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승장에는 금리가 높아져도 사람들이 집을 삽니다. 은행 이자를 내는 것보다 집값 상승으로 얻는 이득이 크니까요. 하지만 하락장에서는 금리가 오르면 부동산 거래가 줄고 집값은 하락하죠. (개인적으로 지금이 그 시기인것 같습니다) 이 시기에 금리가 부동산 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크다고 생각 합니다. 얼음공장님의 과거 영상중에 금리 상승은 부동산 시장에 큰 영향을 주지 않는다고 말씀하신 부분이 기억에 있는데 그 논리는 반은 맞고 반은 틀린말 이라 생각 합니다. 상승장에는 영향이 크지 않으나 하락장에는 매우 큰게 맞다고 생각 합니다. // 월세 부분도 마찬가지 입니다. 하락장에는 사람들이 집을 사려하지 않죠. 그래서 먼저 전세를 선택 합니다. 하지만 전세 대출 이자마저 높아져 버리면 월세를 선택 합니다. (전세대출 이자 보다 월세가 더 싸니까요). "비싼 월세를 낼 바에 사람들은 집을 살거다, 그래서 집값은 올라간다" 라는 논리는 애초에 생각의 출발점부터가 잘 못 된거라 생각 합니다. 특히, 이번 부동산 거래절벽과 하락 조짐은 외부요인이 크다고 합니다. 코로나 시국에 각 나라가 뿌린 엄청난 돈들과 러시아가 일으킨 전쟁은 거대한 인플레이션을 만들었습니다. 때문에 그에 걸맞는 엄청난 긴축이 시작 되었구요. (지금 미국 바이든 대통령 1순위기 물가 잡는거죠...본인이 왕따 시키겠다던 사우디에도 빌러 갔습니다...) 정말 묻고 싶네요...강한 긴축으로 시장에 돈이 메말라 가는대 부동산 가격이 오를 수 있을까요 ? 한가지 더 건축 원가가 올라가서 공급이 부족하고 집값이 올라 갈거라는 논리도 반만 맞는 말이라 생각 합니다. 왜 공급만 생각하나요 ?! 수요 부분도 생각 해야죠. 금리가 계속 올라가고 사람들 주머니에 돈이 말라가는데 무슨돈으로 삽니까 ? 일부 전문가들 (제가 볼때는 전문가도 아닌 것 같음) 공급만 얘기 하더군요 ;; 우리 모두 알다시피 부동산 시장은 투자 목적으로 사려는 사람과 실거주 목적으로 사려는 사람들이 있죠. 하지만 장담컨대 실거주자라 하더라도 하락장에 집을 선뜻 살 수 있는 사람은 많지 않을 겁니다. 최소 몇 억씩 주고 산 집이 뚝뚝 떨어지는 걸 보며 감당 할 수 있는 사람은 많지 않죠. 심지어 이자까지 많이 내고 있다면요 ... (10년 20년 보유하면 결국 우상향 이겠지만...) 결국 부동산 시장도 경제의 한 부분 입니다. 공급과 수요에 의해 가격이 결정 되겠죠... 생산원가가 올라가서 가격이 비싸 질 수 밖에 없어도 사는 사람들이 없으면 (또는 살 수가 없으면) 결국 가격은 내려 가지 않을까요..?
