솔직히 아무 도움 안되네요 ㅋㅋㅋㅋ 학교도 글로벌하게 여기저기 잘 나왔고 능력도 좋았겠죠 ㅋㅋ 제가아는 아마존 입사한 분은 채용만 6개월 걸렸습니다 ㅋㅋㅋ 저렇게 초고속으로 된건 그냥 다른데서 채가기 전에 빨리 데려오고 싶을 정도로 후보자가 마음에 들어서입니다 ㅋ 이는 아마존 뿐만이 아니라 어느기업이라도 맘에드는 후보자가 있으면 빨리 진행합니다 ㅎ 실제로 저도 구직활동할 때 떠올려보면 될 곳은 정말 말도안되게 피드백이 빨리 오고 오래걸리는곳은 안되겠구나.. 라고 생각하고 기다립니다. 왜 걸릴 이유가 없거든요. 딱히 맘에 확 와닿는 후보자가 없어서 이력서를 더 받아보고 싶을 수도 있고 후보자들이 또이또이라 딱히 결정을 빨리 내릴 매력을 못 느낀다거나 그런거죠. 오래 걸릴 이유가 없습니다. 암튼 뭐.... 쉽게 말해 이분이 잘나서 그런겁니다 ㅋㅋㅋㅋ
1. 삼성전자 -> 아마존, 마이크로소프트 지원 -> 아마존 입사 2. 영국런던대학 학사, 케임브리지 대학 석사, 프랑스 인시아드 MBA '김태강' 3. 아마존 성장 원인 : 훌륭한 인력 채용과 트레이닝을 통한 빠른 결정 4. 삼성전자 퇴사 이유 -> 외부에서의 기회, 그리고 호기심, 도전의 측면 5. 아마존 입사 이유 -> 빠른 면접과 입사 채용 전형( 총 10일 소요) 6. 삼성전자 취업 팁? -> 면접관에게 솔직함으로 어필(있는 그대로 이야기) 7. 아마존의 채용 원칙 : 리더쉽 원칙. 주인의식. 8. 회의시 모든 결정에는 데이터가 필요함 9. 학벌보다는 과거의 경험치를 중시하는 회사 -> 면접에 큰 비중 10. 삼성전자 : 대학원졸 기준 연봉 2011년 기준 5~6천 정도(사원3년차 인정) 11. 아마존 : 신입사원 기준 연봉(유럽 룩셈부르크 1억~2억)
IT계열 및 공과계열에서 취업을 준비하고 있는 분들은 생각이 많아질듯 하네요 ㅎㅎㅎ 향 후 진로 결정에 많은 도움이 될거란 생각도 해보았어요~ 김작가님 영상 잘봤습니다~~^^
스펙이 너무 좋으시다 보니, "솔직하게 얘기하는 게 좋다"는 건 다소 주관적인 체험일 지도 모르겠네요 ^^;; 이미 너무 빛나는 스펙의 후광이 있으시다 보니... 스펙이 좋아서 합격이 되버린건지, 솔직하게 얘기해서 합격이 된 건지는 알 수가 없다는 생각이 듭니다. ㅎㅎ 물론, 임원면접에서 허풍이나 거짓말을 했다가 들키면 최악의 감점이 되겠지만, 그래도 자신의 성품, 실력, 열정, 자세를 어필하겠다는 마음으로 들어가야 하지 않을까 개인적으로 생각해봅니다.
문과애들이 삼성전자 들어가기 힘드니까 실제 못받아봐서 이런 말도 안되는 비교하는 거 같은데 삼성전자와 아마존 연봉 비교도 안돼요. 삼성전자 연봉은 대졸 4천대 (옛날기준 선임) 5~6천대 (책임) 6~7천대라고 보면 맞아요. pspi(지금 opi)안나오면 이게 삼성전자 맞냐는 말 나올정도입니다. 좀 주변에 전자공학과 출신들 잡고 물어봐요 전자공학과 나오면 어렵지 않게 들어가는게 삼성전자니까.
