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박사님 귀한말씀 감사합니다! 지금 60대와 30대들간의 세대갈등이 엄청난데, 저 또한 지금의 10대,20대들이 누리고 있는 더 나을 환경을 은근히 부러워하지 않았었나 반성하게 됩니다. 모든것은 상대적이니 비교하지 말고 이해하고 그 속에서 단점을 보완해야겠군여!! 끈기와 깡! 더 키우도록 노력하겠습니다! Fragility가 아닌 Emotional Strength! 오늘 하루도 멋진 하루 되세요! ^------^
23살입니다. 완전 동의합니다. 뭐만잘못되면 우울하고 주변탓하며 본인은 그저 운이없었다면서 젊으니까 괜찮아를 탑재하는 애들이 대부분이에요. 저또한그랬고요. 따님이 성장하시면 끈기랑 깡을 가지길 바라신다는 말씀듣고 오....했습니다. 주변에 더 영상을 공유해야겠어요 아마 10중 9는 무시하겠지만요 영상 잘봤습니다. 같이 일할수있는 4050과 미래에 부양할 4050들과 사이좋게 살수있는 사회가 되면 좋겠습니다. 2030들의 성장을 진심으로 생각하시는게 느껴집니다.
어제 머니맵 영상의 연장 선상이네요 20대의 관점에서 인내심이 부족한 거 같다고 댓글 적었었는데 신박사님도 멘탈리즘을 강조하셨네요!
20대도 그렇고 앞으로 20대가 될, 자라 날 10대들도 그렇고 정보의 홍수 속에서도 자라고 있지만 계속 모든 상황들이 악화될 것 같습니다
현재 사회 구조 자체가 불평등하거든요(40,50대 분들은 빼겠습니다 제가 그 나이가 안돼서 판단할 문제가 아니라서요) (10대 일부 포함)20대는 신박사님이 말씀하신 대로 부모님에게 의존해서 커진 부분도 있고, 체벌도 과도기 때이거나 안 맞던 때라서 올바른 가치관을 어릴 때 형성하게 하는데 어려움이 많았을 수도 있고, 취업 못하고,주변 환경들이(사람이나 소셜미디어..등등) 본인을 비교하고 남자와 여자 서로를 혐오하게 만드는 불특정 다 수가 있거든요
거기에 사회 구조가 앞으로 태어날10,20대들이 짊어질 수밖에 없는 사회구조이고... 법적인 문제에서도 취약점은 정말로 많은데... 이를 해결할 법적 제도가 마련되어 있지 못하고 있고 가해자만 떵떵되고,피해자는 더 숨어 다닐 수밖에 없는 이런 구조 자체가...(또 이걸 뒤에서 이용하려는 사람도 있죠) 참 너무 복잡하고 어렵습니다..;; 해결할 게 너무 많네요.......ㅠ.ㅠ
90년생이 온다라는 책과 같이 90년생이고 30대지만 학교는 좀 오래다니고 20대와 오래있다가 사회를 나가다 보니 대면적인 부분과 공감능력과 정서적 취약성 학교에서 맞아보기도하고 했지만 뭔가 깡이나 많이 약하긴 하네요 ㅠ 2030을 위해서 어떻게 극복해 나갈수 있을지 좀 알려주셨으면하네요 감사합니다 늘
어릴 적에 혼나면서 나도 모르게 마음이 단단해지고 이것이 인생에 회복탄력성으로 장점이 되었음을 느껴요! 학교에서 아이들을 가르치면서 혼내는 것이 아니라 칭찬만 찾는 방향으로 바뀌었어요! 아이들이 누군가한테 듣기 싫은 말 상처 받는 말을 이겨내는 힘이 약해요! 이럴수록 가정에서라도 혼날 건 혼나면서 강해지면서 성장하는 경험도 중요하구나~ 실감해요 정말 맞는 말씀이세요!
