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도 인생에서 느끼는 건데 다 같은 맥락입니다. 마침 심심하고 하니 이 4가지를 한번 리뷰해 보겠습니다.
1. 옳고 그름을 판단 : 본질적으로 옳고 그른것은 없습니다. 그러니 아무리 맞는 말처럼 들릴지라도 당장 나를 힘들게만 하는 비판이라면 그것은 나에게 옳지 않습니다. 나를 따뜻한 자세로 대함과 동시에, "그래서 그것이 나에게 도움이 되는가?"를 꼭 체크 해보시기 바랍니다.
2. 평판에 매달리는 것 : 집착할수록 고통스러워질 겁니다. 특히 '착한사람이고 싶다' , '대단한 사람이고 싶다' 라는게 다 사실 인정욕구에서 비롯되는 것인데, 결국 내 인생 내가 하고싶은대로 사는겁니다. 오히려 사람들한테 "저 기대하지 마세요"라고 하시면 한결 편해집니다.
3. 내가 통제할 수 없는 상황에 집착하는것 : 최악의 바보같은 감정소모, 시간낭비 입니다. 본인이 이러하다면 주변사람들도 금방 질려서 떠나갈테니, 지나간 일은 빨리 잊고 다음 일에 집중하세요.
4. 역경에 좌절 or 분노 : 생각하기를 "이 일만 아니었다면 모든게 잘 됐을텐데" 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그것보다는 해결과 대응에 집중하시고 "에이 그거 별거 없더라. 존나 쉽더라" 라는 말을 그냥 습관처럼 하세요. 인생이 졸라게 쉬워질 겁니다.
1, 4번은 틀렸다고 생각함. 1. 옳고그름을 판단하는 건 중요함. 예를 들어 난 유치원 다닐 나이의 어린 내 여동생에게 아빠가 혀를 대고 키스하는 걸 본적이 있음. 난 거기서 아빠행동이 글렀다고 판단했기에 막을 수 있었음. 근데 소름끼치는 건 엄마도 전부터 알고 있었는데 막지 않았다는 거임. 왜냐 엄마는 옳고 그름을 중요시하지 않고 그저 흘러가는대로 의지없이 살아가는 사람이었기 때문임. 그래서 나 역시도 어릴적, 아빠에게 성폭행당했을 때 엄마는 가만히 있었던 거겠지. '생각하기 나름'이라는 '제3자' 본인한테만 듣기좋은 개소리를 맘대로 지껄이도록 내버려두기엔, 같은 '사람'이라는 '존재'로서 존중받고 싶다면 결코 하지 말아야할 짓이 있음. 만약 그 선을 넘는다면 나에게 '그것'은 더이상 사람도, 존재하는 것도 아닌 당장 사라져야 마땅한 것에 불과함. 4. 어려움에 빠졌을 때 분노를 느꼈다면, 그럴만한 이유가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함. 자신의 무능력함이라던가.. 혹은 부정한 시스템이라던가. 그리고 그런 분노를 느끼기에 사람은 더 나은 이상으로 나아갈 수 있는 거라고 생각함. 나 역시도 끔찍한 곳에서 그만큼 죽을 듯이 분노했기에 버틸 수 있었던 시절이 있음. 만약 그때, 그 끔찍한 상황에서 마땅한 분노도 느끼지 못했더라면, 난 아마.. 하.. 엄마랑 똑같은 인간이 됐겠지.
3번이 때때로는 너무 어려움 교통사고 추락사고나서 재능을 잃고 그 재능을 가졌을 때의 쾌락과 찬란함, 즐거움과 황홀함을 알기때문에 포기하기가 쉽지않음 메시가 다리가 고장나서 축구를 못하게 됐을 때 축구를 하고싶은 것처럼 가수가 노래부르는 즐거움을 경험하고 목소리를 잃었을 때 자신의 자존감을 포기하고 살아가기란 쉽지않음 마치 심장을 내어주고 살아가는 좀비가 된 느낌임 이런 상황에는 3번이 젤 어려운듯 집착 할 수 밖에 없는 삶
학창시절 공부 잘 했던 사람 얼굴 운동 좋아하는 사람 얼굴 말 잘 하는 사람 얼굴 심성이 착한 사람 얼굴, 악한 얼굴 감성이 풍부한 얼굴 두뇌가 뛰어난 얼굴.. 미련한 얼굴 고집 센 얼굴, 소심한 얼굴 사이코 얼굴, 비정한 얼굴 사기꾼 얼굴, 거짓말 잘 하는 얼굴 등등..
