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가 그래서 작년에 연봉이 100% 오를수 있었나 보네요.. 9 년차에요.. 정말 별별일 회사에서 시키는 일들 다 하다보니, 모르는건 독학하며 일하다 보니.. 제 분야에서 전문성을 인정받게 되었습니다.. 9 년차에 조금씩 오르던 연봉이 수직으로 올라간걸 보니.. 저 그래프에 제가 해당 됩니다..
1. 전문성을 기르기위해 기본소양을 미리 공부(독서)하고, 전문가를 통해 현업에서 알 수 있는 암묵지를 찾는다. 2. 실패를 정리해서 복기하고 책을 쓴다.(전자책 가능) 3. 상위 1%는 박사처럼 스스로 연구하고 배워야한다. 가설은 세우고, 실험을 반복하고 기록을 남겨 커뮤니티를 만들다.
오늘 주제와 통하는 책을 읽고 있어요. <독학은 어떻게 삶의 무기가 되는가> (야마구치 슈 지음, 김지영 옮김, 앳워크) 신 박사님이 항상 말씀하시는 독서, 교양의 중요성을 이 책에서도 강조하고 있어요. 인풋을 아웃풋하는 구체적인 방법도 참고하기에 좋다고 느꼈습니다. 졸꾸 여러분 함께 화이팅했으면 합니다! 오늘 영상도 감사합니다!
일년 전 부터 자주 듣다가 근 세 달 전 부터는 매일 매일 듣고 있습니다. 박사님의 열정과 저의 목마름이 만나 엄청난 시너지를 내고 있습니다. 늘 말씀 하시는 누군가는 이 영상을 보고 ~ 할 것이다. 네 그 비율에 속한 한 사람이 저입니다. 아침에 일어나 성경말씀 듣고 다음 차례입니다. 루틴입니다.
저희 부부는 3개의 사업을 운영중인데 자주 말씀하시는 병렬적 사고방식이 우리가 하고 있는 부분이란 걸 깨닫고 더 정진하게 됐어요. 인상 깊었던 것은 주100시간의 법칙과 하단을 닫고 상단을 여는것의 비밀입니다. 하단을 닫아야 한다. 큰 깨달음이었습니다.
남편은 개인 텐동브랜드를 운영중입니다. 소스개발에 성공한 후 우리만의 독보적 기술이 생겼으니 우리 브랜드를 만들자 해서 시작하게 됐습니다. 요식업에 종사한지 이제 3년차입니다. 1년 반동안은 프렌차이즈 치킨을 했었고 작년 12월 부터 텐동으로 메뉴변경을 해 운영중입니다. 모든 걸 다 직접 연구하고 만들었어요. 일본 장인 영상하나 보면서 밤낮 연구했고 지금은 지역사회에서 맛집으로 인정받고 있습니다. 일하는 시간 인풋을 12시간에서 16시간으로 늘렸고 그 시간을 만들기 위해 출퇴근 시간을 없앴습니다. 가게에서 숙식을 시작했거든요. 힘들다고 생각하면 끝도없이 힘들고 반드시 해야한다고 생각하면 상황과 환경을 만들어 이루어 내는게 인간의 잠재력 같습니다. 그렇게 영업시간을 늘리니 매출이 두 배 올랐습니다. 출퇴근 시간을 빼서 그 시간을 자는 시간으로 투입했기에 건강도 문제없습니다.
이제는 시스템화를 위해 연구중입니다. 자체개발한 소스도 어떻게 공장화를 시켜서 시중에 유통할 수 있을까 미리 앞서간 선배님들의 방법들을 찾아보고 있습니다. 오늘 말씀 중 자영업자들의 시스템화가 곧 사업이 된다고 말씀하신 부분에 고개를 끄덕이며 감동을 받고 갑니다.
어제는 남편이 새벽 한 시반에 마감하고 좁은 홀벤치에 누워 얇은 가을머플러 한 장을 배에 덮고 취침준비 하는 사진을 보내왔는데 눈물이 났습니다. 안쓰러운 마음 숨길 수 없지만 이면에는 더 큰 기쁨이 있었어요. 이 투입되는 시간들과 노력이 너무 좋았고 뭣보다 책임감과 의지로 가득찬 마음가짐이 참 감사했거든요. 여러 방면에서 병렬적으로 임계점을 돌파하는 중인 거 같아요. 임계점에 대해 의식하고부터는 모든 인풋의 순간을 임계점에 도달하기까지 정량의 기준으로 생각을 하게 됐어요.. 그렇게 하니 놀라운 것은 마음가짐 자체가 아주 달라진다는 거예요. 억지로 마지못해 하는 노력이 아니라 임계점을 맞이할 시점을 기대하며 기쁜마음으로 기꺼이 고통을 넘어가게 되더라구요. 이건 정말 엄청난 마법인 것 같습니다. 임계점에 대한 이해는 어떤 일에 대한 지속성을 유지시켜주는 유일한 힘이 아닐까 싶을정도로 참 유익한 관점인 거 같아요. ^^ 하루에 12시간씩 투입된 시간을 만시간으로 나누면 26개월정도가 나오는데 이제 3년차가 되니 만시간을 채웠더라고요 모든 영역에서 가속화가 시작된것을 느낍니다. 항상 남편에게 만시간만 돌파해보자 그럼 그때는 전문가가 되어 있을거다 얘기했었는데 하루하루 쌓아가다보니 어느 새 그 시점이 찾아왔네요.
