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 도전 보다는 저축이 중요하다고 말 하시는분이 본인은 투자와 사업으로 성공하셨습니다. 1억 모은다고 변하는거 하나도 없습니다. 젊고 건강할때 시드머니를 위해서 발전의 기회를 버리지마세요. 사치와 유흥에 돈을 써라는 말이 아니고, 자기 자신을 발전 시키는데 돈을 아끼지마세요. 4년을 아끼기만 하고 살아서 1억 모으지만 마시고, 1억을 벌수있는 사람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마음가짐이 정말 중요하죠. 저랑 똑같은 돈 받고 일하던 동기, 2년 지난 지금 그 분은 통장에 한 푼도 없고 전 4천만원 정도 모았어요. 큰 차이 없었어요. 전 그냥 취사병 출신이기도 하고 요리하는 거 좋아해서 다 만들어 먹었고 그 분은 배달 포기 못한다고 2년간 20키로 찌면서 배달음식 달고 살았어요. 엥겔지수 차이 아마 5배는 날겁니다.
그리고 구독 서비스와 핸드폰. 전 알뜰폰 14000원짜리 15기가 받고 썼어요. 넷플릭스와 왓챠, 디즈니 플러스는 하나 구독하면 나머지 취소하는 식으로 돌렸 썼습니다. 그 분은 89000원 요금제에 넷플릭스 멜론 왓챠 티빙 웬만한 거 다 구독하고 보더라구요.
거주 환경이 달랐느냐, 전 부모님 집에서 생활하긴 하지만 생활비로 50만원씩 드렸습니다. 그 분은 부모님이 사준 전세집에서 생활했어요. 고정비 지출 제가 더 많았을 겁니다.
돈 모으면서 연애도 하고 여행도 가고 하고 싶은 거 다 했습니다. 취미인 카메라에도 700만원 가까이 썼네요. 컴퓨터도 300만원 주고 맞추고.
그냥... 쓸데 없는 돈을 줄였을 뿐이었습니다. 이통사 3사 안써도 통신 환경 큰 차이 없고 배달음식 안먹어도 세상에 먹을 거 많고 걍 진짜 쓸데 없는 돈만 찾아서 줄이고 마음 가짐만 좀 바꿔도. 250 벌고 157만원 저축 쌉가능입니다. 물론 개인적인 환경(월세 등) 차이가 있다면 그만큼 저축 빼면 되구요.
움..기준들을 계속 250에 잡아주시지만 ...저는 200도 못받는 세후190이에오,,,,수당까지하면 200갸우 되니까 200버는 사람들도 꿀팁 받고싶어요ㅠㅠㅠ50만원..차이가 큽니다ㅠㅠ엉엉 ㅠㅠㅠ
고정지출 113만원(부모님께 드리는 돈 포함)하면 겨우90좀 안되게 남는데 고정에서 이제 비울것도 없고 애초에 집이 넉넉하지 않아서 아득바득 사는 것 같은데도 모아지지 않아요ㅠㅠ 영상보고 배우려고 하는데 뭔가 제겐 다른세상의 사람들의 기준으로 배우는 느낌이라 적용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 감도 안와요ㅠㅠ 나름 적금한다고 한달 생활비를 20-40으로 잡고 있어도 모이지 않는 이유는 뭘까요ㅠㅠㅠㅠㅠㅠㅠㅠ
저 예적금을 아주 중요하게 여기는 사람입니다. 사회 초년생때 월급의 20%를 생활비로 쓰고 80% 중에 50% 이상은 적금(적금만기되면 예금), 20%는 노후 준비(연금,실비보험), 나머지 10%는 비상금으로 두고 돈을 모았어요. 생활비 20%는 대부분 통신요금, 식비, 시내외 버스요금 이에요. 기숙사 생활을 해서 가능했던거 같아요. (물욕이 없는것도 한 몫한듯) 적금은 절대 깨지 않는다는 신념으로.. 그때는 예적금말고 저에게 돈 모으는 방법을 알려주는 사람이 없었어요 ㅜ 저 고3때(20년전)집안형편이 좋지않아 취업해서 악착같이 벌었는데 그 덕에 친정 형편에 도움이 주었던거 같아요. 그렇게 친정 형편이 안정이 되서 이제는 내 집마련을 목표로 5년째 모으기 시작했어요. 현재는 남편 추천으로 장기 투자로 배당금 주는 주식과 일부 주식 쬐금 가지고 있고, 여전히 월급의 50% 이상은 적금 넣을려고 노력 중이고 30% 노후 준비, 20%의 생활비 유지 중 입니다. 현재 자녀가 없어서 가능한거 같은데 자녀가 생기면 유지가 어렵겠지만, 없는 상태에서는 무조건 유지할 예정입니다. 자녀가 있는 분들은 어떻게 준비를 하는지 궁금하긴 하네요. 대부분 영상들 보니 싱글인 분들 기준인거 같아서...