학력도 굉장히 화려한데 생각보다 적게 받네요, 또 생각보다 삼성전자가 5-6천이고, 아마존도 연봉이 적네요 아들도 26살인데 평범한학교나와서 아마존 인터뷰했는데 5차 까지 하던데 ,, 연봉이적어서 안가고 호주회사에서 Head로 근무하는데 연봉 2억3천 받어요 굳이 화려한 학력에 회사 내임보고 선택할 필요 없어요
@Nddiejebnduc 60
2020년 3월 04일 21:00솔직히 아무 도움 안되네요 ㅋㅋㅋㅋ 학교도 글로벌하게 여기저기 잘 나왔고 능력도 좋았겠죠 ㅋㅋ 제가아는 아마존 입사한 분은 채용만 6개월 걸렸습니다 ㅋㅋㅋ 저렇게 초고속으로 된건 그냥 다른데서 채가기 전에 빨리 데려오고 싶을 정도로 후보자가 마음에 들어서입니다 ㅋ 이는 아마존 뿐만이 아니라 어느기업이라도 맘에드는 후보자가 있으면 빨리 진행합니다 ㅎ 실제로 저도 구직활동할 때 떠올려보면 될 곳은 정말 말도안되게 피드백이 빨리 오고 오래걸리는곳은 안되겠구나.. 라고 생각하고 기다립니다. 왜 걸릴 이유가 없거든요. 딱히 맘에 확 와닿는 후보자가 없어서 이력서를 더 받아보고 싶을 수도 있고 후보자들이 또이또이라 딱히 결정을 빨리 내릴 매력을 못 느낀다거나 그런거죠. 오래 걸릴 이유가 없습니다. 암튼 뭐.... 쉽게 말해 이분이 잘나서 그런겁니다 ㅋㅋㅋㅋ
따뜻한 하루DAILY&BOOK 45
2020년 3월 04일 22:001. 삼성전자 -> 아마존, 마이크로소프트 지원 -> 아마존 입사
2. 영국런던대학 학사, 케임브리지 대학 석사, 프랑스 인시아드 MBA '김태강'
3. 아마존 성장 원인 : 훌륭한 인력 채용과 트레이닝을 통한 빠른 결정
4. 삼성전자 퇴사 이유 -> 외부에서의 기회, 그리고 호기심, 도전의 측면
5. 아마존 입사 이유 -> 빠른 면접과 입사 채용 전형( 총 10일 소요)
6. 삼성전자 취업 팁? -> 면접관에게 솔직함으로 어필(있는 그대로 이야기)
7. 아마존의 채용 원칙 : 리더쉽 원칙. 주인의식.
8. 회의시 모든 결정에는 데이터가 필요함
9. 학벌보다는 과거의 경험치를 중시하는 회사 -> 면접에 큰 비중
10. 삼성전자 : 대학원졸 기준 연봉 2011년 기준 5~6천 정도(사원3년차 인정)
11. 아마존 : 신입사원 기준 연봉(유럽 룩셈부르크 1억~2억)
IT계열 및 공과계열에서 취업을 준비하고 있는 분들은 생각이 많아질듯 하네요 ㅎㅎㅎ
향 후 진로 결정에 많은 도움이 될거란 생각도 해보았어요~
김작가님 영상 잘봤습니다~~^^
@Marrco4z 28
2020년 3월 04일 22:50아마존 시총 1위 물러난지 꽤 됐습니다ㅎㅎ 애플이랑 ms한테 다시 역전당함
@GEORGES-ROSSI 27
2020년 3월 04일 21:34런던대가 정확히 어딘지는 모르겠지만..
화학공학으로 따지면
임페리얼 칼리지면 영국 2등
런던 유니버시티 런던 칼리지면 그냥저냥..
학석사를 영국에서 하신거면 집안이 대단하시네요..ㄷㄷ
@rockstar-sr4ed 20
2020년 3월 04일 22:32김작가TV 인터뷰에 나오신 분들 중에 목소리는 제일 탑인듯.. 그리고 스펙이랑 지성이 그냥 어나더 레벨 ㄷㄷㄷ
@HOWTo-g8n 19
2020년 3월 05일 00:50현재 32살이면 89년생인데... 대학원까지 졸업하고 11년도에 삼성 입사를 어떻게 했지... 다음 편에 나오나요?