얼마전에는 타지역에 계신분이 저희 브랜드로 2호점을 내줄 수 없냐며 찾아오셨는데 아직 때가 아닌 것 같다 정중히 거절하고 대신 값없이 노하우를 알려드렸어요. 지금은 가게사정이 점점 좋아지고 계시더라구요. 오늘 말씀처럼 계속해서 시간과 노력이 투입되어 시도된 어떤 일이 임계점에 도달하면 전문성이 되어지고 그 전문성은 또 다른 전문성을 키우게 되고.. 결국 그 영역의 파이가 커지게 되면서 부가가치가 늘어가게 되고 정말 보람된 사회의 선순환인 것 같습니다.
자영업에서 사업으로 시스템화 시키면 한 번 모시고 싶습니다. 저희 텐동 정말 맛있어요 ㅎㅎ
뭣보다 저희가 이루고자 하는 목표가 신박사님과 너무나 결이 같아서 늘 기대하는 마음으로 영상 보고 있어요. '위대한 사람보다 위대한 사람을 만드는 사람들이 되자.' 저희 부부의 모토거든요. 나름 그렇게 살아오고 있다 생각했는데 경제적 자유 부분에서 막히더라고요. 그래서 이 영역을 정복해야겠다 마음먹고 달리는 중입니다. 재정적으로도 다른 사람들을 돕고 또 만날 시간을 할애하려면 경제적 자유가 1번이라는 결론에 도달한거죠. 말만 번지르르한 사상가가 되고 싶지 않았습니다. 내가 직접 실행하는 것을 보여주고 동기부여가 되는, 실제적 도움을 주는 신박사님 같은 사람이 되고 싶어요.
독서 생전 안하던 남편도 얼마전부터 저와 함께 독서중입니다. 일주일 중 단 하루 쉬는 일요일에 조용한 카페에 같이 가서 5~6시간 독서하고 오는 루틴 만든지 몇 주 되었는데 남편이 집중해서 3시간을 읽더라고요. 너무 기뻤어요. 더 기뻤던 것은 스스로 그 사실을 깨닫고 와 내가 책을 3시간이나 읽을 수 있다니!! 스스로 성취감을 느끼며 이제는 가게에서도 틈틈이 책을 읽네요. 나는 책과는 담 쌓은 사람이다. 라는 말을 늘 했던 사람인데 이런 변화를 보며 참 감개무량합니다. 아무리 유익한 이론을 말하고 말해도 행동으로 옮겨지지 않았는데 스스로 책을 읽으면서부터 바뀌기 시작했던 거 같아요. 스스로에 대한 이해와 깊이도 달라졌고 사고하는데 있어 무게가 생겼다고 말하더라구요. 감동 ㅜㅜ 책은 진실로 사람을 바꿉니다.
남편은 신박사님 영상을 자주 보진 않지만 제가 매일 보고 듣고 그대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저는 초중등 영어교육에 몸담고 있는데요 이번에 시작하게 된 프랜차이즈 영어교육의 핵심이 바로 문해력향상 이거든요 너무 놀랐어요. 계속 말씀하시는 문해력! 이 공통분모로 어떤 유익한 아웃풋을 낼 수 있을지 생각을 많이 해보게 되었어요. 지금 영어독립 365으로도 공부하고 있는데요 부모님들과 함께하는 영어독립 커뮤니티를 만들면 얼마나 좋을까 꿈이 생기더라고요. 아직 틀도 없는 꿈일 뿐이지만 하나씩 해 나아가 보겠습니다. :)
저도 이제 수업을 마치고 남편가게로 가서 9시까지 함께 일합니다. 그리고 10시부터 1시까지는 각종 채널에 사업홍보글을 포스팅하고 책을 읽어요. 남편과 동일하게 시간을 인풋하려 세운 규칙이네요. 뭐든 함께 할 때 더 가치있어진다는 걸 믿습니다. '밀도있게 사는 삶' 요즘 저를 움직이는 말이에요 ^^
늘 감사하고 존경합니다 맡은 일들을 잘 감당할 수 있도록 몸과 마음 강건하기를 기도합니다 정말 그냥 하는 소리가 아니라 요즘 신박사님 기도가 나오네요 ㅎㅎ 지금처럼 계속 피와 살이 되는 이야기들 아낌없이 풀어주세요~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댓글 다 읽는다 하셔서, 또 신박사님 아웃풋 여기 있어요! 하는 마음으로 힘을 드리고자 기어코 남겼어요^^) 감사하고 또 감사합니다.
