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가 이 책을 읽지 않고 있는 이유를 명료하게 해주시는 거 같아요. 예전 영상에서 저자를 보고 뭔가... 뭐랄까 거부감이 들었었거든요. 그런데 선생님의 이전 영상에서 필사할 정도의 책이라 추천하셔서 다시 읽어봐야겠다, 편견이었나 했어요. 필요한 부분을 선택해서 취해야겠어요. 진솔한 리뷰 감사합니다~!
댓글을 잘 안 남기는데 영상을 보며 댓글 남깁니다~ 그런 유튜버, 인플루언서들에 대해 거부감 또는 불편함이 느낀 적이 요즘 들어 꽤 있었는데 속 시원히 말씀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일부 받아들일 거는 받아들이고 나에게 맞게 적용시키는 취사선택의 자세가 필요하다 생각합니다. 자기들이 돈 좀 번다고 썸네일을 연봉 x억, 월 xxxx만 이렇게 하면서 누구나 자기들처럼 돈 벌 수 있다고 호도하는 거 같고 자기들처럼 안 하는 사람들을 바보취급하거나 올린 영상들을 보면 시청자가 원치않을 수도 있을텐데 자신들이 뭐라도 되는 거 마냥 가르치려하는 늬앙스를 느끼곤 했습니다 이건 저의 주관적의견이라서 제3자들이 봤을 때는 어떨지는 모르겠네요. 여튼 제가 하고 싶은 말들을 대변해주는 거 같아서 좋았습니다
저도 이 책을 읽어 봤습니다만 이 책에서 얻어갈 만한 것이 딱 하나 있다면 '행동력' 정도가 아닐까 싶습니다. 책에서는 끝없이 자의식과 게으름을 비판하고, 독자들을 가스라이팅하는데 거기에서 어떻게든 자극을 받아 본인이 무엇이든지 시도해보고 도전해본다면 아마 책의 가치는 한 것이지 않을까 싶어요. 하지만 역시 문제는 이건 쓴소리 유튜브 채널이 아닌, 돈 주고 사서 보는 '책'이라는 것이겠죠. 책에는 내용 자체에서도 당연히 가치가 있어야 하는데, 가르쳐준다는 사업 아이디어도 지나치게 인터넷 마케팅에만 치중된 것이었고, 새로움도, 구체성도 전혀 찾아볼 수 없어서 저도 실망스러웠습니다.
여하튼 여러모로 현 시대의 욕망과 트렌드를 잘 대변하는 책인 것 같습니다. 이 책이 베스트셀러가 된 것도 참 많은 것을 시사하고 있네요.
공감되네요. 심하게 말하면 다단계 회원 모집 교육 때 다들 쉽게 돈 벌 수 있는 방법이 있고 잘 나지 않은 분들이 실제 돈을 벌였다 라고 꼬시는 것과 비슷해 보이네요. 그래도 베스트셀러 1위 달성한 거 보면 인간의 약점 결핍 욕망을 잘 이용하는 재주는 있어 보여요. 종교에서 잘 하는 수법이지요. 의심하지 말고 무조건 믿어라 그러면 얻을 것이다 ~
영상 잘 봤습니다. 20대 중반인 저도 선생님 영상이 공감이 되었기에 몇몇 댓글에 세대차이라는 말은 설득력이 없어보이네요... 읽으면서 뭔가 찝찝했는데 머릿속에서 꺼내 정리해놓으신 영상을 보니 도움이 됩니다. 이 책이 경제적 자유를 갈망하는 젊은 세대의 욕망을 정확히 긁어준 것 같네요ㅎㅎ 열광하는 사람들의 반응을 보며 오히려 제 자신에 대해 더욱 잘 알게 되었습니다.
자신의 광고 목적성이었다 해도 그런 전략은 보기 불편하고 본능에서 그릇되다고 느껴져요 그래서 저도 잠깐 구독했다 구취했었고 어떤 채널은 피곤감과 도태되는듯한 불안감을 갖게 하고 안사고 안하면 인생폭망 하는듯한 심리조장으로 끊어야겠다고 결정 하게 됩니다.끊임 없이 돈을 벌어야 하고 죽을때까지 돈 벌다가 끝내야 할 것 같은 하.. 김교수의 세가지님을 통해 매일매인님을 알게 되어 저에게는 행운 입니다.
자청, 신사임당.. 봉이김선달 같은 사람들이라고 생각합니다. 돈버는 재주가 있다는 건 인정합니다만, 돈을 벌고 있다는 것과 제대로 된 물건을 파는 건 엄연히 별개죠.