신박사님의 영상을 처음부터 끝까지 생각하고 곱씹으며 들으면서 보낸 시간이 꽤 오래 된 2030입니다. 매번 영상을 보며 느꼈지만 이제야 댓글로 전하네요, 신박사님 인생선배로서 진심으로 끊임없이 외쳐주셔서 감사합니다. 앞으로도 소중한 말씀 실천해서 변화하고 성장하는 0.1퍼센트가 될게요 ! 끈기와 깡, 정서적 강인함을 기를 추천해 주실 만한 구체적 방법이 있다면 또 알려주세요 :) 사실 힘든상황에 직면하고 좀 굴러보면 겪어본 것 이하의 강도는 아무렇지 않게 느껴지더라구요 졸꾸가 해답일까요 ㅎㅎ 어쨌든 열심히 구르러 가보겠습니다 !!!! 아쟈!!!!!!! 😆
신박사님의 공감가는 내용과 좋은말씀 을 사랑하는 나의 두 아들들과 공유하곤합니다~ 2030 은 특히파이팅! 4050도 파이팅 6070도 파이팅! 저는 나이 제한없이 내 인생의 건강과체력이 다할때까지 책임감 을가질수있는 일을 가졌으면하는게 제 희망사항입니다ᆢ70ㆍ80 에도 그런분들보면 너무 멋지게느껴지더라구요ᆢ그 일이 어떤일인가는 중요하지않고 다만 공동체에서 믾은사람들에게 선한 영향력을 주는 그런 일과 사람이면 하는 바램입니다~ 2030 파이팅 입니다~~♡
매번듣기만하다가 처음 댓글 달아보네요. 너무 속시원한! 영상감사합니다. 20대 초반 친구들을 만날일이 많은 매장 직업인데 교육을 할때마다 제가 눈치보게되더라구요, 조언을 전혀 구분 못하는 친구들을 볼 때면 화가 나는 것보다 안타깝더라구요. 저도 나름대로 다 듣고 계속 칭찬해주고 다독여주는 시간을 세달쯤해도, 결국 아무 조언도 듣지못하고 성장할시간에 자기풀에 죽어서 그만두는걸 보면... 적절한 방법이 필요하고 고민되는시점이였는데 너무 공감되고 저만의 생각은아니였구나싶어 제가 위로가됬습니다.. 필요한영상이였습니다. 늘감사합니다.
지금 39세도 2030에 해당된다고 생각하고 집중도 있게 봐야할까요. 4050에 해당된다고 생각하고 집중도 있게 봐야할까요. 저는 참 어중간하게 껴있어서 그런가 2030의 장단점도 내재되어 있는것 같고, 4050의 장단점도 내재되어 있는것 같아서 조금 난감하네요 😖 그냥 2050 이라고 생각하고 두 가지의 장단점들을 다 어우러서 흡수해야겠어요 🤣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정서적취약성 100%공감가네요~ 그 취약성을 강화할 수 있도록 그에 관한 독서도 하고 변화하려 노력해봐야겠습니다. 항상 감사합니다. 그리고 생각해보니 진심으로 감사할줄 알고, 칭찬하는 것과 연관되는 것 같습니다. 우리나라가 유난히 그게 안되는 이유도 여기에 있는 것 같습니다. 각자의 노출된 환경에 영향 남들 눈치보고 대화도 많이 사라지다보니 칭찬과 감사함에 무뎌져 없어진 것 같습니다.
정말 많은 것을 깨우치게 해주시고 잊을만 하면 다시 꿈틀거리게 피드백주셔서 감사합니다. 정말 멋지시고 신박사님처럼 영향력 있는 리더십있는 사람이 되고싶습니다. 다시한번 더 감사합니다😁👍
신박사님 말씀에 정말 공감합니다 몇해전 일 관계로 만난 몇몇 20대들과 개인대화를 하게 되는 기회가 생겼는데 그들은 오프라인에서의 대면관계가 서툴고 어려워 하더군요 10대인 제 조카도 아직도 저랑 눈이 마주치면 얼굴표정이 울먹이기 시작합니다 -.-;; 그들에게 꼭 한마디 조언하고 싶습니다 "훼예포폄"에 휘둘리지 마세요~~~
안녕하세요 스터디언을 구독하고 신박사님 영상을 꾸준히 챙겨보는 20대 청년입니다. 우선 이 영상을 접할 수 있어서 정말 큰 행운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저희 세대에 대해, 우리나라 사회에 대한 통찰이 돋보이는 영상이었습니다. 저는 삶이 문제의 연속이며 그 끝없는 문제들을 해결해가는 과정이라고 생각합니다. 삶의 어느 시기에 놓여 있든 우리는 우리 앞에 놓여진 문제들과 계속 마주해야 되며 비록 삶이 끝나는 순간까지 모든 문제를 해결할 수 없을지언정 문제들과 맞서는 과정 자체가 삶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런데 살아가면서 정말 어렵다고 느끼는 것은, 때로는 어떤 것이 문제인지도 모른 채 살아간다는 것입니다. 내가 진정으로 해결해야되는 문제는 다른 곳에 있지만, 눈에 보이는 것들에, 혹은 편리함에 현혹되어 우리가 진정으로 해결해야되는 문제들을 회피하곤 합니다.