@해외선물ATM 193
2022년 8월 11일 17:49차는 그냥 없는게 낫다
@Jun_10 66
2022년 8월 17일 09:58투자, 도전 보다는 저축이 중요하다고 말 하시는분이 본인은 투자와 사업으로 성공하셨습니다.
1억 모은다고 변하는거 하나도 없습니다. 젊고 건강할때 시드머니를 위해서 발전의 기회를 버리지마세요.
사치와 유흥에 돈을 써라는 말이 아니고, 자기 자신을 발전 시키는데 돈을 아끼지마세요.
4년을 아끼기만 하고 살아서 1억 모으지만 마시고, 1억을 벌수있는 사람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somasmaxcube 43
2022년 8월 22일 12:57월 생활비 93만원 가능하려면 자취는 절대 하면 안되겠군.
하지만 통장에 5000만원 찍히면 세상이 다르게 보이는건 맞습니다.
@TG-Sajin 38
2022년 9월 02일 23:28마음가짐이 정말 중요하죠.
저랑 똑같은 돈 받고 일하던 동기, 2년 지난 지금 그 분은 통장에 한 푼도 없고 전 4천만원 정도 모았어요.
큰 차이 없었어요. 전 그냥 취사병 출신이기도 하고 요리하는 거 좋아해서 다 만들어 먹었고
그 분은 배달 포기 못한다고 2년간 20키로 찌면서 배달음식 달고 살았어요.
엥겔지수 차이 아마 5배는 날겁니다.
그리고 구독 서비스와 핸드폰. 전 알뜰폰 14000원짜리 15기가 받고 썼어요. 넷플릭스와 왓챠, 디즈니 플러스는 하나 구독하면 나머지 취소하는 식으로 돌렸 썼습니다.
그 분은 89000원 요금제에 넷플릭스 멜론 왓챠 티빙 웬만한 거 다 구독하고 보더라구요.
거주 환경이 달랐느냐, 전 부모님 집에서 생활하긴 하지만 생활비로 50만원씩 드렸습니다.
그 분은 부모님이 사준 전세집에서 생활했어요. 고정비 지출 제가 더 많았을 겁니다.
돈 모으면서 연애도 하고 여행도 가고 하고 싶은 거 다 했습니다. 취미인 카메라에도 700만원 가까이 썼네요. 컴퓨터도 300만원 주고 맞추고.
그냥... 쓸데 없는 돈을 줄였을 뿐이었습니다.
이통사 3사 안써도 통신 환경 큰 차이 없고
배달음식 안먹어도 세상에 먹을 거 많고
걍 진짜 쓸데 없는 돈만 찾아서 줄이고 마음 가짐만 좀 바꿔도. 250 벌고 157만원 저축 쌉가능입니다. 물론 개인적인 환경(월세 등) 차이가 있다면 그만큼 저축 빼면 되구요.