물론 '내가 산 대동강물이 최고인데 뭐가 문제냐'라고 외치는 이들도 있을 수 있습니다. 여기에도 많이 보이네요. 만족도는 상대적인 것이지만 '메타인지'가 필요해보입니다. 그 대동강물이 과연 어느 정도의 가치가 있는 것인지 객관적으로 검증하는 자세를 갖춰야 저런 사짜들에게 현혹되지 않겠죠.
앞에 영상 리뷰가 좋았다는 내용만 있길래 이것도 책광고인가? 했는데 이런 영상이 또 올라오네요 ㅎㅎ 책 내용이 뭔가 도전해봐야겠다하는데에 동기부여는 되긴해도 실속이있거나 전문적이진 않은 것 같아요. .근거없이 책 내용 찬양하는 광고성 리뷰, 인터넷서점 리뷰,블로그 리뷰 많이 떠 있는 거보면 돈벌고 싶은 심리 자극해서 마케팅 엄청 하고 있는 것 같아요. 근데 자기자랑이 전 불편하진 않은 것 같아요. 돈 얼마 벌고 어느 정도의 사업을 하고있다 얘기하는 것은 자랑이보다는 증명으로 볼 수 있지도 않을까요. 애매하게 말하면 그게 더 허세가 될 수도 있으니까요. 오~ 이렇게 하는 방법도 있구나 이렇게해서 그만큼 성공했구나. 느끼고 . 신사임당님 말마따나 쟤도 했는데 내가 못해? 하고 동기부여되는.
요즘 재테크나 자기계발 서적의 트렌드인것 같아요. 저도 처음엔 신선하게 느껴지고 구체적인 수치나 사례들이 실제적으로 느껴져서 좋았는데, 반복적이게 접하다보니 그냥 다 상술같아서 손이 안가더라구요. 그냥 그렇게 돈버는 사람도 있구나 하는 정도로 보기에는 괜찮을것도 같아요. 자랑이라고 무조건 경계할건 없을거 같기도하구, 사람은 다들 인정받고픈 욕구가 어느정도는 있으니까요. 누군 명예, 누군 재력, 누구는 권력 또는 공로든지 자신이 욕망하는거에 따라 다를 뿐이지 않을까 싶어요. 단지 그게 좀 과하면 피곤하긴 하니까 적당히가 좋긴한데 ㅋㅋ 유튜브든 책이든 자랑이 과해서 피곤하면 책을 덮거나 재생종료라는 좋은 방법이 있으니까요.
선생님의 좋은 견해에 감사합니다. 정말 용기내서 댓글 남겨봐요! 아무래도 관점의 차이가 큰것 같아요 .이제 막 사회생활을 앞둔 많이 부족한 사회초년생입니다.. 질문은 인간은 자신이 잘난 맛에 살지 않나요? 허세가 아닌 자기자랑이 자기자랑이라는 행위 자체가 왜 나쁜행동인지 모르겠어요…예시로 말씀해주신 타인의 자기자랑으로 인해 발생된 한 부부의 감정불화의 일화에 공감은 하지만, 그러한 사례들이 보편적이라고 해서 자기자랑이 ‘나쁜행위’로 행해지는지 모르겠어요. 보편적이기 때문에 요즘 세태의 원인이되어 문제라고 말씀하시는 걸 까요? 오히려 그렇게 시기감과 박탈감을 느끼는게 잘못됐다고 생각해요.. 잘난 것을 자랑하는 것이, 본인 기준에서 잘나지 못한 사람들에게서 그들이 느낀 부정적감정과 불화의 원인 제공자가 되는지 모르겠어요. 오히려 저는 자극이 되어 저 또한 그렇게 잘난 사람이 되고 싶은 의지가 생겨요.