그런데, 문제 해결은 문제와 마주하면서, 바르게 문제를 제기하면서 시작된다고 생각합니다. 신박사님의 메시지들은 제가 해결해야될 문제들을 구체화하는데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저희 세대가 대면 만남을 꺼리고, 피드백에 예민하며 정서적으로도 취약하다는 점에 너무 공감이 되었습니다. 말씀하신 것처럼, 저희는 급속성장과 앞선 세대 선배님들의 노력 덕분에 이미 어렸을 때부터 많은 것들이 갖춰져 있었고, 가공된 것을 가지고 살아가는데 익숙합니다. 도전하기보다는 내가 가지고 있는 것들을 지키는 데 급급하며 변화와 성장보다는 안정을 추구하려는 성향 또한 강한 것 같습니다. 그런데, 안정이라는 상태는 가만히 아무일도 없는 상태가 아니라 끊임 없이 움직이고 성장하는 상태입니다. 상황적으로, 정서적으로 불안정한 것이 당연한 이 시기에 제가 할 수 있는 것들 즉 문해력을 기르고 독립적인 사고를 하려고 노력하며 주체적으로 살아가보려고 합니다. 수없이 무너지겠지만, 무너지고 다시 세움 속에서 성장이 있다고 믿기에 오늘도 최선을 다해 살아보려고 합니다. 오늘도 제게 큰 동기부여를 주셔서 감사합니다.
여담이지만 이 영상이 더 많은 사람들에게 전해져서 다른 세대를 더 이해하고, 세대간 연합의 통로로 작용할 수 있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오늘도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미국에서 살고있는 20 대 구독자 입니다. 영상을 보며 제 자신도 돌아보게 되고 특히 한국에 있는 제 동생이나 친구들 보며 느꼈던 점들을 잘 말씀해 주신것 같습니다. (집이 서울이라 그런지 서울 사람들 한정이지만 대학생이나 사회인이 되어서도 비싼 집값 때문에 부모님집에 얹혀살며 모든 면에서 독립이 늦어지는)
그치만 조금 다른 관점에서 물리적 독립이 안된 상태에서 정서적 독립이라는게 얼마나 쉽지 않은지 주변 사례를 통해 보고 듣고 느끼고 또 그게 불쌍하면서도 한심하고 그럽니다.
제 경험이 모든 미국인 마인드를 대변하진 않지만 (특히나 엘리트 사회에 주로 살아왔기 때문에) 같은 나이대에 한국 명문대에 다니는 친구들 보다 미국 친구들이 좀더 빨리 성숙해 지는 이유중 하나는 일단 성인이 되어서 물리적으로 독립하는 문화에 있지 않을까 합니다. 대학교를 졸업하고 경제적으로 독립하지 못한다면 무능력하거나 별볼일 없는 사람이구나 하고 판단하는 경우가 많은것 같습니다. (물론 땅이 넓고 직장도 옵션이 많으니 한국과 1:1 비교는 안되겠지만요.)
주로 도심위주에 직장, 대학이 몰려있는 작은 나라들도 마찬가지라고 들었습니다 (예를 들어 이탈리아에서 이렇게 집값 때문에 성인 독립이 늦어져 20 대 후반이 되어도 “마마보이” 가 된다는 사회 경향 아티클을 몇년 전에 이미 본것 같습니다.)
29살 플로피 디스크 압니당! 초등학교 실과시간에 썼어요 ㅎㅎㅎ 대학생때는 되게 고민이 많고 남 신경 많이 썼는데 회사 다니고 멘탈이 자동으로 강해졌습니다.. 다녀야는 하고 이 나를 괴롭히는 걸 견뎌야하니까.. 너무 충격적이지만 ㅠㅠ 적응이 되나봐요 간접 군대도 경험하고.. 회사 다니며 멘탈이 비교적 강해진 듯 합니다 좋은 건지 나쁜 건지..ㅜㅜ
@Maengusdiary 41
2022년 8월 20일 23:38안녕하세요 박사님. 영상과는 관련이 없지만 감사의 말씀을 드리려 글을 남깁니다.
유튜브 2016년에 페이스북을 통하여 상담받았던 학생입니다. 유튜브 알고리즘을 통하여 다시 만나뵙게되었네요. 당시 진로에 대한 고민에 대한 박사님의 답변으로 많은 힘을 얻었습니다.
열심히 지낸 결과 어린 나이에 건축사를 취득하게되고 스스로 경제력을 높여 대학원도 다니며 꿈을 향해 열심히 달려가고있습니다.
박사님께는 많은 상담 학생 중 하나일 수 있겠지만 저에게는 큰 힘이 되었습니다.
댓글로나마 감사 인사 드립니다. 어렸던 6년 전 저에게 큰 힘을 주셔서 감사합니다.
건강하시고 더 많은 친구들에게 좋은 멘토가 되어주세요!
@돈되는시간 13
2022년 8월 20일 17:07인스타를 끊으면 됩니다.. ㅎㅎ 저30대인데 인스타포함 sns 전혀 안합니다 안해도 사는데 별지장 없고 남들이 뭐라하든 상관안합니다
가족과 친구몇명만 신경쓰기에도 바쁜 인생입니다
@TV-pr1lx 11
2022년 8월 20일 16:262030을 위한 강의 감사합니다
정서적 취약성.. 진짜 극공감합니다..
끈기와 깡, 정서적 안정을 위해 노력해야겠습니다.