제가 많이 모은 건 아니지만 정말 최소로 이정도는 해야한다고 생각하고 살고 있습니다
@최병진-i1z 38
2022년 8월 11일 19:57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주식으로 크게 손해보고 나서야 저축의 중요성을 알았습니다
@노잼대전시민 33
2022년 8월 11일 19:52인생의 정답이 없듯이 이 분의 말씀도 정답은 아니겠죠
근데 이 분이 하시는 말씀은 목돈을 만들기 위해 가장 안정적이면서 확실한 '하나'의 방법을 가이드 해주시는거라 생각해요
목돈을 만들면서 느끼는 것들도 많을거구요
@SejungJoo 30
2022년 9월 11일 17:53최근 들었던 방송 중 가장 현실적인 내용과 방송 이었습니다
정말 감사해요 ^^
@CH신사임당 23
2022년 8월 11일 22:19김경필 멘토 신간 '오늘은 짠테크 내일은 플렉스' 도서 구매 : http://kyobo.link/TX5X
@비트중독자-k2w 18
2022년 8월 12일 10:0225살부터 일하면 35살까지 150마넌씩 모으며 회사 열심히다니면서 퇴직금털고 돈도 2억정도 모으면 집살수있음
@hyeon-sf8qn 18
2022년 9월 13일 13:07그래도 확실히 불필요한 소비를 줄이는 습관은 나이를 막론하고 도움이 되는 것 같다
무엇이 더 가치있는 소비인지 생각해보는 건
적어도 불확실한 미래를 대비하는데 도움이 되는듯. 가치란 사람마다 다르겠지만 어느정도 보편적이고 객관적인 기준이 있으니
@너굴판다-p8p 17
2022년 8월 18일 11:10늘 재미있고 이해가 쏙쏙 되게 설명해주셔서 감사합니다~ 늘 잘 보고 있습니다^^
@blueuniverse494 14
2022년 8월 14일 19:01김경필멘토님.목소리가 또랑또랑 귀에 쏙쏙 때려박히네요.1일1강 필수입니다.^^
@소금돌이 14
2022년 8월 12일 08:36회사가 진짜 멀면 대중교통으로도 5% 넘을 수도…
@삐약-n5o 14
2022년 8월 11일 18:10재밌네요.... 다시한번 제 생활을 돌아보게됐어요
@truthscenery2869 13
2022년 8월 14일 15:09엄청 와닿고 쉽게 이야기해주시네요
감사합니다^^~
@이민아-f6n 13
2022년 9월 18일 21:16많은걸 느끼고 생각하게 해주는 방송이네요
잘 들었습니다 감사합니다
@김석-s2r 11
2022년 8월 11일 20:35한국 사람들은 직장인들의 우선 1억을 모아야 합니다 그래야 그 후에 시드머니로 삼아 서 투자를 하고 돈을 벌어야 합니다 감사합니다 😈
@한사람oneperson 10
2022년 10월 03일 01:43움..기준들을 계속 250에 잡아주시지만 ...저는 200도 못받는 세후190이에오,,,,수당까지하면 200갸우 되니까 200버는 사람들도 꿀팁 받고싶어요ㅠㅠㅠ50만원..차이가 큽니다ㅠㅠ엉엉 ㅠㅠㅠ
고정지출 113만원(부모님께 드리는 돈 포함)하면 겨우90좀 안되게 남는데 고정에서 이제 비울것도 없고 애초에 집이 넉넉하지 않아서 아득바득 사는 것 같은데도 모아지지 않아요ㅠㅠ 영상보고 배우려고 하는데 뭔가 제겐 다른세상의 사람들의 기준으로 배우는 느낌이라 적용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 감도 안와요ㅠㅠ 나름 적금한다고 한달 생활비를 20-40으로 잡고 있어도 모이지 않는 이유는 뭘까요ㅠㅠㅠㅠㅠㅠㅠㅠ
@진진짜라-v2p 10
2022년 8월 29일 19:43이렇게 재테크 유튜브중에 가장 가슴에와닿고 고갤끄덕이게하는영상이 있다니!!!
진짜 킬링포인트가 너무많아요!!😍😍
지옥은 공간이아니라 상황이다
@sianpapa 9
2022년 8월 14일 05:54200~250따리는 나갑니다..