전문성은 초반에 빨리 오르다 후반에 포화구간에 이른다. 보상은 초반에 오르지 않다가 후반에 급격하게 오른다.(진입장벽) 1.교육(상위20%) 대학에서 기초적인 전문성형성 교재+교육. 정답이 나와있는것을 습득하는 단계 2.접합(상위10%) 상위20%분야+상위30%접목 = 상위10% 폴리매스 3.전문가와대화(상위5%) 전문가끼리 교류하면서 관점을 넓히고 암묵지를 얻음 4.독학자(상위1%) 남에게 배울수 없음. 가설을 세우고 시도하면서 스스로 길을 개척. 전인미답이기에 실패자체가 가치가 된다.
처음 신박사님 강연하는걸 유투브 미디어로 접했을때에는 박사학위의 지식만큼 이나 강직되어 있는 지식전달의 느낌으로 쏟아내다싶이 강의 하시니,말씀하는 억양이 강하게 와닿아 지식전달느낌으로 버겁게 와닿았었는데 유투브에서 강연하시면서 전문강의 방식의 전달느낌 톤으로 지식전달 방법의 말씀톤이 부드러워 져서 이젠 너무 듣기에 부담감없이 와 닿습니다. 감사합니다.꾸뻑(알지못하는 부분을 알기쉽게 설명해 주셔서요)40대 후반 주부.
간단하지만 통찰력 있는 그래프였습니다. 위로 올라갈수록 미세한 차이를 내는 것이 어렵지만 어려운만큼 그에 대한 보상은 또 확실하다는 걸 느낄 수 있었고, 늘 강조하시지만 저 혼자 정말 열심히 공부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느꼈습니다. 무엇보다 성장의 단계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해주셔서 하나의 좋은 이정표가 되는 것 같습니다. 오늘도 새로운 관점을 접할 수 있게 도와주셔서 감사합니다. 어떻게 보면 유튜브를 통해 전문가인 신박사님과 마주하는 것인데, 이 과정 속에서 전달되는 수많은 암묵지들을 통해 저도 모르는 성장이 있기를 기대하며 제 분야에서 빡세게 살아보려고 합니다. 이렇게 가까운 곳에서 전문가를 만날 수 있음에 너무 감사하네요!
40대 후반에 일을 시작해서 커리어 6년차 50중반이 되어서야 해당 분야의 공부와 독서를 시작한 지 10개월 째인데 너무 너무 이해 되는 말씀을 해주시네요.~ 배울수록 배워야 하고 배우고 싶은 것이 많아지면서 조금 힘들려고 하고 있는 찰라에 더 힘을 낼 수 있게 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1 1차적 전문성을 배운다 80 2 독학으로 전문성을 키운다 20 3 내가 갖고있는 전문성과 다른분야의 전문성을 배워서 접합한다 10 4. 전문가와의 대화 교류를 통해 전문성을 높인다 5 5. 가설을 세워 실험하고 시행착오를 경험한다 1 6. 각종 커뮤니티를 이용하여 인력풀을 만든다. 1
아래 정리 요약해 주신 내용이 좋아 제가 복사하여 다시 댓글달아 보았습니다. 전문성은 초반에 빨리 오르다 후반에 포화구간에 이른다. 보상은 초반에 오르지 않다가 후반에 급격하게 오른다.(진입장벽) 1.교육(상위20%) 대학에서 기초적인 전문성형성 교재+교육. 정답이 나와있는것을 습득하는 단계 2.접합(상위10%) 상위20%분야+상위30%접목 = 상위10% 폴리매스 3.전문가와대화(상위5%) 전문가끼리 교류하면서 관점을 넓히고 암묵지를 얻음 4.독학자(상위1%) 남에게 배울수 없음. 가설을 세우고 시도하면서 스스로 길을 개척. 전인미답이기에 실패자체가 가치가 된다.
아마 성공하신 분들은 이 분 말씀에 100% 공감 하실겁니다. 스스로 문제을 인식하고 찾아서 공부하고 답을 구하는 과정이 쉽지 않은 고뇌의 시간이죠. 이 긴 터널의 시간을 지나고 나면 그 분야에 달인의 경지에 이르는데~~~독학의 학습 습관은 성공하신 분들의 공통점이더군요.
