놀랍네요 삼성의 복지가 이렇게 좋을 줄이야..ㅎㅎ 아마존의 경우, 리더십 원칙이 매력적이네요. 개인적으로 아마존의 리더십 원칙 14개중 1, 2번이 가슴에 와닿네요:) 특히, 2번 "주인의식을 갖는다"는 정말 중요한 것 같아요. 저도 "자신이 사장이다"라는 각오로 임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겠네요~~!!:D
저도 삼성 다니다 구글로 이직했는데 너무 핵공감!ㅎㅎ 삼성 복지를 따라갈 수가 없어요ㅋㅋㅋ 일단 기본적으로 나라에서 제공하는 복지부터가 다르고 그 위에 더 얹어주니까 미국 기업이 암만 해도 따라갈 수가 없는 거 같아요. 2년에 한 번 (40대 이상은 1년에 한 번) 삼성의료원에서 전신건강검진 해주지, 사내병원에서 진료받으면 병원비, 약값, 물리치료 다 공짜지, MRI, CT 이런 비급여 항목도 다 돈 대주지, 밥 삼시 세 끼 공짜에 휴직자들이 밥이 젤 그리웠다 할 정도로 맛도 있지, 셔틀버스가 강남 같은 교통 허브 쪽으론 거의 10분에 한 대 꼴로 밤 12시까지 다니지, 육아휴직 남녀 모두에게 2년 주지, 자기계발(그냥 노는 것도 자기계발) 휴직 1년 주지, 연수 휴직도 최대 2년까지 주지, 출퇴근시간 자율이지... 구글 복지 좋은 걸로 유명한데 그냥 미국 기준으로 봤을 때 좋은 거에요ㅡㅡ 밥이 공짜이긴 하지만 글로벌 지사 밥은 그나마 괜찮은데 본사 밥은 진짜 너무 맛없어요. 핵맛없어요... 먹기 귀찮은 맛. 내 턱 저작근의 노동이 아까운 맛ㅋㅋㅋㅋ ㅠㅠㅠㅠ 심지어 마이크로키친(탕비실)에 간식들도 맛이 없음. 다 건강한 간식들. 어쩌다 한 번 안 건강한 간식 입고되면 사람들이 어케 알고 몰려와서 한 두 시간 안에 싹 쓸어감ㅋㅋㅋ 그리고 한 번 심하게 넘어져 다쳐서 사내 병원 갔더니 슬쩍 보더니 뼈 부러진 거 같으니까 응급실 가라고 한 마디 해주고, 연고나 붕대 처치 일절 없었는데 100불 청구하더라구요. 머 미국 의료시스템 원래 노답이긴 하지만;; 장점은 근무 문화랑 일하면서 배우는 게 많다는 점. 좀 더 효율적으로 일한다는 점. 사람들이 정말 서로 사적인 거에 관심 없고 일 얘기만 한다는 점. 그 외에는 사실상 장점이 없는 거 같아요. 연봉을 두 배 가까이 주긴 하지만 여기 캘리포니아는 세금도 두 배(최근에 계산해보니 거의 50% 떼어먹히는 듯. 복지 1도 없고 공공인프라 엉망진창인데 대체 이 세금은 다 어디로??), 집세는 월급의 반 이상이 나가기 때문에 실수령액은 삼성 신입 때보다도 적어요ㅠㅠㅠㅠ 으리으리한 집에 살면 말을 안해... 이 집세면 한국에선 타워팰리스에도 살 수 있는데 여기선 방 한 칸짜리 컨테이너 박스 재질 아파트ㅠㅠ 실리콘밸리 회사들은 커리어 생각해서 젊을 때 다니기엔 좋은 거 같은데 노후 생각하면 커리어 열심히 쌓고 다른 나라 가야겠다 생각 중입니다;
삼성전자의 복지가 아마존보다 더 좋다는 사실을 처음 알았네요 / 조금은 놀라운 사실입니다. 한국기업의 복지가 이렇게 글로벌 기업중에서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는 사실을 새롭게 알았습니다. 그런데, 기업문화는 한국기업과 미국기업의 차이는 큰 것으로 보이네요~/ 나름대로의 장점과 단점이 공존하는 것 같습니다. << 쉽게 배우는 부동산투자 >>
기본만 지켜도 회사는 잘 돌아가는데, 기본을 안 지키면서 회사 돌리려고 하니 성장이 안되는 부분 도 찝어서 말하시는 거 같네요. 한국 기업문화들은 대부분 일본 기업들이 행한걸 지금 까지도 이어오는 상태다 보니 , 강제적인 회식이나 강제적인 야근이 일상회 되고 직원들 의 생각조차도 없게 만들게 해버렸죠. 예전에 잘 나갔던 일본 기업들 같이 지금은 전부 침체 위기로 가는듯이 바뀌지 않는다면 성장은 1도 못 볼듯 합니다
@FunkyXtreme 24
2020년 3월 05일 18:09근데 복지가 삼성보다 안좋아도 연봉을 넘사벽으로 더 주니;;
@김강현-k6i 19
2020년 3월 05일 20:23우리나란 반대로 너 이제 유부남이야... 가족 먹여 살려야지.. 매일 야근..