투자의 핵심은 가치가 아니라 가격. 좋은자산 싸게 사면야 더할나위없이 좋지만 큰위기때나 가능하고 막상 해보려면 쥰내 무서움 ㅎㅎ 지난 몇년간 상승장을 보면 강남 2~3배 오르는동안 의정부가 4~5배 오른건 의정부가 강남보다 좋아서도.. 일자리가 많아서도.. 교통이 좋아서가 아님. 가격이 싸서 진입장벽이 낮은이유가 컸던거고 유동성의 힘이 과매수를 만든것뿐. 현재 부동산이 어려운 이유는 지난8년간의 상승장동안 물건값이 2~3배가 비싸졌고 내가 지불해야 하는 이자비용이 2배이상 비싸져서 수익률이 별로임. 조선시대때도 집값은 비쌌다지만. 지난 몇년간 몇배 비싸진집을 몇배 비싼이자로 감당하면서 산다? 왜? 지난 8년간 뭐하고 이제? 이미 살사람 대부분 샀고 2030 젊은친구들이 감당하기 힘든 가격이 됬음 기존 다주택자들이 팔고 똘똘한 한채로 가기엔 양도세내고 대출갚고 전세금돌려주면 대출이 안나오기때문에 똘똘한 한채 절대못삼. 하락장이 오면 전월세 폭등온다? ㅎㅎ 현재 월세로 쏠림이 심화되면서 전세가가 하락중인곳도 많음 (심지어 대치동도 전세가 2억이상 하락하는 곳이 많음) 월세쏠림이 심화되면 상승론자들이 외치는 전세가가 매매가를 밀어올린다는 주장이 어려울수도 있음. 투자자라면 고집좀 버리고 좀더 유연하게 대응하는게 필요하다고 봄. 2030 젊은세대들이 무리할 구간은 아니라고봄 불과 작년만해도 삼성전자. 현대차가 고점대비 40~50%씩 빠진다는건 아무도 예측못했음. 인플레가 올꺼라 현금은 쓰레기라고 주식샀는데 국내최고우량기업들이 쓰레기만도 못한 상황이 되어버림 ㅎㅎ 쓰레기취급받던 현금보유자들이 위너. ㅋㅋ 무주택자들에게 훨씬 어려워진 시장이 되버리긴 했지만, 절대 조급할 이유는 없다고 생각함. 투자에 있어 심리라는건 정말 예측이 안되기때문에 상방이든 하방이든 함부로 예측하는건 아니라고봄
최근 2년간 상승이 실수요로 인한 상승이라는걸 이해하지 못하면 일부 내용은 전혀 공감하지 못하겠네요 취득세 12.4%/재산세/종부세/양도소득세 82.5% 내면서 주택을 새로 사는 머리에 총맞은 다주택자가 엄청 많다고 알고있는 사람들이 워낙 많아서 ㅋㅋ 머리에 총맞은 사람들이 많았으면 지금같은 월세 상승은 절대 일어나서는 안되는 일인데 이게 어찌 된 일인지 월세 상승은 대부분의 사람들이 인정을 하네요? 논리의 앞뒤가 안맞네요
아파트 밀림 현상이 이러나서 매도 계획을 세우라는 말씀 감사합니다. 부동산 대폭락의 시기가 오는 듯 합니다. 우리나라는 개인, 기업, 은행, 국가가 다 빚졌습니다. 여기서 금리까지 더 올라가면 부도가 날 수 있지요. 더군다나 지금 남중국해, 북한, 일본의 움직임이 수상합니다. 일본은 아베의 죽음으로 자민당이 다수 차지하여 평화헌법 바꿔서 전쟁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북한은 연달아 도발하고 중국의 움직임도 수상하네요. 과연 이럴 때 하락이라고 들어가는 것이 저는 좋은 지는 의문이네요.
@manhattanowner9945 139
2022년 7월 18일 18:55이렇게라도 출연할 날이 얼마 안남으신듯 합니다 멀리 안나갑니다
@user-yi5gm7ey3g 115
2022년 7월 18일 17:33뭔소린지 예측다틀리고 유체이탈화법인가.?
@seungwookchoi2534 99
2022년 7월 18일 17:45이분이 출연하는 이유가
궁금하네
@user-rx7pu1dn5l 87
2022년 7월 18일 19:18상승장에는 금리가 높아져도 사람들이 집을 삽니다. 은행 이자를 내는 것보다 집값 상승으로 얻는 이득이 크니까요. 하지만 하락장에서는 금리가 오르면 부동산 거래가 줄고 집값은 하락하죠. (개인적으로 지금이 그 시기인것 같습니다) 이 시기에 금리가 부동산 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크다고 생각 합니다. 얼음공장님의 과거 영상중에 금리 상승은 부동산 시장에 큰 영향을 주지 않는다고 말씀하신 부분이 기억에 있는데 그 논리는 반은 맞고 반은 틀린말 이라 생각 합니다. 상승장에는 영향이 크지 않으나 하락장에는 매우 큰게 맞다고 생각 합니다. // 월세 부분도 마찬가지 입니다. 하락장에는 사람들이 집을 사려하지 않죠. 그래서 먼저 전세를 선택 합니다. 하지만 전세 대출 이자마저 높아져 버리면 월세를 선택 합니다. (전세대출 이자 보다 월세가 더 싸니까요). "비싼 월세를 낼 바에 사람들은 집을 살거다, 그래서 집값은 올라간다" 라는 논리는 애초에 생각의 출발점부터가 잘 못 된거라 생각 합니다. 특히, 이번 부동산 거래절벽과 하락 조짐은 외부요인이 크다고 합니다. 코로나 시국에 각 나라가 뿌린 엄청난 돈들과 러시아가 일으킨 전쟁은 거대한 인플레이션을 만들었습니다. 때문에 그에 걸맞는 엄청난 긴축이 시작 되었구요. (지금 미국 바이든 대통령 1순위기 물가 잡는거죠...본인이 왕따 시키겠다던 사우디에도 빌러 갔습니다...) 정말 묻고 싶네요...강한 긴축으로 시장에 돈이 메말라 가는대 부동산 가격이 오를 수 있을까요 ? 한가지 더 건축 원가가 올라가서 공급이 부족하고 집값이 올라 갈거라는 논리도 반만 맞는 말이라 생각 합니다. 왜 공급만 생각하나요 ?! 수요 부분도 생각 해야죠. 금리가 계속 올라가고 사람들 주머니에 돈이 말라가는데 무슨돈으로 삽니까 ? 일부 전문가들 (제가 볼때는 전문가도 아닌 것 같음) 공급만 얘기 하더군요 ;; 우리 모두 알다시피 부동산 시장은 투자 목적으로 사려는 사람과 실거주 목적으로 사려는 사람들이 있죠. 하지만 장담컨대 실거주자라 하더라도 하락장에 집을 선뜻 살 수 있는 사람은 많지 않을 겁니다. 최소 몇 억씩 주고 산 집이 뚝뚝 떨어지는 걸 보며 감당 할 수 있는 사람은 많지 않죠. 심지어 이자까지 많이 내고 있다면요 ... (10년 20년 보유하면 결국 우상향 이겠지만...)