다 얼굴에 묻어 나오고 말해주죠
태어날 때.. 그러한 제품으로 나오죠
그렇지만 삶의 태도가 바뀌면.. 얼굴도 바뀌죠.. 허나 뿌리까지 바꿀려면.. 엄청 노력이 필요하죠
@매우쓴다 444
2022년 8월 24일 07:32요약
1. 옳고 그름을 판단하는 것
2. 평판에 매달리는 것
3. 내가 통제할 수 없는 상황에 집착하는 것
4. 어려움에 빠질 때 좌절하거나 분노하는 것
@Liltt-i9b 367
2022년 8월 24일 22:42저는 1 2 3 4 모두 어기겠습니다 그 어떤 사람도 걷지 않았던 길을 걸어보겠습니다 다들 응원해주십쇼
@poweroverwhelming-j2b 82
2022년 8월 24일 01:151번 매우 공감합니다. 옳고 그름에 집착하면 편견과 선입관이 생겨서 속단을 하게 되고, 그 속에 매몰되기 때문에 유연한 사고를 방해하니까요. 옳고 그름에 대한 고정된 관념이 창의적 사고와 혁신을 방해합니다.
@자네가해보게 64
2022년 9월 02일 16:37저도 인생에서 느끼는 건데 다 같은 맥락입니다. 마침 심심하고 하니 이 4가지를 한번 리뷰해 보겠습니다.
1. 옳고 그름을 판단 : 본질적으로 옳고 그른것은 없습니다. 그러니 아무리 맞는 말처럼 들릴지라도 당장 나를 힘들게만 하는 비판이라면 그것은 나에게 옳지 않습니다. 나를 따뜻한 자세로 대함과 동시에, "그래서 그것이 나에게 도움이 되는가?"를 꼭 체크 해보시기 바랍니다.
2. 평판에 매달리는 것 : 집착할수록 고통스러워질 겁니다. 특히 '착한사람이고 싶다' , '대단한 사람이고 싶다' 라는게 다 사실 인정욕구에서 비롯되는 것인데, 결국 내 인생 내가 하고싶은대로 사는겁니다. 오히려 사람들한테 "저 기대하지 마세요"라고 하시면 한결 편해집니다.
3. 내가 통제할 수 없는 상황에 집착하는것 : 최악의 바보같은 감정소모, 시간낭비 입니다. 본인이 이러하다면 주변사람들도 금방 질려서 떠나갈테니, 지나간 일은 빨리 잊고 다음 일에 집중하세요.
4. 역경에 좌절 or 분노 : 생각하기를 "이 일만 아니었다면 모든게 잘 됐을텐데" 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그것보다는 해결과 대응에 집중하시고 "에이 그거 별거 없더라. 존나 쉽더라" 라는 말을 그냥 습관처럼 하세요. 인생이 졸라게 쉬워질 겁니다.
@신시아-u6u 27
2022년 8월 24일 09:331, 4번은 틀렸다고 생각함.
1. 옳고그름을 판단하는 건 중요함. 예를 들어 난 유치원 다닐 나이의 어린 내 여동생에게 아빠가 혀를 대고 키스하는 걸 본적이 있음. 난 거기서 아빠행동이 글렀다고 판단했기에 막을 수 있었음. 근데 소름끼치는 건 엄마도 전부터 알고 있었는데 막지 않았다는 거임. 왜냐 엄마는 옳고 그름을 중요시하지 않고 그저 흘러가는대로 의지없이 살아가는 사람이었기 때문임. 그래서 나 역시도 어릴적, 아빠에게 성폭행당했을 때 엄마는 가만히 있었던 거겠지. '생각하기 나름'이라는 '제3자' 본인한테만 듣기좋은 개소리를 맘대로 지껄이도록 내버려두기엔, 같은 '사람'이라는 '존재'로서 존중받고 싶다면 결코 하지 말아야할 짓이 있음. 만약 그 선을 넘는다면 나에게 '그것'은 더이상 사람도, 존재하는 것도 아닌 당장 사라져야 마땅한 것에 불과함.
