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주변의 환경 변화 => 손실을 입을 수 있는 환경조성하기 2. 시간과 기회 => 특정 시기를 놓치며 하지 못하는 것들이 생긴다. 유한한 시간안에서 인위적으로 시간 조성하기 3. 사회적평가 => 주변에 내가 무엇을 준비하는지 알리기, 내가 공부를 할 수 밖에 없는 동기 및 환경 만들기
공부하는 환경을 설정하는 법 => 근본적으로 공부를 안하는게 문제 '인위적인 환경 조성'이 매우 중요! Ex) 데드라인, 학원등록 등
저는 꽤 유명한 명문고를 나왔습니다. 다들 서연고 수시를 준비하느라 바쁜 고3 내신때 굉장히 중요하고 방대하고 까다로운 과목이 있었는데, 저는 중간기말고사시험 전날 밤에 해당 과목의 전체 분량의 40%가량이 공부가 전혀 안 되어있어서 뒤늦게 6시간동안 미친듯이 벼락치기하고 전체 1등을 차지했으며 이 짓을 1학기 중간, 기말, 2학기 중간 총 3번을 했습니다. 꽃됬음을 직감하니 초인적인 힘을 발휘하게 되더군요. 매우 공감합니다
이미 시험 접수를 여름에 해야 하는데 그때부터 공인중개사 공부를 해야 한다는 계획이 있었죠... 접수하고 전혀 아무 준비 없다가, 시험10일전부터 책사고 강의듣고 했다면 모를까 10일, 240 시간 1, 2차 과목 기본서 읽고 기출만 풀어도 물리적으로 불가능하죠 님보다 공부잘하는 사람들 널려도 이렇게 무리한 컨텐츠 제목은 쉽게 납득이 어렵네요
저도 위기주도학습법을 통해서 재수를 성공한 경험이 있어서인지 임현서 작가님의 이야기에 매우 공감하고 있습니다. 혹자는 배수의 진을 미친 짓이라고, 어떻게 플랜 B도 없이 인생을 사냐고 하는 사람도 있지만, 배수의 진 만큼 사람을 극한의 능력을 이끌어 내는 환경은 없을 거라는 생각이 듭니다. 저도 재수 이후에는 매일 스스로에게 타협만 하던 생활을 해오고 있었는데, 환경설계를 통해서 제 자신이 원하는 것을 할 수 밖에 없도록 하도록 하겠습니다. 신사임담님도, 자청님도 강조했던 이야기 인데 정말 성공한 사람들의 금과옥조인것 같습니다.
제목이 좀 심하긴 하다 그래도 현서님이라 봐드리겠습니다. 뻔한 소리도 아니고 공부 많이 하는편인데 진짜 많이 공감되네요. 공부 그 자체보다 공부를 둘러싼 환경이 공부만큼 중요한것 같아요. 개인적으로는 진짜 책상은 크면 클수록 좋은 것 같음. 너무 좋은 말씀 감사드립니다. 찐이야
기도하세요. 자기 꿈을 목표를 위해 그러면 지금 내가 어떤 욕망에 빠졌는지 이제는 무엇을 해야하는지 보일겁니다. 이를 위해서 먼저 작은 욕망을 이길만큼 소중한 꿈울 간직하고 하루 하루의 작은 변화를 느낄만큼 여유를 가져야합니다. 이 방식이 짧은 시간 내 큰 성과나 성공을 주지는 않지만 내 마음을 지켜주고 스스로한 약속을 지켰다는 자긍심을 줍니다. 돈 보다 귀한 가치라 생각해요
@JJ-oe3tq 173
2022년 9월 06일 00:383년 내내 민법 공부하던 변호사가 10일 공부해서 땄다는 말이죠… 핵심은 10일이 아닙니다.. 설명하시는 방법론에 집중해요 열폭하지말고.. ㅎ
@무요짱 125
2022년 9월 04일 16:23공부량이 얼마나 많아야 되는데 10일만에 된다는 소리를 합니까? 굉장히 무책임하네요
@Kang_traveler100 66
2022년 9월 04일 16:241. 주변의 환경 변화 => 손실을 입을 수 있는 환경조성하기
2. 시간과 기회 => 특정 시기를 놓치며 하지 못하는 것들이 생긴다. 유한한 시간안에서 인위적으로 시간 조성하기
3. 사회적평가 => 주변에 내가 무엇을 준비하는지 알리기, 내가 공부를 할 수 밖에 없는 동기 및 환경 만들기
공부하는 환경을 설정하는 법
=> 근본적으로 공부를 안하는게 문제
'인위적인 환경 조성'이 매우 중요!
Ex) 데드라인, 학원등록 등
앞서나가시는분들은 공통적으로 이야기하시는부분이 항상 있네요~!!
영상 감사히 잘봤습니다
@financia1KING 38
2022년 9월 04일 22:04엄청난 인사이트가 있는 영상이네요. 핵심은 행동 설계를 한다는 것입니다. 시험이 100일 남았을 때 공부 방법과 10일 남았을 때 공부방법은 다를 수밖에 없습니다. 집중력 역시 마찬가지겠죠.
