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한국이 불황이 끝날때마다 이익을 얻는 이유에 대해 알려드렸습니다. 국내 경기도 침체 국면에서 많이 우려되고 있는데요, 이런 불황 시기를 어떻게 이겨내야 할지 그 방법을 저와 함께 공부하실 분들은 아래 링크를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https://c11.kr/10pp0
한국은 재벌이라는 특수한 문화가 있어서 회장들이 CEO를 하고 있는데 회장님들이 상속 문제때문에 자기 회사의 주가가 오르기를 바라지 않아서 주가가 오르지 못한다는 의견에 대해서는 어떻게 생각하세요? 유럽은 박스권이라도 배당을 많이 주고 있기때문에 배당재투자수익률을 계산하면 그래도 한국보다 낫다는 얘기도 있던데 한국기업들은 배당도 매우 낮게 줍니다 주주들한테 가야할돈을 돈을 쌓아두기만하죠 한국기업을 PBR이 낮은 이유도 배당을 적게 줘서 그렇다는 얘기도 있고요 제가 미국주식을 하면서 느끼는게 있는데 미국은 정말 주주들 이익을 위해 최선을 다하더군요 매출이 안올라도 자사주매입해서 소각시키고 배당을 성장시키고 반면 한국기업들은 뭐랄까 기업의 주인이 주주가 아니라 그냥 재벌가 개인회사 같은 느낌도 받습니다 이런 암울한 상황인데 과연 코스피에 미래가 있을까요? CEO들이 주주의 이익에 관심이 없으며 주가가 오르기를 바라지 않고 상속세 적게 내서 대대손손 자녀들에게 회사물려줄 생각만 하는데 코스피에 미래가 있을까요? 이익이 증가하면 뭐하나요 그게 주주에게 돌아가지를 않는데요 주식을 사도 주주가 주인이 아닌데 무슨의미가 있을까요? 이런 문제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궁금합니다
생산성 부분에서 과거에 삼성은 무노조 경영을 하며 사원들의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엄청나게 몰아붙였지만 이제 사회 분위기는 생산보다는 복지를 중요시 여기며 삼성에도 노조가 생겼죠
대우조선해양의 경우에도 이번 파업으로 손해가 상당하죠
물론 저도 노동자로써 노조는 노동자에게 필수요소라 생각하긴하지만 기업의 생산성 측면에서는 하나의 난관이라 생각합니다
게다가 한국이 지난 몇 년 간 혁신적인 산업으로 나아가고 유니콘들이 탄생할 수 있었던 이유로는 젊은 시장과 젊은 창업가들이 있고 일본이 무너진 이유로는 중위연령의 노령화가 큰 이유라 생각합니다 지금과 같은 수치의 출산율에서는 지난 과거의 한국과 같이 혁신성을 보여 줄 수 있을런지는 의문이 있습니다
게다가 이태리의 큰 문제 중 하나는 정치라 생각하는데 우리 나라에서도 기축통화국이 된다거나 기본소득을 주장하는 포퓰리즘 정치인의 지지율이 40프로를 넘는 지금의 포퓰리즘 정치로는 정치가 나라의 혁신과 생산성 향상을 잘 이끌어갈지 의문입니다 좌파뿐만 아니라 우파 또한 포퓰리즘 속으로 빠지고 있다 생각합니다
이러한 사회 현상 속에서 청년들도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기업으로 진출하기 보다는 공무원이 되고자 하는 청년들이 많고 공기업만 가더라도 옆에서 아무 일도 안 하는 과장님 연봉이 몇 천만원에 도달해서 해당 기업의 평균연봉이 8천 9천에 도달하는데 누리호 개발 연구원들 연봉을 보면 너무 박하다는 생각 뿐입니다
돈이 혁신과 생산성을 높이는데 쓰여야한다고 생각하는데 현재 한국은 혁신과 생산성보다는 공정이나 결과균등을 위해 함께 나누는데 쓰이는 부분이 더 커지고 있다고 생각들기 때문에 과거와 같은 퍼포먼스를 보여주기에는 쉽지 않을거라 생각합니다
반대되는 생각을 가지고 있으신분도 있으실텐데 그렇다면 그 생각이 옳습니다 저는 뭐 잘 모르거등요 ㅋㅋㅋ
유럽나라들은 대기업중심이 아니라 영세중소기업 기반으로 경제가 돌아가는 경우가 많아서 자본력부족으로 혁신투자하기 힘들죠. 물론 중소기업들이 연합해서 투자및 연구개발도 나름 이루어지고 있지만 사공이 많으면 배가 산으로 가는 경우가 많죠… 특히 남유럽들은 전체 기업중 상당수가 종사자 10인 미만 가업형태의 영세업체라 대학을 졸업해도 취업할 곳이 없어 대졸자들이 해외유출이 심하다고 하네요.