@colornote1 16
2020년 3월 05일 18:19놀랍네요 삼성의 복지가 이렇게 좋을 줄이야..ㅎㅎ
아마존의 경우, 리더십 원칙이 매력적이네요. 개인적으로 아마존의 리더십 원칙 14개중 1, 2번이 가슴에 와닿네요:)
특히, 2번 "주인의식을 갖는다"는
정말 중요한 것 같아요.
저도 "자신이 사장이다"라는 각오로 임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겠네요~~!!:D
@chillaxin9219 15
2020년 3월 05일 20:38아마존은 기업 규모에 비해 복지 안좋은 기업으로 평가 받는 곳 아닌가요?
@yeonie8889 15
2020년 3월 10일 13:38저도 삼성 다니다 구글로 이직했는데 너무 핵공감!ㅎㅎ 삼성 복지를 따라갈 수가 없어요ㅋㅋㅋ 일단 기본적으로 나라에서 제공하는 복지부터가 다르고 그 위에 더 얹어주니까 미국 기업이 암만 해도 따라갈 수가 없는 거 같아요. 2년에 한 번 (40대 이상은 1년에 한 번) 삼성의료원에서 전신건강검진 해주지, 사내병원에서 진료받으면 병원비, 약값, 물리치료 다 공짜지, MRI, CT 이런 비급여 항목도 다 돈 대주지, 밥 삼시 세 끼 공짜에 휴직자들이 밥이 젤 그리웠다 할 정도로 맛도 있지, 셔틀버스가 강남 같은 교통 허브 쪽으론 거의 10분에 한 대 꼴로 밤 12시까지 다니지, 육아휴직 남녀 모두에게 2년 주지, 자기계발(그냥 노는 것도 자기계발) 휴직 1년 주지, 연수 휴직도 최대 2년까지 주지, 출퇴근시간 자율이지...