멘탈 강화!!!!
Juhyung Hong 11
2022년 8월 20일 16:304050보다 월등한 환경에서 누리고 살아온 20대들을 위해 그만좀 오냐오냐 하셔요!
@miriclairee 7
2022년 8월 21일 11:55신박사님 귀한말씀 감사합니다! 지금 60대와 30대들간의 세대갈등이 엄청난데, 저 또한 지금의 10대,20대들이 누리고 있는 더 나을 환경을 은근히 부러워하지 않았었나 반성하게 됩니다. 모든것은 상대적이니 비교하지 말고 이해하고 그 속에서 단점을 보완해야겠군여!! 끈기와 깡! 더 키우도록 노력하겠습니다! Fragility가 아닌 Emotional Strength! 오늘 하루도 멋진 하루 되세요! ^------^
@coachgunny-5890 6
2022년 8월 21일 12:23감사합니다 ♡♡
Emotional fragility (정서적 취약)
1. 40 50에 비해 20 30은 매체의 발달로 인한 즉각적인 피드백이 자연스러운 시대에 더욱 녹아 들었기 때문에 타인의 평가, 시선에 매우 예민하다.
2. 직접 만나는 면대면 상황에서 임기응변, 회복 탄력성 부족
+ 낮은 자존감 회복 풍토
-> 왜곡된 개인주의, 망상의 발현
3. 끈기, 깡 부족
환경, 시대상황이라는 것은 참으로 무섭다. 더욱 성장하기 위해서는 왠지 잘 안되는 것, 왠지 어려운 것들을 공략해서 치열하게 극복해내자.
@adequate135 5
2022년 8월 20일 16:26ㅇㅈ 저 20대인데 나이드신 분들보다 이모셔널적으로 되게 프레질한듯 근데 저 정도면 그나마 2030중에서 나은편인데도 그럼ㅋㅋ 훨씬 편한 세상에서 고생안하고 살아서 그런거 같습니다
@한우고기112 5
2022년 8월 21일 19:13저는 30대 초반인데요, 오늘 말씀하신 것 듣고 주변 2030볼 필요도 없이, 직장에서나 가정에서 피드백을 받을 때 제 감정이나 모습을 돌아보니 확실히 감정적으로 취약하지 않았나 싶네요.
피드백이 나에 대한 공격이 아니라 조언이라걸 알면서도, 감정이 먼저 상하고 방어적으로 반응하는 것이 익숙했던것 같습니다. 그래도 상상스퀘어 통해 좋은 책 읽고 공부하면서 이전보다는 많이 단단해지는 것 같습니다.
이번에 상상스퀘어 서류에서 떨어졌는데 예전 같았으면 욕하고 스터디언 영상도 외면했을텐데, 이제는 "뭘 더 준비해야 할까"부터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착실히 준비해서 상상스퀘어 안에서 꼭 뵙도록 하겠습니다 영상 감사드립니다 :)
@HyunjuNoh-l6q 5
2022년 8월 20일 17:02ㅠㅠ 그래서 어떻게 해야……….. 취약성을 개선 할 수 있을까요. 요즘 너무 느끼던 부분이라 크게 공감됩니다. 다음 영상이 기다려지네요
@빛날소현 4
2022년 8월 21일 11:3323살입니다. 완전 동의합니다. 뭐만잘못되면 우울하고 주변탓하며 본인은 그저 운이없었다면서 젊으니까 괜찮아를 탑재하는 애들이 대부분이에요. 저또한그랬고요. 따님이 성장하시면 끈기랑 깡을 가지길 바라신다는 말씀듣고 오....했습니다. 주변에 더 영상을 공유해야겠어요 아마 10중 9는 무시하겠지만요
영상 잘봤습니다. 같이 일할수있는 4050과 미래에 부양할 4050들과 사이좋게 살수있는 사회가 되면 좋겠습니다. 2030들의 성장을 진심으로 생각하시는게 느껴집니다.
@jayjayjay-p9j 4
2022년 8월 20일 18:31극공감해요ㅠㅠㅠ저는 30입니다. 제 스스로를 평가했던 내용을 박사님께서 그대로 말씀해주시니 약간 소름이네요. 그래도 사회생활 하고 시간이 지날수록 개선되고 있다는게 확실히 느껴진 합니다!! 아마 요즘엔 사회생활을 늦게해서 그런 경향이 조금 있는것 같아요
@요약-n1c 4
2022년 8월 20일 21:31세대별로 부족한 능력
4050세대 : 체력,문해력
2030세대 : 정서적취약성 (좋아진환경+SNS남의시선의식으로 면대면에서 문제해결능력이 약하다)
성인이 된후로는 빠따맞고 싶어도 빠다쳐줄 사람이 없는데 신박사님의 설매를 찾게 됩니다.