결국 부동산 시장도 경제의 한 부분 입니다. 공급과 수요에 의해 가격이 결정 되겠죠... 생산원가가 올라가서 가격이 비싸 질 수 밖에 없어도 사는 사람들이 없으면 (또는 살 수가 없으면) 결국 가격은 내려 가지 않을까요..?
@user-lo4kl9er1l 77
2022년 7월 18일 17:53대표 상승론자 얼음공장 부읽남 아포유
@user-iv6rh4ge6g 68
2022년 7월 18일 18:52설명이 아니라 이분은 늘 가르치는듯 얘기하는게..불편해요
당연히 이젠 안봅니다
@user-zy6ts9vr5b 63
2022년 7월 18일 17:28ㅋㅋㅋㅋㅋ 이제와서 일부한테는 하락장이 왔다네 ㅋㅋㅋㅋㅋㅋㅋㅋㅋ
그래도 많이 겸손해졌넹 ㅋㅋ
역시 돈앞에 장사없구만ㅎㅎ
@user-tr9ro4kk6z 63
2022년 7월 18일 23:48작년에도 집사라고 했던 사람이쟎아
@user-dd9cj4ch7c 53
2022년 7월 18일 18:49김작가님 오랜만에 좋은시간 감사드립니다 작가님 채널도 댓글맛집이 되지 않을까 걱정입니다 많은분들 혼돈스러운 시기일텐데 자신에게 이득이 되는 선택 하시기를 응원합니다~
@user-fd7tj8gw9q 52
2022년 7월 18일 20:41다주택자가 하락장이면
영끌1주택자는 폭싹장
무주택자는 관람장
love lee 49
2022년 7월 18일 17:45이제서야 하락한다고? 언제는 계속상승주장하더니 ㅋㅋㅋㅋ ㅋㅋㅋㅋ
@stellaonthego 47
2022년 7월 18일 19:10이분 전문가 행세 그만좀 했으면 하네요.
@seungjaelee9362 44
2022년 7월 18일 19:19이분은 전문가라고 하기가...
@user-ln3yc6de2w 39
2022년 7월 18일 21:52그냥 아는 전문지식을 가르쳐주면 되는데 자기주장만 피고 억지로 끼워 맞추기 어거지 주장하는 토론이 참 보기 안좋네요
이분은 말에 문제가 있는분인듯 횡설수설...주제가 뭔지도 모름
@user-zy6ts9vr5b 38
2022년 7월 18일 18:12투자의 핵심은 가치가 아니라 가격.
좋은자산 싸게 사면야 더할나위없이 좋지만 큰위기때나 가능하고
막상 해보려면 쥰내 무서움 ㅎㅎ
지난 몇년간 상승장을 보면
강남 2~3배 오르는동안
의정부가 4~5배 오른건
의정부가 강남보다 좋아서도..
일자리가 많아서도.. 교통이 좋아서가 아님.
가격이 싸서 진입장벽이 낮은이유가 컸던거고
유동성의 힘이 과매수를 만든것뿐.
현재 부동산이 어려운 이유는
지난8년간의 상승장동안
물건값이 2~3배가 비싸졌고
내가 지불해야 하는 이자비용이 2배이상 비싸져서 수익률이 별로임.
조선시대때도 집값은 비쌌다지만.
지난 몇년간 몇배 비싸진집을 몇배 비싼이자로 감당하면서 산다?