@tonyjohn2691 11
2020년 3월 04일 21:10스펙이 너무 좋으시다 보니, "솔직하게 얘기하는 게 좋다"는 건 다소 주관적인 체험일 지도 모르겠네요 ^^;;
이미 너무 빛나는 스펙의 후광이 있으시다 보니... 스펙이 좋아서 합격이 되버린건지, 솔직하게 얘기해서 합격이 된 건지는 알 수가 없다는 생각이 듭니다. ㅎㅎ
물론, 임원면접에서 허풍이나 거짓말을 했다가 들키면 최악의 감점이 되겠지만, 그래도 자신의 성품, 실력, 열정, 자세를 어필하겠다는 마음으로 들어가야 하지 않을까 개인적으로 생각해봅니다.
@morningenglish7205 10
2020년 3월 04일 21:14와~ 저분 인상과 표정에 프라이드가 철철 넘친다 ㅎ
@DentistVinci 9
2020년 3월 04일 21:22면접에서 솔찍함은 정말 중요한것 같아요. 그리고 면접 전에 내가 면접관이 되보는 상상을 하며 나의 대답을 생각해 보는 것도. ㅎㅎ :)
@keehoonkang4088 8
2020년 3월 05일 19:21커리어도 외모도 멋짐 넘치는 태강이 자랑스럽다!!
@tjgure00 7
2020년 3월 09일 18:55문과애들이 삼성전자 들어가기 힘드니까 실제 못받아봐서 이런 말도 안되는 비교하는 거 같은데 삼성전자와 아마존 연봉 비교도 안돼요. 삼성전자 연봉은 대졸 4천대 (옛날기준 선임) 5~6천대 (책임) 6~7천대라고 보면 맞아요. pspi(지금 opi)안나오면 이게 삼성전자 맞냐는 말 나올정도입니다. 좀 주변에 전자공학과 출신들 잡고 물어봐요 전자공학과 나오면 어렵지 않게 들어가는게 삼성전자니까.
Lip's Choi 6
2020년 3월 05일 00:14김작가님 제발 탈모약 드세요 ㅜㅜ
Ted Jay 5
2020년 3월 06일 21:53생각 보다는 연봉이 높지는 않네요!
더 성장해서 유럽 총괄대표 되세요.~^^
@manfree3432 5
2020년 3월 09일 18:57아마존 세계 시총 1위 아니에요 작가님ㅜㅜ
@bbom8 4
2020년 3월 12일 00:50엄청 똑똑하시네~
@tshd4B2ZNWS 4
2020년 3월 11일 08:26저랑은 관련 없는 이야기네요. 엘리트중에 엘리트가 엘리트회사 무난하게 합격했다는 얘기.
@yoonheejin4694 3
2020년 3월 05일 16:04ㅋㅋㅋㅋㅋ 널 여기서 보게 될줄이야ㅋㅋㅋㅋㅋ
O 3
2020년 3월 13일 21:05월.급.쟁.이.
@coc8132 3
2020년 3월 11일 01:39눈빛 ㄹㅇ 또렷하시네요
@Jdidyfhehdhfb123 3
2020년 3월 16일 14:31그냥 집안 좋고 학비걱정없이
좋은대학 가고 졸업하고 중간 돈걱정없이 바로 석사하고 졸업하면 그냥 면접 망치지 않는이상 뽑은다..
@uhat_haha8758 3
2020년 3월 06일 01:125~6이라는데 5억이에요? 연봉이? 5천만원?
James C 3
2020년 3월 09일 07:26시가 총액 아람코 아닌가여 ㅋ ...그냥 개그로 받아주세요 테클 아님 ;
James C 3
2020년 3월 09일 07:36삼성 그래도 1위 기업인데 10년차가 연봉 1억 이 보너스 포함이라니 너무 적은거 아니냐 ;;;
@샌호-n7c 3
2020년 8월 14일 00:41말을 정말 잘하신다
@강행선-s3w 2
2021년 1월 29일 11:12우리 아들도 아마존 aws 에 입사해서 지금은 가족과 함께 싱가포로에 갔어요.