4. 어려움에 빠졌을 때 분노를 느꼈다면, 그럴만한 이유가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함. 자신의 무능력함이라던가.. 혹은 부정한 시스템이라던가. 그리고 그런 분노를 느끼기에 사람은 더 나은 이상으로 나아갈 수 있는 거라고 생각함. 나 역시도 끔찍한 곳에서 그만큼 죽을 듯이 분노했기에 버틸 수 있었던 시절이 있음. 만약 그때, 그 끔찍한 상황에서 마땅한 분노도 느끼지 못했더라면, 난 아마.. 하.. 엄마랑 똑같은 인간이 됐겠지.
@김혜영-s6o 8
2022년 9월 02일 20:08중3때 마르쿠스아우렐리우스 읽었는데 ,
60된 지금 사주명리학 공부하며 1번 내용에대한
의미를 조용히 음미해봅니다
@복룡봉추-m3g 8
2022년 9월 09일 22:41좋은 말이긴하나 현실은 가끔 있는 의외성 때문에 타인을 이해해주기엔 본인이 그다지 이롭지않은 사회가 됐어요. 고대의 그 시대 위인의 고찰일 뿐 현대의 시대에는 이 시대에 맞는 지혜가 필요합니다.
@박부장-f1f 8
2022년 8월 24일 13:17그러므로 남을 판단하는 사람아, 누구를 막론하고 네가 핑계하지 못할 것은 남을 판단하는 것으로 네가 너를 정죄함이니 판단하는 네가 같은 일을 행함이니라 (롬2:1)
@이승희-i3u 7
2022년 8월 25일 00:03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zerosixbcc 6
2022년 9월 02일 23:54자기 자신의 평판은 엄청 신경쓰나 안좋은 소문이 많이 들린 다는걸 자신도 알고 있는데도 또 다른 사람들의 안좋은 소문에 대해서는 금방 믿어버리고 주위에 퍼뜨리기까지 하는 사람한테 보여주고 싶네요
@hoohoo4048 6
2022년 9월 15일 22:273번이 때때로는 너무 어려움 교통사고 추락사고나서 재능을 잃고 그 재능을 가졌을 때의 쾌락과 찬란함, 즐거움과 황홀함을 알기때문에 포기하기가 쉽지않음
메시가 다리가 고장나서 축구를 못하게 됐을 때 축구를 하고싶은 것처럼 가수가 노래부르는 즐거움을 경험하고 목소리를 잃었을 때
자신의 자존감을 포기하고 살아가기란 쉽지않음 마치 심장을 내어주고 살아가는 좀비가 된 느낌임 이런 상황에는 3번이 젤 어려운듯 집착 할 수 밖에 없는 삶
@user-ertye 5
2022년 8월 24일 04:301번: 무조건 예쁘고 잘생길 것
@BeautifulWorld-jl4po 4
2022년 8월 23일 23:39코모두스는 우째 그래 키았노..당신은 전쟁터 전장 텐트안에서 죽었지..로마에서 산 삶보다 전장터에서 산 인생이 대다수인 당신..자식도 당신 인생도 결말은 참..매력적이지 않거든요..스콜라 철학은 매력적이긴 하나..당신의 인생과 비춰 봤을땐..뭐 그다지..
@kyu__u 4
2022년 9월 01일 15:22좋은 내용, 좋은 영상입니다. 마음이 따뜻해지네요😊
잘 봤습니다
@이승훈-n7y 4
2022년 8월 24일 23:36감사합니다...남은 인생에 나침반을 얻은 기분이네요...
@illkealas 4
2022년 8월 23일 23:043번이 저에게 너무 깨달음을 주네요 잘봤습니다
@blackstar-vs8zl 3
2022년 9월 01일 19:56인간주제에 감히 다른인간을 함부로 판단하지 마라. 누가 잘났고 못났고 따지려 들지마라. 신의 눈으로 보기엔 그래봤자 다 같은 인간일뿐이지 않겠는가
@사법-o8h 3
2022년 8월 29일 09:43진짜인 사람은 말도 하지 않고
움직인다.