왜?
지난 8년간 뭐하고 이제?
이미 살사람 대부분 샀고
2030 젊은친구들이 감당하기 힘든 가격이 됬음
기존 다주택자들이 팔고 똘똘한 한채로 가기엔 양도세내고 대출갚고 전세금돌려주면
대출이 안나오기때문에 똘똘한 한채 절대못삼.
하락장이 오면 전월세 폭등온다? ㅎㅎ
현재 월세로 쏠림이 심화되면서
전세가가 하락중인곳도 많음
(심지어 대치동도 전세가 2억이상 하락하는 곳이 많음)
월세쏠림이 심화되면
상승론자들이 외치는 전세가가 매매가를 밀어올린다는 주장이 어려울수도 있음.
투자자라면 고집좀 버리고
좀더 유연하게 대응하는게 필요하다고 봄.
2030 젊은세대들이 무리할 구간은 아니라고봄
불과 작년만해도 삼성전자. 현대차가
고점대비 40~50%씩 빠진다는건 아무도 예측못했음.
인플레가 올꺼라 현금은 쓰레기라고
주식샀는데
국내최고우량기업들이 쓰레기만도 못한 상황이 되어버림 ㅎㅎ
쓰레기취급받던 현금보유자들이 위너. ㅋㅋ
무주택자들에게 훨씬 어려워진 시장이 되버리긴 했지만,
절대 조급할 이유는 없다고 생각함.
투자에 있어 심리라는건 정말 예측이 안되기때문에 상방이든 하방이든 함부로 예측하는건 아니라고봄
@ADENAWAR8 38
2022년 7월 18일 22:36전문가의 기준이 뭔지... 나이도 어리고 그냥 유동성의 시대에 어쩌다 얻어걸린 것 같은데..
@songgreat8090 35
2022년 7월 18일 17:14참 대단하다... 금리 올리면 유동성축소되고 더군다나 대출도 힘들고 바젤협약도있고.... 돈있는 사람은 알아서 잘 살고있으니 걱정할 필요없고 결국 없는 영끌족만 대출 끼고 사는건데 이런 상황에서도 .... 욕심이끝이없지
경제적자유 35
2022년 7월 18일 17:52갑자기 왜 조심하레 상승!!상승!! 영끌왜치던분이
@user-gw3ez3dk8d 35
2022년 7월 18일 17:04하락장이 아니라 폭락장초입이지요 오늘 국토연구원서 발표 집값 상승시 금리올리면 즉각반영 집값하락시 금리올리면 15개월이후 반영 지금이 딱그시기죠 내년까지 금리폭등할텐데 어떤일이 일어날까요????
@user-fd7tj8gw9q 29
2022년 7월 18일 20:37얼꽁헝아 그랭이 담넘어가듯 다주택자 하락장이래 재밌다 ㅎㅎㅎ
정영관 27
2022년 7월 18일 18:06말 바꾸는거 보소 ㅋㅋ
@user-rk2wx1ey6s 25
2022년 7월 18일 21:28ㅋ 할말이없다 대단하다 저런사람은 왜 불러서
늘푸른곰동이 23
2022년 7월 18일 18:43🤠🧐🤒
임대 3법...
때문에 8월 전세대란 온다고 하도 떨들어 대니깐..
3달전에 입차인 나가라고 한 집주인들 지금 돌아가는 상황 보니깐 심상치 않고
다음 세입자는 연락도 없고 전세가는 떨어지고....
이사 20일 남겨두고 세입자에게 다시 살면 안되겠냐고....
세입자들은 이미 다른 곳에 계약금 넣어 놓은 상황....
난리가 난 집이 엄청나다함.....
어떻게 할거임...ㄷㄷ
여기저기서...몇천만원에서 몇억까지...난리가 나고 있는데...
upthere_ doniworld 22
2022년 7월 18일 17:28오른다고 했던 분?
@user-re3vc7bt5m 21
2022년 7월 19일 08:39제발 부끄러운줄 좀 아세요!!! 본인이 불과 얼마전까지만해도 뭔 얘길하고 다녔는지 본인이 열라 올렸던 영상들 좀 보시고 반성 좀 하시라고요!! 반성이란걸 하실 수 있는지 모르겠지만….
@liderlee5505 21
2022년 7월 18일 17:39조만간 이 친구 안티분들은 얼음 파운딩 당할 준비들 하시지요
@user-fd7tj8gw9q 21
2022년 7월 18일 21:05앞으로 위험한 아파트는 다주택자들이 미친듯이 팔고 튀고싶어하는 그 아파트
그걸 매수받아주면 아주 위험하지 2040년까지 물릴 수 있음
디엘지 15
2022년 7월 18일 17:56금리 쳐 낮을땐 집값 비싸서 못사고
금리 쳐 올리니 대출 안되고 집값 떨어질거라는 희망에 안사고....