@changmin957 4
2022년 8월 20일 18:472030을 위해서 깊은 통찰이 담긴 솔루션 제시해주셔서 감사합니다
@나무-h7p 3
2022년 8월 20일 23:4823살 청년입니다.
항상 좋은 말씀 많이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이영상을 보고 또 새로운 깨달음을 얻었고
깡과 끈기를 더욱 길러보겠습니다
건강하세요 신박사님 감사합니다!
@정가랑 3
2022년 8월 21일 10:27신박사님과 같이 운동하고 싶네요~^-^
고작가님은 들어주시면서 공감해주시고
신박사님은 말씀으로 동기부여해주실 것 같아요!!
오늘도 감사합니다:)
밍주야행복해ᅲ 3
2022년 8월 20일 17:50어제 머니맵 영상의 연장 선상이네요
20대의 관점에서 인내심이 부족한 거 같다고 댓글 적었었는데
신박사님도 멘탈리즘을 강조하셨네요!
20대도 그렇고 앞으로 20대가 될,
자라 날 10대들도 그렇고
정보의 홍수 속에서도 자라고 있지만 계속 모든 상황들이 악화될 것 같습니다
현재 사회 구조 자체가 불평등하거든요(40,50대 분들은 빼겠습니다 제가 그 나이가 안돼서 판단할 문제가 아니라서요)
(10대 일부 포함)20대는 신박사님이 말씀하신 대로 부모님에게 의존해서 커진 부분도 있고,
체벌도 과도기 때이거나 안 맞던 때라서 올바른 가치관을 어릴 때 형성하게 하는데 어려움이 많았을 수도 있고,
취업 못하고,주변 환경들이(사람이나 소셜미디어..등등)
본인을 비교하고 남자와 여자 서로를 혐오하게 만드는 불특정 다 수가 있거든요
거기에 사회 구조가 앞으로 태어날10,20대들이 짊어질 수밖에 없는 사회구조이고...
법적인 문제에서도 취약점은 정말로 많은데... 이를 해결할 법적 제도가 마련되어 있지 못하고 있고
가해자만 떵떵되고,피해자는 더 숨어 다닐 수밖에 없는 이런 구조 자체가...(또 이걸 뒤에서 이용하려는 사람도 있죠)
참 너무 복잡하고 어렵습니다..;; 해결할 게 너무 많네요.......ㅠ.ㅠ
채인 3
2022년 8월 20일 16:4790년생이 온다라는 책과 같이 90년생이고 30대지만 학교는 좀 오래다니고 20대와 오래있다가 사회를 나가다 보니 대면적인 부분과 공감능력과 정서적 취약성 학교에서 맞아보기도하고 했지만 뭔가 깡이나 많이 약하긴 하네요 ㅠ 2030을 위해서 어떻게 극복해 나갈수 있을지 좀 알려주셨으면하네요 감사합니다 늘
@백억잭 3
2022년 8월 20일 17:5020대로써 말씀에 공감합니다
@호호좋은날 3
2022년 8월 20일 17:38가공된생각!! 정말 중요한것 같아요..주입식과 가공된 생각이 아닌 오롯이 자기 삶을 주체적으로 살아갈수 있는 힘을 길러줘야 하는것이 더 중요한것 같습니다.
@_.apres-garde 2
2022년 8월 21일 03:393:33 그것을 '유리멘탈', '쿠크다스'라고 부릅니다. 자학의 뉘앙스도 있고, 보다 포괄적인 개념이지만요. '정신적 면역력이 약하다.'라고 표현해 볼 수 있겠습니다.
@user-yz7lo7vf2e 2
2022년 8월 26일 04:31우리 미래를 위해서 조언해주시고 노력하시는 모습에서 진심이 전달되고 저도 힘 합쳐 더 열심히 공부하고 노력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어요! 항상 고맙습니다!!!
@아니근데-l7w 1
2022년 8월 20일 22:20너무 공감됩니다..
@genesis4050c 1
2022년 8월 21일 03:24아!!!!! 오늘 내용 너무 좋습니다.
제가 리더자리 오르고 20대 친구가 나를 왜 그렇게 어려워하는가 이해하게되니 머리가 띵해지네요,,,,,
다육또바요 1
2022년 8월 20일 18:14👍👏👏❤❤
@Jvtzmz 1
2022년 8월 20일 16:28어릴 적에 혼나면서 나도 모르게 마음이 단단해지고 이것이 인생에 회복탄력성으로 장점이 되었음을 느껴요!
학교에서 아이들을 가르치면서 혼내는 것이 아니라 칭찬만 찾는 방향으로 바뀌었어요!
아이들이 누군가한테 듣기 싫은 말 상처 받는 말을 이겨내는 힘이 약해요!
이럴수록 가정에서라도 혼날 건 혼나면서 강해지면서 성장하는 경험도 중요하구나~ 실감해요
정말 맞는 말씀이세요!