또한 본인 기준에서 성공하신 분들이 책을 출간하는 것이 당연히 마케팅의 일부라고 생각해요. 이또한 나쁘게 보이지 않고요. 물론 이러한 선례들이 만연해져서 판별력이 부족하지만 간절한 사람들에게는 시간낭비와 안좋은 인풋을 줄수도 있겠죠..마지막 말씀들 처럼 돈만이 전부가 아니고, 돈을 따라간다고 해서 돈이 따라오지 않는 사실을 간과하는 세태에 대한 안타까움도 이해해요. 댓글을 쓰다보니 선생님의 영상기획의도를 알게되어 제 질문의 답변이 필요 없단 생각이 드네요. 선생님 삶의 연륜과 경험들이 깃든 말씀이시니 정말 ‘자랑’이 해악일까 라는 생각이 들어요. 책으로까지 자기자랑을 할 필요성은 없다는 말씀이실까요? 수많은 언론 보도 중에서도 속아내어 정보를 얻고 선택해야하는 것 처럼 책도 속아내어 보는게 좋다는 의견이시겠지요? 선생님께 감히 ‘자기자랑의 안좋은 점’에대해서 더 듣고 싶어요. 많은 사람들이 권력,높은 경제력에 대한 욕망이 크니까요..
역행자에 대한 다른 접근 방법이 인상깊습니다. 성공에 대한 의지와 열망이 강한 독자는 저자가 의도한 부분을 간파할 수 있을 것입니다만 같은 것을 보더라도 이미 출발선의 동기부여가 다른 독자는 그냥 책을 사주는 구매자이 불과할 것이라고 느껴집니다. 제 자신은 자기계발서나 경제 특히 심리학을 주로 봤지만 최근엔 주역과 명리 분야에 관심이 많습니다. 즉 경제적 자유가 누려진다면 하고 싶은 다양한 자유를 누릴 수 있다는게 결론이며 한정된 생각에서 벗어남이 최우선적인 목표가 된다 여겨지네요. 때문에 역행자의 시각 또한 방법 중 하나라고만 생각됩니다. 너무나도 부정적인 측면만 부각된다면 또한 이 분야를 접한 독자들에게 다양한 기회 또한 빼앗아갈 수 있을 것이라고 느꼈기 때문에 장문으로 올렸습니다. 이 내용 또한 응원받아 마땅하다고 느낍니다.
돈욕망이 있어야 되는건 당연한거 아닌가요 ㅋㅋ 그럭저럭 돈걱정없이 태어난 인간이야 없겠지만 월급으로 집을 살수있나? 요즘같은 시대에 오히려 돈욕심없이 월급으로만 산다는건 아주 어리석은 짓이죠 회사에 충성을 바친다고 잘먹고 잘사는게 아닌데 인간은 원래 이기적이죠 이타심은 내가 할 수 있는 만큼의 배려와 도움을 주면 됩니다. 그 이상은 남한테도 나한테도 안좋죠. 자기사랑은 정말 엄청나게 중요한데 마치 국가라는 집단을 위해 아무리 힘들어도 애를 낳으라고 강요하는것과 같네요 마지막으로 별로 관심없지만 자청이 옳은지 않은지가 왜 중요하죠? 그저 자신의 성공노하우가 책에 있으니 노하우를 배울뿐입니다. 각자마다 그 노하우가 맞을수도 아닐수도 있죠
@shoppaint5754 45
2022년 10월 15일 10:58이책이 주는 메세지는 좋았으나 결국은 자세한 내용은 내 30만원짜리 pdf를 사서 읽어봐라라는 결국은 자기 사업을 위한 찌라시 홍보물같은 느낌을 지울수가 없네요. 요즘 결국은 기승전(인터넷강의홍보)같은 책이 많아 아쉽습니다.
@kyygtler8854 44
2022년 7월 28일 23:29책에서 느꼈던 불편한 부분이 리뷰를 보며 다시 정리되었습니다. 컨텐츠는 매우 좋았으나 저자의 과도한 자기자랑이 오히려 독자의 의욕을 떨어뜨리고 괴리감을 주며, 책이 저자의 상업목적 활용된다고 느끼는 순간 의미가 많이 퇴색되는 것 같아서 안타깝네요. 리뷰 감사합니다.
@IamATOMIC-gz4wu 38
2022년 7월 28일 20:12솔직한리뷰 잘봤습니다 저도 두사람을 좋아하는 편은 아닌데 두사람은 가벼워서 허세목적으로 자기자랑했다기보단 말씀대로 마켓팅목적이 진한거같습니다
@moonlight-dt2ck 21
2022년 9월 13일 01:02제가 이 책을 읽지 않고 있는 이유를 명료하게 해주시는 거 같아요. 예전 영상에서 저자를 보고 뭔가... 뭐랄까 거부감이 들었었거든요. 그런데 선생님의 이전 영상에서 필사할 정도의 책이라 추천하셔서 다시 읽어봐야겠다, 편견이었나 했어요. 필요한 부분을 선택해서 취해야겠어요. 진솔한 리뷰 감사합니다~!