실거주 내 집 한채는 당연히 필수 아닙니까? 월세화되며 계속오르는데 버틸 수 있으심???
늘푸른곰동이 14
2022년 7월 18일 18:17😎😎😎
돈버는법....싸게 사서 호구에게 비싸게 넘겨라....
이걸 그럴듯 하게 포장해서....성공학이라 한다.
결국....마지막 호구는 본인.....
@brianshim3769 13
2022년 7월 21일 09:06와. 이 철면피. 불가 올해 2-3개월전만 해도 부동산으로 돈벌곳이 엄청 많다고 상승 외치던 사람잉데. 그때도 이해가 안가던 사람인데
결국 유투브 방송은 정보가 목적이 아니라 우투브 앵벌이가 목적이여서 나오는 패널들 다 돌려 먹기 식임
@user-rk8kl2mp9p 13
2022년 7월 18일 22:04이분은 ㅋㅋ 이런데 나와서 돈버는사람인듯
@pick82825 12
2022년 7월 18일 19:29냉철한분석이 중요한 것입니다 조회수는 겉치레에
불과하죠 이내 먹기에는 곶감이 달지만
평가는 시간이지난 후에 느끼죠 결과가 나오면
@meaningoftime 12
2022년 7월 19일 00:13상승론자들 이제 대부분 바뀌고 있군요. 하락이 오고 있긴 하네요. 이분이 사라지고도 한참 뒤에 주택 시장은 저점을 형성하겠네요. 20년 코로나와 같은 큰 충격이 없다면.
방민아 12
2022년 7월 18일 18:04보기 싫다 안볼란다.
Hu Kim 11
2022년 7월 18일 19:39권도형 도망다니던데 태식이형은 그러지마
@user-ug2cb6iz1f 10
2022년 7월 18일 20:06일자리문제는 인재가 있는곳으로 기업이 가는게 핵심이라고 생각합니다.
따부따남 10
2022년 7월 18일 17:57그냥 긴 상승장으로 돈을번사람들이..전문가라고 착각을하는것 같다...30년전 일본도 이런부류의 사람들이 많았다...모두 사라졌지만...2020년21년 주식장처럼..그냥 사면 오르는시기엔 모두 본인이 잘나서 돈번줄 안다...투자의고수인양..ㅎㅎㅎ
@psykhe7493 9
2022년 7월 19일 01:00아~~ 이런거 넘 조으당~~ㅋ
유익하면서 잼 남~~👍
눈치 보지 마시고 생각대로 소신 발언..
@sunkim4877 8
2022년 7월 18일 19:42이분 완전 현실적이네요!!!
늘푸른곰동이 7
2022년 7월 18일 18:19🤬😡🥵
한때 한참 유명했지...케이블 주식 방송...
선취매 오른다 올라...하고 개미들 들어오면 빠지는.....
비싼 자동차 보여주면서..봐..너희도 될수 있어....부자...
내 말듣고....이거 사....이거 사면....너도...비싼 자동차 사고..
때돈 벌어....
하지만 현실은....
@user-is2ix4yj2f 7
2022년 7월 20일 22:42처음엔 관심가지고 봤는데 들으면 들을수록 ㅎㅎㅎ 이젠 믿고 거릅니다 ㅎㅎㅎ
Veranda Farmer 7
2022년 7월 18일 17:56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ㅋㅋㅋㅋ
@user-kd3hi5ww8i 6
2022년 7월 24일 02:42어렸을때 소식없이 불던 바람에 연을 날려 구름 부근까지 날리니 실력자인듯 했지... 하지만 정말 일등의 연날리기 형은 부르지 않는 바람에 연을 하늘 높이 날리니 선망의 대상이 되더라.... 즉, 너는 아가리가 높으니 바람이 불지 않는 시장에 니말은 거품인걸 알겠더라
@user-ut8mz8jx5m 6
2022년 7월 19일 07:57이분 대표 상승론자 아니던가~
@user-fl5hl7we4p 6
2022년 7월 18일 18:16선입견없이 보면 얼공님 얘기 넘 재밌어요~^^
진겟타 5
2022년 7월 18일 19:39너 님들 나처럼 부자 되고 싶으면 올인해야함
(물량받이가 되어 주세요~)
게시판
시끌 시끌~
(아씨 눈치 깠네...)