@user-brightstar9 1
2022년 8월 21일 00:17좋아요 100번 누르고 싶어요 🤣💖
@yesoappa7344 1
2022년 8월 20일 19:15제 주변에도 이런 깨어있는 분들이 많았으면 좋겠어요 ^^
@user-brightstar9 1
2022년 8월 21일 00:16신박사님의 영상을 처음부터 끝까지 생각하고 곱씹으며 들으면서 보낸 시간이 꽤 오래 된 2030입니다.
매번 영상을 보며 느꼈지만 이제야 댓글로 전하네요, 신박사님 인생선배로서 진심으로 끊임없이 외쳐주셔서 감사합니다. 앞으로도 소중한 말씀 실천해서 변화하고 성장하는 0.1퍼센트가 될게요 !
끈기와 깡, 정서적 강인함을 기를 추천해 주실 만한 구체적 방법이 있다면 또 알려주세요 :)
사실 힘든상황에 직면하고 좀 굴러보면 겪어본 것 이하의 강도는 아무렇지 않게 느껴지더라구요 졸꾸가 해답일까요 ㅎㅎ
어쨌든 열심히 구르러 가보겠습니다 !!!! 아쟈!!!!!!! 😆
@캠핑악어 1
2022년 8월 20일 17:17주말도 게을러지지 않게 동기부여해주시는 신박사님 정말 감사드립니다!!
@BoReCat 1
2022년 8월 20일 16:16말씀 감사합니다~
마늘햇 1
2022년 8월 20일 18:28맨땅에 헤딩 / 주입된 교육 _ 스스로 분석하고 생각할줄 아는법..
@지승주-u5v 1
2022년 8월 21일 08:39끈기! 깡!
혼무 1
2022년 8월 20일 16:27늘 얘기하시던 안티프레질과 일맥상통 하네요
@김석-s2r 1
2022년 8월 20일 16:52생각이 나를 만들고 가고 있어요
나의 생각은 책을 통해 나의 생각을 만들어 가고 있어요 끊임없이 책을 통해서 나의 잘못된 생각ㆍ발견하고 바뀌고 있다는 생각이 듭니다 감사합니다 😏
500djrqnwk 1
2022년 8월 20일 16:41For 2030
정서적 fragile
@sangsoolee4429 1
2022년 8월 20일 23:12멘탈갑이 되도록 노력해야 하네영
young nam choi 1
2022년 8월 20일 16:122 ^^
@손학길-d3l 1
2022년 8월 20일 21:15좋은 말씀입니다.
박광균 1
2022년 8월 20일 16:001
@지승주-u5v 1
2022년 8월 21일 08:29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dream004 1
2022년 8월 21일 00:42신박사님의 공감가는 내용과 좋은말씀 을 사랑하는 나의 두 아들들과 공유하곤합니다~ 2030 은 특히파이팅! 4050도 파이팅 6070도 파이팅! 저는 나이 제한없이 내 인생의 건강과체력이 다할때까지 책임감 을가질수있는 일을 가졌으면하는게 제 희망사항입니다ᆢ70ㆍ80 에도 그런분들보면 너무 멋지게느껴지더라구요ᆢ그 일이 어떤일인가는 중요하지않고 다만 공동체에서 믾은사람들에게 선한 영향력을 주는 그런 일과 사람이면 하는 바램입니다~ 2030 파이팅 입니다~~♡
@링링이2 1
2022년 8월 21일 11:48감사합니다 박사님. 많이 배우고 많이 느낍니다.
@puha3333 1
2022년 8월 20일 18:48다시 한번 마음을 다잡는 영상이네요 제대로 짚어주셔서 너무나 감사드립니다 좋은 인사이트 얻고 갑니다^^ 끈기, 깡, 정서적취약성!
@mayde-bw2d 1
2022년 8월 22일 19:47매번듣기만하다가 처음 댓글 달아보네요. 너무 속시원한! 영상감사합니다. 20대 초반 친구들을 만날일이 많은 매장 직업인데 교육을 할때마다 제가 눈치보게되더라구요, 조언을 전혀 구분 못하는 친구들을 볼 때면 화가 나는 것보다 안타깝더라구요. 저도 나름대로 다 듣고 계속 칭찬해주고 다독여주는 시간을 세달쯤해도, 결국 아무 조언도 듣지못하고 성장할시간에 자기풀에 죽어서 그만두는걸 보면... 적절한 방법이 필요하고 고민되는시점이였는데 너무 공감되고 저만의 생각은아니였구나싶어 제가 위로가됬습니다.. 필요한영상이였습니다. 늘감사합니다.
@쩐-f7o 1
2022년 8월 21일 13:30지금 39세도 2030에 해당된다고 생각하고 집중도 있게 봐야할까요.
4050에 해당된다고 생각하고 집중도 있게 봐야할까요.
