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분양이 있어야 정상이다. 공산품. 가전가구. 쌀. 의류. 식음료... 모두 소비량보다 생산량이 많고 재고가 넉넉해야 가격이 안정되듯이 주택도 재고 미분양이 넉넉해야 집값이 안정되는데 미분양이 있으면 비정상이라고 보고 미분양 가구를 뉴스꺼리가 되는게 비정상. 하물며 의식주중 공산품처럼 단기간에 공급가능한 것도 아닌 주택이 남는게 이슈이고. 왜 문제가 되는지.. 건설사의 분양 완판이 브랜드가치를 높이는 수단으로 이용되고 증명되는 것으로 간주하는게 잘못. 건설사 아파트 미분양이 많을수록 주택가격 불안을 없애고 완충역활을 한다.
이제 임금만으로는 집을 살수 없는 시대이고, 금리가 오르는 상황에서 대출도 옵션이 될수 없기 때문에 집을 구매하는 사람은 계속 감소하게되고, 이때문에 하락하는 집값이 영끌족과 같은 무리하게 집에 투자한 부류의 부동산 자산과 부실대출 뇌관을 건드리면서 부동산 폭락을 일으키는 수순인거고 이건 해외에서도 일어났던 일입니다. 다른말로는 버블붕괴인 셈이죠.
그동안 세력들이 분탕질하고 급등시켜놓은 부동산 자산이, 살사람이 없는상황에서 무슨수로 버틸수 있을까요?
비정상적으로 부동산이 올랐었죠 인구가 감소하고 인구 대비 주택 수가 부족 하지도 않은데도 언론에서는 마치 지금 집을 사지 않으면 영원히 집을 가질 수 없는 것처럼 떠들어 댔었죠 아마 투기꾼들은 이미 다 빠져 나갔을 겁니다 항상 실수요 자와 순진한 사람들만이 떠 안게 되었다고 생각합니다. 우리나라는 많이 배우고 많이 가진 사람들 책임감을 가져야 할 사람들이 본인들의 자리를 이용해서 이익을 챙기는 도덕적 해이가 이제는 너무나 당연한 것처럼 되어 버린 것 같아 슬프네요.
코로나 직전인 18,19년도에 이미 FRB가 돈거둬들이기+금리상승 예고됐었습니다.. 잠깐 미-중 무역전쟁때메 금리상승했다 떨어뜨림.. 집값도 주춤, 흔들흔들......부동산 상승에 취한 사람들의 심리가 바뀌기도 전에..(20,21년도 주욱 상승만 보이니 12만 전자 간다며 삼전 그렇게들 사셨었죠??) 버뜨 20년2-3월 코로나로 금리급하락, 돈을 기존10년 푼거 이상으로 풀어버리니.. 19년도까지 상승한 만큼 20,21년에 더 올라버림
돈푼것때메 인플레 올까봐 18,19년에 올리다고했었는데...20,21년 더 풀어버렸으니 현재 인플레는 당연한 수순
근로소득이 2-3배가 안올랐는데,, 5년대비 2-3배 올른거 누가 살까요???? 금리문제가 아니고 초고가로 지금 형성되었는데...... 4억짜리 10억되고, 5천빠졌다고....... 금리때문에 30만원 더 낸다고 투덜거리는건... 무주택자가 볼 때는 음...... 배부른 투정(?)
우리나라의 경우는 인구가 줄어드는 가운데 핵가족분열화로 1인가구가 증가하면서 주택수요가 늘었는데 이제는 한계에 온 거 같습니다 주택가격 오름에 대한기대심리로 인한 가수요로 인한 무리한 주택구매를 했지만 이제 중심권역 이외의 지역에는 일본처럼 내리막길로 갈 거 같아요 우리나라의 미래를 인구구조로 볼 때 일본보다 더 심각해 보입니다 그리고 지금까지 주택가격이 상승할 수 있었던 건 우리경제가 꾸준한 성장을 했는데 앞으로 경제성장도 상당히 둔화될 것으로 보인다는 전망입니다
서울시 강남의 외국계 회사인데, 지방에서 경력직 채용을 못하고 있습니다. 서울및 서울 근교 주택비 상승으로, 아예 면접 조차 거절당하고 있습니다. 거주지역에 따라 이미 신분이 나뉘는것 같습니다. 더 문제는 젊은 사람들인데, 도저히 상속을 못 받으면, 수도권 진입이 불가능한 현실.