너 님들 기회는 있으나 그래도 일단 조심히 해보는게
(내가 산 지역 안받아 주면 나 무서워 살려줘~)
이영호 5
2022년 7월 18일 17:21얼음 아져씨가 마곡을 말을 햇다 우와 ㅎㅎㅎㅎㅎ
@user-kd3hi5ww8i 5
2022년 7월 24일 02:45얼음공장아, 제발 통매 하나라도 해보고 잣대질하자, 너처럼 아파트 빌라 투기한애들이 할 얘기들이 아니다
박대봉 5
2022년 7월 18일 17:20코인1억손절하고 빌라도정리하는데 ㅈㄹ 힘들었는데 미친다 금리10%가자
소다수 4
2022년 7월 18일 20:188월 상승장 온다면서~ 말 바꾸는거 보소.. 전문가는 무슨 ㅋ 개나소나 다 전문가네
@user-ip5yl9ph3z 4
2022년 7월 18일 17:36영상도 안보고 반대의견낸 사람들은 미래를 볼수있나봐요
장미 4
2022년 7월 18일 17:45몇년내 수억.수십억 폭등했듯이
수년내에 폭락은 당연.
시멘트 몇평이 수십억? 개가웃네요.
상상초월 대폭락. 반토막도 더날것입니다.
집이 부족이 아니라 갭투자했던 투기꾼 악질땜에 이꼴이지.
이젠 개박살날것 뻔합니다.
@user-qe9xo1td7y 4
2022년 7월 18일 17:56두분 고맙습니다~^^
더위에 건강 잘 지키셔요~~
얼공님 마음이 조금 가벼워졌습니다~ㅎ
~꾸벅~
@user-jq2fl8mc8l 4
2022년 7월 20일 10:57지금 하락장이니 빚진거 빨리갚으세요
@theweekendstudio_seoul 4
2022년 7월 20일 23:25안타깝네요… 멀리 안나갑니다.
팡팡이 4
2022년 7월 18일 19:54집이 오르던 내리던 사라사라해서 젊은 분들 부추기고 조심해야할걸 더알려줬어야지 10년전 하락장 격었던 우리세대는 조심히바라봤는데 유트버들 깨서 젊은분들 책임도못질거면서 부추기면 안되는건데.. 안타깝네요
@user-oy6rv6rz8z 4
2022년 7월 20일 13:00언론보도 제대로 평가하라.
언론은 공정과 정직성이 필수인데 그게 없다. 유튜브 채널중에 '리얼아이 박감사' 젊은 여자가 경제와 부동산을 가장 정확히 보고 있어서 칭찬을 해 주었다.
1. 그동안 지속적으로 강조했든 것.
적정값 3억 아파트가 13억이 되었으면 거품이 10억이다. 3억 아파트를 2억 대출해도 7%이자는 버틸만 하다.(월 130만원 수준)
지난 봄. 서울 평균 13억 아파트를 청년들한데 융자 80% 해 줄테니 사라는 정책 때문에 또라이 정권이 들어선 것인가! 싶었다.
7%이상 이자가 무서운 것은, 실가치가 아닌 거품에다 이자폭탄을 투하하기 때문이다.
청년들은 8억 이상 대출해야 가능하고 8억의 원리금이 내년이면 매달 800만원씩 내야 된다. 청년들을 사지로 내모는 정신병자를 관료로 앉혀 놓은 것인가? 이것은 부양책이 아니다.
2. 유튜브에 전문가라는 작자들의 말.
'실거주는 지금 매입해도 괞찮다.'
대갈통에 욕심의 똥만 들어찼지 전문가는 개뿔....이런 자들은 하필 2010년부터 악성 미분양이 쌓여 있을때 하나씩 사면서 재미를 좀 봤지만 양도세 내고 세입자 보증금 내주고 현금청산하면 남는 돈 몇 푼 안된다. 경력이라야 고작 13년 미만짜리다.
36년간 700개 이상의 부동산을 사고 팔고 공경매도 해보고 땅도 형질변경 등의 사업을 해본 눈으로 보면 햇병아리 수준에 불과하다.
실거주가 이럴때 집사면 1년 후 거지되고 빚만 남게된다.
투기꾼은 전세갭을 끼고 있거나, 월세를 받기에 피해가 크지 않지만 실거주는 몽땅 이자를 다 감당하고 집값은 폭락해서 빚만 남게된다.
3. 거품은 곧 꺼질것이라서 거품이라 한다.
시중에 많이 풀린 돈은 긴축으로 빨아들이지 않고는 시중에 남아 있어서 결국 자산에 투자하는데, 도망가지 않는 안전자산이라는 부동산에 집중적으로 투입돼서 생긴일이다.