저는 참 어중간하게 껴있어서 그런가
2030의 장단점도 내재되어 있는것 같고,
4050의 장단점도 내재되어 있는것 같아서
조금 난감하네요 😖
그냥 2050 이라고 생각하고
두 가지의 장단점들을 다 어우러서 흡수해야겠어요 🤣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나나나나-f5h 1
2022년 8월 20일 20:20양육가치관에 대해서 더 자세히듣고싶어요😄😄
@coachgunny-5890 1
2022년 8월 21일 12:20꾸준히 활동 해주셔서 너무 감사합니다. 본받고 저도 졸꾸 하겠습니다.
@it-9015 1
2022년 8월 21일 14:51신박한 신박사님의 조언영상 잘보았습니다
@최규성-j2s 1
2022년 8월 21일 10:13정서적취약성 100%공감가네요~
그 취약성을 강화할 수 있도록 그에 관한 독서도 하고 변화하려 노력해봐야겠습니다.
항상 감사합니다.
그리고 생각해보니 진심으로 감사할줄 알고, 칭찬하는 것과 연관되는 것 같습니다.
우리나라가 유난히 그게 안되는 이유도 여기에 있는 것 같습니다. 각자의 노출된 환경에 영향 남들 눈치보고 대화도 많이 사라지다보니 칭찬과 감사함에 무뎌져 없어진 것 같습니다.
정말 많은 것을 깨우치게 해주시고
잊을만 하면 다시 꿈틀거리게 피드백주셔서 감사합니다.
정말 멋지시고 신박사님처럼 영향력 있는 리더십있는 사람이 되고싶습니다.
다시한번 더 감사합니다😁👍
@meirin22000 1
2022년 8월 21일 04:39정말 좋은 영상이네요 감사합니다
심심심
2022년 8월 20일 16:11심약함 이라 할수 있으려나요?
@김순아-b2q
2022년 8월 21일 21:57신박사님 영상보면서 나자신에게 도전 하고잏습니다 소극적인독서를 적극적인독서하기로 결정했어요 저는60대 초반입니다 감사합니다 완공사서보는데요 다음내용이궁금해서손에서책을 못놓겧더라고요 좋은책추천하신책 다보려고 합니다 젊은이들이 많이보고많이달지기를박사님이 바라는대로 청년들이 달라지리라기대합니다
@forestbongbong
2023년 3월 27일 19:04완전 공감하는 영상입니다~!
@marinalee358
2022년 8월 23일 00:05스터디언 영상 하나도 빼놓지않고 보고있는데,
이번 영상은 다섯번 돌려보았습니다.
신박사님 존경합니다.
정서적취약성을 극복하는데 노력하겠습니다.
@웨이드맨
2022년 8월 23일 09:09신박사님 말씀에 정말 공감합니다
몇해전 일 관계로 만난 몇몇 20대들과 개인대화를 하게 되는 기회가 생겼는데
그들은 오프라인에서의 대면관계가 서툴고 어려워 하더군요 10대인 제 조카도 아직도 저랑 눈이 마주치면 얼굴표정이 울먹이기 시작합니다 -.-;;
그들에게 꼭 한마디 조언하고 싶습니다
"훼예포폄"에 휘둘리지 마세요~~~
@user-et8vx9mw9m
2022년 8월 27일 16:26그래서 어떻게 해야 정서적 취약성을 기를 수 있을까요,,? 혼자 서울살이 하면서 도움을 구할 어른도 마땅히 없고 모든 고민과 문제를 혼자 해결해야하는 입장에서 막막하기만 하네요,,
영상 감사합니다. 남들과 다른 통찰력으로 거시적인 관점에서 말씀해주셔서 속이 뻥 뚫리는 느낌입니다!
핑크핑크TV
2022년 8월 20일 16:42신사임당이 체인지그라운드랑 같이 나중에 사업크게 벌릴줄 알았는데 현승원의장인가 하는분이랑 하던데.. 그 현의장인가.. 젊은분이 벌써 삼천억 자산가.. 레벨 그릇 자체가 다른분 같긴함..
레드로
2022년 8월 20일 19:20한마디로 깡이 부족하다는 거죠...저도 보니까 2030이 정서적으로 약하다는 생각이 들더군요 저는 어렸을 때 뺨 맞고 무릎꿇고 손 올리고 3시간 버티기 이런 거 해서 그런지 사회 나와서 별로 안 힘들더라구요 이게 좋은건지 진짜...
YH N
2022년 8월 20일 16:28자기감정에 대한 회복탄력성?!