@스펀지-p6u 21
2022년 7월 29일 20:35많은 공감이 됩니다. 성공을 한 저자가 자신의 삶을 회고하며 독자들에게 책값 이상의 가치를 주기위한 저작물이 아닌, 어그로성 개념적 제목과 목차, 카피문구와 짜집기 내용으로 가득채워 주목을 받고난 후 온라인 수강생으로 유입시키기 위한 찌라시로 활용. 하는
@군침이싹도노-b4f 21
2024년 2월 20일 09:36성지순례 왔습니다. 인사이트가 대단하시네요. 구독 박고 갑니다.
@bullsnam2239 18
2022년 8월 31일 21:46맞습니다. 저도 북카페 운영하면서 이 책과 윌씽킹 , 파리에서 도시락을 파는 여자로 유명한 켈리최 모두 비슷한 부류 입니다. 자기자랑 하면서 흙수저에서 갑부가 됐다고 하면서 사람들을 끌어모으고 있습니다. 검증도 되지 않았고 너무 유치하고 역겨웠어요
@user-mobius_satellite 17
2022년 8월 06일 15:19댓글을 잘 안 남기는데 영상을 보며 댓글 남깁니다~ 그런 유튜버, 인플루언서들에 대해 거부감 또는 불편함이 느낀 적이 요즘 들어 꽤 있었는데 속 시원히 말씀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일부 받아들일 거는 받아들이고 나에게 맞게 적용시키는 취사선택의 자세가 필요하다 생각합니다. 자기들이 돈 좀 번다고 썸네일을 연봉 x억, 월 xxxx만 이렇게 하면서 누구나 자기들처럼 돈 벌 수 있다고 호도하는 거 같고 자기들처럼 안 하는 사람들을 바보취급하거나 올린 영상들을 보면 시청자가 원치않을 수도 있을텐데 자신들이 뭐라도 되는 거 마냥 가르치려하는 늬앙스를 느끼곤 했습니다
이건 저의 주관적의견이라서 제3자들이 봤을 때는 어떨지는 모르겠네요. 여튼 제가 하고 싶은 말들을 대변해주는 거 같아서 좋았습니다
@dimensionlibrary7703 16
2023년 5월 07일 21:01저도 이 책을 읽어 봤습니다만 이 책에서 얻어갈 만한 것이 딱 하나 있다면 '행동력' 정도가 아닐까 싶습니다.
책에서는 끝없이 자의식과 게으름을 비판하고, 독자들을 가스라이팅하는데 거기에서 어떻게든 자극을 받아 본인이 무엇이든지 시도해보고 도전해본다면 아마 책의 가치는 한 것이지 않을까 싶어요. 하지만 역시 문제는 이건 쓴소리 유튜브 채널이 아닌, 돈 주고 사서 보는 '책'이라는 것이겠죠.
책에는 내용 자체에서도 당연히 가치가 있어야 하는데, 가르쳐준다는 사업 아이디어도 지나치게 인터넷 마케팅에만 치중된 것이었고, 새로움도, 구체성도 전혀 찾아볼 수 없어서 저도 실망스러웠습니다.
여하튼 여러모로 현 시대의 욕망과 트렌드를 잘 대변하는 책인 것 같습니다. 이 책이 베스트셀러가 된 것도 참 많은 것을 시사하고 있네요.
@chaeeun5954 15
2022년 7월 29일 02:25선생님의 책 추천 리뷰 영상이 항상 제일 수준이 높으신 것 같습니다. 자주 올려주세요..🙂
@justlee811 14
2022년 9월 01일 20:14공감되네요. 심하게 말하면 다단계 회원 모집 교육 때 다들 쉽게 돈 벌 수 있는 방법이 있고 잘 나지 않은 분들이 실제 돈을 벌였다 라고 꼬시는 것과 비슷해 보이네요. 그래도 베스트셀러 1위 달성한 거 보면 인간의 약점 결핍 욕망을 잘 이용하는 재주는 있어 보여요. 종교에서 잘 하는 수법이지요. 의심하지 말고 무조건 믿어라 그러면 얻을 것이다 ~
@부루마블-q8x 13
2022년 8월 10일 05:13자청 박세니 같은 분들 패턴을 보면 각종 유튜브 채널에 출연해서 홍보를 하고 몸값을 높이죠
그 분들 유튜브나 책을 보면 다른 컨텐츠와 차별화된 특별한 내용은 없고 강의 홍보가 주목적인듯 하더군요
@today357 12
2022년 8월 31일 14:35영상 잘 봤습니다. 20대 중반인 저도 선생님 영상이 공감이 되었기에 몇몇 댓글에 세대차이라는 말은 설득력이 없어보이네요... 읽으면서 뭔가 찝찝했는데 머릿속에서 꺼내 정리해놓으신 영상을 보니 도움이 됩니다. 이 책이 경제적 자유를 갈망하는 젊은 세대의 욕망을 정확히 긁어준 것 같네요ㅎㅎ 열광하는 사람들의 반응을 보며 오히려 제 자신에 대해 더욱 잘 알게 되었습니다.