옛날 쌀을 독점해서 팔면 돈 많이 번다고 했는데, 그러면 안된다고 했었죠. 집도 다주택자들에게 징벌적 과세를 하지 않으면, 우리에게미래는 없어 보입니다.
이 영상이 1년전건데 당시 폭락에서 지금은 꽤나 방까이 됐는데,,이제 현재 분위기가 조정받을것 같으니깐 다시 하락운운 하니,,이분 말씀은 당장 듣기엔 항상 그럴듯 한데 한참 지난후 돌아보면 시장은 다르게 움직이는게 문제입니다,물론 무주택자들 한테 하락론이 희망이지만 전문가 말 듣고 너무 심취하면 곤란합니다.참고로만 보고 자기 투자 마인드를 이것저것 공불해서 기르는게 우선일 것입니다.집은 평생 서너번 투자하는 것이기에 천천히 하락의 끝을 잘 잡으시기 바랍니다. 간단하게 말해서 집은 아주 쌀때 매수하는게 원칙이죠! 싸게 사서 잊어먹고 죽어라 생업에만 몰두하다 보면 훗날 인플이션에 따라 집값이 은근히 올라 있다니깐요! 문젠,지나친 대출해서 잡는게 문제죠.
@박대형-g2d 343
2022년 8월 07일 12:37온국민이 미친듯이 대출받아 갭투자한 결과다~~부동산은 돈버는 수단이 아닌 주거하는 공간이 되야한다~~~
@alicela5600 282
2022년 8월 08일 13:17미분양이 있어야 정상이다. 공산품. 가전가구. 쌀. 의류. 식음료... 모두 소비량보다 생산량이 많고 재고가 넉넉해야 가격이 안정되듯이 주택도 재고 미분양이 넉넉해야 집값이 안정되는데 미분양이 있으면 비정상이라고 보고 미분양 가구를 뉴스꺼리가 되는게 비정상. 하물며 의식주중 공산품처럼 단기간에 공급가능한 것도 아닌 주택이 남는게 이슈이고. 왜 문제가 되는지.. 건설사의 분양 완판이 브랜드가치를 높이는 수단으로 이용되고 증명되는 것으로 간주하는게 잘못. 건설사 아파트 미분양이 많을수록 주택가격 불안을 없애고 완충역활을 한다.
@free29998 247
2022년 8월 07일 13:07이제 임금만으로는 집을 살수 없는 시대이고, 금리가 오르는 상황에서 대출도 옵션이 될수 없기 때문에 집을 구매하는 사람은 계속 감소하게되고, 이때문에 하락하는 집값이 영끌족과 같은 무리하게 집에 투자한 부류의 부동산 자산과 부실대출 뇌관을 건드리면서 부동산 폭락을 일으키는 수순인거고 이건 해외에서도 일어났던 일입니다. 다른말로는 버블붕괴인 셈이죠.
그동안 세력들이 분탕질하고 급등시켜놓은 부동산 자산이, 살사람이 없는상황에서 무슨수로 버틸수 있을까요?
@michellekim6317 212
2022년 8월 08일 10:43비정상적으로 부동산이 올랐었죠 인구가 감소하고 인구 대비 주택 수가 부족 하지도 않은데도 언론에서는 마치 지금 집을 사지 않으면 영원히 집을 가질 수 없는 것처럼 떠들어 댔었죠 아마 투기꾼들은 이미 다 빠져 나갔을 겁니다 항상 실수요 자와 순진한 사람들만이 떠 안게 되었다고 생각합니다. 우리나라는 많이 배우고 많이 가진 사람들 책임감을 가져야 할 사람들이 본인들의 자리를 이용해서 이익을 챙기는 도덕적 해이가 이제는 너무나 당연한 것처럼 되어 버린 것 같아 슬프네요.
@user-ly4pv2jt2p 209
2022년 8월 07일 15:20지금처럼 거래 안될 때 집이 매도되면 정말 행운인거죠.
@부루스캠 194
2022년 8월 07일 12:41왜 다들 집값하락, 폭락 이라 이야기할까요~? 집값 정상화 표현이 맞지 않을까요~? 더 내려가야 합니다.
@Plumeria_Tree 169
2022년 8월 07일 14:53수요는 구매하고 싶은 욕구가 아니라 현재 가격에 구매할 수 있는 능력과 의사가 있어야 수요지요.
이위원님이 상승론자들의 허황된 수요 개념을 바로 잡아주시네요.