우리나라는 급속한 저출산고령화에다가 일본의 잃어버린 30년 그 이상의 충격이 있을수있다 그래서 자산배분관점에서 코스피200etf를 사야하나 고민되다가도 한국이 급속한 저출산고령화와 일본의 잃어버린 30년보다 더 큰 충격이 온다한들 과연 코스피200기업들이 이익성장을 못하게될까 싶기도 해서 코스피200etf를 사도 되겠다싶고 참 헷갈리네요
예를들어 지금 형태의 원전은 텍소노미에 포함되지 않는 것같이 눈가리고 아웅식으로 국가 정책이 세계와 반대로 가고 있는데 말씀하신게 유효한지 궁금하네요. 말씀하신 것도 국가나 사회가 적당껏 공정해야 가능한데 어찌 가면 갈수록 반칙과 특권 불공정이 판을치는지 걱정하지 않을 수없네요.
생산성이 높아지면 경제성장률이 높아야 되는데 우리나라는 OECD 평균 이하임 그래서 주식시장도 장기 박스권에 갇히게 되는 거임 설마 경제성장에 노동, 자본, 생산성이 3요소인건 모르지 않겠지 기업이익도 다른 나라와 비교해야지, 오늘 발표는 좀 아닌거 같음...금리 올라도 부동산 오른다는 것 비슷함
박사님 강의를 제가 계속 보는 이유는..인사이트가 있어서 항상 감동받습니다.ㅎㅎ 저의 회사만해도 요즘 조용히 웃고 있습니다. 해외 수출이 계속 늘어나고.. 가격도 요즘 제값받고 있거든요. 설계혁신하고 자동화로 품질과 생산성, 원가도 많이 개선되서 가시적으로 체질이 개선되고 있어요... 대기업 다니는 저와 친구들 모여서 이야기하면.. 5년후에는 어메이징하게 기업들이 성장해있을것 같다는 희망회로.ㅎㅎㅎ 인구감소가 문제가 아니구.. 최적의 인력배치와 로봇산업이 오히려 한국이 4차산업의 패권을 잘하면 가져갈수 있다는 생각도 드네요. 그래야 중국과도 승부가 가능하니깐요. 항상 암울하고 부정적 아젠다만 쏟아내는 메이저 언론사들 많이 반성해야할 시기입니다.
@user-fb1zi8ld5q 41
2022년 7월 25일 20:04다들 헬조선이라고 욕하지만 저는 한국만큼 살기좋고 경제발전 잘하는 나라는 정말 드물다고 생각합니다. 저는 한국을 믿고 한국증시에 투자중입니다
@chunukhong 19
2022년 7월 25일 19:51오늘은 한국이 불황이 끝날때마다 이익을 얻는 이유에 대해 알려드렸습니다.
국내 경기도 침체 국면에서 많이 우려되고 있는데요,
이런 불황 시기를 어떻게 이겨내야 할지 그 방법을 저와 함께 공부하실 분들은 아래 링크를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https://c11.kr/10pp0
@yoonchung3852 17
2022년 7월 25일 21:07박사님 말씀을 믿고는 싶지만 KOSPI 대세상승 파동 한번 끝나면 장기 박스권이 10~15년간 이어지는 사례가 지금동안 나타났는데 과연 지금 낙관해도 될까요?
