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을 보며 안타깝다 느끼는 것은 그렇기에 어떻게 결혼 생활을 가능한 행복하고 서로 만족할 수 있게 할것인가에 대해 고민하고 계획하고 실천할 수 있도록 하는 다방면의 지원이 필요하다 생각하는데, 이에 대한 고민없이 단순히 금전적으로 지원하는게 안타깝습니다. 비혼과 비혼자녀에 대한 차별이나 삐뚫어진 시선을 없애는것도 중요하다 생각합니다.
만약 정부를 시작으로 사회에 영향력 있는 사람들이 이에 대한 대책이 없다면, 앞으로 결혼컨설팅(결혼 중계를 말하는게 아닙니다)이 굉장히 중요하고 핫한 산업이 될 수 있겠다는 생각도 해봅니다. 다만 그렇다 하더라도 공부하고 생각하기를 포기한 사람들에겐 해당 사항이 없겠지요.
결혼을 하거나 그 생활을 유지하는 것은 철저히 상호간에 계산적이거나 자기자신에 대해 이해하고 상대방도 이해하려는 노력을 하는 사람들에게 가능한 일일거라 생각합니다. 쉽고 빨라진 세상에서 그런 노력을 할려는 사람이 얼마나 될런지는 모르겠지만요.
결국 저는 결혼이 빈부격차를 상징하고 만든다는건 결과를 놓고 해석하는, 사후해석의 문제라고 보는 쪽인겁니다. 원인은 결혼이 아니라 이렇게 바뀐 세상에서 과연 결혼에 대해 얼마나 고민하고 준비하고 대화를 나눴는가에 있는 것입니다.
간단히 말하면 결혼에 대한 생각이 다들 바뀌고 있는데 결혼에 이르고, 결혼 생활을 해나가는 방식은 그대로인 것이 원인입니다.
지금 세상은 발달된 정보통신 기술을 이용해 다른 사람의 삶을 들여다보고 연결되는 쪽으로 발달되어 있지만, 그만큼 내 자신을 돌아볼 시간은 뺏기고 있습니다.
만족도 변화가 5% 안쪽인거 같은데, 이정도가 어느 정도인지 감이 잘 안오네요. 완전 만족과 완전 불만족보단 중간이나 중간 이상을 선택하는 비율이 클테고, 자신이 선택한 결혼이다보니 7점 안팍이 가장 의미가 있는 값일 듯한데, 7점 위아래로 1점 정도가 실제 만족도가 나올 수 있는 구간이라면 5%가 매우 큰 의미가 있을 듯하긴 합니다만.
기혼자에 유리한 제도가 지속된다면, 부익부 빈익빈 현상이 더 심화될 것 같습니다. 부유해야만 결혼을 하게 된다면, 기혼자에 유리한 제도를 근본적으로 수정하는 작업이 필요해보이네요. 하지만 세대 간의 인식 격차가 워낙 커서 제도를 바꿀 수 있을지 의문이고, 제도를 바꾸게 되면 결혼한 고소득자의 역량에 비결혼 저소득자가 무임승차하는 현상이 일어날 수 있으니 섣불리 건드리기도 힘들죠. 참 진퇴양난이네요. 일단 기혼에 유리한 제도의 지속성에 관해 논의라도 진행되었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김초보-n7o 6
2020년 3월 09일 15:44행복한 결혼생활은 환상 같은거군요!
@SunghooP 4
2020년 3월 10일 06:50경제적인 측면뿐 아니라.. 여러면에서 비슷한 수준이 되지 않으면 대화 자체가 안됩니다. 그러니 저렇게 될수 밖에 없죠. 재미있는 주제 감사합니다~!! ^^
@ComputerNoteBookinformation 3
2020년 3월 09일 16:09옛날 사람들은 밥도 삼시세끼 잘 못 먹고, 집도 좁아 터지고 난방도 잘 안 되는 데 8명 씩 낳은 게 이해조차 할 수 없네여.그때 피임기구가 없어서인지
지금은 지식 수준이 높아져서 사람들이 아이 안 낳는 게 더 좋다고 판단하는 것 같네여.
고소득 계층 아닌 이상
@kaicobra2852 2
2020년 3월 09일 12:34저게 나쁜 현상인가요? 저는 당연하고 바람직한 현상같은데요. 이미 한국보다 앞선 일본에서 같은 수준끼리 결혼하는 동질혼이 많았고요.
가령,고소득에 이쁜여자가 자기보다 못한 남자를 왜 만나야할까요. 자유가 주어진 사회에서는 각자의 최대 선호를 충족시키는 상대를 찾는거고 마지노선 이하의 이성과 결혼을 반드시 해야할 필요성도 없어지고 있구요...