@이서윤-d7p 162
2022년 8월 08일 01:00저는 집이있지만 지금은 너무 오른상태라 빠지는게 많은 사람들이 집을좀 살수있지않을까 싶어 전적으로 떨어지는거에 찬성입니다
@신쿠짱 144
2022년 8월 09일 11:34이분 진짜 뚝심있게 지속적으로 집 사지 말라고 하셨다 코로나 때 가격이 더 오를 수 있어도 그때 산 사람이 오른 가격에 팔 수는 없을거라고...
JoonYong Park 125
2022년 8월 07일 12:36매도자의 입장으로 공인중개소 방문해보면 알 수 있습니다. 얼마나 매수 심리가 위축되어있는지를... 금리도 꽤 올라서 이자부담도 심각하고, 앞으로 부동산 가격 내려갈 전망이라 굳이 지금 매수할 이유가 없는거죠...
@momentree7595 112
2022년 8월 07일 14:31쉽게 말해 현재 한국의 아파트는 고평가입니다. 주식으로 말하면 per, pbr이 너무 높다는 것이죠
@자연생활-h6l 104
2022년 8월 07일 18:07나도 동감,,,,,소득 대비 집 값이 넘 높고.....버블도 심각
@신종수-y6j 98
2022년 8월 07일 12:52오른만큼 빠지는데
큰일 난리는 아니지요
아~더 빠질수도 있겠군요 대비해야지요
공부 잘하고 나갑니다
감사합니다
@jamesgrace609 72
2022년 8월 07일 13:34국가가 문제예요 집값이 많이 올랐으면 떨어질때도 자연스럽게 그냥 내버려둬야 하는데 올라갈때는 가만히있고 조금만 떨어지면 부양하려고 난리를 치니 이나라가 부동산투기공화국인가? 하는 의문이 드네요
@빅사이클 71
2022년 8월 07일 11:341000명중에 1명이 되는거라..... 확 와닿네 ㄷ ㄷ
KIM seoul_ 68
2022년 8월 07일 11:35코로나 직전인 18,19년도에 이미 FRB가 돈거둬들이기+금리상승 예고됐었습니다.. 잠깐 미-중 무역전쟁때메 금리상승했다 떨어뜨림.. 집값도 주춤, 흔들흔들......부동산 상승에 취한 사람들의 심리가 바뀌기도 전에..(20,21년도 주욱 상승만 보이니 12만 전자 간다며 삼전 그렇게들 사셨었죠??)
버뜨 20년2-3월 코로나로 금리급하락, 돈을 기존10년 푼거 이상으로 풀어버리니.. 19년도까지 상승한 만큼 20,21년에 더 올라버림
돈푼것때메 인플레 올까봐 18,19년에 올리다고했었는데...20,21년 더 풀어버렸으니 현재 인플레는 당연한 수순
@poseidong100 63
2022년 8월 07일 10:50부동산에 물린사람들만 댓글다는듯 난 그반대입장이라서 작년올해 팔은입장이라서 이분말에 공감
@설다경-q7d 61
2022년 8월 07일 12:22수도권 부동산 중심으로만 방송을 많이하는데
지방에 있는 부동산정보도 방송해 주세요
@최귀순-k7w 57
2022년 8월 08일 14:42이광수 위원님을 알게된게제게는 큰복입니다
감사합니다
TMT의식의흐름 53
2022년 8월 07일 12:20집을 살수 있는 수요가 없어요 !
할때 극락의 표정을 봐버렸네 ㅋㅋ
@NoName-qz3vi 51
2022년 8월 08일 17:03김작가님의 주택보유 이후 본인 부동산에 대한 안도감을 위한 질문할 때 참.. 인간적이시네요ㅋㅋ
@exclamation_markyt2852 47
2022년 8월 07일 14:04이광수 위원님 예측대로 진행하고 있습니다! 덕분에 잘 정리하고 대기중입니다! 감사합니다!