@양매매윤 7
2022년 8월 12일 10:48평소 생각했던 부분이긴 한데 오늘 말씀듣고 다시한번 생각하게 됩니다.
좋은 영상 감사드립니다.
@milovi127 7
2022년 9월 15일 17:34대박..이렇게 설명 잘하시는분 첨봐요..
@signalyu 7
2022년 8월 13일 20:48그냥 들었는데 굉장히 좋은 내용이네요????????개쩔
@nymm6943 7
2022년 8월 11일 19:08좋은말씀 감사합니다
@먀먀MyamYa 7
2022년 9월 30일 18:361. 빨리 목돈만들기. 월급의 절반이상 저축하기.
2. 경제상황이 변함. 저축의 3~4%금리도 무시할게 아니라 중요하니까 기본으로 돌아가서 예적금 잘하기!
3. 월급에 맞는 차 기준 정해주심. 16:12~
4. 남들과 비교하며 불행해지지 말자! 25:15~
5. 31:30 교회가서 은혜받기..! 철학적!
@tamuse2442 7
2022년 8월 13일 00:01좋은 강의 들을 수 있어 정말 감사합니다
@이혜진-u2m4z 6
2022년 8월 22일 23:35멘토님 감사해요~ 항상 영상 보고 힘냅니당!!!!
@jamesyoon5275 6
2022년 8월 25일 20:48감사합니다 선생님!
@MrJINSUKIM 6
2022년 8월 12일 07:37말씀 감사합니다 ^^
@kwakjk88 5
2022년 8월 14일 06:47BMW -> Bus Metro *Walking 입니다 ^^
@cwj9565 4
2022년 8월 20일 19:20정말멋있습니다 감사합니다
@ejdjrjeif 4
2022년 8월 24일 09:32월세보다는 전세가 낫다는데 돈 모아서 월세살거 아니면 전세 살아야 하고 그러려면 1억으로는 택도 없는데 1억 모아서 뭐하나요? 한번 금액이 늘어나도 어차피 또 전세금에 부어야 하는데
@꼬망-i7z 4
2022년 9월 20일 20:573년에 1억 실천했는데 그 다음 방향점 가르쳐주세요.
gi giga 3
2022년 8월 11일 17:49근데 이분 항상 궁금한게 주식시장이 한국에만 국한된 것 처럼 말하시고 장기투자 성공못한다고 단언하시는 거죠? 미국나스닥은 지난 10년간 1년에 평균 15프로 가까이 성장했습니다. 저는 미국주식으로 인플레이션 햇지할겁니다. 저축이 답이 아닙니다.
@긍정긍정긍정-h3t 2
2022년 11월 07일 00:33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hyunmilee573 2
2023년 1월 11일 17:20몇 해전에 오프라인 강의로 뵈었던 김경필 선생님을 유투브로 만나뵙게 되서 더욱 반갑네요~ 공감가는 영상 감사합니다 더 챙겨보겠습니다^^
@올리브-n3w 2
2022년 8월 31일 19:47구구절절 맞는 말씀~~
감사합니다.^^
@diannlee9 2
2022년 9월 30일 20:24부모님집에 얹혀사는 사람들은 그만큼 저축 가능하겠죠..전세살이하는 사람은 고정지출50은 기본이어서 월 100저금하는건 쉽지않아요,, 사는곳을 반지하로 한다면 가능하겠지만 그렇게하면 인간다운삶을 포기하는 일이겠군요..