@forever4770 2
2023년 2월 09일 13:24학력도 굉장히 화려한데 생각보다 적게 받네요, 또 생각보다 삼성전자가 5-6천이고, 아마존도 연봉이 적네요
아들도 26살인데 평범한학교나와서 아마존 인터뷰했는데 5차 까지 하던데 ,,
연봉이적어서 안가고 호주회사에서 Head로 근무하는데 연봉 2억3천 받어요
굳이 화려한 학력에 회사 내임보고 선택할 필요 없어요
@중앙대체교17서울캠 2
2020년 3월 05일 07:30런던대학 ucl? 임페리얼?? 어디에요
@annadankim8717 2
2020년 3월 05일 10:015-6억?
@fjdifjebdhfjd2299 2
2020년 3월 05일 21:58영상 잘 보고 있습니당!! 저도 저분과 비슷한 길을 걷고 싶은 대학생인데 어떤 방식으로 유학을 갔고 어떠한 계기로석사 학위를 땄는지 또 MBA는 어떤 방식으로 진행했는지 궁금합니다
@소방관용꾸 2
2020년 3월 04일 22:46참 비슷한 나이에 저만큼의 연봉을 받을 수 있다는게 대단하네요~!!! 역시 사람들은 돈관련 정보에는 관심이 많아요 ㅎㅎ
@중앙대체교17서울캠 1
2020년 3월 05일 19:46영국 브리스톨대 공대도 세계적 명문급인데 어떤가요?
@hvuv 1
2020년 7월 10일 21:14아마존 주주로 잘보고 갑니다 ~~>
@watcher9892 1
2020년 4월 10일 14:07엘리트가 모이는 회사니까 많은 결정권을 줬겠지 어중이 떠중이 애들이 모인 회사에서 많은 결정권을 주면 사고만 치거나 본인이 부담을 느껴 그만두겠지
@JSJJHH509 1
2022년 1월 16일 01:17저도 미국 대학 영국 석사를 나왔습니다만.. 석사1년 + 삼전5년+ mba1년 + 아마존 2년 이라고 하셨는데 32이라니 외국시민권으로 군대는 안가신것 같네요 .. 부럽습니다
@K부동산월드 1
2020년 3월 05일 05:21미국 일류기업과 한국 일류기업의 차이점이 무척이나 궁금한데요~
미국 기업문화와 한국 기업문화는 다소간의 차이가 있어보입니다.
미국은 실적과 성과위주의 문화가 중요해보이고, 한국은 한가지 더~ 인맥 ?...
<< 쉽게 배우는 부동산 투자 >>
@annadankim8717 1
2020년 3월 05일 10:04난 미국 제약회사 20년차인데 2억 좀 넘네 ㅠㅠㅠㅠ
goo koo
2020년 6월 20일 08:13어느집 자제분이신지.. ?
@강행선-s3w
2021년 1월 29일 11:20임원이라고 알고 있는데 연봉이 좀 궁금합니다.
난최고다
2021년 1월 16일 20:15ㅋㅋㅋ 무선사업부 8천 ㅋㅋㅋㅋㅋㅋ
제가 ds 사업부인데욬ㅋㅋㅋㅋ( 참고로 동기중에 무선있는데 저보다 원천 낮았어요)
신입 8천은 특보 나왓을때 한정이었습니다;;
잘못된 정보 ㄴㄴ 하세요
@kirie.d9063
2021년 10월 06일 23:395억???
@user-cf9zo7of5m
2021년 1월 17일 10:09런던대가 임페리얼인가
@박상현-o4o2d
2022년 8월 17일 21:12제조업과 유통업을 비교하는게 웃긴거 아님 제조업은 생산성이 중요하고 유통업은 물량인데 비교 한다는거 자체가 웃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