@정후-v8v 40
2022년 8월 07일 20:39집값 버블은 문정부에서 엄청 올랐는데ᆢ이제부터 폭락해야지요
집값때문에 젊은층 결혼도 연기되거나 포기하는 경우가 많은데ㆍ이제는 제대로 가격이 잡혀줬으면 합니다
@lucky_tv 36
2022년 8월 07일 11:55📌 김작가의 신규 유튜브 채널 <리치> 오픈, 놀러오세요:)
👉 https://youtu.be/EOezM8iV9nU
🌟 『이광수 위원_3부작 영상』 바로 보러 가기
👉 1부. https://www.youtube.com/watch?v=BTsHy5XYavU
👉 2부. https://www.youtube.com/watch?v=12zpFt1VsGA
👉 3부. https://www.youtube.com/watch?v=E-66BSC1RSU&t=809s
illiiiliiili 33
2022년 8월 07일 12:34지금 부동산하락이 온다라고 한다면 집값이 빠져서 걱정이 아니라 금리가 올라서 집을산다고 빌린 이자에 대한 걱정이 더 클거라고 생각합니다
@dkfls777 30
2022년 8월 07일 11:49근로소득이 2-3배가 안올랐는데,, 5년대비 2-3배 올른거 누가 살까요???? 금리문제가 아니고 초고가로 지금 형성되었는데...... 4억짜리 10억되고, 5천빠졌다고....... 금리때문에 30만원 더 낸다고 투덜거리는건... 무주택자가 볼 때는 음...... 배부른 투정(?)
다윤프로 30
2022년 8월 07일 14:36그냥 인구만 생각해도 답나오지 안나 십년전 고등학교 학생수랑 지금은 두배 차이나는데 집 살 인구자체가 반으로 줄어드는거다
@솔바람-d2i 26
2022년 8월 07일 20:09이광수의원님!
늘~~감사합니다!
@호승강-j2x 24
2022년 8월 07일 13:40각자의 상황이 다 다르겠지만 사견으로 지금은 위원님 말씀에 많이 공감합니다
신청년 22
2022년 8월 07일 12:20산업화세대 1500만명의 퇴직이 마무리단계이다 이제 이들은 노후를 위해 집을 팔거나 줄여야한다 즉 수요는 크게 줄고 매물은 크게늘고있는 상황이다 결과는 어찌될까?
@oaoav 22
2022년 8월 07일 11:27집값 하락 초입기에 들어섯다,,많이 빠지겟죠
@Afsgdhfjgkhl 20
2022년 8월 08일 13:05이 분 말을 참 알아듣게 잘하시네요
@gracemoon6296 20
2022년 8월 07일 17:39나이드신분들이 다주택 갖고계셔서 집값상승의 원인이 된 거 맞는거 같아요..
@서정-h5h 19
2022년 8월 07일 14:33알기쉽게 쏙쏙~
빠져든다요~
연옌보듯 신기방기~^^
이광수 위원님 쵝오십니다!!
@정여애 18
2022년 8월 08일 10:40이광수의원님 말씀 잘 들었습니다.
감사합니다~^^
@Koala-yf8nd 17
2022년 8월 07일 14:32이광수위원님 정말 오랜만입니다..넘반가웠어요~^^
@이재윤-i6y8s 17
2022년 8월 07일 16:36🙂감사합니다🙃💯 🤣항상 많은 걸 배우고 있습니다♡
@김상철-k1p 16
2022년 8월 13일 13:35작년 상승론자들 상승론 떠벌릴때
곧 하락 한다던 말씀에 저는 격하게 공감했었습니다.
냉정하신 판단 짱 이십니다.
@emilychoi8921 16
2022년 8월 26일 02:09가수요가 아닌 진짜 수요를 봐야 한다 / 가격은 빠지는데 거래량이 늘어날 때가 저점이다 (2013~14) 너무 좋은 말씀 나눠주셔서 감사합니다
@정주철-k7f 14
2022년 8월 07일 18:27이광수 위원님 항상 응원합니다
26년전이나 지금이나 항상 밝고 따듯하시네요
@눈보라체이스-g9r 14
2022년 8월 07일 16:061주택자입장에선 집값좀 떨어져주면 좋긴하지. 상급지 갈아타기하려해도 갭이 너무 크니까ㅜㅜ 2020년도 가격정도로만 떨어져주면 갈아타기해도 될듯한데 언제 빠져주려나
제갈량 12
2022년 8월 07일 15:25팩트입니다. 갭투기가 시세를 끌어올렸고 전세를 잡아야 집값이잡힙니다. 깡통전세도 갭투기때문이고! 고로 갭투기는 사기범죄로 치부하고 없애야합니다.