비유하자면 매번 죽기 직전까지 수련한 손오공과 적당히 수련한 크리링의 차이. 혹은 슬램덩크에서 강자들과 계속 싸워온 강백호와 후보 선수인 정병욱의 차이라고 볼 수 있겠네요.
좋은 영상을 올려주셔서 정말 고맙습니다.
@gamal-nasser 30
2022년 10월 18일 03:42저는 꽤 유명한 명문고를 나왔습니다. 다들 서연고 수시를 준비하느라 바쁜 고3 내신때 굉장히 중요하고 방대하고 까다로운 과목이 있었는데, 저는 중간기말고사시험 전날 밤에 해당 과목의 전체 분량의 40%가량이 공부가 전혀 안 되어있어서 뒤늦게 6시간동안 미친듯이 벼락치기하고 전체 1등을 차지했으며 이 짓을 1학기 중간, 기말, 2학기 중간 총 3번을 했습니다. 꽃됬음을 직감하니 초인적인 힘을 발휘하게 되더군요. 매우 공감합니다
@skjung7620 30
2022년 9월 05일 09:35내가 그 동안 쌓은게 이분과 다르니 10일이란 매혹적인 시간에 이 일을 해내지는 못하겠지만, 많은 공부로 터득한 자신만의 결을 공유한다는 것이 감사한 일이다. 아는 만큼 질문하듯이 해낼 수 있는 만큼 해보면 언젠가 나도? 10일의 기적을.. 100일의 기적이라도!
@hushous 28
2022년 9월 04일 18:02이미 시험 접수를 여름에 해야 하는데 그때부터 공인중개사 공부를 해야 한다는 계획이 있었죠... 접수하고 전혀 아무 준비 없다가, 시험10일전부터 책사고 강의듣고 했다면 모를까 10일, 240 시간 1, 2차 과목 기본서 읽고 기출만 풀어도 물리적으로 불가능하죠 님보다 공부잘하는 사람들 널려도 이렇게 무리한 컨텐츠 제목은 쉽게 납득이 어렵네요
@봄날의곰돌이-r7k 24
2022년 9월 04일 17:20저도 위기주도학습법을 통해서 재수를 성공한 경험이 있어서인지 임현서 작가님의 이야기에 매우 공감하고 있습니다. 혹자는 배수의 진을 미친 짓이라고, 어떻게 플랜 B도 없이 인생을 사냐고 하는 사람도 있지만, 배수의 진 만큼 사람을 극한의 능력을 이끌어 내는 환경은 없을 거라는 생각이 듭니다.
저도 재수 이후에는 매일 스스로에게 타협만 하던 생활을 해오고 있었는데, 환경설계를 통해서 제 자신이 원하는 것을 할 수 밖에 없도록 하도록 하겠습니다.
신사임담님도, 자청님도 강조했던 이야기 인데 정말 성공한 사람들의 금과옥조인것 같습니다.
@sjyeon9835 23
2022년 9월 04일 22:36다들 10일에 왜 이렇게 집착하는지, 핵심은 그게 아니잖아요
@jjinnychoi9210 23
2022년 9월 04일 19:23일단 이분은 공부능력이라고 해야하나 그게 최상위에서 시작하신 분이시라 감안하고 이해를 해야할것 같아요
Pavlova 22
2022년 9월 04일 16:20이분은 원래 부동산에 대한 기본기가 있었을 뿐 아니라,,, 머리가 그냥 매우 좋으신분....
@justice8192 20
2022년 9월 04일 16:54변호사인 것을 붙여주세요 일반인은 힘듭니다
@경감-q6h 17
2022년 9월 05일 01:31댓글들 보니까 영상은 끝까지 보지도 않고 10일 합격이라는 단어만 꼬투리 잡아서 시비거는 사람들 많네요.
이 영상의 핵심은 인위적인 환경설계를 통한 행동강제로 공부의 능률을 올리는게 가능하다는 내용입니다. 10일합격이 핵심이 아니라구요 이사람들아. 영상좀 끝까지 보고 내용파악들좀 하세요.
@오늘만사는놈-b6i 17
2022년 9월 04일 16:51솔직히 보통사람이 노베이스에 10일컷은 좀..
@초천재-b3s 16
2022년 9월 06일 08:3510일에 집착하는 사람들 = 독해력과 이해력 부족으로 본질 파악 못하는 사람
@성이름-e7w7v 12
2022년 9월 04일 18:26근데 이면서님은 애초에 머리도 난 분이신데 그 난 머리로 이것저것 빡세게 다 성취하는게 포인트 ㅋㅋㅋ 머리좋은사람이 욕심많게 다 성취하면 어떤지 보여줌
@흰둥흰둥-y6y 12
2022년 9월 07일 14:20시험에 들였던 돈이 얼마인지, 시험에 투자한 기간과 기회 비용이 얼마의 가치인지, 떨어지는게 얼마나 창피한지 구체적으로 생각하면 공부하게 된다.