구글 복지 좋은 걸로 유명한데 그냥 미국 기준으로 봤을 때 좋은 거에요ㅡㅡ 밥이 공짜이긴 하지만 글로벌 지사 밥은 그나마 괜찮은데 본사 밥은 진짜 너무 맛없어요. 핵맛없어요... 먹기 귀찮은 맛. 내 턱 저작근의 노동이 아까운 맛ㅋㅋㅋㅋ ㅠㅠㅠㅠ 심지어 마이크로키친(탕비실)에 간식들도 맛이 없음. 다 건강한 간식들. 어쩌다 한 번 안 건강한 간식 입고되면 사람들이 어케 알고 몰려와서 한 두 시간 안에 싹 쓸어감ㅋㅋㅋ 그리고 한 번 심하게 넘어져 다쳐서 사내 병원 갔더니 슬쩍 보더니 뼈 부러진 거 같으니까 응급실 가라고 한 마디 해주고, 연고나 붕대 처치 일절 없었는데 100불 청구하더라구요. 머 미국 의료시스템 원래 노답이긴 하지만;;
장점은 근무 문화랑 일하면서 배우는 게 많다는 점. 좀 더 효율적으로 일한다는 점. 사람들이 정말 서로 사적인 거에 관심 없고 일 얘기만 한다는 점. 그 외에는 사실상 장점이 없는 거 같아요. 연봉을 두 배 가까이 주긴 하지만 여기 캘리포니아는 세금도 두 배(최근에 계산해보니 거의 50% 떼어먹히는 듯. 복지 1도 없고 공공인프라 엉망진창인데 대체 이 세금은 다 어디로??), 집세는 월급의 반 이상이 나가기 때문에 실수령액은 삼성 신입 때보다도 적어요ㅠㅠㅠㅠ 으리으리한 집에 살면 말을 안해... 이 집세면 한국에선 타워팰리스에도 살 수 있는데 여기선 방 한 칸짜리 컨테이너 박스 재질 아파트ㅠㅠ 실리콘밸리 회사들은 커리어 생각해서 젊을 때 다니기엔 좋은 거 같은데 노후 생각하면 커리어 열심히 쌓고 다른 나라 가야겠다 생각 중입니다;
@K부동산월드 9
2020년 3월 05일 17:46삼성전자의 복지가 아마존보다 더 좋다는 사실을 처음 알았네요 / 조금은 놀라운 사실입니다.
한국기업의 복지가 이렇게 글로벌 기업중에서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는 사실을 새롭게 알았습니다.
그런데, 기업문화는 한국기업과 미국기업의 차이는 큰 것으로 보이네요~/ 나름대로의 장점과 단점이 공존하는 것 같습니다.
<< 쉽게 배우는 부동산투자 >>
@writer_paradise 8
2020년 3월 05일 18:31와 역시 갓삼성이네요. 삼성... ㅠㅠ 들어가고 싶었다... 날 거부하더라
@소방관용꾸 7
2020년 3월 05일 18:08와... 삼성 복지... 부럽네요^^ 참 진짜.. 돈많은 회사는 다르긴하네요~
회식이 없는건 좋은데 외롭긴 할 거 같네요 그리고 혼자 발전해나가길 지켜보는 구글의 모습도 맘에 쏙 드네요
@onron8489 6
2020년 12월 24일 20:389:02 와 이 말을 해준 매니저 진짜 멋지네요
올챙이배 6
2020년 3월 05일 17:16갓삼성..
@ellyslee92 6
2020년 3월 11일 16:11흐허회식 없고 점심따로 먹는거 너무부럽다 ㅠㅠ 진짜 두개만 있어도 다른복지 다 필요없음 돈도 많이 주는거보다 저런게 훨씬더 더 좋음 ㅠㅠㅠㅠㅠ개인시간 존중해주는거 진짜 ㅠㅠ
@youtubemepew8533 5
2020년 3월 05일 23:08이번엔 애플 ㄱㄱ
@ahjgd1106 4
2020년 3월 19일 11:37메뉴는8개이상인데 처음엔 좋다가 그것도 한달지나서 부터는 질립니다 메뉴도 잘안바꾸고요 공짜라는건 메리트있죠 일찍오셔서 아침밥부터 드시는분들도 많습니다
@soohyunkim0000 4
2020년 3월 05일 19:39그런 가정적인 분의 이야기를 멋있다고 생각하시는 것 자체가 멋있으시네요 ,, 👍
@yjs3833 3
2020년 3월 05일 17:36말씀 너무 잘하세요. 재밌게 잘 들었습니다.
저도 현재 호주에서 IT 업계에서 일하고 있는데요, 제 생각엔 인터뷰에 나온 내용이 한국문화와 영미권 문화의 일반적 차이점인 것 같아요. 특히 점심 식대비는 한국은 Fringe benefit의 일부이고, 서구권은 월급에 포함된 개념이죠.
