 어그로성 썸네일 제목좀 그만 써주세요
박민재 39
2022년 7월 17일 07:08인플에 돈 버는 사람은 개미가 아닌 돈 많은 사람이다....
도야 28
2022년 7월 16일 15:54공급을 늘리는 것이 부동산 가격에 별 영향이 없다고 하시는 부분은 좀 이해가 안 가네요
제주도 21
2022년 7월 16일 14:11다른 시각을 갖게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굉장히 좋은 내용입니다.
👍
youngju jung 20
2022년 7월 17일 10:30그래서 이번 인플레이션에 부자가 될 기회가 어떻게 온다는 거?
경영인재상 18
2022년 7월 16일 12:37충분히 근거있는데 악플이 많네요
좋은 인사이트 잘 들었습니다
악플이 많은것을 보니 이제 투자할 때가 왔나봅니다
지우일기 15
2022년 7월 16일 15:29와 정말 우리가 놓치고있는 부분을 잘 설명해주셔서 감사합니다.
ggggiiii 15
2022년 7월 16일 13:38부자들에게 기회가 온듯
블랙도베르만 14
2022년 7월 16일 13:15투자야 자기 책임이니까 그거가지고 뭐라고 하는것은 아닌데...이분같은 '인플루언서'들이 공신력 있는 언론에 나와서 여론을 주도하여 많은 사람들에게 피해를 주는것은 질책 받아 마땅한 일 아닐까요? 예전 방송 보니 예측 많이 틀리셨던데 적어도 자기가 내뱉은 발언에 대해 인정하고 작게나마 사과정도는 해야지 않을까 싶습니다.
표미영 14
2022년 7월 16일 15:06너무 좋은데 제목이 잘못 달린 거 아닌가요? ㅋㅋ
용각사람 12
2022년 7월 16일 12:28전문가가 자신의 생각을 근거를들고 설명하는데 ㅋㅋ방구석전문가들이 난리네
daily7890 12
2022년 7월 16일 15:10노동과 자본의 가치가 떨어지고, 토지(부동산)가치만 높아진다면..중세시대로 돌아가는거다. 하,, 부동산이 토지였네요.
땅사고TV[임동성] 12
2022년 7월 16일 14:28현금많이 보유자, 현금흐름이 좋은 사람이 더욱 부자될수있는 기회가 오고있다.
H J 9
2022년 7월 16일 14:34가계대출이 높아서 위험하다는데에는 동의하기가 어렵네요. 가계대출 중 전세대출 비중이 어마어마한것으로 알고 있어서요.
abcd 8
2022년 7월 16일 12:13이분 무슨... 금리는 주식이나 채권 등 투자된 자금 회수해서 인플레 방지하는게 목적인데 무슨 부동산... 부동산은 묶인 자금인데 무슨 물가와 인플레에 영향이 있어... 기본적인 경제학 개념도 안 나오네...
n a 7
2022년 7월 17일 04:59가게 대출이 견디질 못하는게 아니라 갚을 수 없는 사람한테 은행놈들이 돈을 막 빌려주고 그걸 투자자한테 리스크를 전가해서 서브프라임 모기지가 발생한건데 이런 간단한 설명도 제대로 못하는 사람이 전문가 맞는지 의심스럽니다.
Sisi Mun 7
2022년 7월 17일 02:19교수님 저는 이해가 않되는 부분이 독일의 잘나가는 큰 기업들이 상장도 하지 않거나 가족경영기업이 꽤 있습니다. 보쉬, 리들,알디가 그런걸로 알고 있습니다. 이 부분은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궁금합니다.
Yun ho Jang 7
2022년 7월 17일 12:21인플레이션에서 돈버는 사람은 돈많은사람이지. 그건 진리.
졸린오이 7
2022년 7월 17일 09:04새로운 관점을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설명도 쉽게 잘해주셔서 좋아요.
윤한준 6
2022년 7월 18일 00:44교수님 말씀대로 미국은 우리보다 금리에대한부동산가격 변동이 셉니다.
10년 국채금리가 바로 장기대출 금리연동이 되어있기때문입니다.
이자증가는 소득이 줄어드는효과
주거비 상승은 소비감소로 경기침체와 연결됨
서레이 6
2022년 7월 17일 14:50국내주식 저평가는 수십년째 듣고 있는 얘기.거버넌스 문제와 친주주화 해결 안되면 영원히 저평가 받죠. 국내주식 포션을 S&P 대비 많이 가져갈 이유가 없음.
그:럼:불뽀 5
2022년 7월 16일 20:12서준식 교수님 쵝오!!! ^^b
JONBER_미국주식이야기 5
2022년 7월 17일 08:42이 기회는 아무도 모르게 빠르게 지나갈 것입니다..
