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님 영상 감사합니다. 헌데 지금처럼 이미 금리가 인하된 시점에 국채(미국채)를 매입하는게 좋은 시점인가요? 혹은 향후 금리를 인상하는 시기에는 또 국채 투자가 망설여지던데,,, 미국채에 투자하기 좋은시기가 언제인지 궁금합니다. 그냥 자산배분이라는 관점에서 아무때나 분할매수 하면되는것인지요..^^;
홍박사님 팬입니다 한가지 궁금한게 있어 여쭤봅니다 미국이나 우리나라나 점차적으로 제로 금리로 가게 되고 자산시장은 버블이 생겨 붕괴 될 텐데 그 이후의 경제 질서는 어떻게 재편이 될까요? 서브프라임때처럼 뱅크런과 주식 부동산값이 하락해서 정부에선 양적완화와 금리인하로 대처를 해서 오늘에 까지 이어 왔는데 지금에 저금리에서 거품이 터진다고 생각하면 미국이나 한국의 대처 방법이 딱히 떠오지 않아 궁금합니다 그리고 국내 부동산과 미국의 주식시장은 버블에 얼마만큼 다가와 있는지요? 저금리에 모든게 올라버린 현상황에서 마땅한 투자처를 찾기가 쉽지 않아 고견 부탁드립니다~^^
채권쪽은 완전 초보라서요. 질문이 너무 초보스러운게 아닌가 싶은데요...TT 저는 한국주식과 함께 헷지목적으로 자산배분을 위해 미국채권ETF 매수를 고려하고 있습니다. 미국채권ETF회사에서는 채권을 매수해서 이자만 먹다가 나중에 만기가 되면 미국채를 돌려주면 되므로... 미국채 가격의 상승과 하락에 관계없이 미국채권에 투자한 ETF는 무조건 수익만 나는 구조가 아닌가요? 채권투자를 했는데 손실이 날수 있다는것이 조금 이해가 되지 않아서 문의드립니다. 미국채권이라는 똑같은 물건인데 빌려줄때 가격과 돌려받을때 가격을 다르게 평가하는건지 궁금합니다. 아파트 담보로 대출을 받으면 아파트 시세와는 관계없이 무조건 이자수익이 나는 은행으로 이해를 하고 있습니다.
@글자공간 4
2020년 3월 05일 07:22홍박사님 좋은 영상 감사드립니다.
그렇다면 금리가 상승하는 국면에는 어디에 투자를 하는게 좋을까요?
@tiankong.chinese 3
2020년 3월 05일 10:59박사님 덕분에 달러 투자, 연기금 공부 조금 하게됐어요.
채권 공부도 오늘부터 어서 시작하겠습니다!!
@itsuka0524 3
2020년 3월 05일 10:17이제 막 주식공부 시작한 대학생입니다. 늘 깔끔한 설명을 담은 영상들 잘 보고 있어요!
@TheHanjun0202 2
2020년 3월 05일 07:56홍박사님, 오늘도 좋은영상 감사합니다. 인플레이션 하락으로 선행지수(경기불황의 신호)로 보는군요.
경기불황-채권수요증가-금리증가-물가하락 싸이클에서 금리를 하락시켜 물가상승, 채권가격감소(주식상승)를 일으켜 경기부양.
@주자왕파킹 2
2020년 3월 05일 11:23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스노우맨-q5y 1
2020년 3월 05일 08:34박사님 영상 감사합니다. 헌데 지금처럼 이미 금리가 인하된 시점에 국채(미국채)를 매입하는게 좋은 시점인가요? 혹은 향후 금리를 인상하는 시기에는 또 국채 투자가 망설여지던데,,, 미국채에 투자하기 좋은시기가 언제인지 궁금합니다. 그냥 자산배분이라는 관점에서 아무때나 분할매수 하면되는것인지요..^^;
@young_ant97 1
2020년 3월 05일 10:53자산 배분 인사이트 잘봤습니다!
@user-lg3kv4lu8o 1
2020년 3월 05일 09:01품격있는 강의 감사합니다ㅎㅎ^^
@최원석-v3u 1
2020년 3월 05일 15:21대전 충남 혁신도시가 곧 지정될 텐데 혁신도시 관련 영상도 찍어주세요. 혁신도시의 미래 전망이라든지... 부탁드립니다~!
@정장섭-e9s 1
2020년 3월 05일 07:25이렇게 떨어졌는데도 채권을 계속 매입해 나가야 하는지 ??? 자산배분에 자신이 없어지네요 ~~~
@ddokki55 1
2020년 3월 05일 08:17박사님! 오늘도 감사합니다!
지난 영상 6개월기업전망을 보고 미국IT주식을 최근 코로나랑 경선으로인한 폭락때 비중을 많이 높혔는데요.full data set 지표 기준이면 반등이 아닌 추가하락을 예상할 수 있는거네요?
@HKC-qd2iq 1
2020년 3월 05일 12:21금리가 내려가면 채권가격이 올라간다고 알고 있는데
채권을 사야되는 시기가 아니라 팔아야 되는 시기 인 건가요..?