개인적인 취향으론 식대비는 월급으로 주는게 좋아요. 😄 개인 선호의 차이라 생각합니다.
@유유-b8d 3
2020년 3월 05일 22:21구글 안가보고 구글이 더 좋다니 ㅋㅋㅋㅋㅋㅋㅋ
lee 3
2020년 3월 05일 20:08혹시 이 질문에 답변 해 주실지 모르겠네요.
영상 재밌게 잘 봤습니다
원칙 중에 leaders are right a lot으로 되어있는데 옳다의 개념인가요 ? 아니면 정확하다의 개념인가요?
궁금하네요
좋은 영상 남겨주셔서
다시 한 번 감사합니다!
@olaolaaa533 3
2020년 3월 08일 21:1032세이신데 석사에 삼성 5년 근무하고 17년에 이직하신건데, 현재 32 세이시면 가능한건가요, 대학 석사 6(적으면 5), 삼전 5년 >> 11년 소요, 이직년도 나이 29... ?!
@great5429 2
2020년 3월 06일 00:15샘숭<<<아마존
@youtubemepew8533 2
2020년 3월 05일 23:09이번엔 skㄱㄱ
@oom8452 2
2020년 3월 07일 20:16기본만 지켜도 회사는 잘 돌아가는데, 기본을 안 지키면서 회사 돌리려고 하니 성장이 안되는 부분 도 찝어서 말하시는 거 같네요. 한국 기업문화들은 대부분 일본 기업들이 행한걸 지금 까지도 이어오는 상태다 보니 , 강제적인 회식이나 강제적인 야근이 일상회 되고 직원들 의 생각조차도 없게 만들게 해버렸죠. 예전에 잘 나갔던 일본 기업들 같이 지금은 전부 침체 위기로 가는듯이 바뀌지 않는다면 성장은 1도 못 볼듯 합니다
KPOP RADIO 2
2020년 3월 20일 11:47시간가는줄 모르고 봤다! 좋은 영상입니다.
@MmMm-iw2cb 2
2020년 3월 07일 16:23식비 무료면 말다했지
@성이름-d7e2e 1
2020년 11월 13일 15:30기업 문화에 있어서는 아마존이 압승이네요
@GoodgoldBee 1
2020년 6월 26일 08:28멋있당
@ShacklefordR 1
2020년 3월 07일 08:50Peer review 할 동료 고르라고 할때 본인 상사가 그분의 의견을 존중할꺼라 예상하는 사람을 골라야 하는게 정석이라 생각드네요 ^^
@내일오늘-n7i 1
2023년 4월 27일 13:13가족의 시간을 존중해주는건 진짜 좋은듯...출산율을 위해서라면 한국도 이거는 이런 식으로 바꾸는게 좋을 것 같네요.
@jennyy8092
2021년 3월 30일 22:50아마존은 월급 플러스 회사스탁을 주는데 월급만큼준다던데………복지보다 그게 훨씬 좋지안나 ?
@jinkin1739
2021년 5월 18일 20:41친구 삼성전자 모바일 사업부 다니는데 구글보다 복지좋냐고 하니까 개웃네 ㅋㅋ 캐리비안베이 티켓도 추첨해서 준다는데 ㅋㅋ
@leesanghong80
2020년 3월 09일 12:16200309
@2027대통령홍카콜라
2020년 5월 03일 23:17자유시장경제 체제에서는 고용의 자유 노동의 자유 등이 보장되어있고 기업들끼리의 경쟁으로 기업복지 경쟁도 이루어져서 대체적으로 기업 복지는 최고임
@Daniel-rv5ul
2021년 2월 22일 02:09이 분께서는 지금 아마존 본사에 계신건가요? 아니면 한국지사에 계신건가요?
J Kim
2022년 1월 23일 20:21아무리 그래도 구글이 최고지
@teenybox4614
2020년 5월 21일 16:12삼성복지? ㅎㅎ. 겉으론 허우대 멀쩡한 말이지만 힘없는 피해자한텐 피도 눈물도 없슴니다. 이태희 상무님 명복을 빔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