@Space-gw3yj 9
2023년 1월 26일 12:48책을 읽을 때는 언제나 어떤 비평의식이 있어야하는데, 책을 읽어본적 없는 대다수 사람들이 자기계발서 책으로 부터 뭔가 얻겠다고 들여다 보게 되니 성공= 돈이라는 허상에 사로잡혀서 빠져드는 것만 같아 안타까운 와중에 날카로운 비평을 봐서 반갑습니다.
제가 늘 하는 말인데요. 노동값 이상 큰 돈을 번다는 것은 누군가에게는 사기를 쳐야 한다는 것이다 라고. 경영 경제과 출신들은 다 하나같이 제말이 맞다고 하더군요. 단군이래 가장 돈벌기 쉬운 시대가 아니라, 가장 사기치기 좋은 시대 라는 생각이 듭니다.
@amdre4159 9
2023년 9월 01일 07:04저렇게 자기자랑을 늘어놓는 건 대부분 저자의 권위를 강조해 사람들이 내 말을 듣게 하기 위함이죠... 자기가 실제로 독자들에게 전달하는 핵심정보가 설득력이 약하고 근거가 빈약할 때 저자들이 저런 방법을 과도하게 사용하더라고요.
@정디디-r6d 8
2023년 2월 15일 08:25영상 잘 봤습니다 저도 책 읽고 좀 찜찜했는데 너무 잘 정리해주셨네요ㅎㅎ 특히 자기자랑이 심한거 전적으로 공감합니다
@getthankyou8650 8
2022년 8월 02일 10:59자신의 광고 목적성이었다 해도 그런 전략은 보기 불편하고 본능에서 그릇되다고 느껴져요 그래서 저도 잠깐 구독했다 구취했었고 어떤 채널은 피곤감과 도태되는듯한 불안감을 갖게 하고 안사고 안하면 인생폭망 하는듯한 심리조장으로 끊어야겠다고 결정 하게 됩니다.끊임 없이 돈을 벌어야 하고 죽을때까지 돈 벌다가 끝내야 할 것 같은 하..
김교수의 세가지님을 통해 매일매인님을 알게 되어 저에게는 행운 입니다.
@빅디펜스-y5w 8
2024년 2월 24일 12:09와 게시기간이 논란되기 1년전이네... 진짜 아무도 예상못했을 시점에 인사이트 대단하네요
@이상현변호사 7
2022년 8월 31일 16:32영상 잘봤고 대부분 공감합니다.
자청, 신사임당.. 봉이김선달 같은 사람들이라고 생각합니다. 돈버는 재주가 있다는 건 인정합니다만, 돈을 벌고 있다는 것과 제대로 된 물건을 파는 건 엄연히 별개죠.
물론 '내가 산 대동강물이 최고인데 뭐가 문제냐'라고 외치는 이들도 있을 수 있습니다. 여기에도 많이 보이네요. 만족도는 상대적인 것이지만 '메타인지'가 필요해보입니다. 그 대동강물이 과연 어느 정도의 가치가 있는 것인지 객관적으로 검증하는 자세를 갖춰야 저런 사짜들에게 현혹되지 않겠죠.
@dododo__9999 7
2022년 10월 18일 02:42날선 댓글이 보이는데 상처 받지 않으셨으면 합니다. 잘 보았습니다.