@Cmb1c 194
2022년 8월 17일 12:05제가 그래서 작년에 연봉이 100% 오를수 있었나 보네요.. 9 년차에요.. 정말 별별일 회사에서 시키는 일들 다 하다보니, 모르는건 독학하며 일하다 보니.. 제 분야에서 전문성을 인정받게 되었습니다.. 9 년차에 조금씩 오르던 연봉이 수직으로 올라간걸 보니.. 저 그래프에 제가 해당 됩니다..
@GPLUSWITHGSPAPA 58
2022년 8월 18일 12:28오늘도 감사합니다!! 신박사님과 고작가님의 성장과정이 명료하게 정리가 되는듯 합니다.
1. 전문성을 기르기위해 기본소양을 미리 공부(독서)하고,
전문가를 통해 현업에서 알 수 있는 암묵지를 찾는다.
2. 실패를 정리해서 복기하고 책을 쓴다.(전자책 가능)
3. 상위 1%는 박사처럼 스스로 연구하고 배워야한다.
가설은 세우고, 실험을 반복하고 기록을 남겨 커뮤니티를 만들다.
포기해도 다시 시작하면된다. 실망할 필요없다. 졸꾸!!!
@Avoutme 52
2022년 8월 17일 12:59오늘 주제와 통하는 책을 읽고 있어요. <독학은 어떻게 삶의 무기가 되는가> (야마구치 슈 지음, 김지영 옮김, 앳워크) 신 박사님이 항상 말씀하시는 독서, 교양의 중요성을 이 책에서도 강조하고 있어요. 인풋을 아웃풋하는 구체적인 방법도 참고하기에 좋다고 느꼈습니다. 졸꾸 여러분 함께 화이팅했으면 합니다! 오늘 영상도 감사합니다!
@elizabethkim1496 46
2022년 8월 17일 17:35일년 전 부터 자주 듣다가 근 세 달 전 부터는 매일 매일 듣고 있습니다.
박사님의 열정과 저의 목마름이 만나 엄청난 시너지를 내고 있습니다.
늘 말씀 하시는 누군가는 이 영상을 보고 ~ 할 것이다. 네 그 비율에 속한 한 사람이 저입니다.
아침에 일어나 성경말씀 듣고 다음 차례입니다. 루틴입니다.
저희 부부는 3개의 사업을 운영중인데 자주 말씀하시는 병렬적 사고방식이 우리가 하고 있는 부분이란 걸 깨닫고 더 정진하게 됐어요. 인상 깊었던 것은 주100시간의 법칙과 하단을 닫고 상단을 여는것의 비밀입니다. 하단을 닫아야 한다. 큰 깨달음이었습니다.
남편은 개인 텐동브랜드를 운영중입니다. 소스개발에 성공한 후 우리만의 독보적 기술이 생겼으니 우리 브랜드를 만들자 해서 시작하게 됐습니다. 요식업에 종사한지 이제 3년차입니다. 1년 반동안은 프렌차이즈 치킨을 했었고 작년 12월 부터 텐동으로 메뉴변경을 해 운영중입니다. 모든 걸 다 직접 연구하고 만들었어요. 일본 장인 영상하나 보면서 밤낮 연구했고 지금은 지역사회에서 맛집으로 인정받고 있습니다. 일하는 시간 인풋을 12시간에서 16시간으로 늘렸고 그 시간을 만들기 위해 출퇴근 시간을 없앴습니다. 가게에서 숙식을 시작했거든요. 힘들다고 생각하면 끝도없이 힘들고 반드시 해야한다고 생각하면 상황과 환경을 만들어 이루어 내는게 인간의 잠재력 같습니다. 그렇게 영업시간을 늘리니 매출이 두 배 올랐습니다. 출퇴근 시간을 빼서 그 시간을 자는 시간으로 투입했기에 건강도 문제없습니다.
이제는 시스템화를 위해 연구중입니다. 자체개발한 소스도 어떻게 공장화를 시켜서 시중에 유통할 수 있을까 미리 앞서간 선배님들의 방법들을 찾아보고 있습니다. 오늘 말씀 중 자영업자들의 시스템화가 곧 사업이 된다고 말씀하신 부분에 고개를 끄덕이며 감동을 받고 갑니다.
어제는 남편이 새벽 한 시반에 마감하고 좁은 홀벤치에 누워 얇은 가을머플러 한 장을 배에 덮고 취침준비 하는 사진을 보내왔는데 눈물이 났습니다. 안쓰러운 마음 숨길 수 없지만 이면에는 더 큰 기쁨이 있었어요. 이 투입되는 시간들과 노력이 너무 좋았고 뭣보다 책임감과 의지로 가득찬 마음가짐이 참 감사했거든요. 여러 방면에서 병렬적으로 임계점을 돌파하는 중인 거 같아요. 임계점에 대해 의식하고부터는 모든 인풋의 순간을 임계점에 도달하기까지 정량의 기준으로 생각을 하게 됐어요.. 그렇게 하니 놀라운 것은 마음가짐 자체가 아주 달라진다는 거예요.