그리고 한국이 혁신국가이기는 하지만 제조업과 비제조업의 생산성 격차가 커서 전체 노동생산성은 선진국 대비 여전히 많이 떨어지던데 지금의 인플레 압력을 생산성 향상으로 단기간에 흡수할 수 있을지 의문이네요
@87rkeldjswm93 12
2022년 7월 25일 22:15한국은 재벌이라는 특수한 문화가 있어서 회장들이 CEO를 하고 있는데 회장님들이 상속 문제때문에 자기 회사의 주가가 오르기를 바라지 않아서 주가가 오르지 못한다는 의견에 대해서는 어떻게 생각하세요? 유럽은 박스권이라도 배당을 많이 주고 있기때문에 배당재투자수익률을 계산하면 그래도 한국보다 낫다는 얘기도 있던데 한국기업들은 배당도 매우 낮게 줍니다 주주들한테 가야할돈을 돈을 쌓아두기만하죠 한국기업을 PBR이 낮은 이유도 배당을 적게 줘서 그렇다는 얘기도 있고요 제가 미국주식을 하면서 느끼는게 있는데 미국은 정말 주주들 이익을 위해 최선을 다하더군요 매출이 안올라도 자사주매입해서 소각시키고 배당을 성장시키고 반면 한국기업들은 뭐랄까 기업의 주인이 주주가 아니라 그냥 재벌가 개인회사 같은 느낌도 받습니다 이런 암울한 상황인데 과연 코스피에 미래가 있을까요? CEO들이 주주의 이익에 관심이 없으며 주가가 오르기를 바라지 않고 상속세 적게 내서 대대손손 자녀들에게 회사물려줄 생각만 하는데 코스피에 미래가 있을까요? 이익이 증가하면 뭐하나요 그게 주주에게 돌아가지를 않는데요 주식을 사도 주주가 주인이 아닌데 무슨의미가 있을까요? 이런 문제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궁금합니다
@user-qw9ri9uz3d 11
2022년 7월 26일 10:53국민성이 정말 크게 작용하는거 같네요. 나라의 흥망이 올바른 역사교육을 통해서 후손들이 잘 살아가도록 어른들이 지금의 위기국면을 잘 극복하고 그랬으면 싶네요. 좋은 강의 고맙습니다.
@peyoonjung 9
2022년 7월 25일 21:19공정함이 없는 나라
@sapereaude4482 9
2022년 7월 25일 20:37세계 모든국가에 민주당 간판달고 양두구육하는 사회주의정당이 정권 잡으면 그 나라는 필망합니다..
@realssin 8
2022년 7월 25일 22:09저도 박사님처럼 긍정적인 부분 분명히 존재한다고 생각하지만
제가 지정 반대론자라고 생각하고 의견을 내보자면 많은 난관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주가가 떨어지는 것은 큰 문제는 아니라 생각합니다
생산성 부분에서 과거에 삼성은 무노조 경영을 하며 사원들의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엄청나게 몰아붙였지만 이제 사회 분위기는 생산보다는 복지를 중요시 여기며 삼성에도 노조가 생겼죠
대우조선해양의 경우에도 이번 파업으로 손해가 상당하죠
물론 저도 노동자로써 노조는 노동자에게 필수요소라 생각하긴하지만 기업의 생산성 측면에서는 하나의 난관이라 생각합니다
게다가 한국이 지난 몇 년 간 혁신적인 산업으로 나아가고 유니콘들이 탄생할 수 있었던 이유로는 젊은 시장과 젊은 창업가들이 있고 일본이 무너진 이유로는 중위연령의 노령화가 큰 이유라 생각합니다 지금과 같은 수치의 출산율에서는 지난 과거의 한국과 같이 혁신성을 보여 줄 수 있을런지는 의문이 있습니다
게다가 이태리의 큰 문제 중 하나는 정치라 생각하는데 우리 나라에서도 기축통화국이 된다거나 기본소득을 주장하는 포퓰리즘 정치인의 지지율이 40프로를 넘는 지금의 포퓰리즘 정치로는 정치가 나라의 혁신과 생산성 향상을 잘 이끌어갈지 의문입니다 좌파뿐만 아니라 우파 또한 포퓰리즘 속으로 빠지고 있다 생각합니다
이러한 사회 현상 속에서 청년들도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기업으로 진출하기 보다는 공무원이 되고자 하는 청년들이 많고 공기업만 가더라도 옆에서 아무 일도 안 하는 과장님 연봉이 몇 천만원에 도달해서 해당 기업의 평균연봉이 8천 9천에 도달하는데 누리호 개발 연구원들 연봉을 보면 너무 박하다는 생각 뿐입니다
돈이 혁신과 생산성을 높이는데 쓰여야한다고 생각하는데 현재 한국은 혁신과 생산성보다는 공정이나 결과균등을 위해 함께 나누는데 쓰이는 부분이 더 커지고 있다고 생각들기 때문에 과거와 같은 퍼포먼스를 보여주기에는 쉽지 않을거라 생각합니다
반대되는 생각을 가지고 있으신분도 있으실텐데 그렇다면 그 생각이 옳습니다 저는 뭐 잘 모르거등요 ㅋㅋㅋ
@jojo-wv6ze 7
2022년 7월 25일 20:44영상 잘 보았습니다. 상당히 긍정적으로 보시는거 같습니다. 아무래도 영상 길이가 짧다 보니 주장에 비해서 근거는 조금 미흡해 보이는데요.다음에는 여러가지 지표를 토대로 조금 더 자세히 설명 해주시는 영상을 만들어주시면 좋을것 같습니다.