@mook3134 7
2022년 7월 29일 04:39앞에 영상 리뷰가 좋았다는 내용만 있길래 이것도 책광고인가? 했는데 이런 영상이 또 올라오네요 ㅎㅎ 책 내용이 뭔가 도전해봐야겠다하는데에 동기부여는 되긴해도 실속이있거나 전문적이진 않은 것 같아요. .근거없이 책 내용 찬양하는 광고성 리뷰, 인터넷서점 리뷰,블로그 리뷰 많이 떠 있는 거보면 돈벌고 싶은 심리 자극해서 마케팅 엄청 하고 있는 것 같아요. 근데 자기자랑이 전 불편하진 않은 것 같아요. 돈 얼마 벌고 어느 정도의 사업을 하고있다 얘기하는 것은 자랑이보다는 증명으로 볼 수 있지도 않을까요. 애매하게 말하면 그게 더 허세가 될 수도 있으니까요. 오~ 이렇게 하는 방법도 있구나 이렇게해서 그만큼 성공했구나. 느끼고 . 신사임당님 말마따나 쟤도 했는데 내가 못해? 하고 동기부여되는.
@인재용-v4u 7
2023년 2월 07일 20:28전 이책이 베스트셀러인게 진짜 이해가안감
하도 많이 나오길래 읽다가 진짜 참고 150페
이지까지 읽다가 덮어버리고 치워버렸어요
자서전 스타일이던데 얼마나좋은 자서전이나
계발서가 많은데 사람들이 왜 열광하는지
진짜 이해가안가네요 구독 누르고 채널 자주
보겠습니다
@먀못 5
2023년 10월 08일 13:51제가 생각했던 부분입니다 적극 공감합니다
이책을 읽으면서 굉장한 거부감이 들어서 읽다가 포기했습니다
@ey-step3775 5
2022년 10월 12일 13:50요즘 재테크나 자기계발 서적의 트렌드인것 같아요. 저도 처음엔 신선하게 느껴지고 구체적인 수치나 사례들이 실제적으로 느껴져서 좋았는데, 반복적이게 접하다보니 그냥 다 상술같아서 손이 안가더라구요. 그냥 그렇게 돈버는 사람도 있구나 하는 정도로 보기에는 괜찮을것도 같아요. 자랑이라고 무조건 경계할건 없을거 같기도하구, 사람은 다들 인정받고픈 욕구가 어느정도는 있으니까요. 누군 명예, 누군 재력, 누구는 권력 또는 공로든지 자신이 욕망하는거에 따라 다를 뿐이지 않을까 싶어요. 단지 그게 좀 과하면 피곤하긴 하니까 적당히가 좋긴한데 ㅋㅋ 유튜브든 책이든 자랑이 과해서 피곤하면 책을 덮거나 재생종료라는 좋은 방법이 있으니까요.
@soos2049 5
2023년 2월 16일 20:38공감 또 공감하고 갑니다
일반 사람들을 비하하는 듯한 느낌의 썸네일이나 문구로 자극 하는 것도 극혐입니다
@minoh0530 5
2024년 1월 25일 12:07초 과대포장이라는 점이 문제.. 공기만 가득한 과자봉지..
@박수진-t1l 5
2022년 12월 07일 23:27이런책을 두번이나 읽으셨어요?전 도저히 끝까지 읽을수가 없어서ㅠㅠ
@yeounho5752 4
2023년 5월 26일 16:47안녕하세요 내용 잘 봤어요. 의구심 들었던 부분을 제대로 긁어주는 날카로운 비평인 것 같습니다. 좋은 내용 감사합니다. 이번에 개정판이 나왔다는데 읽어보셨다면 여기 나왔던 점이 보완이 됐는지 여쭤봐도 될까요?
@김도형-g2i 4
2023년 3월 12일 15:39저는 오히려 이런 진실된 리뷰가 좋은 것 같습니다.
오히려 영역이 다른 사람이나 길이 다른 사람에게 자기 자랑을 하면 자신을 높이기 위해 남을 낮추는 일입니다.
@하미야-l5g 4
2022년 11월 04일 12:48역행자 읽고 그런부분이 부담스럽지않았는데...이런 방법으로 모르는 사람들에게 알려주고 싶구나? 이렇게 생각했는데 솔직히 나도 모르는 부분이라 배우는것도 있었구요! 다들 다르게 느끼는 부분이니깐... 이렇게 생각하시는 분들도 많긴 하겠죠?
@김재성-j4j 4
2022년 7월 31일 12:09생각못해봤는데 맞는것같네요. 비판적 글읽기가 중요한것같습니다
@enfj_official 3
2023년 12월 12일 00:46이 책 읽고 저만 그렇게 생각한건가 . .. 블로그엔 다 옹호하는 글이라 내가 이상한건가 생각했는데 오늘 영상이 많은 공감이 되네요 ㅎ 참으로 통찰력 있으십니다~ 오랜 경험에서 나오는 말씀들이 귀감이 되어 구독누르고 갑니다^^
@윤이맘-q6t 3
2022년 8월 27일 16:53요즘 돈에 관한 이야기만 하는 세상에 나만 이상한 사람인가 싶을 정도의 혼란한 시기에 줗은 의견 감사합니다
@Kei-l9i 3
2022년 11월 19일 00:58책 사기 전에 알고리즘으로 만나게 되어 다행입니다.. 감사합니다!