억지로 마지못해 하는 노력이 아니라
임계점을 맞이할 시점을 기대하며 기쁜마음으로 기꺼이 고통을 넘어가게 되더라구요. 이건 정말 엄청난 마법인 것 같습니다. 임계점에 대한 이해는 어떤 일에 대한 지속성을 유지시켜주는 유일한 힘이 아닐까 싶을정도로 참 유익한 관점인 거 같아요. ^^
하루에 12시간씩 투입된 시간을 만시간으로 나누면 26개월정도가 나오는데 이제 3년차가 되니 만시간을 채웠더라고요 모든 영역에서 가속화가 시작된것을 느낍니다. 항상 남편에게 만시간만 돌파해보자 그럼 그때는 전문가가 되어 있을거다 얘기했었는데 하루하루 쌓아가다보니 어느 새 그 시점이 찾아왔네요.
얼마전에는 타지역에 계신분이 저희 브랜드로 2호점을 내줄 수 없냐며 찾아오셨는데 아직 때가 아닌 것 같다 정중히 거절하고 대신 값없이 노하우를 알려드렸어요. 지금은 가게사정이 점점 좋아지고 계시더라구요. 오늘 말씀처럼 계속해서 시간과 노력이 투입되어 시도된 어떤 일이 임계점에 도달하면 전문성이 되어지고 그 전문성은 또 다른 전문성을 키우게 되고.. 결국 그 영역의 파이가 커지게 되면서 부가가치가 늘어가게 되고
정말 보람된 사회의 선순환인 것 같습니다.
자영업에서 사업으로 시스템화 시키면 한 번 모시고 싶습니다. 저희 텐동 정말 맛있어요 ㅎㅎ
뭣보다 저희가 이루고자 하는 목표가 신박사님과 너무나 결이 같아서 늘 기대하는 마음으로 영상 보고 있어요. '위대한 사람보다 위대한 사람을 만드는 사람들이 되자.' 저희 부부의 모토거든요.
나름 그렇게 살아오고 있다 생각했는데 경제적 자유 부분에서 막히더라고요. 그래서 이 영역을 정복해야겠다 마음먹고 달리는 중입니다. 재정적으로도 다른 사람들을 돕고 또 만날 시간을 할애하려면 경제적 자유가 1번이라는 결론에 도달한거죠. 말만 번지르르한 사상가가 되고 싶지 않았습니다. 내가 직접 실행하는 것을 보여주고 동기부여가 되는, 실제적 도움을 주는 신박사님 같은 사람이 되고 싶어요.
독서 생전 안하던 남편도 얼마전부터 저와 함께 독서중입니다. 일주일 중 단 하루 쉬는 일요일에 조용한 카페에 같이 가서 5~6시간 독서하고 오는 루틴 만든지 몇 주 되었는데 남편이 집중해서 3시간을 읽더라고요. 너무 기뻤어요. 더 기뻤던 것은 스스로 그 사실을 깨닫고 와 내가 책을 3시간이나 읽을 수 있다니!! 스스로 성취감을 느끼며 이제는 가게에서도 틈틈이 책을 읽네요. 나는 책과는 담 쌓은 사람이다. 라는 말을 늘 했던 사람인데 이런 변화를 보며 참 감개무량합니다. 아무리 유익한 이론을 말하고 말해도 행동으로 옮겨지지 않았는데 스스로 책을 읽으면서부터 바뀌기 시작했던 거 같아요.
스스로에 대한 이해와 깊이도 달라졌고
사고하는데 있어 무게가 생겼다고 말하더라구요. 감동 ㅜㅜ 책은 진실로 사람을 바꿉니다.
남편은 신박사님 영상을 자주 보진 않지만 제가 매일 보고 듣고 그대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저는 초중등 영어교육에 몸담고 있는데요
이번에 시작하게 된 프랜차이즈 영어교육의 핵심이 바로 문해력향상 이거든요
너무 놀랐어요. 계속 말씀하시는 문해력! 이 공통분모로 어떤 유익한 아웃풋을 낼 수 있을지 생각을 많이 해보게 되었어요. 지금 영어독립 365으로도 공부하고 있는데요
부모님들과 함께하는 영어독립 커뮤니티를 만들면 얼마나 좋을까 꿈이 생기더라고요.
아직 틀도 없는 꿈일 뿐이지만
하나씩 해 나아가 보겠습니다. :)
저도 이제 수업을 마치고 남편가게로 가서 9시까지 함께 일합니다. 그리고 10시부터 1시까지는 각종 채널에 사업홍보글을 포스팅하고 책을 읽어요. 남편과 동일하게 시간을 인풋하려 세운 규칙이네요. 뭐든 함께 할 때 더 가치있어진다는 걸 믿습니다.