@dongkim8580 11
2022년 8월 07일 11:26서울이나 경기도나 지방 현재 매물 엄청나게 쏟아지고 있지만 호가는 그대로... 과연 누가 먼저 탈출하느냐..
low high 10
2022년 8월 07일 12:46작년 10월부터 거래량 줄기 시작해 12월부터 현재까지 최저치라 집값 하락한다고 그렇게 말했는데 일부 전문가들은 올해도 오를거라고 했지
황영구 10
2022년 8월 07일 14:22우리나라의 경우는 인구가 줄어드는 가운데 핵가족분열화로 1인가구가 증가하면서 주택수요가 늘었는데 이제는 한계에 온 거 같습니다 주택가격 오름에 대한기대심리로 인한 가수요로 인한 무리한 주택구매를 했지만 이제 중심권역 이외의 지역에는 일본처럼 내리막길로 갈 거 같아요 우리나라의 미래를 인구구조로 볼 때 일본보다 더 심각해 보입니다 그리고 지금까지 주택가격이 상승할 수 있었던 건 우리경제가 꾸준한 성장을 했는데 앞으로 경제성장도 상당히 둔화될 것으로 보인다는 전망입니다
loi hn 9
2022년 8월 07일 14:15그동안의 공급부족이라는 금과옥조는 그야말로 실수요가 아닌 언론과 정략과 부동산카르텔이 부추긴 투기성수요 아니었던가?
@rdid1 9
2022년 8월 09일 14:44사람들이 위원님이 집값 반드시 내려간다할때 정말 욕 많이했는데…이제야 빛을 보시는군요
@이빠샤-z7g 8
2022년 8월 08일 00:44집 사는 것보다 먹고 생활 하는게 더 중요 하지요.
@가을-m4z 7
2022년 8월 07일 11:54수요가 많다
단지 금리인하시점
매수다
부동산은 내가 전문가다
잘생긴삼촌 6
2022년 8월 07일 16:00떨어지면 매입하셔서 모두 성투 하시길~~
@shkim1165 6
2022년 8월 07일 14:343년전 분양권 사서 2배 이상 올랐는데 좀 떨어져도 상관없음
@김종현-c9e 6
2022년 8월 07일 18:52오른 만큼 빠지는데
뭐가 문제인건지 ..
수요와공급은 당연한건데
눈뜨면 아파트만 있으니 ...
km s 6
2022년 8월 07일 12:42앞날은 아무도 모름 ㅋㅋㅋ
yg p 6
2022년 8월 07일 13:11대출도 부동산이 사이클상으로 바닥일때 감당 할 수준으로 받아야지(최경환씨 대출받아 집 사세요?),지금은 최 고점인데...
대출 무서운 줄 모르면...주인이 머슴 될 수 있으니 조심요망.
sam 5
2022년 8월 07일 16:25버티면 결국은 우상향이라는 전제도 인구문제가 피부로와닿는 심각한 상황이 오면 틀릴수있어요 세상이 달라지고 패러다임이 바뀌고있음을 지금은 모르고 있을뿐..
@JIMIN-fp8gj 5
2022년 8월 11일 08:32하고싶다는 욕구만 있는건 잠재적 수요인거지.. 실제 수요가 아닌게 맞죠.. 잘 짚어주시네요
@leejuneil1 5
2022년 8월 23일 06:51현문현답!! 좋은 질문 좋은 대답!! 정말 뮤익하고 실제적이고 심플함!!
@김영숙-y5z5r 4
2022년 8월 07일 12:42100퍼올라 20~30퍼내리면 이건 내린건가요~~?
조혜연 4
2022년 8월 07일 12:53코로나전 하락한다 주장해서
뭐지 그랬는데ㅡ 완전 오름
JD Kim 3
2022년 8월 07일 14:48이양반 2016년부터 내내 집값 폭락 부르짖는 사람인데 또 나타났네 ㅋㅋㅋ 살 때 됬나보구만 서울 부동산 ㅋㅋㅋ
미쓰최 3
2022년 8월 07일 12:18주구장창 하락만 또는 상승만 한결같이 외치면 절반은 맞춰요~누구나 ㅎㅎ
@박시영-g5t 3
2022년 8월 21일 19:08서울시 강남의 외국계 회사인데, 지방에서 경력직 채용을 못하고 있습니다.
서울및 서울 근교 주택비 상승으로, 아예 면접 조차 거절당하고 있습니다.
거주지역에 따라 이미 신분이 나뉘는것 같습니다.
더 문제는 젊은 사람들인데, 도저히 상속을 못 받으면, 수도권 진입이 불가능한 현실.
옛날 쌀을 독점해서 팔면 돈 많이 번다고 했는데, 그러면 안된다고 했었죠.
집도 다주택자들에게 징벌적 과세를 하지 않으면, 우리에게미래는 없어 보입니다.
김태윤 2
2022년 8월 07일 17:25이 분 기다렸습니다. 이 분 몇개월 깐족대면 내년 폭등장입니다.