@KD-gz3hx 6
2022년 7월 25일 22:23유럽나라들은 대기업중심이 아니라 영세중소기업 기반으로 경제가 돌아가는 경우가 많아서 자본력부족으로 혁신투자하기 힘들죠. 물론 중소기업들이 연합해서 투자및 연구개발도 나름 이루어지고 있지만 사공이 많으면 배가 산으로 가는 경우가 많죠… 특히 남유럽들은 전체 기업중 상당수가 종사자 10인 미만 가업형태의 영세업체라 대학을 졸업해도 취업할 곳이 없어 대졸자들이 해외유출이 심하다고 하네요.
머니메이커 6
2022년 7월 25일 20:06우리나라는 급속한 저출산고령화에다가 일본의 잃어버린 30년 그 이상의 충격이 있을수있다 그래서 자산배분관점에서 코스피200etf를 사야하나 고민되다가도 한국이 급속한 저출산고령화와 일본의 잃어버린 30년보다 더 큰 충격이 온다한들 과연 코스피200기업들이 이익성장을 못하게될까 싶기도 해서 코스피200etf를 사도 되겠다싶고 참 헷갈리네요
@jeremy3some 5
2022년 7월 26일 06:54예를들어 지금 형태의 원전은 텍소노미에 포함되지 않는 것같이 눈가리고 아웅식으로 국가 정책이 세계와 반대로 가고 있는데 말씀하신게 유효한지 궁금하네요.
말씀하신 것도 국가나 사회가 적당껏 공정해야 가능한데 어찌 가면 갈수록 반칙과 특권 불공정이 판을치는지 걱정하지 않을 수없네요.
@peyoonjung 4
2022년 7월 25일 21:40맞습니다. 개개인이 경쟁력이 있어야, 그렇게 하려면 “공정함”이 매우 중요
@user-mi4ux5kb7e 4
2022년 7월 26일 22:52총인구 감소, 생산가능인구 감소가 이미 시작되었고 출산율이 세계 최저인 상황에서 우리나라 주식(인덱스, 우량기업)에 장투할수 있을까 많이 의문이 드는데요. 긍정적으로 보시는 것 같아 투자여부를 떠나 다소 위안이 되네요.
@user-qi9vp7vz6q 4
2022년 7월 25일 21:25우러전쟁이 언제 끝난다는 보증 없습니다. 금리 인상이 언제 멈출지도 알 수 없구요
코로나 변종 바이러스도 늘어나구요. 참 어려운 시기를 보내고 있습니다
@msl2466 4
2022년 7월 25일 22:42기술투자비 예산 잘라서 빚투족 구제에 쓴다는거 진짜인가여?
@dividendfire365 3
2022년 7월 25일 23:52잘 들었슴다 담에는 시원하게 국장 좀 까주세요 ㅋ
당시 코로나 터지고 공매도나 시장 제도를 정비한다고 어쩐다 했었는데
2년이 흘렀지만 장이 꼬라 박으니 또 공매도 들먹이면서 또 제도 타령하는거 보면 다시 제자리 인거같음
지난 2년간 멀 정비했는지 답답하기만함
@wkqch0011 3
2022년 7월 25일 23:15주식시장 꼬라지^^
맞는 말씀 이십니다.