'밀도있게 사는 삶' 요즘 저를 움직이는 말이에요 ^^
늘 감사하고 존경합니다
맡은 일들을 잘 감당할 수 있도록 몸과 마음 강건하기를 기도합니다
정말 그냥 하는 소리가 아니라 요즘 신박사님 기도가 나오네요 ㅎㅎ
지금처럼 계속 피와 살이 되는 이야기들 아낌없이 풀어주세요~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댓글 다 읽는다 하셔서, 또 신박사님 아웃풋 여기 있어요! 하는 마음으로 힘을 드리고자 기어코 남겼어요^^)
감사하고 또 감사합니다.
@요약-n1c 41
2022년 8월 17일 17:20전문성은 초반에 빨리 오르다 후반에 포화구간에 이른다. 보상은 초반에 오르지 않다가 후반에 급격하게 오른다.(진입장벽)
1.교육(상위20%) 대학에서 기초적인 전문성형성 교재+교육. 정답이 나와있는것을 습득하는 단계
2.접합(상위10%) 상위20%분야+상위30%접목 = 상위10% 폴리매스
3.전문가와대화(상위5%) 전문가끼리 교류하면서 관점을 넓히고 암묵지를 얻음
4.독학자(상위1%) 남에게 배울수 없음. 가설을 세우고 시도하면서 스스로 길을 개척. 전인미답이기에 실패자체가 가치가 된다.
@김현정-s7b 16
2022년 8월 17일 12:23처음 신박사님 강연하는걸
유투브 미디어로 접했을때에는 박사학위의
지식만큼 이나 강직되어 있는 지식전달의 느낌으로 쏟아내다싶이 강의 하시니,말씀하는 억양이 강하게 와닿아 지식전달느낌으로 버겁게 와닿았었는데
유투브에서 강연하시면서
전문강의 방식의 전달느낌 톤으로
지식전달 방법의 말씀톤이 부드러워 져서
이젠 너무 듣기에 부담감없이 와 닿습니다.
감사합니다.꾸뻑(알지못하는 부분을 알기쉽게 설명해 주셔서요)40대 후반 주부.
@DOYA_777 13
2022년 8월 17일 12:33와 감사합니다
정말 감사합니다
오늘도 감사합니다
이런걸 공짜로 들을 수 있다니... 세상 참 좋습니다
@UNU-n2d 12
2022년 8월 18일 18:06간단하지만 통찰력 있는 그래프였습니다. 위로 올라갈수록 미세한 차이를 내는 것이 어렵지만 어려운만큼 그에 대한 보상은 또 확실하다는 걸 느낄 수 있었고, 늘 강조하시지만 저 혼자 정말 열심히 공부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느꼈습니다. 무엇보다 성장의 단계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해주셔서 하나의 좋은 이정표가 되는 것 같습니다. 오늘도 새로운 관점을 접할 수 있게 도와주셔서 감사합니다. 어떻게 보면 유튜브를 통해 전문가인 신박사님과 마주하는 것인데, 이 과정 속에서 전달되는 수많은 암묵지들을 통해 저도 모르는 성장이 있기를 기대하며 제 분야에서 빡세게 살아보려고 합니다. 이렇게 가까운 곳에서 전문가를 만날 수 있음에 너무 감사하네요!
@마마-t9f 11
2022년 10월 13일 09:3540대 후반에 일을 시작해서 커리어 6년차 50중반이 되어서야 해당 분야의 공부와 독서를 시작한 지 10개월 째인데 너무 너무 이해 되는 말씀을 해주시네요.~
배울수록 배워야 하고 배우고 싶은 것이 많아지면서 조금 힘들려고 하고 있는 찰라에 더 힘을 낼 수 있게 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이슈있슈-g1r 10
2022년 8월 18일 13:081 1차적 전문성을 배운다 80
2 독학으로 전문성을 키운다 20
3 내가 갖고있는 전문성과 다른분야의 전문성을 배워서 접합한다 10
4. 전문가와의 대화 교류를 통해 전문성을 높인다 5
5. 가설을 세워 실험하고 시행착오를 경험한다 1
6. 각종 커뮤니티를 이용하여 인력풀을 만든다. 1
@Vinjae 9
2022년 8월 18일 13:00예전에 전문성을 키우는 것도 파레토의 법칙이 성립한다고 하셨는데 이렇게 풀어서 말씀해주시니 너무 좋네요. 저는 요즘 피그마(디자인툴) 강의를 써보고 있는데 시장반응이 어떨지 궁금해지네요. ㅎㅎㅎ
@나나나나-f5h 8
2022년 8월 17일 12:49스터디언이야말로 대국민 필구독채널이 아닐까?