4. 코인은 100원 돼도 높은 건지 낮은건지 정체가 없어서 소멸돼도 하소연 할곳도 없다.
긴축은 주가가 기본적으로 하락한다.그 이후 부동산이 직격탄을 맞는다.
2013년 신도시 2.5억 아파트가 현실적으로 비싸서 악성미분양이 쌓였든 것이다.
현재도 서울 구축 중위아파트 적정값은 6억이하라야 맞다. 50%의 거품이 빠질것은 기정 사실이다. 대구. 인천. 부산. 추이가 폭락전환 직전에 와 있다. 호가. 전세가율. 거래량. 금리상승기.경기침체 등을 종합하면 답이 나온다.
5. 뉴스에 나오는 신고가 문제.
세상엔 연쇄 살인범도 제법있다.
그러나 모든 사람이 연쇄살인범이 아니다.
100억도 푼돈인 사람도 있고, 하루밤에 5천만원치 술 먹치우는 졸부도 제법있다.
그것이 평균 부동산의 일반화와는 하등의 관련이 없다. 엉뚱한 값에 부동산 중개인의 말에 속아서 사는 사람도 약10%이상 존재한다.
(우리 누님같은 바보가 대표적 사례)
부동산 공인중개사는 소개하는 복덕방이지 부동산에 전문성 있는 사람은 더물다.
6. 부동산 우상향은 호랑이 담배피든 이바구
인구 감소는 핵폭탄 같은 것이다.
서울대 연구팀 연구결과 2032년 330만 명 감소. 공급은 계획대로라면 10년간 400만호 이상 신규공급되고 멸실은 10%미만이다.
2032년 기준 약 500만호 집이 남아돈다. 현재는 빈집이 120만호.(시골에 집중)
14억들인 별장을 5억에도 못팔아 경매로 3억이 내려간 곳이 발생했다. 대구는 벌써 56% 폭락한 새아파트도 등장했다. 우상향은 물가만큼 오르고 더 올라야 우상향이다. 부동산 만큼은 일본과 흡사하다.
250만호+a는 서울시민이 몽땅 새아파트에 들어가는 물량이다. 그래도 우상향을 말하고 싶은가? 앞으론 줍줍해서 살수 있다. LH에서 공짜 새집도 진행하고 있는 중이다.
무주택 저소득층은 월세도 복지부에서 LH로 대납해 주고 있다. 취약계층은 지금도 공짜 새아파트에서 살고 있다. 유튜브를 유심히 들어보면 자기만 아는 한쪽 모퉁이 이야기만 하고 있을 뿐이다.
필자 혼자서 돈 500만원도 없는 사람들에게 공짜 새집에 살게 해준 사람이 60가구가 넘는다. 그래서 지금도 집이 너무 많다고 계속 강조하는 것이다.
다만 살고싶어 하는 교통요지의 새아파트가 조금 부족하다고 해야 정확한 표현이다.
서울은 실제로 더 공급이 남아돈다.
♡ 언제 내집을 사야 하는가!
가능한 사지 않는 것이 유리하다
앞으로는 세입자가 절대 유리한 시대가 온다.
(이건 별도 책한권 분량이다.)
그러나 꼭 내집이 있어야 하는 계층이 있다.
물가와 금리가 안정되고, 전세가 오르기 시작할때가 매입적기다.
금리상승기에 집을 사는 사람은 왕바보다.
@bgh1994 3
2022년 7월 20일 12:42지방 해안가 대기업 재직자입니다.
요새 4년제 구직하기 엄청 힘들다고 하네요
이직 및 퇴직자도 많구요 임금과 지역 경쟁력도 낮아지고...
얼음공장님 감사합니다!
@user-ih7bx6im9i 3
2022년 7월 29일 17:44ㅋㅋㅋㅋㅋㅋㅋㅋ 얼음 공장님 부끄럽지도 않아요??
@user-qh2ot4cs5s 3
2022년 7월 18일 17:41전체적으로 부동산 시장을 보면 하락세를 유지하고 있읍니다
물론 부분적으로 보면 상승세 이거나 현상 유지하고 있습니다 하락세 이더라도 현 아파트 값이 높은것도 사실입니다 고맙습니다 🤡
힘나르샤 2
2022년 7월 18일 18:18근뎅 왜 많은 상승론자 중 얼음공장 님만 욕먹고있나요? 아시는뷴??