@UNU-n2d
2022년 8월 24일 12:37안녕하세요 스터디언을 구독하고 신박사님 영상을 꾸준히 챙겨보는 20대 청년입니다. 우선 이 영상을 접할 수 있어서 정말 큰 행운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저희 세대에 대해, 우리나라 사회에 대한 통찰이 돋보이는 영상이었습니다. 저는 삶이 문제의 연속이며 그 끝없는 문제들을 해결해가는 과정이라고 생각합니다. 삶의 어느 시기에 놓여 있든 우리는 우리 앞에 놓여진 문제들과 계속 마주해야 되며 비록 삶이 끝나는 순간까지 모든 문제를 해결할 수 없을지언정 문제들과 맞서는 과정 자체가 삶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런데 살아가면서 정말 어렵다고 느끼는 것은, 때로는 어떤 것이 문제인지도 모른 채 살아간다는 것입니다. 내가 진정으로 해결해야되는 문제는 다른 곳에 있지만, 눈에 보이는 것들에, 혹은 편리함에 현혹되어 우리가 진정으로 해결해야되는 문제들을 회피하곤 합니다.
그런데, 문제 해결은 문제와 마주하면서, 바르게 문제를 제기하면서 시작된다고 생각합니다. 신박사님의 메시지들은 제가 해결해야될 문제들을 구체화하는데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저희 세대가 대면 만남을 꺼리고, 피드백에 예민하며 정서적으로도 취약하다는 점에 너무 공감이 되었습니다. 말씀하신 것처럼, 저희는 급속성장과 앞선 세대 선배님들의 노력 덕분에 이미 어렸을 때부터 많은 것들이 갖춰져 있었고, 가공된 것을 가지고 살아가는데 익숙합니다. 도전하기보다는 내가 가지고 있는 것들을 지키는 데 급급하며 변화와 성장보다는 안정을 추구하려는 성향 또한 강한 것 같습니다. 그런데, 안정이라는 상태는 가만히 아무일도 없는 상태가 아니라 끊임 없이 움직이고 성장하는 상태입니다. 상황적으로, 정서적으로 불안정한 것이 당연한 이 시기에 제가 할 수 있는 것들 즉 문해력을 기르고 독립적인 사고를 하려고 노력하며 주체적으로 살아가보려고 합니다. 수없이 무너지겠지만, 무너지고 다시 세움 속에서 성장이 있다고 믿기에 오늘도 최선을 다해 살아보려고 합니다. 오늘도 제게 큰 동기부여를 주셔서 감사합니다.
여담이지만 이 영상이 더 많은 사람들에게 전해져서 다른 세대를 더 이해하고, 세대간 연합의 통로로 작용할 수 있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오늘도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user-xl2hy7ql8x
2022년 8월 22일 21:34미국에서 살고있는 20 대 구독자 입니다. 영상을 보며 제 자신도 돌아보게 되고 특히 한국에 있는 제 동생이나 친구들 보며 느꼈던 점들을 잘 말씀해 주신것 같습니다. (집이 서울이라 그런지 서울 사람들 한정이지만 대학생이나 사회인이 되어서도 비싼 집값 때문에 부모님집에 얹혀살며 모든 면에서 독립이 늦어지는)
그치만 조금 다른 관점에서 물리적 독립이 안된 상태에서 정서적 독립이라는게 얼마나 쉽지 않은지 주변 사례를 통해 보고 듣고 느끼고 또 그게 불쌍하면서도 한심하고 그럽니다.
제 경험이 모든 미국인 마인드를 대변하진 않지만 (특히나 엘리트 사회에 주로 살아왔기 때문에) 같은 나이대에 한국 명문대에 다니는 친구들 보다 미국 친구들이 좀더 빨리 성숙해 지는 이유중 하나는 일단 성인이 되어서 물리적으로 독립하는 문화에 있지 않을까 합니다. 대학교를 졸업하고 경제적으로 독립하지 못한다면 무능력하거나 별볼일 없는 사람이구나 하고 판단하는 경우가 많은것 같습니다. (물론 땅이 넓고 직장도 옵션이 많으니 한국과 1:1 비교는 안되겠지만요.)
주로 도심위주에 직장, 대학이 몰려있는 작은 나라들도 마찬가지라고 들었습니다 (예를 들어 이탈리아에서 이렇게 집값 때문에 성인 독립이 늦어져 20 대 후반이 되어도 “마마보이” 가 된다는 사회 경향 아티클을 몇년 전에 이미 본것 같습니다.)
항상 재미있는 영상 감사합니다.
@peonutt2
2022년 8월 26일 08:5429살 플로피 디스크 압니당! 초등학교 실과시간에 썼어요 ㅎㅎㅎ 대학생때는 되게 고민이 많고 남 신경 많이 썼는데 회사 다니고 멘탈이 자동으로 강해졌습니다.. 다녀야는 하고 이 나를 괴롭히는 걸 견뎌야하니까.. 너무 충격적이지만 ㅠㅠ 적응이 되나봐요 간접 군대도 경험하고.. 회사 다니며 멘탈이 비교적 강해진 듯 합니다 좋은 건지 나쁜 건지..ㅜ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