@insightfullness_ 6
2022년 8월 17일 13:20그래프가 인상적이네요,
남의 이야기가 아닌 본인이 체득하신 내용으로 강의륻 하시니 진정성과 생동감이 남다른것같습니다.
항상잘보고,자극받고, 반성하고 그러고있습니다.
건강 잘 챙기시고,늘 감사합니다.^^
@kingbit8090 5
2022년 8월 17일 12:37강연 잘 들었습니다.
지난번 이벤트 당첨으로 책을 받아 읽고 있습니다.
오늘 이야기중 커뮤니티가 형성되고 인제풀이 만들어 진다는 내용에 공감이 많이 되었습니다.
@sejin.fit223 5
2022년 8월 21일 15:50피치못할사정으로 3개월넘게 주 7일 일하다가, 몇주전에 코로나에 한번걸리고 번아웃(?)이 살짝왔는지 모든걸 다 내려놨었어요 잠깐
이 영상 마지막말이 너무 좋아서 열번인가 반복해서 봤네요. 포기해도 좋으니까 쉬세요, 다시시작하면됩니다 라는말이 굉장히 위로가 많이되었어요
@sabangstar88 5
2022년 11월 04일 10:53맞아요 어느정도 실력 갖추고 대학원 들어 갔더니 교수들 수준이 너무 낮아 1학기 다니고 자퇴 했습니다. 논문 형식에만 치우치고 실력은 없고 갑질은 끝판왕이고
더 이상 대학을 믿느니 스스로 공부하는 것이 더 빠르리라고 봅니다.
@gracemagicenglish 5
2022년 8월 17일 23:10와우.. 박사님이 알고 있는 것을 아낌없이 주려하면서 조금이나마 더 좋은 세상을 만들기 위한 애씀이 느껴집니다. 많이 보고 배웁니다..!감사합니다!
@3월-e1s 4
2022년 8월 17일 20:10실험=테스트=실패
논문=삶의질=성공
한분야에 80%수준까지는 닥치고 졸꾸...
감사합니다
김정혜 3
2022년 8월 17일 12:02신박사님~안녕하세요^^
오늘도 좋은 말씀 너무 너무 감사합니다🙏
이렇게 좋은 것을 알려 주시고 나눠 주시고 졸꾸러기들을 위해 베풀어주시는 것 고맙습니다~ 진실된 선한 영향력 너무 너무 감사합니다😊 오늘도 행복한 하루 보내세요💕
Jay Choi 3
2022년 8월 17일 12:0620분짜리 영상이 5분전에 올라온 영상인데ㅋㅋ "좋은 말씀 잘들었다" 댓글 뭡니까ㅋㅋㅋ 보지도 않고 뭔말 하는지도 모르는데 일단 선댓글임?ㅋㅋ
@sealteam5508 2
2022년 11월 17일 07:30"실패 자체가 가치"
맞습니다.
최근 6년간 1000번도 넘는 평가를 성공시켰네요. 그럼 실패한 숫자는?
저의 경쟁자는 LAM, TEL, AMAT 입니다.
모든 핵심 기술을 제 이름으로 특허를 만드려고 합니다.
@KK-er5iu 2
2022년 8월 19일 17:58요새 고민하던 부분이 싹 정리되서 바로 영상으로 떴어요.
❤❤❤
@user-eh3qr9gu7u 2
2022년 8월 17일 13:45잘 듣습니다 댓글도 좋은 내용이 있어서 참고가 많이 됐습니다 감사합니다.
@DrYoungSuhkSuh 2
2022년 10월 24일 17:52아래 정리 요약해 주신 내용이 좋아 제가 복사하여 다시 댓글달아 보았습니다.
전문성은 초반에 빨리 오르다 후반에 포화구간에 이른다. 보상은 초반에 오르지 않다가 후반에 급격하게 오른다.(진입장벽)
1.교육(상위20%) 대학에서 기초적인 전문성형성 교재+교육. 정답이 나와있는것을 습득하는 단계
2.접합(상위10%) 상위20%분야+상위30%접목 = 상위10% 폴리매스
3.전문가와대화(상위5%) 전문가끼리 교류하면서 관점을 넓히고 암묵지를 얻음
4.독학자(상위1%) 남에게 배울수 없음. 가설을 세우고 시도하면서 스스로 길을 개척. 전인미답이기에 실패자체가 가치가 된다.
@Bennybake 2
2022년 8월 18일 19:58매일 보기만 하고 댓글은 처음 달아보네요. 얼마전부터 신박사님 알게 되어 매일 보고 있습니다. 너무 좋은 말씀 진심으로 감사하게 되고 참된 인생에 한 걸음 더 가까이 갈수있는 용기를 주셔서 진짜 감사드립니다.