@Rain12948 2
2020년 3월 09일 11:09“세상일 이라는게 참 어렵습니다” 가 이 영상의 테마가 같아요
@TheHanjun0202 1
2020년 3월 09일 07:44홍박사님, 오늘도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JUTOPIA 1
2020년 3월 10일 17:01와 재미있는 영상이네요 :D
잘봤습니다. 요새는 진짜 결혼하기가 쉽지않을세상이예요.
결혼 해서 잘 살고 있지만... 힘든만큼 보람도 생기고 아무튼 그렇네요. ㅎㅎ
@onetime_go 1
2020년 3월 23일 09:53재밋게 잘봣습니다. 이미 강남지역의 자녀들은 끼리끼리 결혼한지 한참입니다. 그래서 시댁 친정이 다 근방이고 강남권에 집을 많이 장만해주기에 시작이 다르고 부가 대대로 유지됩니다. 좋은직장다니는 사람이 같은 좋은직장사람 원하고..더 끼리끼리 결혼하는시대예요. ㅠㅠ
@kaicobra2852 1
2020년 3월 09일 12:42소득격차가 작은 결혼과 큰결혼은 단순이 소득만 가지고 보기에는 너무 단순 치환하는 문제가 있습니다. 학벌,직업,가정환경,문화, 교양 등이 비슷할 가능성을 내재하고 있고 어쩔수 없이 결혼의 지속성 측면에서 가장 중요한 대화,소통이 더 잘 이어질수 있고요.
박정우 1
2020년 3월 09일 10:19좋은 내용 고맙습니다.
영상을 보며 안타깝다 느끼는 것은 그렇기에 어떻게 결혼 생활을 가능한 행복하고 서로 만족할 수 있게 할것인가에 대해 고민하고 계획하고 실천할 수 있도록 하는 다방면의 지원이 필요하다 생각하는데, 이에 대한 고민없이 단순히 금전적으로 지원하는게 안타깝습니다. 비혼과 비혼자녀에 대한 차별이나 삐뚫어진 시선을 없애는것도 중요하다 생각합니다.
만약 정부를 시작으로 사회에 영향력 있는 사람들이 이에 대한 대책이 없다면, 앞으로 결혼컨설팅(결혼 중계를 말하는게 아닙니다)이 굉장히 중요하고 핫한 산업이 될 수 있겠다는 생각도 해봅니다. 다만 그렇다 하더라도 공부하고 생각하기를 포기한 사람들에겐 해당 사항이 없겠지요.
결혼을 하거나 그 생활을 유지하는 것은 철저히 상호간에 계산적이거나 자기자신에 대해 이해하고 상대방도 이해하려는 노력을 하는 사람들에게 가능한 일일거라 생각합니다. 쉽고 빨라진 세상에서 그런 노력을 할려는 사람이 얼마나 될런지는 모르겠지만요.
결국 저는 결혼이 빈부격차를 상징하고 만든다는건 결과를 놓고 해석하는, 사후해석의 문제라고 보는 쪽인겁니다. 원인은 결혼이 아니라 이렇게 바뀐 세상에서 과연 결혼에 대해 얼마나 고민하고 준비하고 대화를 나눴는가에 있는 것입니다.
간단히 말하면 결혼에 대한 생각이 다들 바뀌고 있는데 결혼에 이르고, 결혼 생활을 해나가는 방식은 그대로인 것이 원인입니다.
지금 세상은 발달된 정보통신 기술을 이용해 다른 사람의 삶을 들여다보고 연결되는 쪽으로 발달되어 있지만, 그만큼 내 자신을 돌아볼 시간은 뺏기고 있습니다.
좀 두서없긴 하지만 끝까지 읽어주셔서 고맙습니다.