@lucky_tv 2
2022년 7월 19일 00:54🌟 『얼음공장_4부작 영상』 바로 보러 가기
👉 1부. https://www.youtube.com/watch?v=Y9SEjV8U9RM&t=1084s
👉 2부. https://www.youtube.com/watch?v=1jaY3E83WxY&t=23s
👉 3부. https://www.youtube.com/watch?v=BOAgfARWHuA&t=3s
👉 4부. https://www.youtube.com/watch?v=1P2sbDLDTM8&t=1671s
📚 김작가 『럭키, 10만부 기념 황금열쇠 양장 특별판』 도서 구매
👉 https://bit.ly/3mnVYDq
🌟 김작가 『자기계발 강좌』 클래스 101 보러 가기
👉 https://bit.ly/3LbB5oE
빙빙꿀꿀의 신나는 재테크 2
2022년 7월 18일 17:53ㅋㅋㅋ 일자리가 먼곳, 강남에서 먼곳, 역, 학교에서 먼곳 조심해야 되는건 부동산에 ㅂ 만 공부한 사람도 다 아는말이것다 ㅋㅋㅋㅋㅋㅋㅋㅋ 이사람 전문가라고 출연하는거 같은데 수준이 왜이러냐 정말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이신재 1
2022년 7월 18일 18:25최근 2년간 상승이 실수요로 인한 상승이라는걸 이해하지 못하면 일부 내용은 전혀 공감하지 못하겠네요
취득세 12.4%/재산세/종부세/양도소득세 82.5% 내면서 주택을 새로 사는 머리에 총맞은 다주택자가 엄청 많다고 알고있는 사람들이 워낙 많아서 ㅋㅋ
머리에 총맞은 사람들이 많았으면 지금같은 월세 상승은 절대 일어나서는 안되는 일인데 이게 어찌 된 일인지 월세 상승은 대부분의 사람들이 인정을 하네요?
논리의 앞뒤가 안맞네요
Akasaka Love 1
2022년 7월 18일 20:39뭔소리에요?
@BigMoney33 1
2022년 9월 15일 15:02아니 언제 나오셨어요. 놓칠뻔했네
미진 1
2022년 7월 18일 17:011등입니다
@user-qt7qx2ys5j 1
2022년 7월 27일 04:24계속 듣다보니 그동안 아파트 수요는 실수요보다 업자들이나 투자자들이 끌어올렸다는 얘기고 그 얘기는 쓸대없는 거품이 많이 끼어있고 정책이 바뀌어 가면서 있는놈들 위주의 매매가 쉽지 않아졌다는 얘기인데 그럼 떨어지겠네 ㅇㅋㅇㅋ
@orangegrit 1
2022년 7월 19일 09:58다주택자입장에서 하락장.
실수요(무주택이나 1주택자)는
가장조심해야하는 시장은 유동성장 : 오피스텔(아파트대용말고 원룸같은거). 지방저가아파트유동성장.
부동산하락기에도 돈을 버는 방법은? 소수 있겠지만 나는 그런경험이 없다. 하락기를 버티고 상승기때 돈을 번것이다.
일자리는 100%기업이 만드는것이다. 그래서 강남.마곡 10년까지본다면 판교인근. 평택. 충청도. 청주. 천안.
부동산시장은 유동성장(전세가율높은 지방저가아파트)과 실수요장으로 나뉜다. 타지에서 많이사면 유동성장.
당신을 부자로_MONEY MONEY 1
2022년 7월 18일 17:38아파트 밀림 현상이 이러나서 매도 계획을 세우라는 말씀 감사합니다. 부동산 대폭락의 시기가 오는 듯 합니다. 우리나라는 개인, 기업, 은행, 국가가 다 빚졌습니다. 여기서 금리까지 더 올라가면 부도가 날 수 있지요. 더군다나 지금 남중국해, 북한, 일본의 움직임이 수상합니다. 일본은 아베의 죽음으로 자민당이 다수 차지하여 평화헌법 바꿔서 전쟁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북한은 연달아 도발하고 중국의 움직임도 수상하네요. 과연 이럴 때 하락이라고 들어가는 것이 저는 좋은 지는 의문이네요.
@lee8867 1
2022년 7월 19일 02:27감사합니다
@dnwls6928 1
2022년 7월 21일 18:38작년에 막차 놓치고 후회하지 말라면서 선동하더니 이제와서 슬쩍 말바꾸고 재미다본 후에 은퇴하고 참 가관이 아니네. 지네들 물건 매도할 때까지 시간벌고 차익 실현하니까 이제는 저점에 잡을려고 떨어진다고 슬슬 겁주나요.
@jwm-dm2dt
2022년 9월 25일 14:28기업 회사가많은지역은어떤가요
@user-uq5gw2gt3x
2022년 8월 26일 18:05마스터 ㅋㅋ 빵터졌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