@duyeon5220 10
2022년 9월 04일 18:28이건 뭐 너무 갭이커서 공감이 떨어지네요 ㅠ
@세발낙지문어 9
2022년 9월 06일 02:52사람의 뇌는 원시적이라 단기적 위험에 반응하기 쉬운 구조입니다. 의사결정에 강한 영향력을 가진 편도체를 자극하기 때문이라고 하던데요 그게 핵심인 영상인듯? 문제에 집중하고 싶다면 단기적인 위험으로 인식하라는 것으로 이해됩니다요.
@버귀아빠 8
2022년 9월 04일 16:13대단하시네요 전6개월이상 한거를 10 일 머리좋은사람은 다르네
@반시-k9n 8
2022년 9월 06일 21:35이런경험 한두번 해보긴했지만 솔직히 이런방식을 내내 써먹는건 좀 정신적으로 건강하지못한사람은 오히려 부작용이 올 수 있습니다. 데드라인에 맞춰서 내자신의 행동을 통제하는데 스트레스관리와 건강관리가 유지되는사람이라면 해볼만한 방법인것 같습니다
@dream004 8
2022년 9월 04일 17:39공감가는 말씀 이네요 ~환경설정! ~~좋은책소개와 좋은영상 전해주셔서 감사합니다 ᆢ
@김이평-f1p 7
2022년 9월 20일 17:04이분 서울대 경영에 서울대 로스쿨인데 8년간 공부한 양과 공부능력이 일반인하고는 다릅니다 그냥 스스로 위기상황을 만들고 열심히 매진한다 정도 배우면 좋을듯 합니다
@옹쓰-z5c 6
2022년 9월 05일 08:48멀 공인중개사를 10일씩이나 그냥 바로 되는방법이 있는데~~~~
공인중개사 햅격은??~~~~권성동
@jab7482 5
2022년 9월 04일 16:00감사합니다~^^
@eldorado5830 5
2022년 9월 04일 16:38배수의 진을 치고 한다는거에 공감
@TomCruiseKOR 4
2022년 9월 04일 18:25이분 노래도 잘하심. 트로트 대회 나간적 있으심
@dominic-ai 4
2022년 9월 04일 16:30와~~천재다
@nevertheless4356 4
2022년 9월 04일 16:02스터디언, 임현서 👍
@패트-v5v 4
2022년 9월 04일 16:05오홍... 반골 변호사 임현서님!
@ggyunong 4
2022년 9월 06일 23:59정말 감사합니다. 어떤 방법을 써도 동기부여가 잘 되지 않던 저에게 여태까지 본 수많은 조언과 영상 중에서 가장 실질적인 해결책이네요.
@발렌시아가-i6j 3
2024년 4월 15일 19:05딱 이거다! 하는 핵심은 없네...ㅋㅋ
간절함이 없어서라는 말을 길게 늘어놓은것일뿐이네요...
저분은 단지 머리가 좋은것 일뿐...
@일일체험 2
2022년 9월 12일 22:46작년 공부하는 영상 봤었는데, 충격과 경외심이 ㄷㄷ 남은한달 의지 한수푼 보충하고 갑니다 ㅎ 감사
@모모-o9m3d 2
2023년 12월 08일 03:06저기요 당신은 10일 + 법대기간 써놓으셔야죠
당신 스타트업 아이템도 부동산이지않습니까?
그럼 스타트업 준비하는 그 몇년도 부동산만 팠을텐데 그 시간들 다 안더하고 뭐하세요?
@시작-b2r 1
2024년 4월 24일 02:03제목이 좀 심하긴 하다 그래도 현서님이라 봐드리겠습니다. 뻔한 소리도 아니고 공부 많이 하는편인데 진짜 많이 공감되네요. 공부 그 자체보다 공부를 둘러싼 환경이 공부만큼 중요한것 같아요. 개인적으로는 진짜 책상은 크면 클수록 좋은 것 같음. 너무 좋은 말씀 감사드립니다. 찐이야
@user-vo5jq8nr2c 1
2022년 9월 08일 19:56자동자막 일치율ㄷㄷ
@윤연희-x9l 1
2022년 9월 04일 18:50지금 게이름에 해야만 하는 내 목표 넣기
@안재중-c4m 1
2024년 1월 18일 17:11기도하세요. 자기 꿈을 목표를 위해
그러면 지금 내가 어떤 욕망에 빠졌는지 이제는 무엇을 해야하는지 보일겁니다.
이를 위해서 먼저 작은 욕망을 이길만큼 소중한 꿈울 간직하고 하루 하루의 작은 변화를 느낄만큼 여유를 가져야합니다.
이 방식이 짧은 시간 내 큰 성과나 성공을 주지는 않지만
내 마음을 지켜주고 스스로한 약속을 지켰다는 자긍심을 줍니다.
돈 보다 귀한 가치라 생각해요
@sangsoolee4429
2022년 9월 04일 22:42되는사람만 되겠죠..ㅋㅋ
@juuunmai
2022년 12월 31일 20:58대박. 소닉붐x아르마딜로의 정도를 걷는 보컬 임현서님 아니십니까!!
@SeoilPark
2024년 10월 07일 12:57감사합니다
@정우경-l2f
2024년 4월 18일 13:49너무너무너무너무 공감합니다
@김모모-s1x
2022년 9월 05일 04:18오 여기서 현서님이