@메밀꽃 2
2022년 8월 12일 15:21감사해요,
@박창환-g6s 2
2022년 11월 16일 01:292:12 씹 ㅋㅋㅋㅋㅋ 90년대에 155만원이면 과장 안보태고 지금으로치면 350~400임
김명섭 2
2022년 8월 11일 17:311빠
@inkless533 1
2023년 3월 17일 22:375:56 진짜 그래요 제가 학생이라 6~7천만은 못모아봤지만
"아 10만원 모아서 만년필 사야지~"하면서 들었던 적금이 끝나니까 아? 아까운데? 하고 다시 적금에 넣어버림ㅋㅋㅋㅋㅋㅋ
@원원-t8u 1
2023년 1월 29일 06:52저 계산이면 차 절때 못삽니다
차량유지비 무시 못합니다
세금 보험금 유류비 기타정비비 등등 나가는돈 엄청 많습니다
Eddy Shin 1
2022년 8월 11일 17:55음질이 너무 떨어져요
jknimeda 1
2022년 8월 11일 17:312
후후후훗 1
2022년 8월 11일 17:433
@비요비요-d2f 1
2022년 11월 12일 06:30많이 배워갑니다
@김루피-i1v 1
2023년 2월 01일 03:21올해 29살 신입 2년차인데 진짜 영상 2번 봤습니다. 감사합니다
@빅엿-m6j 1
2023년 1월 22일 11:35올해 30에 기본급 세후 380정도인데 소비 줄이고 하는것이 굉장히 큰 숙제 같습니다
@Abcdpoiuy123
2023년 12월 02일 16:10공감하고 동의합니다😊
@정하늘천사
2023년 6월 16일 23:04너무 지당하십니다
멘토님 너무 감사합니다
정말 최고이십니다
@복쓰리-e9h
2022년 11월 23일 12:42나이들어 돈없음 나만 손해!!
그러니 모을땐 바짝 모아서 투자금 대비해야겠죠 나이들어 돈없고 텅장만 가지고
빚지는 노후는 생각만 해도 끔찍해요
영상 잘 보았습니다^^
읭이잉
2022년 8월 11일 17:49전제조건 거주로인한 문제가 없다는 사람 기준인가보네요
250에 고정지출하면 157저축을 못하는 사람이 더 많을듯요
그런생활을 안해보셨니 기본적으로 깔려있지않네요
장기투자를 도박으로 치부하시는것도 그렇고 흠..
@김나리-b4n
2023년 12월 10일 22:09정말 말씀 잘하시네요❤😂😂
@이지애-m4x
2023년 3월 15일 23:15저 예적금을 아주 중요하게 여기는 사람입니다.
사회 초년생때 월급의 20%를 생활비로 쓰고
80% 중에 50% 이상은 적금(적금만기되면 예금), 20%는 노후 준비(연금,실비보험), 나머지 10%는 비상금으로 두고 돈을 모았어요. 생활비 20%는 대부분 통신요금, 식비, 시내외 버스요금 이에요. 기숙사 생활을 해서 가능했던거 같아요. (물욕이 없는것도 한 몫한듯)
적금은 절대 깨지 않는다는 신념으로.. 그때는 예적금말고 저에게 돈 모으는 방법을 알려주는 사람이 없었어요 ㅜ
저 고3때(20년전)집안형편이 좋지않아 취업해서 악착같이 벌었는데 그 덕에 친정 형편에 도움이 주었던거 같아요.
그렇게 친정 형편이 안정이 되서 이제는 내 집마련을 목표로 5년째 모으기 시작했어요.
현재는 남편 추천으로 장기 투자로 배당금 주는 주식과 일부 주식 쬐금 가지고 있고, 여전히 월급의 50% 이상은 적금 넣을려고 노력 중이고 30% 노후 준비, 20%의 생활비 유지 중 입니다. 현재 자녀가 없어서 가능한거 같은데 자녀가 생기면 유지가 어렵겠지만, 없는 상태에서는 무조건 유지할 예정입니다. 자녀가 있는 분들은 어떻게 준비를 하는지 궁금하긴 하네요. 대부분 영상들 보니 싱글인 분들 기준인거 같아서...
audrey
2022년 8월 11일 18:01말씀 듣고보니 공짜인 행복이 사방에 널렸네요^^
감사합니다! 적금 열심히 할께요 ㅎㅎ
@쿨럭-y9y
2023년 3월 29일 00:30저두 세금때고 실수령 350이상 조금 더버는데... 28살입니다... 근데 이영상보고 반성을 합니다... 씀씀이가 너무 해퍼서 돈을 못모았네요.. 정신차리게 해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