@지라이프-m2s 2
2022년 8월 17일 15:30큰거 ㅋㅋ 감사합니다. 오래 듣고 챌린지 계속하고 실천하고 좌절하고 다시하고 그렇게 지내다보니 이제 박사님 말씀을 잘 알아듣게 되서 좋습니다. 버릴것들 더 버리고 더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Irene_friends. 1
2022년 11월 26일 23:54고구마 성공시크릿(그래프가 고구마 같이생겼어요) ^^ 명심할께요 감사합니다♡♡♡
@JoeJoe-ck3up 1
2022년 11월 20일 17:26다시 시작하면 됩니다... 심금을 울리는 말씀 감사합니다!!
@inhori-k1q 1
2022년 8월 17일 19:10다시시작
👍 👍 👍 👍 👍 👍 👍
@행복솔솔 1
2022년 8월 17일 12:01늘 좋은 영상 감사드립니다~
행복하세요^^
@kyongokson9393 1
2022년 8월 17일 20:49굿 모닝 입니다. 내재가치를 올리는 오늘의 영상 감사합니다.
@368yorkielife3 1
2022년 8월 17일 15:15오랜만에 엑기스 공부하러 왔어요 감사해요
@태봉-t8i 1
2022년 8월 17일 13:13너무감사합니다
@이재철-e9z 1
2022년 8월 17일 12:27감사합니다.
안희정 1
2022년 8월 17일 12:06다 같이 해봅시다 14:00 20:00
@dream004 1
2022년 8월 17일 21:55오늘도 열정이담긴 신박사님 영상들으며 힘을받습니다ᆢ항상좋은영상 전해주셔서 감사합니다
82년생현지
2022년 8월 17일 12:05건강도 돌보시며 하시기 바래요^^
맛난것도 드시고.
@eddynsw
2022년 10월 26일 12:16깊은 빡침 느껴진다능
@kojysky0414
2022년 8월 23일 13:11그동안 내 모습을 다시금 뜯어 보게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jins6161
2022년 11월 06일 08:40정말 도움되는 말씀이시네요.
그저 배우는데 목말라 있을게 아니라
나만의 것을 만들어가고
가설을 세우고 실험 해 보는 것
그것을 통해 실패와 성공을 거듭하면서 진정한 나만의 것이 탄생하겠다는 깊은 깨달음을 얻었습니다.😊
@블랙커피-t9i
2022년 11월 04일 16:22책과 책을 연결하고 스스로 가설을 세우고 실험
@디지털가든
2022년 8월 20일 17:54ㅁㅏ음잡아주시는 좋은 영상 잘 보고합니다!!
@높은음자리-c4d
2022년 10월 12일 13:28감사합니다 ^^
@pickidsenglish
2022년 8월 26일 19:14너무 좋은 영상이에요. 몇번씩 새겨 듣겠습니다
@junghonam4523
2022년 8월 27일 15:00박사님 조언 진심 감사합니다! 액기스만 뽑아 주셨는데도 이건 완전 핵심 오브 핵심이네요! 인생에 적용하겠습니다!!
@예술호근미학
2022년 8월 18일 08:41과장님 아니 박사님 고맙습니다. ㅎㅎ 🤣 오늘도 멱살 잡히며 힘 얻고 나아갑니다~!!!
@annapark2188
2022년 11월 01일 23:44이것 저것 하고 싶은것이 많은데
정리가 되질 않아 애태웠는데
오늘 영상 보고나니 가이드라인이
잡히는 느낌입니다..
감사합니다..
@후추-i3x
2022년 11월 26일 20:05이 영상은.. 유료 강의보다 더 값지네요
@Jely24_al9
2022년 11월 28일 13:22좋은 강연, 정보 이렇게 무료 나눔 해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
@블랙커피-t9i
2022년 11월 04일 16:23너무좋아요.
@순돌이퍼즐
2022년 9월 17일 23:52정말 어디에서도 듣지 못할 너무 귀한 내용입니다. 정말 감사합니다!!!!!
@wegotothezoowr
2022년 12월 27일 10:00아 진짜 찐이에요! 저의 다섯 손가락에 꼽히시는 사랑스러운 분!
다다
2022년 8월 17일 13:29감사히 잘 봤습니다 :)
@고매스터
2022년 10월 22일 11:20아마 성공하신 분들은 이 분 말씀에 100% 공감 하실겁니다. 스스로 문제을 인식하고 찾아서 공부하고 답을 구하는 과정이 쉽지 않은 고뇌의 시간이죠. 이 긴 터널의 시간을 지나고 나면 그 분야에 달인의 경지에 이르는데~~~독학의 학습 습관은 성공하신 분들의 공통점이더군요.
@shawna0515
2022년 12월 26일 14:11여즘 박사님 영상 열심히 보고 있는데 도움이 될만한 부분이 너무 많아여 감사합니다
명옥
2022년 8월 17일 15:01중소병원 간호사로 뭘..해야하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