제가 경제를 잘 몰라서. .
@우키키-j7q 1
2020년 3월 05일 07:08잘보겠습니다~덕분에 채권금리에 대해 배워갑니다!!!
자몽레몽 1
2020년 3월 05일 13:37홍박사님
주식 채권 리밸런싱 주기를 단순히 정적으로(분기,년)보다
동적으로 하고싶은데 어떤 아이디어가 있을까요?
혹시 참고논문 자료 있을까요?
(동적 정적 주식 채권 비율배분에 대한 자료가 아닌)
항상 좋은 콘텐츠 감사합니다
@gustkdeo 1
2020년 3월 05일 07:13감사합니다 ㅎㅎ
@zybr90 1
2020년 3월 05일 09:03박사님 자산배분 관점에서는 채권을 일단 포트에 넣으면 뺄수가 없는데, 금리는 상하방 방향성이 동일한 확률이 아니라고 보이거든요. 금리를 내리면 내릴수록 향후 상향가능성은 점점 높아지는것이 아닐까요? 요즘 초장기채의 실적이 좋지만 중기채로 갈아타야할지 궁금합니다.
@MrUrhyunwoo 1
2020년 3월 05일 19:10홍박사님 팬입니다 한가지 궁금한게 있어 여쭤봅니다 미국이나 우리나라나 점차적으로 제로 금리로 가게 되고 자산시장은 버블이 생겨 붕괴 될 텐데 그 이후의 경제 질서는 어떻게 재편이 될까요? 서브프라임때처럼 뱅크런과 주식 부동산값이 하락해서 정부에선 양적완화와 금리인하로 대처를 해서 오늘에 까지 이어 왔는데 지금에 저금리에서 거품이 터진다고 생각하면 미국이나 한국의 대처 방법이 딱히 떠오지 않아 궁금합니다 그리고 국내 부동산과 미국의 주식시장은 버블에 얼마만큼 다가와 있는지요? 저금리에 모든게 올라버린 현상황에서 마땅한 투자처를 찾기가 쉽지 않아 고견 부탁드립니다~^^
@hanlee7420 1
2020년 3월 05일 20:13안녕하세요 박사님!!오늘도 유익한 영상 감사합니다!
영상을 보다 궁굼한점이 있어 질문드려봅니다! 답변주시면 정말 감사할것같습니다 ㅎㅎ
하나는
물가가 하락하고 금리가 내려가면 가격이오르는 자산으로 채권을 말씀해주셨는데, 채권뿐아니라 부동산 주식같은 실물자산은 모두 해당이 되는것같은데 채권을 특정해주신 이유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다른 하나는
1월에 경제지표 관련 오프라인 강의를 진행해주신걸로 알고있습니다. 2월에도 예정이었다는 댓글을 봤는데 아마 코로나로 미뤄진것 같습니다. 향후 사태가 잠잠해지면 예정이 있으신지, 따로 공지를 받을수있을지 궁금합니다!
오늘도 건강유의하시구요,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JUTOPIA 1
2020년 3월 05일 13:55와 오늘영상 감사합니다 :D
영상하나하나 볼때마다 공부가 저절로 되네요 ^^
HYUNMIN KOH
2020년 3월 08일 01:11박사님! 영상 잘 보았습니다. 특히 아래 댓글 중 컨벡시티 설명부분도 흥미롭네요. 주식 헷지용으로 채권을 사용한다고 하셨는데 미국채랑 정크본드(회사채) 어느것으로 해도 크게 상관이 없나요?
이번 하락장에서 미국채는 오르지만 회사채는 오히려 떨어지는 것 같아서요
@thurs391
2020년 3월 07일 10:53아니 홍박사는 달를 가르키는데 홍박사 손가락을 보는 닝켄들은 뭐냐 ㅋㅋ 아니 요기서 어떤자산에 투자할지 오ㅐ 물어보냐 ㅋㅋ
@jjason9934
2020년 3월 08일 16:37티노트본드트레이더임당 정확하고 좋은내용임당~ 감솨용!
@yghong3327
2020년 8월 30일 17:43채권쪽은 완전 초보라서요. 질문이 너무 초보스러운게 아닌가 싶은데요...TT
저는 한국주식과 함께 헷지목적으로 자산배분을 위해 미국채권ETF 매수를 고려하고 있습니다.
미국채권ETF회사에서는 채권을 매수해서 이자만 먹다가 나중에 만기가 되면 미국채를 돌려주면 되므로... 미국채 가격의 상승과 하락에 관계없이 미국채권에 투자한 ETF는 무조건 수익만 나는 구조가 아닌가요? 채권투자를 했는데 손실이 날수 있다는것이 조금 이해가 되지 않아서 문의드립니다.
미국채권이라는 똑같은 물건인데 빌려줄때 가격과 돌려받을때 가격을 다르게 평가하는건지 궁금합니다.
아파트 담보로 대출을 받으면 아파트 시세와는 관계없이 무조건 이자수익이 나는 은행으로 이해를 하고 있습니다.
@신의손-y7s
2020년 3월 05일 14:44나는 왜 영상이 안 보이고 소리만 나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