김영숙 2
2022년 8월 07일 12:37겁 많은 서민층 만 손해봅~~
박지웅 2
2022년 8월 07일 16:47진짜,내가 이분 반대로 집사서 다행이지..
정인용 2
2022년 8월 07일 15:53이광수씨 평생 집을 몇번이나 사보셨나요? 집사지 마라 하는것이 무주택자일 수 있겠군요,
가우수 2
2022년 8월 07일 14:27결론은 세금이자원금 내다가 경매행이다라는거네
@개식용을금지하라 2
2022년 9월 02일 14:40전국 집값 반토막으로
더 내려야합니다ㅜㅜ
김덕철 1
2022년 8월 07일 12:522028-29년에나 들여다봐야...
최진원 1
2022년 8월 07일 17:14부동산폭증세금으로 나라에서 코로나지원금 자영업지원무지막지하게했는데...전국민이 부동산으로 혜택본가나 다름없다!이젠 지옥을 맛볼것이다
조철민TV 1
2022년 8월 07일 17:21이광수 위원님 화이팅입니다♥
모바일게임방 1
2022년 8월 07일 17:32광수야 최근 미래에셋에서 전국 요지에 리조트, 호텔, 분양 사업하고 있는데 광수랑 미래에셋은 서로 다른 전망인거지?
@독고창 1
2023년 10월 28일 15:20이 영상이 1년전건데
당시 폭락에서 지금은 꽤나 방까이 됐는데,,이제 현재 분위기가 조정받을것 같으니깐 다시 하락운운 하니,,이분 말씀은 당장 듣기엔 항상 그럴듯 한데 한참 지난후 돌아보면 시장은 다르게 움직이는게 문제입니다,물론 무주택자들 한테 하락론이 희망이지만
전문가 말 듣고 너무 심취하면 곤란합니다.참고로만 보고 자기 투자 마인드를 이것저것 공불해서 기르는게 우선일 것입니다.집은 평생 서너번 투자하는 것이기에 천천히 하락의 끝을 잘 잡으시기 바랍니다.
간단하게 말해서 집은 아주 쌀때 매수하는게 원칙이죠! 싸게 사서 잊어먹고 죽어라 생업에만 몰두하다 보면 훗날 인플이션에 따라 집값이 은근히 올라 있다니깐요! 문젠,지나친 대출해서 잡는게 문제죠.
hana mija 1
2022년 8월 07일 17:54애는 옛날부터 집값 빠진다고 했으니, 속지 마시길. ..
@펩시제로-l5n
2022년 8월 20일 14:43이해가 안되는데 서울 전세 수요가 줄고있는게 맞나요? 전세 매물 없어서 못구하는 사람들 많다고 들었는데
@힐러타임
2022년 9월 22일 13:12이광수 위원님 넘 스마트하셔요~ 감사해요 모두 건강하시기♡
전화비서telfaxcokr
2022년 8월 07일 17:32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kw Park
2022년 8월 07일 17:24차트보니 전후세대 조부모들(6~70대 선수들) 부동산불패맹신 줍줍하고 부모들(5~60대)은 본인 노후생활 위해 추격매수! 결혼 어려운 3~40대는 코인 팔아 영클하니
어찌 집값이 안 올르리오
모두 코로나 저금리 드라마의 결론인듯
소리통
2022년 8월 07일 17:27이광수 위원님, 그동안 집값 거품 계속해서 경고 하셨는데 그 말을 안들은 사람들 고생좀 하겠네요.반대편에서 집값 계속 오른다던 이상우(?)라는 사람 요즘 뭐하나요?
J Park
2022년 8월 07일 16:15두 분 호흡이 잘 맞아요.
이정원
2022년 8월 07일 16:26우리 60대 70대 닥 가고 나면 우리나라 집만 남을것 같아요~
문선재
2022년 8월 07일 16:04이광수님 말씀에 동의 할 수 있는데요!
울 아이가 용산에 한가람 아파트 전세 사는데, 최근 임대차 3에 연장하면서 임대 5퍼 올려받지않아 좋아하더라구요
서송마
2022년 8월 07일 18:04이분이 전설로만 듣던 이광수 의원이시군요. 그때 집사지말아라 팔아라 무책임하게 내뱉고 많은사람들을 눈물로 만드셨던.. 맨탈강하시네요. 각자 의견이 있으니 확증편향은 벗어나시고 각자 판단하시길
@김윤-w6x
2022년 9월 15일 00:03불안심리 자극하지말고 밝고 건강한 긍정적인 분위기가 필요한 시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