@Like-birds-6606 2
2022년 7월 26일 09:59언제나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항상 건강하시고 행복하세요!
@user-np8tr8vd6p 2
2022년 7월 26일 00:34형이라 부르고 싶습니다
넘 멋져요
@jmo8703 2
2022년 7월 26일 06:42생산성이 높아지면 경제성장률이 높아야 되는데
우리나라는 OECD 평균 이하임
그래서 주식시장도 장기 박스권에 갇히게 되는 거임
설마 경제성장에 노동, 자본, 생산성이 3요소인건 모르지 않겠지
기업이익도 다른 나라와 비교해야지,
오늘 발표는 좀 아닌거 같음...금리 올라도 부동산 오른다는 것 비슷함
@a01064903866 2
2022년 7월 25일 20:56고맙습니다
항상 배우고 있습니다
Pppp Kkk 2
2022년 7월 25일 19:59잘보았습니다 고맙습니다
@lightday 1
2022년 7월 25일 20:09지존무상 영원불멸 확고부동 아싸! 1등!
@different_think1 1
2022년 7월 25일 20:16😃
@user-eo8ye4rr4d 1
2022년 7월 25일 20:17어이 없는 나라도 많아요
cosmos 1
2022년 7월 25일 20:32홍반꿀
@user-ro9dv8th5y 1
2022년 7월 25일 20:37한국 주식시장 뭐같지만 다른나라 보고 있노라면 참 좋은 나라같기도 하구요. 이태리 일본 중국 보고 있노라면 저건 뭐하는 나라인가 싶죠. 선진국인데도 불구하구요.
@user-gs2sj2yz5u 1
2023년 4월 09일 08:20응 아니죠.장기침체로 갑니다. ㅋ
@jw-hj4xk
2024년 4월 23일 07:54대통령을 잘 뽑았어야지
jaehong jeon
2022년 7월 25일 21:12오늘 GDP 관련 내용을 봤는데 연결되는 내용이 나와서 너무 좋네요 박사님
@user-wy6ct8fk3g
2022년 7월 25일 20:042등 ~~우휴
@mary72601
2022년 7월 26일 00:25오늘도 좋은 말씀 고맙습니다
@user-zy5xn7ku4w
2022년 7월 25일 23:55감사합니다
@user-ds5vm8vu9m
2022년 7월 26일 13:15박사님 한국의 저출산 고령화가 장기저성장국면을 유발할 원인이라고 생각하는데,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UGLE.
2022년 7월 26일 02:58상당히 장기적 관점이네요
@user-es8yh2yd3u
2022년 8월 15일 10:262022E
Expectation ☞ Estimate
@inafog455
2022년 7월 25일 22:35박사님. 하~ 정말 눈썹문신 강추한다니까요. 사모님한테 의견 여쭤보세요. 당장 예약해주실겁니다.
@smirage3071
2022년 7월 30일 09:18정부가 어느 정도 기본은 됐을때 얘기. 낙관이 낙하가 될 수도 있음.
@user-sv2do2mx4e
2022년 8월 15일 21:45글쎄요
@user-rq2bc5xw8q
2022년 7월 27일 23:31주식은 미국으로!!
@park5013
2022년 7월 31일 14:42박사님 강의를 제가 계속 보는 이유는..인사이트가 있어서 항상 감동받습니다.ㅎㅎ
저의 회사만해도 요즘 조용히 웃고 있습니다. 해외 수출이 계속 늘어나고.. 가격도 요즘 제값받고 있거든요.
설계혁신하고 자동화로 품질과 생산성, 원가도 많이 개선되서 가시적으로 체질이 개선되고 있어요...
대기업 다니는 저와 친구들 모여서 이야기하면.. 5년후에는 어메이징하게 기업들이 성장해있을것 같다는 희망회로.ㅎㅎㅎ
인구감소가 문제가 아니구.. 최적의 인력배치와 로봇산업이 오히려 한국이 4차산업의 패권을 잘하면 가져갈수 있다는 생각도 드네요.
그래야 중국과도 승부가 가능하니깐요.
항상 암울하고 부정적 아젠다만 쏟아내는 메이저 언론사들 많이 반성해야할 시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