@ajstyles6601 3
2024년 1월 06일 23:18자기계발서는 데일카네기의 인간관계론 하나만으로 충분합니다
성공을 다루는 자기개발서 돈버는 자기개발서 요즘에 유튜버들 영양가 없는 책 입니다
민타카 2
2022년 7월 28일 21:39있어보이고 싶고 잘나보이고 싶은 욕구만 줄여도 인생이 편~안해지는것 같아요^^
@user-yjdrhd1 2
2024년 2월 19일 07:53어머 이분이 역행자시네..성지순례왔어요...이 사태를 1년전에 예견하셨네요...
뿌우 2
2022년 7월 28일 20:42선생님의 좋은 견해에 감사합니다. 정말 용기내서 댓글 남겨봐요!
아무래도 관점의 차이가 큰것 같아요 .이제 막 사회생활을 앞둔 많이 부족한 사회초년생입니다..
질문은
인간은 자신이 잘난 맛에 살지 않나요? 허세가 아닌 자기자랑이 자기자랑이라는 행위 자체가 왜 나쁜행동인지 모르겠어요…예시로 말씀해주신 타인의 자기자랑으로 인해 발생된 한 부부의 감정불화의 일화에 공감은 하지만, 그러한 사례들이 보편적이라고 해서 자기자랑이 ‘나쁜행위’로 행해지는지 모르겠어요. 보편적이기 때문에 요즘 세태의 원인이되어 문제라고 말씀하시는 걸 까요?
오히려 그렇게 시기감과 박탈감을 느끼는게 잘못됐다고 생각해요..
잘난 것을 자랑하는 것이, 본인 기준에서 잘나지 못한 사람들에게서 그들이 느낀 부정적감정과 불화의 원인 제공자가 되는지 모르겠어요.
오히려 저는 자극이 되어 저 또한 그렇게 잘난 사람이 되고 싶은 의지가 생겨요.
또한 본인 기준에서 성공하신 분들이 책을 출간하는 것이 당연히 마케팅의 일부라고 생각해요. 이또한 나쁘게 보이지 않고요. 물론 이러한 선례들이 만연해져서 판별력이 부족하지만 간절한 사람들에게는 시간낭비와 안좋은 인풋을 줄수도 있겠죠..마지막 말씀들 처럼 돈만이 전부가 아니고, 돈을 따라간다고 해서 돈이 따라오지 않는 사실을 간과하는 세태에 대한 안타까움도 이해해요.
댓글을 쓰다보니 선생님의 영상기획의도를 알게되어 제 질문의 답변이 필요 없단 생각이 드네요.
선생님 삶의 연륜과 경험들이 깃든 말씀이시니 정말 ‘자랑’이 해악일까 라는 생각이 들어요.
책으로까지 자기자랑을 할 필요성은 없다는 말씀이실까요? 수많은 언론 보도 중에서도 속아내어 정보를 얻고 선택해야하는 것 처럼 책도 속아내어 보는게 좋다는 의견이시겠지요?
선생님께 감히 ‘자기자랑의 안좋은 점’에대해서 더 듣고 싶어요. 많은 사람들이 권력,높은 경제력에 대한 욕망이 크니까요..
@user-Insightfulmindlab 2
2024년 3월 24일 14:14책낸거보면다자기자랑 ㅋㅋㅋ진짜부자는저렇게안합니다
딱맞게 이해하셨네요. 쟤네들다 사업해서운좋아서돈벌고 유튜브로돈벌었다고 하면서 강의팔이하는얘들이에오
@umorhumor 2
2024년 1월 21일 10:36사이다 분석이군요 🎉 이게 인사이트지 ㅎㅎㅎ
@userhaed 2
2024년 2월 20일 01:48와 다 공감갑니다. 남들 다들 따라읽을때 저는 제 자리를 지켰죠. 뿌듯하네요.
@sonido7261 2
2023년 2월 24일 09:59책의 기본적인 역할에 대해 잘 아시는 분같아서 믿고 봅니다 좋은 콘텐츠 고맙습니다
kumu guy 2
2022년 7월 28일 21:05작가가 관종 냄새가 많이 나긴 했습니다.