@빠수니보틀 1
2020년 3월 09일 19:18영상잘보았는데요 저 결혼전후 만족도차이 출처논문이 무엇인가요?^^
@wonjaekim7923
2020년 3월 09일 07:35항상 잘 보고 있습니다
@sglee5863
2020년 3월 10일 00:20오늘도 조은영상 감사감사합니다.~죠아요 꾸욱
@sapphire4409
2022년 6월 24일 00:58부유한 집에서 출산하고 빈곤층에서 출산을 안하면 결과적으로 빈곤층이 줄고 좋지 않을까 합니다. 씁쓸하긴 하네여
KIM KWANG SHICK
2020년 12월 20일 15:59노가다 빌더 건축사가 돈법니다 과학자 기술자는 최저임금 빈곤층으로 전락중
@유마-d3l
2021년 2월 25일 11:05저는 이해하기 힘드네요
서로서로 도우며 사는것이지
@despairest
2020년 3월 09일 07:24잘봤습니다 ㅋㅋ 미혼이라서 두고두고 봐야될 영상이 되겠군요
@최민성-c6f
2020년 3월 10일 09:27격공합니다
@hokikim
2020년 3월 09일 09:26경제지식좋아요
@TV-xz3qu
2020년 3월 09일 12:54와우 홍박사님,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영상 볼때마다 느끼지만, 홍박사님 인상 정말 좋으신것 같아요:) !!! 훈훈함 가득 하신데, 깨달음 가득한 영상까지! 최고에요! 행복한 하루 보내세요 ^^
@Yalls468
2020년 3월 09일 21:07언제나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서강빈-r3g
2020년 7월 20일 20:40앞으로 결혼은 있는자들만 하는 세상이 될꺼 같다는 생각을 한 적 있는데, 진짜 그렇게 되어가는것 같네요.
@ddokki55
2020년 3월 09일 07:09외벌이도 실선그래프에 속하겠지요?
저도 외벌이인 상태라 경제적이유로 다른 길을 찾아보게되고 박사님 유튜브까지 시청하게되었습니다
다행인건 저는 만족도가 아직 계속 올라가고있네요~
오늘도 감사합니다
@demiankim780
2020년 3월 09일 17:59홍박사님 매일 집에만 계시나요 ㅎㅎ 너무 자다 일어나신거 아닙니까 ㅎㅎ 스타일 너무 맘에 듭니다.~
@geangeun-jen
2020년 3월 09일 11:37오늘 홍박사님 형아 영상주제가 우연인가? 나두요즘 설레이고 좋은여자있으면 결혼하고 싶던대 ㅋㅋㅋㅋ요^^
미혼이어서 가정이라는것을 만들고 싶어서 부동산투자에 관심이생기다보니 더깊게 공부를 할려다 이웃 줄타기하다가 얼떨결에 7년째 홍박사님 형아 블러그 지인이 되어버렸는대 ㅋ 홍박사님에게 블러그를 통해서지만 투자에대해서 많은것을 배웠기도 하구요.^^
에휴!~ 아직도 결혼못한 미혼이지만... 남자는 설래이고 좋아하는 여자가 생기고 또 그여성분과 가정이라는것을 만들고 싶어하는 생각이 들었을때 발전을한다라는 생각이듭니다.^^
@belleepoquela3271
2020년 3월 10일 15:48만족도 변화가 5% 안쪽인거 같은데, 이정도가 어느 정도인지 감이 잘 안오네요.
완전 만족과 완전 불만족보단 중간이나 중간 이상을 선택하는 비율이 클테고,
자신이 선택한 결혼이다보니 7점 안팍이 가장 의미가 있는 값일 듯한데,
7점 위아래로 1점 정도가 실제 만족도가 나올 수 있는 구간이라면 5%가 매우 큰 의미가 있을 듯하긴 합니다만.
허재원
2020년 3월 13일 21:36기혼자에 유리한 제도가 지속된다면, 부익부 빈익빈 현상이 더 심화될 것 같습니다. 부유해야만 결혼을 하게 된다면, 기혼자에 유리한 제도를 근본적으로 수정하는 작업이 필요해보이네요. 하지만 세대 간의 인식 격차가 워낙 커서 제도를 바꿀 수 있을지 의문이고, 제도를 바꾸게 되면 결혼한 고소득자의 역량에 비결혼 저소득자가 무임승차하는 현상이 일어날 수 있으니 섣불리 건드리기도 힘들죠. 참 진퇴양난이네요. 일단 기혼에 유리한 제도의 지속성에 관해 논의라도 진행되었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나니
2020년 3월 09일 18:46끼리끼리 논다는 게 세상의 진리가 되었네요..
친구, 지인, 애인마저도 ㅎㅎ
@ktt-j9x
2020년 3월 11일 08:16박사님 잘봤습니다. 최근에본것중 가장 재밌는영상입니다ㅎ 만족도가 점점 떨 어지는것이 명쾌하게해결되는군요ㅎㅎ
@주자왕파킹
2020년 3월 09일 09:25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결혼도 불평등이 만연하군요 ㅠㅠ
박정우
2020년 3월 10일 18:03댓글 창 좀 빌리겠습니다. ㅠ0ㅠ
결혼에 대한 여러분의 인식이 궁금합니다.
https://moaform.com/q/c2tr72
@junyoungyoo3588
2020년 3월 09일 12:45강의 정말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