자신의 의지가 약한사람은
표현자체가 많타
나는 이런사람이 돼겠다.
마음속에 다짐이
글보다 더 중요함.
말은 너무 깃털같이 가벼운 것.
말많은 사람은 그반대일 가능성이
70%이상임
@sadlove788 3
2022년 8월 24일 04:11좋은 얘기 잘듣고 갑니다^^
@탄-h1x 3
2022년 9월 19일 05:32현대의 무명 개인에게도 그대로 적용되는 지침이다
주위 지인들에 대한 예까지...♡
명상록 함 읽어봐야겠네요
@mindnever8829 3
2022년 8월 24일 16:26맞음 첫인상은 첫인상일 뿐 맘은 열어놔야함 상대가 2초전에 연애상대한테 대차게 까이는 전활 받았을수도 있거덩
@사랑인생행복인생 3
2022년 8월 24일 00:33감사합니다.
@이태헌-n8y 2
2022년 8월 24일 05:40감사합니다
@다락방서생 2
2022년 8월 31일 03:17나이를 먹고 돌이켜보니 1 2 3 4 모두 서로에게 영향을 주는 요인입니다. 할꺼면 확실히 1 2 3 4 통제해서 멘탈 갑이 되거나 안할거면 모두 안하는것이 좋을 듯하네요...
@진정한투자자진정한비 2
2022년 9월 01일 16:25스토아철학을 기본으로 내가 통제할수있는 영역과 할수없는 영역을 구분하는 것이 핵심...
@김명자-x5l 2
2022년 8월 24일 07:12진심어린 유튜버 영상에
공감입니다
.
@사슴-q6j 2
2022년 9월 05일 05:03인생에 정답은 없다
하지만 분명한건 죄짓지 말고 살아라
@whitego3775 2
2022년 8월 27일 02:18정말 좋은 말들이네요
@하루를감사히즐겁게긍 1
2022년 9월 06일 07:17딱 나네요
그래서 가시밭길인생 걸었네요
난 착한게 아니라 어리석구나
@이연서-i3z 1
2022년 9월 10일 09:38이거 다아는 내용임 근데 왜 사람들이 안지키느냐...살빼려면 음식을 줄이고 운동을 해야한다는것과 같음. 우리가 이런 처세술관련 영상 보며 공감하지만 잘안되는 이유는 실전에선 쓰기 힘들다는 단점이 있음
@tak1635 1
2022년 9월 15일 15:371번은 공자님이 제자 자공에게 한 말을 떠올리게 하네요.
너는 남의 장단점을 자주 평가하는데 너 자신은 모든 면이 다 옳느냐? 나는 (자신을 성찰하느라) 남을 비평할 여유조차 없거늘...
four season Korea 1
2022년 8월 23일 21:27과거의 삶과 현재의 삶, 그리고 미래의 삶도 그 모든것을 관통하여 존재하는 것은 생각과 마인드이네요.
@종이고양이-h3z 1
2022년 9월 24일 20:11나 솔직히 옳고그름 나 나름대로 판단하고 살아간다 그건 고칠수 없다
2번 3번 4번 전~~혀 안한다 나는 남이 어떻게 생각하든 크게 개의치 않고 포기도 빠르고 절망 안한다 화내느니 피해가거나 잊는다
@황태욱-y3s 1
2022년 8월 29일 06:123번 완전 제 이야기네요 3번 ... 너무 감사합니다.
@경재박-d6w 1
2022년 9월 07일 09:45우리가 배운 게 꼭 맞는 건 아니죠
동물들 생김새 보세요
조류들 생김새 보세요
파층류 ..생김새 보세요
하다못해 곤충들 생긴거 보세요
그들의 얼굴형태와 눈을 보세요
포식자, 공격자... 당하는 동물들
생김새 보세요.. 다르죠
인간도 마찬가지죠
흔히들 관상을 과학이라 하죠
실제로는 통계학 이죠
선입견 맞습니다..