정택이 5
2022년 7월 16일 22:35코로나 초기에 마스크 가격 엄청 올랐죠ㅎㅎ 장당 사오천원에도 사고 그랬는데요 수요대비 공급이 부족해서ㅎㅎ
ashleyk 5
2022년 7월 19일 09:43부동산만 바라보고 있는게
아니라 인간의
본능입니다..로또 10번되면 뭐할거같나요 열이면 열 좋은집 먼저사고 그다음이 부수적인겁니다.
유동자산에 투자하는게
분명 중요하지만 부자중에 한가지만 하는 사람은 없습니다.
블랙말랑카우 4
2022년 7월 16일 18:34우리나라 주식이 저평가가 될 수 밖에 없는 이유는 전쟁 휴전국가라 외국인 자금 유입의 유동성이 심한거 아닌가라는 생각을 조심스레 말해봅니다.
흔히 말해 단타치기만 좋은거죠 장투보단
김기동 4
2022년 7월 16일 22:24전에 JP모건인지 메르치인지 이사급사람이 재벌들 주식장난치는거 보고 F*** Korea 거렸다는 인터뷰 개욱겼는데 ㅋㅋ
H J 4
2022년 7월 16일 14:36미국의 부동산과 물가지수간 관계는 많이 도움이 되었습니다
smith 2
2022년 7월 16일 20:36부동산이 물가에 큰 영향을 주긴 하지만 그렇다고 소비증가나 공급부족이 인플레이션에 영향 안주는건 아님. 반도체 부족과 유가상승만 보더라도 알 수 있음
Kelly Yoon 2
2022년 7월 16일 12:27이렇게 생각하는 사람도 있네요
소금돌이TV - 짠테크 투자 2
2022년 7월 17일 16:04좋은 내용 감사합니다…!
바이제주노루 2
2022년 7월 16일 13:50미국 부동산 가격 그래프 볼려면 어디가 보기에 편한가요? 정정 미국 cpi 지수에 연동되는 미국부동산 가격 지수그래프 볼려면 어떤걸 봐야 가장 정확한가요?
유유빠빠 2
2022년 7월 17일 11:55선택적 인용을 많이 하신다.
toy garage 1
2022년 7월 16일 13:35자산 시장 분위기가 안 좋긴 한가봐요. 이런 분들이 욕 많이 먹는거 보면 ㅎ
Kimi Jason 1
2022년 7월 17일 08:14전혀 생각못한 관점이군요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주느 1
2022년 7월 18일 03:10우리나라는..소비경향에선 주거비가 렌트(월세)보다는 전세로 하려는 경향이 강하기 때문이라 비율이 다른거지…
전세문제는 자산격차로 나타나니깐 이러나 저러나 넋놓고 남들처럼 살면 다같이 거지꼴도 됨.
hg j 1
2022년 7월 16일 12:49좋은 분이라 생각은 하나..4월에 인플레 정점 친다고 헛발질 하심 ㅡㅡ
그래도 마바라들 보다는 믿고 들을만하다고.. 채권형 투자라고..따라는 하지 않음..
위드네이처 1
2022년 7월 16일 15:41좋은내용 감사합니다!! 잘 배웠습니다
다롱22
2022년 7월 16일 14:41서울 1주택에 부산 1주택자. 나는 지금 집 왜 사냐는 다수를 보면서 규제 풀리는거만 기다리고 있다. 현금 있으면 지금부터 몇 년간 뷔페지. 전세는 십년 후에도 전세 살면서 경제탓 하고 있겠지ㅉㅉ
무지개
2022년 7월 23일 16:54부동산 가격이 한국은행 금리와 연관이 크다는 얘기는 동의하기 어렵네요 최근빼고 금리와 집값에 대한 그래프를 한번 보셨는지 묻고 싶습니다
김재우
2022년 7월 16일 12:17제목 어그로인가
날아라손오공
2022년 7월 16일 14:45가계 대출을 풀어준적이 없는데 뭘 잘못알고 계시네요
김집에 ᆞᄀᄆᄌ,ᄇᆢ드39ᅮᅳᄌᄋᄇᄋ오ᄂᆢᄒᄑᄃ향순
2022년 7월 16일 13:54무주택자들 몰려와서 발끈하네 ㅋㅋ
김윤정
2022년 7월 17일 08:16너무너무 감사합니다.
훌륭한강의 덕분에 많은 도움이 되었네요^^
K_Jin T.
2022년 7월 16일 15:12미국인 대다수가 50% 주식에 투자하는걸로 알고있는데 부동산은 리먼사태를 보면은 빚을내서 부동산거래가 되는거 같고요. 근데 그
미국의 자본주위가 신흥국들한테 피해가 몇배로 간다는거죠 경기가 좋아지면 알아서 금리 동결하고 내릴겁니다. 그래야 미국이 패권권력을 남용하니까
안영민
2022년 7월 16일 12:02꺄
김복령
2022년 7월 16일 12:08벤쿠버선봉장님이신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