@mikehwang 2
2024년 2월 23일 11:51돈 이상의 가치를 찾을 수 없는 수준 낮은 사람에게는 돈이 인생의 목적이지.
@hidden2017 2
2024년 1월 10일 17:07역행자에 대한 다른 접근 방법이 인상깊습니다. 성공에 대한 의지와 열망이 강한 독자는 저자가 의도한 부분을 간파할 수 있을 것입니다만 같은 것을 보더라도 이미 출발선의 동기부여가 다른 독자는 그냥 책을 사주는 구매자이 불과할 것이라고 느껴집니다. 제 자신은 자기계발서나 경제 특히 심리학을 주로 봤지만 최근엔 주역과 명리 분야에 관심이 많습니다. 즉 경제적 자유가 누려진다면 하고 싶은 다양한 자유를 누릴 수 있다는게 결론이며 한정된 생각에서 벗어남이 최우선적인 목표가 된다 여겨지네요. 때문에 역행자의 시각 또한 방법 중 하나라고만 생각됩니다. 너무나도 부정적인 측면만 부각된다면 또한 이 분야를 접한 독자들에게 다양한 기회 또한 빼앗아갈 수 있을 것이라고 느꼈기 때문에 장문으로 올렸습니다.
이 내용 또한 응원받아 마땅하다고 느낍니다.
@sinabroBOOK 1
2023년 11월 11일 17:19비평 잘 들었습니다. 저도 같은 느낌을 받았습니다. 다만 배울 부분 위주로 받아들이면 좋을 것 같아요.
@user-hf7if6mn4x 1
2023년 4월 09일 17:43가려운 곳을 시원하게 긁어주는 영상이었습니다. 감사합니다😊
@임반장-v8v 1
2024년 3월 13일 12:37와 대단하십니다. 뒤늦게 봤네요. 인사이트 존경합니다!
@forbellagold3700 1
2024년 7월 30일 09:21늘 유익한 매일 독서 ㆍ매일 인사이트 감사해요🍬
@ezaf6115 1
2023년 10월 07일 05:50신선한 관점으로 책을 설명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저도 역행자 별로 안좋은 책으로 봤는데 명쾌하게 설명해주시네요.
@silver0516 1
2024년 2월 25일 21:47이 영상을 정말 보여주고싶은 사람이 생각나네요😂😂
권선우 1
2022년 7월 28일 21:23정말 좋은 말씀 많이 해주시네요 ^^ 잘 보고갑니다.
@ready6205 1
2022년 8월 26일 23:40다른 시각으로 생각할 수 있게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각자의 의견이 있을 수 있으니.. 그에 대한 판단은 각자의 몫이라 생각합니다
+각자 자신의 재능을 살리라는 말 공감입니다
한정일 1
2022년 7월 28일 20:14120프로 공감합니다. 유튜브에 이상한 채널이 너무 많아요
@리우다레 1
2024년 2월 25일 01:22감탄 하고 갑니다
Seung Chol Jeon
2022년 7월 28일 23:10저는 자청과 신사임당 팬이었는데, 오늘 영상을 보니 제가 놓치고 있었던 측면을 생각하게 되네요. 이 영상을 자청과 신사임당이 보더라도 건설적인 영향을 받게 될거라고 생각합니다. 다만 썸네일 문구는 좀 자극적인거 같아요
FlyA
2022년 7월 29일 00:34돈욕망이 있어야 되는건 당연한거 아닌가요 ㅋㅋ
그럭저럭 돈걱정없이 태어난 인간이야 없겠지만
월급으로 집을 살수있나?
요즘같은 시대에 오히려 돈욕심없이 월급으로만 산다는건 아주 어리석은 짓이죠
회사에 충성을 바친다고 잘먹고 잘사는게 아닌데
인간은 원래 이기적이죠 이타심은
내가 할 수 있는 만큼의 배려와 도움을 주면 됩니다. 그 이상은 남한테도 나한테도 안좋죠.
자기사랑은 정말 엄청나게 중요한데
마치 국가라는 집단을 위해 아무리 힘들어도 애를 낳으라고 강요하는것과 같네요
마지막으로 별로 관심없지만 자청이 옳은지 않은지가 왜 중요하죠? 그저 자신의 성공노하우가 책에 있으니 노하우를 배울뿐입니다. 각자마다 그 노하우가 맞을수도 아닐수도 있죠
akhis
2022년 7월 29일 00:10Go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