생긴대로 논 다는 말 맞습니다
티비 보세요..
학창시절 공부 잘 했던 사람 얼굴
운동 좋아하는 사람 얼굴
말 잘 하는 사람 얼굴
심성이 착한 사람 얼굴, 악한 얼굴
감성이 풍부한 얼굴
두뇌가 뛰어난 얼굴.. 미련한 얼굴
고집 센 얼굴, 소심한 얼굴
사이코 얼굴, 비정한 얼굴
사기꾼 얼굴, 거짓말 잘 하는 얼굴
등등..
다 얼굴에 묻어 나오고 말해주죠
태어날 때.. 그러한 제품으로 나오죠
그렇지만 삶의 태도가 바뀌면..
얼굴도 바뀌죠.. 허나 뿌리까지
바꿀려면.. 엄청 노력이 필요하죠
수 많은 생을 반복하며 만들어 온
얼굴 이기에.. 쉽게 못 바꾸죠
선입견 중요합니다
상대를 잘 파악해야 내가 당하지 않고
내 얼굴을 바뀌도록 노력해야
상대에게 신뢰를 주죠
마음이 얼굴을 만드니..
예쁜 마음을 갖도록 노력해야하죠
선입견은 무기 입니다
험난한 자본주의 생존전쟁에서
나를 지키기 위한 장치이죠
선입견 버리지 맙시다
다만 마음 한 구석에 넣어놓고
상대를 지켜봅시다
근데.. 나중에 결과로 보면..
꼭 맞더라고요.. 안타깝게도..
@svo2098 1
2022년 9월 20일 12:13정말 좋은 말이네요. 고맙습니다. 명상록 아주 오래전 읽었었는데 그 동안 그 내용이 뭐였는지 다 잊고 있었네요. 다시 읽어봐야겠네요.
@Nevermind-sb2dc 1
2022년 9월 01일 02:09이 영상을 초월하는 딱 한가지 말씀드리겠음. 인간은 변하지 않음.
@-mento9887 1
2022년 8월 24일 16:51감사합니다 ^^
김상진 1
2022년 8월 23일 21:363등
@연명흠-o8u 1
2022년 9월 07일 10:13좋은글 잘 들었습니다^^
@메종마틴마르지엘라 1
2022년 9월 11일 18:33명상록 수백번 읽으면서 사고의 틀에 내재화할 필요성이 있는 훌륭한 책!!
@쌉고수-s4u 1
2022년 8월 31일 10:37감사함다 황제
@신성옥-t5c 1
2022년 9월 24일 07:07멋지네요. 오고 가는 많은 새대들에게 여전히 필요한 문장들이네요. 한 수 배웁니다.
mal_hit🌟
2022년 8월 23일 21:32오늘도 잘 시청하고 가요! 감사합니다.•ᴗ•
@이원굉-u7d
2022년 9월 08일 16:271번은 주변 사람들 떠나기 쉬움 옳고 그르다는 판단 자체가 내가 너보다 위라는 말
2,3,4는 스스로 망가지는 길
@user-suuny_channel
2023년 1월 16일 13:183번에 집착하지 않겠습니다!
@김태호-u9t
2022년 9월 17일 08:20성경을 읽으세요. 모든 삶의 지혜가 그 안에 있어요.
@sweetandsour4101
2022년 9월 23일 02:09오래전에 쓰인 건데 지금도 통하네요 신기하다...
@missing274
2022년 9월 21일 19:58선인의지혜가 역사도알려주네요
@yomogimusume
2022년 9월 14일 23:12가볍게 봤는데 쩌는 내용이네요..
희망둥이
2022년 8월 23일 21:41역시 고전!👍
하민철
2022년 8월 23일 22:47근데 니 아들은 왜 그렇게 키웠노!!!
본인의 말이 아무리 맞다고 해도 실천하지 못하면 아무 의미 없다.
@bgo3452
2022년 8월 28일 00:50고맙습니다.
@jshan6493
2022년 9월 07일 02:49주식투자가들에게도 좋은 충고군요.
미루고미루었는데 한번 읽어봐야겠습니다
@joyo0909
2022년 9월 08일 20:00잘봤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